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496A - 패류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패류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496A
KR20220152496A KR1020210059678A KR20210059678A KR20220152496A KR 20220152496 A KR20220152496 A KR 20220152496A KR 1020210059678 A KR1020210059678 A KR 1020210059678A KR 20210059678 A KR20210059678 A KR 20210059678A KR 20220152496 A KR20220152496 A KR 20220152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shellfish
guide
shellfish sorting
sor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708B1 (ko
Inventor
박성원
Original Assignee
박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원 filed Critical 박성원
Priority to KR102021005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7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류 선별장치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패류 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류 선별부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패류 선별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1-1직경을 갖는 제1-1가이드봉; 및 일측은 상기 제1-1가이드봉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1-2직경을 갖는 제1-2가이드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1직경을 갖는 제2-1가이드봉; 및 일측은 상기 제2-1가이드봉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2-2직경을 갖는 제2-2가이드봉을 포함하는 패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채취된 다량의 패류 중 일정크기 이상의 패류만으로 선별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류 선별장치{A Shellfish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패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취된 다량의 패류 중 일정크기 이상의 패류만으로 선별할 수 있는 패류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홍합은 패류 중의 하나로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국내는 물론 유럽 등 전세계에서도 홍합을 이용한 많은 요리가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홍합의 효능은 노화예방과 빈혈 방지, 골다공증 예방, 간기능 활성화, 생리활성 작용, 체내 나트륨 배설 등의 주목할 만한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그 생산량이 많아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채취한 홍합, 꼬막, 바지락 등과 같은 패류는 크기에 따라 상품성에 차이가 있어 크기별로 선별하여야 하고, 또한, 폐사하거나 일정 크기 이하의 패류를 구분하기 위하여 선별이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채취된 패류 선별 방법은 수작업에 의하거나, 단순히 일정크기의 메시(MASH)를 갖는 도구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패류만을 선별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다량의 패류를 선별하려면 많은 시간과 인력을 낭비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산지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특히, 상기와 같이 수작업에 의한 선별은 정확한 선별이 불가능하여 패류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속이 비어있는 패류가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채취된 다량의 패류 중 일정크기 이상의 패류만으로 선별하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516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채취된 다량의 패류 중 일정크기 이상의 패류만으로 선별할 수 있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패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류 선별장치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패류 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류 선별부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패류 선별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1-1직경을 갖는 제1-1가이드봉; 및 일측은 상기 제1-1가이드봉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1-2직경을 갖는 제1-2가이드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1직경을 갖는 제2-1가이드봉; 및 일측은 상기 제2-1가이드봉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2-2직경을 갖는 제2-2가이드봉을 포함하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1직경은 상기 제1-2직경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2-1직경은 상기 제2-2직경보다 크며, 상기 제1-1가이드봉과 상기 제2-1가이드봉 간의 제1간격은, 상기 제1-2가이드봉과 상기 제2-2가이드봉 간의 제2간격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1가이드봉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형 코일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1가이드봉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제2나선형 코일을 포함하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1가이드봉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1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1가이드봉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1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1구동스프라켓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1가이드봉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1-1관형체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1구동스프라켓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1가이드봉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2-1관형체를 포함하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류 선별부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1가이드봉과 상기 제2-1가이드봉 간의 제1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제1간격 조절장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간격 조절장치부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지지봉; 상기 제1지지봉에 삽입되되, 상기 제1-1가이드봉과 상기 제2-1가이드봉 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는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1관형체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1관형체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1가이드봉과 상기 제2-1가이드봉 간의 제1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관통되는 제1관통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제1두께(t1)를 갖는 