KR101197351B1 -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 Google Patents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351B1
KR101197351B1 KR1020100022682A KR20100022682A KR101197351B1 KR 101197351 B1 KR101197351 B1 KR 101197351B1 KR 1020100022682 A KR1020100022682 A KR 1020100022682A KR 20100022682 A KR20100022682 A KR 20100022682A KR 101197351 B1 KR101197351 B1 KR 101197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ne
sorting plate
sorting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560A (ko
Inventor
홍성표
Original Assignee
홍성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표 filed Critical 홍성표
Priority to KR102010002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35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 B07C5/365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using a single separ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04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palm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81Sorting of food items

Abstract

본 발명은 잣을 자동으로 탈각할 수 있는 잣 자동탈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의 일측에 구비된 호퍼로부터 잣 알갱이와 잣송이를 공급받아 선별하는 선별판의 하부에 상향으로 송풍을 가하는 송풍기를 구비하며 송풍기로부터의 바람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송풍공을 형성하여 바람에 의해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잣 알갱이와 잣송이를 선별하도록 된 선별판과, 선별판과 연결되어 왕복회전하면서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된 잣 알갱이와 잣송이를 원활하게 분리되게 하는 크랭크를 갖는 선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잣 알갱이와 잣송이를 자동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의 향상 및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FLOATING SEPARATOR FOR PINE NUT HULLING}
본 발명은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잣 알갱이와 잣 알갱이가 탈리된 잣송이를 동시에 공급하여 일련의 선별과정을 거치면서 잣 알갱이와 잣 알갱이가 탈리된 잣송이를 자동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잣(일명, 해송자(海松子) ?백자(柏子) ?송자(松子) ?실백(實柏)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여기서는 '잣'이라 칭하기로 한다.)은 솔방울처럼 생긴 단단한 잣송이(일명, '구과(毬果)'라고도 한다)에 들어 있는 데, 자양강장의 효과가 있어 각종 요리에 고명으로 쓰거나 죽을 끓여 먹는 등 식용 또는 약용하고 있다.
이러한 잣은 잣송이로부터 잣 알갱이(껍질이 탈각되지 않은 것)를 탈리시킨 후, 껍질을 탈각(脫殼)시켜 섭취하게 된다.
종래의 잣 알갱이를 잣송이로부터 탈리시키는 방식은 수확하고자 하는 사람이 직접 일일이 집게 등을 이용하거나 방망이 등으로 두드려 잣송이로부터 잣 알갱이를 꺼내어 탈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탈리 방식은 잣 알갱이 및 잣송이가 서로 섞이게 되어 잣 알갱이와 잣송이를 선별하기가 매우 어렵고, 선별작업에 시간 및 노력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인건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 생산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잣 알갱이와 잣 알갱이가 탈리된 잣송이를 동시에 공급하여 일련의 선별과정을 거치면서 잣 알갱이와 잣송이를 자동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 및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선별판의 상부로 위치하고 선별판을 향하여 투입조절구가 형성되어 잣 알갱이와 잣 알갱이가 탈리된 잣송이를 선별판으로 공급하는 호퍼(Hopper);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상방으로 송풍하는 송풍기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바람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송풍공이 형성된 선별판과, 상기 선별판과 연결되어 선별판을 왕복 회전 운동시키는 크랭크로 이루어진 선별수단; 상기 선별판의 일측에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선별판에서 선별된 잣송이만을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호퍼의 투입조절구에는 상하 이동에 의해 개폐되면서 잣 알갱이 및 잣송이의 투입면적을 조절하는 투입조절문이 구비되는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구의 상부로는 개폐가능한 통풍구를 구비하여 상기 통풍구의 개폐 정도에 따라 상기 호퍼 내부에서의 바람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별판은 상기 배출구 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 측으로 향하여 편향되게 절곡된 절개편을 가지고 배출구 쪽을 향하여 개구된 복수의 송풍공이 형성된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송풍기를 둘러싸며 선별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하우징판과,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우징판의 상단과 선별판 하부에 형성된 개구 부분에는 회동가능한 회동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커버의 회동 정도에 따라 하우징판 상단과 선별판 하부의 개구 부분을 개폐하여 바람 세기를 달리하는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송풍기의 팬축을 기준으로 하여 수직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선별판 사이에 회동가능한 일정 높이를 갖는 높이조절판을 구비하고, 회동 정도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기 선별판으로 전달되는 바람 세기를 조절하는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에 의하면, 잣 알갱이와 잣 알갱이가 탈리(脫離)된 잣송이를 동시에 공급하여 일련의 선별과정을 거치면서 잣 알갱이와 잣송이를 자동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 및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잣 탈각용 부양 선별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의 투입조절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잣 탈각용 부양 선별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팬 및 선별판 사이에 구비된 회동커버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의 팬축을 기준으로 하여 수직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높이조절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판과 배출구가 인접된 위치에 구비된 빠짐방지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커버, 높이조절판, 빠짐방지판을 구동하는 회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100)는, 호퍼(110 ,Hopper)와, 잣 알갱이 및 잣송이를 선별하는 선별수단(120)과, 선별된 잣송이만을 배출시키는 배출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호퍼(110)는 기체(102, 機體)의 일측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어 잣 알갱이 및 잣송이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호퍼(110)는 잣 알갱이 및 잣송이가 투입되는 입구가 넓고 선별수단(120) 측이 좁은 내부가 관통형성된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로 형성된다.
