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153B1 -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153B1
KR102028153B1 KR1020180019546A KR20180019546A KR102028153B1 KR 102028153 B1 KR102028153 B1 KR 102028153B1 KR 1020180019546 A KR1020180019546 A KR 1020180019546A KR 20180019546 A KR20180019546 A KR 20180019546A KR 102028153 B1 KR102028153 B1 KR 102028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speed
sheath
pulley
low speed
s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734A (ko
Inventor
정석봉
정재희
정지윤
Original Assignee
(주)참코청하
정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코청하, 정석봉 filed Critical (주)참코청하
Priority to KR1020180019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1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03Processing cephalopod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징어 몸체에 가로, 세로 방향(격자형) 또는 가로, 사선 방향(마름모꼴) 등으로 칼집을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칼집이 형성된 오징어가 커터를 통과하여 배출시 역방향으로 감기는 폐단을 일소할 수 있도록 한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오징어 몸체(2)를 1차 컨베이어(8)로 이송하며 1차 절단부(4)에서 1차로 칼집(2a)을 형성하고, 2차 컨베이어(23)로 이송하여 2차 절단부(7)에서 2차 칼집(2a)을 형성하기 위한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절단부(4)와 배출부(6)를 통과한 몸체(2)를 90°, 45°로 선택회전시키기 위한 터닝부(5)는 구동축(11)에 각각 축고정되는 저속구동풀리(12)와 90°-고속구동풀리(13) 및 45°-고속구동풀리(14)와; 상기 구동축(11)에 스프링(15a)에 의해 탄력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15)과; 상기 브라켓(15) 하부에 축설치된 종동축(16)에 축결합되는 저속종동풀리(17)와 고속종동풀리(18)와; 상기 저속구동풀리(12)와 저속종동풀리(17)를 연결하는 저속벨트(21)와; 상기 90°-고속구동풀리(13) 및 45°-고속구동풀리(14)와 고속종동풀리(18)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고속벨트(22)와; 상기 저속종동풀리(17)에 일체 형성되는 저속클램핑로울러(19) 및 고속종동풀리(18)에 일체 형성되는 고속클램핑로울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cuttlefish body sheath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오징어 몸체에 가로, 세로 방향(격자형) 또는 가로, 사선 방향(마름모꼴) 등으로 칼집(cut)을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를 분리가능토록 하여 세척 및 관리, 유지보수상의 편익 제공, 칼집이 형성된 오징어가 커터를 통과하여 배출시 역방향으로 감기는 폐단을 일소할 수 있도록 한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는 생물 상태 또는 냉동/냉장, 건조 상태 등 용도에 맞게 적절히 가공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일예로 지느러미, 귀 등이 절단된 몸체에 칼날을 사용하여 칼집을 형성하는 과정도 오징어 가공 중 중요한 공정 중 하나이다.
이렇게 칼집을 형성하는 것은 조리 시 칼집 안으로 양념이 잘 스며들거나 베이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열을 가할 때 칼집이 없는 부분으로 휘거나 말리도록 함으로써 재료의 미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이러한 후가공을 많이 하게 된다.
기존에 오징어 또한 각종 육류 등에 일정 깊이의 칼집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칼집 형성장치가 알려진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282095호의 '갈빗살 칼집형성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04958호의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15226호의 '육고기 양면칼집 성형기용 육고기 이송자세 변환장치', 대한민국 특허 제10-0879365호의 '고기의 칼집형성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5661호의 '양면칼집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0614호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된 특허들은 오징어 몸체에 칼집을 형성하기 위해 장치 구성이 복잡하고, 칼집의 형태가 격자상으로만 칼집을 형성할 수 있을 뿐 다른 모양으로 칼집을 선택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 및 칼집이 형성된 오징어 몸체가 배출부에서 바닥면과 밀착되어 역방향으로 감기는 폐단을 일소할 수 없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던 것이다.