제1두께 영역; 및 상기 제1두께와 다른 두께를 갖으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제2두께(t2)를 갖는 제2두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관통홀에 상기 제1지지봉이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의 제1면으로부터 제2면까지의 두께(t)를 통해, 상기 제1-1가이드봉과 상기 제2-1가이드봉 간의 제1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간격 조절장치부는, 상기 제1지지봉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1-1고정 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1고정 장치부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지지판; 상기 제1-1지지판의 일정 영역에 결합되는 제1-1너트홀; 및 상기 제1-1너트홀에 체결삽입되어,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하고, 상기 제1지지봉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1볼트체를 포함하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2가이드봉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2가이드봉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1-2관형체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2가이드봉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2가이드봉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2-2관형체를 포함하고, 상기 패류 선별부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2가이드봉과 상기 제2-2가이드봉 간의 제2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제2간격 조절장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간격 조절장치부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되,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지지봉; 상기 제2지지봉에 삽입되되, 상기 제1-2가이드봉과 상기 제2-2가이드봉 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는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2관형체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2관형체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2가이드봉과 상기 제2-2가이드봉 간의 제2간격을 조절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관통되는 제2관통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제1두께(t1)를 갖는 제1두께 영역; 및 상기 제1두께와 다른 두께를 갖으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제2두께(t2)를 갖는 제2두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2관통홀에 상기 제2지지봉이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의 제1면으로부터 제2면까지의 두께(t)를 통해, 상기 제1-2가이드봉과 상기 제2-2가이드봉 간의 제2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간격 조절장치부는, 상기 제2지지봉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2-1고정 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1고정 장치부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1지지판; 상기 제2-1지지판의 일정 영역에 결합되는 제2-1너트홀; 및 상기 제2-1너트홀에 체결삽입되어,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하고, 상기 제2지지봉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2-1볼트체를 포함하는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채취된 다량의 패류 중 일정크기 이상의 패류만으로 선별하는 장치, 즉,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는, 패류 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류 선별부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간격(d1)을 통해, 일정 크기 미만의 홍합 및 폐각류 등의 비정상적인 홍합이 배출되어 수집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간격(d2)을 통해, 일정크기 이상의 정상적인 홍합이 배출되어, 상기 정상적인 홍합은 선별된 홍합으로 분류됨으로써, 상기 채취된 다량의 패류 중 일정크기 이상의 패류만으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간격 조절장치부를 통해, 상기 제1-1가이드봉과 상기 제2-1가이드봉간의 제1간격(d1)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간격(d1)을 통해 배출되는, 일정 크기 미만의 홍합 및 폐각류 등의 비정상적인 홍합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간격 조절장치부를 통해, 상기 제1-2가이드봉과 상기 제2-2가이드봉간의 제2간격(d2)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간격(d2)을 통해 배출되는, 일정크기 이상의 정상적인 홍합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 패류 배출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배치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에서의 상기 패류는 홍합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패류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류가 홍합인 경우, 탈곡드럼(10)으로부터 공급된 홍합이 상기 패류 선별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패류 선별장치(100)로부터 선별된 홍합이,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어, 다음 단계, 예를 들면, 홍합의 털을 제거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탈곡드럼 및 이송부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탈곡드럼, 상기 패류 선별장치 및 상기 이송부는 모두 선박에 배치될 수 있으며, 즉, 상기 탈곡드럼, 상기 패류 선별장치 및 상기 이송부가, 선박에 배치됨으로써, 탈곡드럼을 통한 작업, 패류 선별장치를 통한 작업 및 이송부를 통한 작업이 모두 선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한편,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탈곡드럼(10)으로부터 공급된 홍합이 상기 패류 선별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패류 선별장치(100)로부터 선별된 홍합이,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어, 다음 단계, 예를 들면, 홍합의 털을 제거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곡드럼(10)으로부터 상기 패류 선별장치(100)로 홍합이 공급되는 영역을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된 홍합은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선별되어,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홍합은, 일정크기 이상으로 선별된 정상적인 홍합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된 홍합은,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일정 크기 미만의 홍합 및 폐각류 등은 비정상적인 홍합으로 분류되어 수집되며,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홍합은, 일정크기 이상으로 선별된 정상적인 홍합으로 분류되어, 상기 패류 선별장치(100)로부터 선별된 홍합, 즉, 정상적인 홍합은,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어, 다음 단계, 예를 들면, 홍합의 털을 제거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는, 패류 선별장치의 길이방향(도 4의 X 방향);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패류 