호퍼(110)의 하부 일측에는 선별판(121)을 향하여 투입조절구(112)가 형성된다. 투입조절구(112)는 상하 이동하는 투입조절문(114)에 의해 개폐되면서 잣 알갱이 및 잣송이의 투입면적을 조절하게 된다.
호퍼(110)의 배출구(130)가 위치하는 일측으로 연통된 개폐 가능한 통풍구(116)가 구비된다. 상기 통풍구(116)는 약 360°회동가능한 통풍조절문(117)에 의해 개폐된다. 이러한 통풍구(116)의 개폐 정도에 따라 송풍공(122)을 통하여 선별판(121)와 호퍼(110) 사이에서 유동하는 바람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통풍구(116)를 막으면 유동이 차단되어 바람의 세기가 약해지고 통풍구(116)를 개방하면 바람의 세기가 강해진다.
선별수단(120)은 호퍼(110)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선별수단(120)은 기체(102)에 설치되어 잣 알갱이와 잣송이를 지지함과 아울러 선별할 수 있도록 된 선별판(121)과, 선별판(121)을 도 1에 A로 나타낸 방향으로 왕복 회전운동시키는 크랭크(141)로 이루어진다. 크랭크(141)는 일측은 선별판(121)의 측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모터(126)에 의하여 구동되는 플라이휠(125)의 회전축에 편심되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모터(126)의 회전에 의하여 선별판(121)을 도 1에 A로 나타낸 방향으로 왕복 회전 운동되도록 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3은 송풍기(124)가 설치되는 중공의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며, 142와 143은 일측은 하우징(10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선별판(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지지축을 도시한 것이다. 144는 상기 선별판(121)의 측방으로 구비된 보강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됨으로써 선별판(121)은 하우징(103)의 상부로부터 상방향 이격되어 회전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선별판(121)은 기체(102)에 지지되면서 호퍼(110) 측을 향하여 하향(下向)경사지게 설치된다. 선별판(121)에는 배출구(130) 측으로 편향되게 절곡된 절개편(122a)을 형성하여 병렬로 나란하게 배치된 송풍공(122)이 구비된다. 송풍공(122)이 배치된 선별판(121)의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격벽(123)이 마련된다. 상기 격벽(123)은 호퍼(110)로부터 공급된 잣 알갱이와 잣송이가 좌우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선별판(121)의 하부에는 상향(上向)으로 송풍(送風)을 가해주는 송풍기(124)가 구비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124)는 상방향이고 배출구(130) 쪽으로 바람이 발생하도록 회전한다. 선별판(121)에는 송풍공(122)이 배출구(130) 쪽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하는 절개편(122a)을 구비하므로 선별판(121)의 송풍공(122)를 통과한 바람은 더욱더 배출구(130) 쪽으로 향하게 된다.
모터(126)가 회전하여 송풍기(124)가 작동하는 한편, 크랭크(141)에 의하여 선별판(121)이 도 1의 A로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 회전 운동을 한다. 상기에서 송풍기(124)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선별판(121)은 호퍼(110)로부터 공급된 잣 알갱이와 잣송이가 배출구(130) 반대 방향으로 던져지도록 왕복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이다.