KR 등록특허 제10-1600614호 KR 등록특허 제10-0282095호 KR 공개특허 제10-2007-0115226호
이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는 평평하게 펼쳐진 오징어의 몸체에 칼집을 바둑판과 같은 격자상으로 또는 마름모꼴로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코자 함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컨베이어가 기체로부터 간단히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세척, 관리,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치를 제공하며, 더불어 칼집이 형성된 오징어 몸체가 배출 시 역방향으로 감기지 않도록 브러시로울러 및 가이드슈트, 또는 가이드슈트 및 물분사수단을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오징어 몸체를 1차 컨베이어로 이송하며 1차 절단부에서 1차로 칼집을 형성하고, 2차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2차 절단부에서 2차 칼집을 형성하기 위한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컨베이어와 2차 컨베이어 사이에 형성되어 1차 칼집이 형성된 오징어 몸체를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와; 상기 1차 절단부와 배출부를 통과한 몸체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터닝부는 구동축에 각각 축고정되는 저속구동풀리 및 고속구동풀리와; 상기 구동축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하부에 축설치된 종동축에 축결합되는 저속종동풀리와 고속종동풀리와; 상기 저속구동풀리와 저속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저속벨트와; 상기 고속구동풀리와 고속종동풀리를 연결하는 고속벨트와; 상기 저속종동풀리에 일체 형성되는 저속클램핑로울러 및 고속종동풀리에 일체 형성되는 고속클램핑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닝부는 저속 회전하는 저속클램핑로울러 및 1,2단 선택하여 고속 회전하는 고속클램핑로울러를 사용하여 오징어 몸체를 탄성을 갖고 클램핑 상태로 이송하면서 몸체가 90°, 또는 45°로 선택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는 브러시로울러와; 상기 브러시로울러의 하부에 밀착되어 오징어 몸체가 역방향으로 감기지 않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는 가이드슈트와; 상기 가이드슈트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 다수개 형성되는 분사공을 통해 물을 분사토록 하여 오징어 몸체가 역방향으로 감기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컨베이어는 1차 절단부를 구성하는 기체에 간단한 볼팅작업으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토록 하여 세척과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를 제공함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는 1차 절단부(4)에서 투입방향으로 일정 간격 칼집(2a)이 형성된 몸체(2)를 터닝부(5)에서 90°-고속구동풀리(13) 또는 45°-고속구동풀리(14) 및 고속종동풀리(18)를 고속벨트(22)로 선택 연결하고, 저속구동풀리(12)와 저속종동풀리(17)는 저속벨트(21)로 연결하여 고속클램핑로울러(20) 및 저속클램핑로울러(19)가 몸체(2)를 탄성 가압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원하는 각도(90°, 45°)로 터닝시킨 후 2차 절단부(7)로 투입하여 투입방향으로 일정 간격 칼집이 형성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몸체(2)에 격자형 또는 마름모꼴 형태의 칼집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니즈(needs)에 맞추어 가공할 수 있다.
1차 컨베이어(8)는 기체(1)로부터 손쉽게 분리가능토록 하여 세척 및 관리, 유지보수상의 편익 제공을 제공할 수 있고, 칼집이 형성된 오징어 몸체(2)가 커터를 통과하여 배출시 분사공(24)을 통해 분무되는 수류 또는 브러시로울러(9)에 의한 회전에 의해 가이드슈트(10)에 안내, 배출토록 하여 몸체(2)가 역방향으로 감기는 폐단을 일소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전체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2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터닝부를 지나기 전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터닝부를 지나간 후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1차 절단부 및 배출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보인 1차 절단부 및 배출부의 정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터닝부의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터닝부 구성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배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오징어 몸체에 격자형 칼집 형태가 만들어지는 순서도