선별장치의 폭방향(도 4의 Y 방향); 및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길이방향과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패류 선별장치의 높이방향(도 4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패류 선별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100)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패류 선별부(200); 및 상기 패류 선별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물 공급부(3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패류 선별부를 통해, 패류를 선별할 수 있으며, 상기 패류 선별부를 통해 패류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 공급부(300)를 통해 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패류를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류 선별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부는,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도 4의 X 방향); 상기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패류 선별부의 폭방향(도 4의 Y 방향); 및 상기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패류 선별부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도 4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류 선별부(200)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 및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가 12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는 적어도 2개 이상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는 제1가이드부(210); 및 상기 제1가이드부(210)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패류 선별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2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부(210)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1-1직경을 갖는 제1-1가이드봉(211); 및 일측은 상기 제1-1가이드봉(211)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1-2직경을 갖는 제1-2가이드봉(2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220)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1직경을 갖는 제2-1가이드봉(221); 및 일측은 상기 제2-1가이드봉(221)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2-2직경을 갖는 제2-2가이드봉(222)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1직경은 상기 제1-2직경보다 크며, 또한, 상기 제2-1직경은 상기 제2-2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1직경과 상기 제2-1직경은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직경과 상기 제2-2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1직경은 상기 제1-2직경보다 크며, 또한, 상기 제2-1직경은 상기 제2-2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가이드봉(211)과 상기 제2-1가이드봉(221)간의 제1간격(d1)은, 상기 제1-2가이드봉(212)과 상기 제2-2가이드봉(222)간의 제2간격(d2) 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간격(d1)을 통해, 일정 크기 미만의 홍합 및 폐각류 등의 비정상적인 홍합이 배출되어 수집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간격(d2)을 통해, 일정크기 이상의 정상적인 홍합이 배출되어, 상기 정상적인 홍합은 선별된 홍합으로 분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가이드부(210)는, 상기 제1-1가이드봉(21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형 코일(213)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220)는, 상기 제2-1가이드봉(22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제2나선형 코일(223)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나선형 코일(213) 및 상기 제2나선형 코일(223)에 의하여, 상기 패류가 상기 제1-1가이드봉(211) 및 상기 제2-1가이드봉(22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2가이드봉(212) 영역과 상기 제2-2가이드봉(222)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채취된 패류 선별 방법은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다량의 패류를 선별하려면 많은 시간과 인력을 낭비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산지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특히, 상기와 같이 수작업에 의한 선별은 정확한 선별이 불가능하여 패류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속이 비어있는 패류가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채취된 다량의 패류 중 일정크기 이상의 패류만으로 선별하는 장치, 즉,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는, 패류 선별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패류 선별부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간격(d1)을 통해, 일정 크기 미만의 홍합 및 폐각류 등의 비정상적인 홍합이 배출되어 수집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간격(d2)을 통해, 일정크기 이상의 정상적인 홍합이 배출되어, 상기 정상적인 홍합은 선별된 홍합으로 분류됨으로써, 상기 채취된 다량의 패류 중 일정크기 이상의 패류만으로 선별할 수 있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는 패류 선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류 선별부(200)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는 제1가이드부(210); 및 상기 제1가이드부(210)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패류 선별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2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에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1-1직경을 갖는 제1-1가이드봉(211); 및 일측 단부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1직경을 갖는 제2-1가이드봉(221)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1가이드봉(21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1구동스프라켓(2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1가이드봉(22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1구동스프라켓(2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1구동스프라켓(214) 및 상기 제2-1구동스프라켓(224)은 각각 구동체인(240)과 체결되어, 상기 구동체인(2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1구동스프라켓(214) 및 상기 제2-1구동스프라켓(224)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1가이드봉(211) 및 상기 제2-1가이드봉(221)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류 선별부(200)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체인(240)은 상기 구동모터부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체인에 