상기 선별판(121)의 왕복 회전 운동에 의하여 호퍼(110)로부터 공급된 잣 알갱이와 잣송이가 배출구(130) 반대 방향으로 던져지고, 송풍기(124)에 의해 발생된 바람은 하부로부터 선별판(121) 하부로부터 송풍공(122)을 통과하여 배출구(130) 방향으로 유동하며 잣 알갱이는 배출구(130)의 반대편 쪽으로 이동되게 하고(도 4의 화살표 ⓐ방향 참조), 잣송이는 호퍼(110)의 후방에 위치한 배출구(130) 측으로 이동하여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도 4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러한 선별판(121)은 기체(102)의 일측에 구비된 크랭크(141, Crankshaft)에 의해 소정간격으로 왕복 회전 운동하면서 일정하게 요동되면서 잣 알갱이와 잣송이를 원할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크랭크(125)는 동력전달수단인 모터(126)에 의하여 구동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124) 주위로는 송풍기(124)를 둘러싸는 하우징판(124b)가 구비되며, 선별판(121)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선별판(121)의 하부로 배출구(130)를 향하는 방향에 하우징판(124b)의 개구된 부분에 회동 가능한 회동커버(127)를 구비한다. 회동커버(127)의 단부는 송풍기(124)의 하우징판(124b)과 접할 수 있도록 하여 하우징판(124b)의 배출구(130)를 향하는 방향에 개구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회동커버(127)의 개폐 정도에 따라 하우징(124b)과 접촉하거나 떨어지면서 바람을 막거나 유동할 수 있게 조절한다(도 4의 화살표 ⓒ방향 참조). 즉, 회동커버(127)를 닫으면 송풍기(124)로부터 선별판(121)으로 공급되는 바람을 세게 하여 잣송이를 배출구(130) 측으로 강하게 배출할 수 있고, 회동커버(127)를 열면 선별판(121)으로 공급되는 바람을 약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커버(127)는 기체(102)의 일측에 가이드편(104)을 고정 설치하고, 가이드편(104)에 끼워진 상태를 이루어 일정 반경으로 회동하는 회동편(105)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된다. 상기 회동편(105)은 원하는 반경으로 회동한 후 고정손잡이(106)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회동커버(127)는 회동축(107)을 매개로 회동편(105)에 연결되어 회동편(105)이 회동하는 정도에 따라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편(104), 회동편(105) 및 고정손잡이(106)의 기술적 구성은 후술할 높이조절판(128), 빠짐방지판(129)에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둔다.
선별판(121)과 송풍기(124)의 팬축(124a)을 기준으로 하여 수직하는 위치에 회동가능한 높이조절판(128)을 구비한다. 높이조절판(128)은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단부가 송풍팬(124c)과 인접될 수 있도록 한다. 높이조절판(128)은 약 90°정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회동 정도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송풍기(124)로부터 선별판(121)을 전달되는 바람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 즉, 높이조절판(128)의 단부가 송풍팬(124c)과 인접되게 닫으면 송풍기(124)로부터 선별판(121)으로 공급되는 바람을 세게 할 수 있고, 높이조절판(128)을 위로 젖히면 선별판(121)으로 공급되는 바람을 약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선별판(121)과 배출구(130)가 인접된 위치에는 회동가능한 빠짐방지판(129)을 구비한다. 빠짐방지판(129)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약 40°정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회동 정도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잣 알갱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도 6의 화살표 ⓔ방향 참조). 즉, 빠짐방지판(129)을 수직방향으로 세우면 선별판(121)으로부터 배출구(130) 측으로 잣 알갱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배출구(130)는 호퍼(110)의 일측에 개방되게 형성되어 선별판(121)에서 선별된 잣송이만을 배출되게 한다. 배출구(130)에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수거함(132)을 설치하여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잣송이(덩어리, 찌꺼기 등)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100 : 잣 탈각용 부양 선별기, 102 : 기체,
104 : 가이드편, 105 : 회동편,
106 : 고정손잡이, 110 : 호퍼,
112 : 투입조절구, 114 : 투입조절문,
116 :통풍구, 117 :통풍조절문,
120 : 선별수단, 121 : 선별판,
122 : 송풍공, 122a : 절개편,
123 : 격벽, 124 : 송풍기,
124a : 팬축, 124b : 하우징,
125 : 크랭크축(Crankshaft), 126 : 모터,
127 : 회동커버, 128 : 높이조절판,
129 : 빠짐방지판, 130 : 배출구,
132 : 수거함.