도 10는 오징어 몸체에 마름모꼴 칼집 형태가 만들어지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는 오징어 몸체가 투입부를 통해 1차 칼집이 형성되는 1차 절단부의 배출부에 연속하여 터닝부를 설치하되, 상기 터닝부는 저속 회전하는 저속클램핑로울러 및 1,2단 선택하여 고속 회전하는 고속클램핑로울러를 사용하여 오징어 몸체를 탄성을 갖고 클램핑 상태로 이송하면서 몸체가 90°, 또는 45°로 선택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절단부 및 터닝부를 통과하여 90° 또는 45°로 회전된 오징어 몸체는 2차 절단부에서 투입방향으로 칼집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오징어 몸체에 격자형, 또는 마름모꼴로 칼집이 형성된 몸체가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절단부로 오징어 몸체를 투입하는 1차 컨베이어는 간단하게 분해, 조립이 가능토록 하여 세척과 관리상의 제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1차 절단부를 통해 배출부로 배출되는 오징어 몸체가 역방향으로 감기지 않도록 브러시로울러 및 가이드슈트를 설치하거나, 물이 배출부에 분사되면서 가이드슈트를 따라 몸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징어 몸체가 1차 칼집이 형성된 후 배출시 역방향으로 감기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2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가공대상물인 오징어 몸체가 터닝부를 지나기 전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오징어 몸체가 터닝부를 지난 직후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는 기체(1)의 상부 일측으로 절개되어 평평해진 오징어 몸체(2)에 칼집을 내기 위해 투입하는 투입부(3)와, 상기 투입부(3)를 통해 투입되는 몸체(2)를 1차 투입방향(=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도록 칼집을 형성하는 1차 절단부(4)와, 상기 1차 절단부(4)를 통해 1차로 칼집이 형성된 몸체(2)를 90° 또는 45°로 선택 회전시키기 위한 터닝부(5) 및 상기 1차 절단부(4)에서 터닝부(5)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몸체(2)가 역방향으로 감기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출부(6), 상기 터닝부(5)를 통과하여 2차로 몸체(2)에 칼집을 형성하기 위한 2차 절단부(7)로 크게 대분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투입부(3) 위에 몸체를 올려두면, 1차 절단부(4)에서 일방향으로 촘촘한 칼집이 형성되고 직후에 구비된 터닝부(5)에 의해 도 3과 같이 오징어 몸체(2)가 회전되며, 2차 절단부(7)를 거쳐 최종 격자형태 또는 마름모꼴의 칼집이 몸체에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1차 절단부 및 배출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보인 1차 절단부 및 배출부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을 통해 통해 본 발명의 세부 구성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1차 절단부(4)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기체(1)의 일측으로 수평설치된 1차 컨베이어(8)에 안치, 이송 및 1차 절단부(4)로 투입되는 몸체(2)를 투입방향으로 칼집을 형성하는 부위로서, 상기 1차 절단부(4)는 원형 커터(42)가 다수개 일정 간격으로 축고정된 1차 커팅로울러(41)와 1차 컨베이어(8) 사이로 몸체(2)가 경유토록 하여 몸체(2) 투입방향으로 칼집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1차 커팅로울러(41)에 의해 칼집이 형성된 몸체(2)를 커터(42) 날로부터 분리시켜 1차 컨베이어(8)에 의해 전방으로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1차 커팅로울러(41)의 후방에서부터 1차 컨베이어(8)의 전방 축상부까지는 오징어 몸체(2)의 두께만큼 1차 컨베이어(8) 위에 이격 형성되는 유도판(43)을 결합 구성한다.
따라서 1차 절단부(4)를 통해 투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칼집이 형성된 몸체(2)는 배출부(6)를 경유하여 터닝부(5)로 원활히 이송된다.
상기 배출부(6)는 상기 1차 컨베이어(8)와 2차 컨베이어(23) 사이에 형성되어 1차 칼집이 형성된 오징어 몸체(2)를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칼집이 1차 형성된 몸체(2)가 1차 컨베이어(8)에 밀착된 체 그 회전방향을 따라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감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1차 컨베이어(8)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시로울러(9)가 1차 컨베이어(8)의 전측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브러시로울러(9)의 전방에는 가이드슈트(10)가 브러시로울러(9)에 밀착된 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몸체를 90°, 45°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터닝부(5)의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7a는 몸체를 90°회전시키는 터닝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며, 도 7b는 몸체를 45°회전시키는 터닝부의 구성도이다.