의해, 상기 제1-1구동스프라켓(214) 및 상기 제2-1구동스프라켓(224)이 회전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1구동스프라켓(214)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1가이드봉(211)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1-1관형체(215)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1구동스프라켓(224)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1가이드봉(221)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2-1관형체(22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1가이드봉(211)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1-1관형체(2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1가이드봉(211)은 상기 제1-1관형체(215)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1가이드봉(221)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2-1관형체(2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1가이드봉(221)은 상기 제2-1관형체(225)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은, 상기 제1-1가이드봉(211)과 상기 제2-1가이드봉(221)간의 제1간격(d1)을 조절하기 위한 제1간격 조절장치부(2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간격 조절장치부(230)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지지봉(231); 상기 제1지지봉(231)에 삽입되되, 상기 제1-1가이드봉(211)과 상기 제2-1가이드봉(221) 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는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는, 상기 제1-1관형체(215)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1관형체(225)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에 의해, 상기 제1-1가이드봉(211)과 상기 제2-1가이드봉(221)간의 제1간격(d1)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의 제1면은 상기 제1-1관형체(215)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의 제2면은 상기 제2-1관형체(225)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의 제1면으로부터 제2면까지의 두께(t)를 통해, 상기 제1-1가이드봉(211)과 상기 제2-1가이드봉(221) 간의 제1간격(d1)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관통되는 제1관통홀(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제1두께(t1)를 갖는 제1두께 영역; 및 상기 제1두께와 다른 두께를 갖으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제2두께(t2)를 갖는 제2두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는, 상기 제1관통홀에 상기 제1지지봉(231)이 삽입되어,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는 상기 제1지지봉(2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가 상기 제1지지봉(23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의 제1면으로부터 제2면까지의 두께(t)를 통해, 상기 제1-1가이드봉(211)과 상기 제2-1가이드봉(221) 간의 제1간격(d1)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는, 제1두께(t1)를 갖는 제1두께 영역; 및 제2두께(t2)를 갖는 제2두께 영역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제1두께 영역이 상기 제1-1관형체(215)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1관형체(225)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제1간격(d1)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제2두께 영역이 상기 제1-1관형체(215)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1관형체(225)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제1간격(d1)이 조절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간격 조절장치부(230)는, 상기 제1지지봉(231)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1-1고정 장치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1고정 장치부(233)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지지판(233a); 상기 제1-1지지판(233a)의 일정 영역에 결합되는 제1-1너트홀(233b); 및 상기 제1-1너트홀(233b)에 체결삽입되어,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하고, 상기 제1지지봉(231)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1볼트체(233c)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1볼트체(233c)는 상기 제1지지봉(231)의 일측을 가압함에 의하여, 상기 제1지지봉(231)의 일측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1볼트체(233c)는, 상기 제1-1너트홀(233b)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하여,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봉(231)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는, 제1두께(t1)를 갖는 제1두께 영역; 및 제2두께(t2)를 갖는 제2두께 영역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제1두께 영역이 상기 제1-1관형체(215)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1관형체(225)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제1간격(d1)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제2두께 영역이 상기 제1-1관형체(215)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1관형체(225)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제1간격(d1)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1관형체(215)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1관형체(225)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하는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의 영역이, 제1두께 영역 또는 제2두께영역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제1-1볼트체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두께 영역 또는 제2두께 영역이 상기 제1-1관형체(215)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1관형체(225)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조절한 후, 상기 제1-1볼트체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1볼트체(233c)는 상기 제1지지봉(231)의 일측을 가압함에 의하여, 상기 제1지지봉(231)의 일측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간격 조절장치부(230)는, 상기 제1지지봉(231)의 타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1-2고정 장치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1-2고정 장치부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지지판(미도시); 상기 제1-2지지판(미도시)의 일정 영역에 결합되는 제1-2너트홀(미도시) 및 상기 제1-2너트홀(미도시)에 체결삽입되어,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하고, 상기 