Claims (6)

  1. 기체(102)의 일측에 구비되어 선별판(121)의 상부로 위치하며 선별판(121)을 향하여 투입조절구(112)가 형성된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다수의 송풍공(122)이 형성된 선별판(121), 상기 선별판(121)의 하부에 위치하는 송풍기(124), 일측은 선별판(121)에 연결되고 타측은 모터(126)에 의하여 구동되는 플라이휠(125)의 회전축에 편심되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크랭크(141)로 이루어진 선별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별판(121)의 일측에 개방되게 배출구(130)가 형성되고,
    상기 선별판(121)은 배출구(130) 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선별판(121)에는 배출구(130) 측을 향하여 편향되게 절곡된 절개편(122a)이 다수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송풍공(122)은 배출구(130) 쪽을 향하여 개구되며, 모터(126) 구동되는 플라이휠(126)에 연결된 상기 크랭크(141)에 의하여 선별판(121)은 호퍼(110)로부터 공급된 잣 알갱이와 잣 알갱이가 탈리된 잣송이가 배출구(130)의 반대 방향으로 던져지도록 왕복 회전 운동을 하며;
    상기 선별판(121)과 배출구(130)가 인접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빠짐방지판(12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24)를 둘러싸며 선별판(121)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하우징판(124b)과, 상기 배출구(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우징판(124b)의 상단과 선별판(121) 하부에 형성된 개구 부분에는 회동 가능한 회동커버(127)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커버(127)의 회동에 따라 하우징판 상단(124b)과 선별판(121) 하부의 개구 부분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24)의 팬축을 기준으로 하여 수직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선별판(121) 사이에 회동가능한 높이조절판(128)을 구비하고, 회동 정도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송풍기(124)로부터 상기 선별판(121)으로 전달되는 바람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KR1020100022682A 2010-03-15 2010-03-15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KR101197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82A KR101197351B1 (ko) 2010-03-15 2010-03-15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82A KR101197351B1 (ko) 2010-03-15 2010-03-15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560A KR20110103560A (ko) 2011-09-21
KR101197351B1 true KR101197351B1 (ko) 2012-11-05

Family

ID=4495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682A KR101197351B1 (ko) 2010-03-15 2010-03-15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428B1 (ko) 2017-11-27 2019-09-05 김방재 웜 분류 시스템
KR102653549B1 (ko) 2022-10-20 2024-04-02 김소희 웜 분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646B1 (ko) * 2017-11-28 2020-02-03 송순철 분리망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9783U (ko) * 1981-01-19 1982-07-24
KR200228942Y1 (ko) * 2001-01-29 2001-07-03 전병훈 곡물 선별기
JP2008114175A (ja) * 2006-11-06 2008-05-22 Taiwa Seiki:Kk 石抜き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9783U (ko) * 1981-01-19 1982-07-24
KR200228942Y1 (ko) * 2001-01-29 2001-07-03 전병훈 곡물 선별기
JP2008114175A (ja) * 2006-11-06 2008-05-22 Taiwa Seiki:Kk 石抜き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428B1 (ko) 2017-11-27 2019-09-05 김방재 웜 분류 시스템
KR102653549B1 (ko) 2022-10-20 2024-04-02 김소희 웜 분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560A (ko)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52155A (zh) 一种花生分级脱壳机
JP2018118185A (ja) 粗選別機
KR101197351B1 (ko) 잣 탈각용 부양선별기
KR200416455Y1 (ko) 곡물탈곡기
CN111299156A (zh) 一种种子筛选装置
KR20070006081A (ko) 진공식 왕겨풍구 석발기
KR200453178Y1 (ko) 곡물선별기
CN113477298A (zh) 一种大米除尘装置及其除尘方法
KR200354864Y1 (ko) 다목적 탈망기
JP2000324936A (ja) 豆類脱粒機
US5452651A (en) Automatic mungbean sprout hulling and root cutting apparatus
JP2004016200A (ja) 脱穀装置
KR200228942Y1 (ko) 곡물 선별기
JP3014191U (ja) 全自動もやし脱穀断根機
US1428911A (en) Thrashing machine
JP3408976B2 (ja) 石抜選別機
JP2001259528A (ja) 石抜き選別装置
JP2003260376A (ja) 衝撃脱ぷ揺動選別装置
JP3575046B2 (ja) 籾摺選別機の選別装置
JP2003305412A (ja) 揺動選別装置
JP3267532B2 (ja) 石抜選別装置
KR20150136752A (ko) 탈곡기용 송풍장치
US144803A (en) Improvement in machines for separating rice
KR860000571Y1 (ko) 이삭탈곡을 겸한 석발기
JPH0737473Y2 (ja) 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