상기 배출부(6)의 가이드슈트(10)를 따라 이송된 몸체(2)를 90°45°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터닝부(5)는 구동축(11)상에 저속구동풀리(12)와 90°고속구동풀리(13)를 각각 축고정하되, 이들 구동풀리의 둘레에 결합되는 벨트에 속도차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구동풀리(12)의 직경이 고속구동풀리(13,14) 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90°-고속구동풀리(13)의 동축상으로 인접하게 90°-고속구동풀리(13)의 직경보다 작은 45°-고속구동풀리(14)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1)에는 스프링(15a)에 의해 탄력을 갖고 각운동 가능한 브라켓(15)을 축끼움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15)의 하부에 종동축(16)을 축설치한다.
상기 종동축(16)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직경의 저속종동풀리(17)와 고속종동풀리(18)가 각각 축 결합되는데, 상기 저속종동풀리(17) 및 고속종동풀리(18)에는 오징어의 몸체(2)를 적정한 압력으로 클램핑하여 터닝시킬 수 있도록 톱니형 또는 엠보싱면 등을 외주면에 형성한 저속클램핑로울러(19) 및 고속클램핑로울러(20)를 각각 일체로 형성토록 한다.
상기 저속클램핑로울러(19) 및 고속클램핑로울러(20)가 몸체(2)를 클램핑 하는 압력은 전기한 브라켓(15)을 탄력지지하고 있는 스프링(15a)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저속구동풀리(12)와 저속종동풀리(17)에는 무한궤도형의 저속벨트(21)를 권설하고, 90°-고속구동풀리(13) 및 45°-고속구동풀리(14)와 고속종동풀리(18)에는 무한궤도형의 고속벨트(22)를 각각 권설하되 몸체(2)를 90° 터닝코자 할 시에는 도 7a와 같이 90°-고속구동풀리(13)와 권설토록 하고, 몸체(2)를 45° 터닝코자 할 시에는 도 7b와 같이 45°-고속구동풀리(14)와 고속벨트(22)를 권설토록 한다.
이 때 45°-고속구동풀리(14)의 직경은 90°-고속구동풀리(13)보다는 작고 저속구동풀리(12)보다는 커야 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90°-고속구동풀리(13)와 저속구동풀리(12)의 원주값의 평균이 45°-고속구동풀리(14)의 원주값이 같아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터닝부(5)를 경유하며 90° 또는 45°로 선택 회전된 몸체(2)는 2차 절단부(7)를 경유하며 칼집이 형성되는데, 상기 2차 절단부(7) 역시 원형 커터가 다수개 일정 간격으로 축고정된 2차 커팅로울러와 2차 컨베이어(23) 사이로 몸체(2)가 통과하면서 1차 절단부(4)에서 칼집이 형성된 몸체(2)에 90° 회전된 상태에서는 격자형으로, 45° 회전된 상태에서는 마름모꼴로 칼집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1차 절단부(4) 및 2차 절단부(7)에서 몸체(2)에 칼집을 형성하는 커팅로울러 등과 같은 수단 및 작동 등은 이미 선행기술에 의해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용 등의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배출부(6)의 일부 다른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써, 이는 1차 절단부(4)를 통과하여 칼집이 형성된 몸체(2)가 역방향으로 감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1차 컨베이어(8)의 전측 하부에 위치하는 배출부(6)에서는 물을 분사함으로써 수류에 의해 오징어 몸체(2)가 1차 컨베이어(8)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이드슈트(10) 내측 상부로 다수개의 분사공(24)을 가진 분사관(25)을 설치하고 상기 분사관(25)으로 물을 공급하면 분사공(24)을 통해 물이 분무되어 1차 칼집이 형성된 몸체(2)를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투입부(3)의 1차 컨베이어(8), 1차 절단부(4), 터닝부(5), 배출부(6), 2차 절단부(7), 2차 컨베이어(23)의 구동은 복수개의 모터 등을 사용하여 체인스프라켓 및 체인 등을 이용한 구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모터와 구동수단의 구성은 기계 제작에 있어 일반적인 것이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면중의 부호 2a는 오징어 몸체(2)에 형성된 칼집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는 오징어 몸체(2)에 전체적으로 칼집(2a)을 격자형 또는 마름모꼴 등으로 형성할 수 있고, 배출부(6)에서 몸체(2)가 1차 컨베이어(8)가 구동하는 방향으로 감기는 폐단을 일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의 작용 등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오징어 몸체(2)를 투입부(3)의 1차 컨베이어(8)에 투입하면 1차 절단부(4)의 원형커터에 의해 투입방향(=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칼집(2a)이 형성되어 배출부(6)로 몸체(2)가 배출된다.