제1지지봉(231)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1-2볼트체(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1-2고정 장치부는, 상기 제1-1고정 장치부와 동일한 작용을 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1볼트체 및 상기 제1-2볼트체에 의해 제1지지봉의 일측 및 타측이 고정된다함은, 상기 제1지지봉에 의해, 상기 제1-1가이드봉(211) 및 상기 제2-1가이드봉(221)의 위치가 고정됨을 의미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는, 상기 제1-1관형체(215)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1관형체(225)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232)에 의해, 상기 제1-1가이드봉(211)과 상기 제2-1가이드봉(221) 간의 제1간격(d1)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봉은, 상기 제1-1관형체(215)의 상면 외주면 및 상기 제2-1관형체(225)의 상면 외주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지지봉에 의해, 상기 제1-1관형체(215) 및 상기 제2-1관형체(225)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봉에 의해, 상기 제1-1가이드봉(211) 및 상기 제2-1가이드봉(22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는 패류 선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류 선별부(200)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는 제1가이드부(210); 및 상기 제1가이드부(210)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패류 선별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2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에는, 일측은 상기 제1-1가이드봉(211)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1-2직경을 갖는 제1-2가이드봉(212); 및 일측은 상기 제2-1가이드봉(221)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2-2직경을 갖는 제2-2가이드봉(222)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2가이드봉(212)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2가이드봉(212)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1-2관형체(216)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2가이드봉(222)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2가이드봉(222)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2-2관형체(226)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2가이드봉(212)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1-2관형체(2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2가이드봉(212)은 상기 제1-2관형체(216)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2가이드봉(222)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2-2관형체(2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2가이드봉(222)은 상기 제2-2관형체(226)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가이드봉(212)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1-2관형체(216)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제2-2가이드봉(222)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2-2관형체(226)에 삽입됨에 있어서, 이들 제1-2가이드봉(212) 및 제2-2가이드봉(22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 볼 베어링을 통해, 상기 제1-2가이드봉(212)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1-2관형체(216)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제2-2가이드봉(222)의 일부 영역이 상기 제2-2관형체(226)에 삽입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은, 상기 제1-2가이드봉(212)과 상기 제2-2가이드봉(222)간의 제2간격(d2)을 조절하기 위한 제2간격 조절장치부(25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간격 조절장치부(250)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되,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지지봉(251); 상기 제2지지봉(251)에 삽입되되, 상기 제1-2가이드봉(212)과 상기 제2-2가이드봉(222) 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는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는, 상기 제1-2관형체(216)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2관형체(226)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에 의해, 상기 제1-2가이드봉(212)과 상기 제2-2가이드봉(222) 간의 제2간격(d2)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의 제1면은 상기 제1-2관형체(216)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하고, 또한,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의 제2면은 상기 제2-2관형체(226)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의 제1면으로부터 제2면까지의 두께(t)를 통해, 상기 제1-2가이드봉(212)과 상기 제2-2가이드봉(222) 간의 제2간격(d2)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관통되는 제2관통홀(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제1두께(t1)를 갖는 제1두께 영역; 및 상기 제1두께와 다른 두께를 갖으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제2두께(t2)를 갖는 제2두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는, 상기 제2관통홀에 상기 제2지지봉(251)이 삽입되어,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는, 상기 제2지지봉(251)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가 상기 제2지지봉(25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의 제1면으로부터 제2면까지의 두께(t)를 통해, 상기 제1-2가이드봉(212)과 상기 제2-2가이드봉(222) 간의 제2간격(d2)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는, 제1두께(t1)를 갖는 제1두께 영역; 및 제2두께(t2)를 갖는 제2두께 영역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제1두께 영역이 상기 제1-2관형체(216)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2관형체(226)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제2간격(d2)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제2두께 영역이 상기 제1-2관형체(216)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2관형체(226)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제2간격(d2)이 조절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간격 조절장치부(250)는, 상기 제2지지봉(251)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2-1고정 장치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1고정 장치부(253)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1지지판(253a); 상기 제2-1지지판(253a)의 일정 영역에 결합되는 제2-1너트홀(253b); 및 상기 제2-1너트홀(253b)에 체결삽입되어,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하고, 