배출부(6)를 통해 배출되는 몸체(2)는 1차 컨베이어(8)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시로울러(9)에 의해 상기 브러시로울러(9)에 밀착되도록 설치된 가이드슈트(10)의 위로 안내되면서 터닝부(5)로 이동하게 되므로, 브러시로울러(9)와 가이드슈트(10)는 몸체(2)가 1차 컨베이어(8) 구동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게 된다.
물론, 도 8과 같이 배출부(6)에 다수개의 분사공(24)을 가진 분사관(25)을 설치한 배출부(6)의 구성에서는 분사공(24)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몸체(2)는 가이드슈트(10) 상면부를 따라 터닝부(5)로 원활하게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오징어 몸체에 격자형 칼집 형태가 만들어지는 순서도이고, 도 10는 오징어 몸체에 마름모꼴 칼집 형태가 만들어지는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1차 진행방향으로 칼집(2a)이 형성된 몸체(2)는 터닝부(5)로 이송되어 90° 또는 45°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는데, 우선 90°로 몸체(2)를 방향 전환코자 할 시에는 터닝부(5)의 구동축(11)에 축고정된 90°-고속구동풀리(13)와 종동축(16)의 고속종동풀리(18)에 고속벨트(22)를 권설한 상태에서 구동축(11)을 구동한다.
즉, 구동축(11)에 축고정된 저속구동풀리(12)와 저속벨트(21)로 연결된 저속종동풀리(17)는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같은 구동축(11)에 축고정된 90°-고속구동풀리(13)와 고속벨트(22)로 연결된 고속종동풀리(18)는 고속으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상기 저속종동풀리(17)와 일체로 구동하는 저속클램핑로울러(19)와 고속종동풀리(18)와 일체로 구동하는 고속클램핑로울러(20)에 동시에 클램핑 상태로 이송되는 몸체(2)는 고속클램핑로울러(20)에 의해 약 90° 회전하면서 방향이 전환되고, 연속적으로 2차 컨베이어(23)에 의해 2차 절단부(7)로 투입되어 원형커터에 의해 최초 몸체(2) 투입방향과는 약 90° 터닝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칼집(2a)이 형성되어 몸체(2)에 전체적으로 격자형 칼집(2a)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1차 진행방향으로 칼집(2a)이 형성된 몸체(2)는 터닝부(5)로 이송되어 45°로 몸체(2)를 방향 전환코자 할 시에는 도 7b와 같이 터닝부(5)의 구동축(11)에 축고정된 45°-고속구동풀리(14)와 종동축(16)의 고속종동풀리(18)에 고속벨트(22)를 권설한 상태에서 구동축(11)을 구동한다.
즉, 구동축(11)에 축고정된 저속구동풀리(12)와 저속벨트(21)로 연결된 저속종동풀리(17)는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같은 구동축(11)에 축고정된 45°-고속구동풀리(14)와 고속벨트(22)로 연결된 고속종동풀리(18)는 고속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데, 구동축(11)에 90°-고속구동풀리(13) 보다는 45°-고속구동풀리(14)의 직경이 작으므로 45°-고속구동풀리(14)와 고속벨트(2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저속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속종동풀리(17)와 일체로 구동하는 저속클램핑로울러(19)와 고속종동풀리(18)와 일체로 구동하는 고속클램핑로울러(20)에 동시에 클램핑된 상태로 이송되는 몸체(2)는 고속클램핑로울러(20)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45°만 회전하면서 방향이 전환되고, 연속적으로 2차 컨베이어(23)에 의해 2차 절단부(7)로 투입되어 원형커터에 의해 최초 몸체(2) 투입방향과는 약 45° 터닝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칼집(2a)이 형성되어 몸체(2)에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칼집(2a)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는 1차 절단부(4)에서 투입방향으로 일정 간격 칼집(2a)이 형성된 몸체(2)를 터닝부(5)에서 90°-고속구동풀리(13) 또는 45°-고속구동풀리(14) 및 고속종동풀리(18)를 고속벨트(22)로 선택 연결하고, 저속구동풀리(12)와 저속종동풀리(17)는 저속벨트(21)로 연결하여 고속클램핑로울러(20) 및 저속클램핑로울러(19)가 몸체(2)를 탄성 가압한 상태에서 이송하면서 원하는 각도(90°, 45°)로 터닝시킨 후 2차 절단부(7)로 투입하여 투입방향으로 일정 간격 칼집(2a)이 형성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몸체(2)에 격자형 또는 마름모꼴로 칼집(2a)을 형성할 수 있으며, 1차 컨베이어(8)는 기체(1)로부터 손쉽게 분리가능토록 하여 세척 및 관리, 유지보수상의 편익 제공을 제공할 수 있고, 칼집(2a)이 형성된 오징어 몸체(2)가 커터를 통과하여 배출시 브러시로울러(9) 또는 물을 분사공(24)을 통해 분사하면서 가이드슈트(10)에 안내, 배출토록 하여 몸체(2)가 역방향으로 감기는 폐단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기체 2: (오징어)몸체 3: 투입부
4: 1차 절단부 41: 1차 커팅로울러 42: 커터 43: 유도판
5: 터닝부 6: 배출부 7: 2차 절단부 8: 1차 컨베이어
9: 브러시로울러 10: 가이드슈트 11: 구동축 12: 저속구동풀리
13: 90°-고속구동풀리 14: 45°-고속구동풀리
15: 브라켓 15a: 스프링 16: 종동축 17: 저속종동풀리
18: 고속종동풀리 19: 저속클램핑로울러 20: 고속클램핑로울러
21: 저속벨트 22: 고속벨트 23: 2차 컨베이어 24: 분사공 25: 분사관

Claims (4)

  1. 오징어 몸체(2)를 1차 컨베이어(8)로 이송하며 1차 절단부(4)에서 1차로 칼집(2a)을 형성하고, 2차 컨베이어(23)로 이송하여 2차 절단부(7)에서 2차 칼집(2a)을 형성하기 위한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컨베이어(8)와 2차 컨베이어(23) 사이에 형성되어 1차 칼집이 형성된 오징어 몸체(2)를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6)와;
    상기 1차 절단부(4)와 배출부(6)를 통과한 몸체(2)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터닝부(5)는 구동축(11)에 각각 축고정되는 저속구동풀리(12) 및 이 저속구동풀리(12)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속구동풀리(13)와;
    상기 구동축(11)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15)과;
    상기 브라켓(15) 하부에 축설치된 종동축(16)에 축결합되는 저속종동풀리(17)와 고속종동풀리(18)와;
    상기 저속구동풀리(12)와 저속종동풀리(17)를 연결하는 저속벨트(21)와;
    상기 고속구동풀리(13)와 고속종동풀리(18)를 연결하는 고속벨트(22)와;
    상기 저속종동풀리(17)에 일체 형성되는 저속클램핑로울러(19) 및 고속종동풀리(18)에 일체 형성되는 고속클램핑로울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2. 오징어 몸체(2)를 1차 컨베이어(8)로 이송하며 1차 절단부(4)에서 1차로 칼집(2a)을 형성하고, 2차 컨베이어(23)로 이송하여 2차 절단부(7)에서 2차 칼집(2a)을 형성하기 위한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컨베이어(8)와 2차 컨베이어(23) 사이에 형성되어 1차 칼집이 형성된 오징어 몸체(2)를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6)와;
    상기 1차 절단부(4)와 배출부(6)를 통과한 몸체(2)를 90°45°로 선택회전시키기 위한 터닝부(5)는 구동축(11)에 각각 축고정되는 저속구동풀리(12)와 이 저속구동풀리(12)보다 큰 직경을 갖는 90°고속구동풀리(13) 및 45°고속구동풀리(14)와;
    상기 구동축(11)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15)과;
    상기 브라켓(15) 하부에 축설치된 종동축(16)에 축결합되는 저속종동풀리(17)와 고속종동풀리(18)와;
    상기 저속구동풀리(12)와 저속종동풀리(17)를 연결하는 저속벨트(21)와;