상기 제2지지봉(251)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2-1볼트체(253c)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1볼트체(253c)는 상기 제2지지봉(251)의 일측을 가압함에 의하여, 상기 제2지지봉(251)의 일측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1볼트체(253c)는, 상기 제2-1너트홀(253b)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하여,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지지봉(251)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는, 제1두께(t1)를 갖는 제1두께 영역; 및 제2두께(t2)를 갖는 제2두께 영역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제1두께 영역이 상기 제1-2관형체(216)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2관형체(226)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제2간격(d2)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제2두께 영역이 상기 제1-2관형체(216)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2관형체(226)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제2간격(d2)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관형체(216)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2관형체(226)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하는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의 영역이, 제1두께 영역 또는 제2두께영역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제2-1볼트체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두께 영역 또는 제2두께 영역이 상기 제1-2관형체(216)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2관형체(226)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조절한 후, 상기 제2-1볼트체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1볼트체(253c)는 상기 제2지지봉(251)의 일측을 가압함에 의하여, 상기 제2지지봉(251)의 일측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2간격 조절장치부(250)는, 상기 제2지지봉(251)의 타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2-2고정 장치부(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2-2고정 장치부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2지지판(도면부호 미도시); 상기 제2-2지지판(도면부호 미도시)의 일정 영역에 결합되는 제2-2너트홀(도면부호 미도시) 및 상기 제2-2너트홀(도면부호 미도시)에 체결삽입되어,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하고, 상기 제2지지봉(251)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2-2볼트체(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2-2고정 장치부는, 상기 제2-1고정 장치부와 동일한 작용을 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2-1볼트체 및 상기 제2-2볼트체에 의해 제2지지봉의 일측 및 타측이 고정된다함은, 상기 제2지지봉에 의해, 상기 제1-2가이드봉(212) 및 상기 제2-2가이드봉(222)의 위치가 고정됨을 의미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는, 상기 제1-2관형체(216)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2관형체(226)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252)에 의해, 상기 제1-2가이드봉(212)과 상기 제2-2가이드봉(222) 간의 제2간격(d2)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지지봉은, 상기 제1-2관형체(216)의 상면 외주면 및 상기 제2-2관형체(226)의 상면 외주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2지지봉에 의해, 상기 제1-2관형체(216) 및 상기 제2-2관형체(226)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2지지봉에 의해, 상기 제1-2가이드봉(212) 및 상기 제2-2가이드봉(22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 패류 배출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홍합은, 일정크기 이상으로 선별된 정상적인 홍합으로 분류되어, 상기 패류 선별장치(100)로부터 선별된 홍합, 즉, 정상적인 홍합은,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어, 다음 단계, 예를 들면, 홍합의 털을 제거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류 선별장치(100)로부터 선별된 홍합, 즉, 정상적인 홍합은,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류선별부의 상기 제1-2가이드봉(212)과 상기 제2-2가이드봉(222)가 위치하는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선별 패류 배출구(260)에 의해 수집되고,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어, 다음 단계, 예를 들면, 홍합의 털을 제거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100)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패류 선별부(200); 및 상기 패류 선별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물 공급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물 공급부(300);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라인(310); 상기 물 공급라인(31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양 방향으로 분지되는 물 공급분지라인(320); 상기 물 공급분지라인(320)의 일측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물 제1분사라인(321); 및 상기 물 제1분사라인(321)과 일정 간격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물 공급분지라인(320)의 타측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물 제2분사라인(321)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류 선별부를 통해 패류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 공급부(300)를 통해 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패류를 세척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채취된 다량의 패류 중 일정크기 이상의 패류만으로 선별하는 장치, 즉, 패류 선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장치는, 패류 선별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패류 선별부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210, 220)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간격(d1)을 통해, 일정 크기 미만의 홍합 및 폐각류 등의 비정상적인 홍합이 배출되어 수집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간격(d2)을 통해, 일정크기 이상의 정상적인 홍합이 배출되어, 상기 정상적인 홍합은 선별된 홍합으로 분류됨으로써, 상기 채취된 다량의 패류 중 일정크기 이상의 패류만으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간격 조절장치부(230)를 통해, 상기 제1-1가이드봉(211)과 상기 제2-1가이드봉(221)간의 제1간격(d1)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간격(d1)을 통해 배출되는, 일정 크기 미만의 홍합 및 폐각류 등의 비정상적인 홍합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간격 조절장치부(250)를 통해, 상기 제1-2가이드봉(212)과 상기 제2-2가이드봉(222)간의 