    상기 90°고속구동풀리(13) 및 45°고속구동풀리(14)와 고속종동풀리(18)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고속벨트(22)와;
    상기 저속종동풀리(17)에 일체 형성되는 저속클램핑로울러(19) 및 고속종동풀리(18)에 일체 형성되는 고속클램핑로울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6)는 1차 컨베이어(8)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시로울러(9)가 1차 컨베이어(8)의 전측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브러시로울러(9)의 전방에는 가이드슈트(10)가 브러시로울러(9)에 밀착된 체 형성되어 오징어 몸체(2)가 역방향으로 감기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6)는 1차 컨베이어(8)의 전측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슈트(10)와;
    상기 가이드슈트(10)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관(25)과;
    상기 분사관(25)에 다수개 형성되는 분사공(24)을 통해 물을 분사토록 하여 오징어 몸체(2)가 역방향으로 감기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KR1020180019546A 2018-02-19 2018-02-19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KR102028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546A KR102028153B1 (ko) 2018-02-19 2018-02-19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546A KR102028153B1 (ko) 2018-02-19 2018-02-19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734A KR20190099734A (ko) 2019-08-28
KR102028153B1 true KR102028153B1 (ko) 2019-10-04

Family

ID=6777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546A KR102028153B1 (ko) 2018-02-19 2018-02-19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1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661Y1 (ko) 2004-11-22 2005-03-11 지대호 양면 칼집기
KR100781078B1 (ko) 2007-07-18 2007-11-30 황의서 육류 칼집 자동 세절기
KR101600614B1 (ko) 2014-03-21 2016-03-07 김흥대 칼집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095B1 (ko) 1998-12-09 2001-02-15 한남천 갈비살 칼집형성 장치
KR20030004958A (ko) * 2001-07-06 2003-01-15 임건식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KR20070115226A (ko) 2006-06-01 2007-12-05 애니텍 주식회사 육고기 양면칼집 성형기용 육고기 이송자세 변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661Y1 (ko) 2004-11-22 2005-03-11 지대호 양면 칼집기
KR100781078B1 (ko) 2007-07-18 2007-11-30 황의서 육류 칼집 자동 세절기
KR101600614B1 (ko) 2014-03-21 2016-03-07 김흥대 칼집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734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8913B1 (en) A system for cutting vegetable products with a plurality of machines
EP3347177B1 (en) Flow-propelled rotary knife, system and method for cutting spiral pieces of vegetable products
AU2012204524B2 (en) Lattice cutting machine
WO2014169539A1 (zh) 一种竹笋剥皮机
JP2011055746A (ja) 根菜類などの皮むき装置
KR20180120871A (ko)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1437116B1 (ko) 양파 박피기
US4534085A (en) Fish filleting system
US6324969B1 (en) Peeler for fruits and vegetables
KR102028153B1 (ko)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KR20100066257A (ko) 떡 절단장치
KR100229733B1 (ko) 밤 외피 박피기
KR102344376B1 (ko) 생선비늘 제거장치
KR100708464B1 (ko) 옥수수 껍질 제거 장치
KR102354676B1 (ko) 무 탈피장치
KR200354640Y1 (ko) 생선뼈와 생선살 분리장치
KR20100006156U (ko) 떡 절단장치
JPH028717Y2 (ko)
KR100719616B1 (ko) 슬라이서
KR200250247Y1 (ko) 오징어 세절기
CN104057487A (zh) 烤肠刻花机
JP2000152746A (ja) 魚加工方法、魚加工装置、及び、魚加工方法に用いる魚載置トレイ
JPH11290051A (ja) 除根機
JP2001328096A (ja) 野菜の自動切断器
KR20200001483A (ko) 양파 껍질 탈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