제2간격(d2)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간격(d2)을 통해 배출되는, 일정크기 이상의 정상적인 홍합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패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류 선별장치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패류 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류 선별부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패류 선별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1-1직경을 갖는 제1-1가이드봉; 및 일측은 상기 제1-1가이드봉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1-2직경을 갖는 제1-2가이드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1직경을 갖는 제2-1가이드봉; 및 일측은 상기 제2-1가이드봉의 타측 단부로부터 연속하여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패류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며, 제2-2직경을 갖는 제2-2가이드봉을 포함하는 패류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직경은 상기 제1-2직경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2-1직경은 상기 제2-2직경보다 크며,
    상기 제1-1가이드봉과 상기 제2-1가이드봉 간의 제1간격은, 상기 제1-2가이드봉과 상기 제2-2가이드봉 간의 제2간격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1가이드봉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형 코일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1가이드봉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제2나선형 코일을 포함하는 패류 선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1가이드봉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1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1가이드봉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2-1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1구동스프라켓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1가이드봉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1-1관형체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1구동스프라켓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1가이드봉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2-1관형체를 포함하는 패류 선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 선별부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1가이드봉과 상기 제2-1가이드봉 간의 제1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제1간격 조절장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간격 조절장치부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지지봉; 상기 제1지지봉에 삽입되되, 상기 제1-1가이드봉과 상기 제2-1가이드봉 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는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1관형체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1관형체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1가이드봉과 상기 제2-1가이드봉 간의 제1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관통되는 제1관통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제1두께(t1)를 갖는 제1두께 영역; 및 상기 제1두께와 다른 두께를 갖으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제2두께(t2)를 갖는 제2두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관통홀에 상기 제1지지봉이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간격조절 플레이트의 제1면으로부터 제2면까지의 두께(t)를 통해, 상기 제1-1가이드봉과 상기 제2-1가이드봉 간의 제1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 조절장치부는, 상기 제1지지봉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1-1고정 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1고정 장치부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지지판; 상기 제1-1지지판의 일정 영역에 결합되는 제1-1너트홀; 및 상기 제1-1너트홀에 체결삽입되어,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하고, 상기 제1지지봉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1볼트체를 포함하는 패류 선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1-2가이드봉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2가이드봉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1-2관형체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2가이드봉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2가이드봉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2-2관형체를 포함하고,
    상기 패류 선별부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2가이드봉과 상기 제2-2가이드봉 간의 제2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제2간격 조절장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간격 조절장치부는,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되, 상기 패류 선별장치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지지봉; 상기 제2지지봉에 삽입되되, 상기 제1-2가이드봉과 상기 제2-2가이드봉 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는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2관형체의 측면 외주면 및 상기 제2-2관형체의 측면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제1-2가이드봉과 상기 제2-2가이드봉 간의 제2간격을 조절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관통되는 제2관통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제1두께(t1)를 갖는 제1두께 영역; 및 상기 제1두께와 다른 두께를 갖으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제2두께(t2)를 갖는 제2두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제2관통홀에 상기 제2지지봉이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간격조절 플레이트의 제1면으로부터 제2면까지의 두께(t)를 통해, 상기 제1-2가이드봉과 상기 제2-2가이드봉 간의 제2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선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 조절장치부는, 상기 제2지지봉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2-1고정 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1고정 장치부는,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1지지판; 상기 제2-1지지판의 일정 영역에 결합되는 제2-1너트홀; 및 상기 제2-1너트홀에 체결삽입되어, 상기 패류 선별부의 높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하고, 상기 제2지지봉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2-1볼트체를 포함하는 패류 선별장치.
KR1020210059678A 2021-05-09 2021-05-09 패류 선별장치 KR102600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678A KR102600708B1 (ko) 2021-05-09 2021-05-09 패류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678A KR102600708B1 (ko) 2021-05-09 2021-05-09 패류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496A true KR20220152496A (ko) 2022-11-16
KR102600708B1 KR102600708B1 (ko) 2023-11-08

Family

ID=84235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678A KR102600708B1 (ko) 2021-05-09 2021-05-09 패류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7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04B1 (ko) * 2004-08-02 2005-01-13 김윤호 로라선별기
KR100777970B1 (ko) * 2007-02-05 2007-11-28 김윤호 어류 선별기
KR20130004418A (ko) * 2011-07-02 2013-01-10 김정명 간격조절이 가능한 멍게 선별기
KR101545165B1 (ko) 2015-05-11 2015-08-21 김병권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KR20170114328A (ko) * 2016-04-04 2017-10-16 김정명 멍게선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04B1 (ko) * 2004-08-02 2005-01-13 김윤호 로라선별기
KR100777970B1 (ko) * 2007-02-05 2007-11-28 김윤호 어류 선별기
KR20130004418A (ko) * 2011-07-02 2013-01-10 김정명 간격조절이 가능한 멍게 선별기
KR101545165B1 (ko) 2015-05-11 2015-08-21 김병권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KR20170114328A (ko) * 2016-04-04 2017-10-16 김정명 멍게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708B1 (ko)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3078A (en) Vibrating feeder bowl with annular rotating disk feeder
US20160297013A1 (en) Device for replacing machining inserts
AU1766092A (en) Cutting assembly
KR100823136B1 (ko) 환봉의 외경 연삭을 위한 무인가공장치
CN107520888B (zh) 一种智能筛选去核切桃机器人
US20130146512A1 (en) Orienting device/apparatus and orienting method
CN108372544B (zh) 土豆螺旋切片设备
KR20220152496A (ko) 패류 선별장치
NO318073B1 (no) Apparat for rekeskrelling
CN207917976U (zh) 一种角钢送料机
EP2072406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bringen von Etiketten
JP6253910B2 (ja) 果菜自動選別装置
US3629904A (en) Shrimp-deheading machine
KR100639257B1 (ko) 생새우의 선별장치
CN217851269U (zh) 一种自动穿切拉设备
NO318075B1 (no) Forbedret drivsystem for apparat for rekeskrelling
KR102480371B1 (ko) 수산물선별기
KR20060091089A (ko) 새우선별기
DE2259720A1 (de) Vorrichtung zum abstandsgleichen zufuehren von gefaessen
DE29913017U1 (de) Felgenbearbeitungsvorrichtung
KR102028153B1 (ko)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US20040251268A1 (en) Dispenser assembly for elongated objects
CN100339026C (zh) 一种桃子自动校准和去核机构
JP6420886B2 (ja) 果菜自動選別装置用の果菜キャリア
KR100719616B1 (ko) 슬라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