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958A -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 Google Patents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958A
KR20030004958A KR1020010041759A KR20010041759A KR20030004958A KR 20030004958 A KR20030004958 A KR 20030004958A KR 1020010041759 A KR1020010041759 A KR 1020010041759A KR 20010041759 A KR20010041759 A KR 20010041759A KR 20030004958 A KR20030004958 A KR 20030004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sheath
roller
conveyor belt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건식
Original Assignee
임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건식 filed Critical 임건식
Priority to KR1020010041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4958A/ko
Publication of KR20030004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9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13Boards or blocks for cutting or chop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7/00Apparatus for pounding, forming, or pressing meat, sausage-meat, or meat products
    • A22C7/0092Apparatus for pounding, forming, or pressing meat, sausage-meat, or meat products with worms or other rotary mount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으로 프레임이 설치되고, 프레임 사이에는 칼집이 성형된 육류를 출구측으로 이송케하는 콘베이어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도록 육류에 칼집을 성형하는 1차칼집성형장치가 설치되는 바, 상기 칼집성형장치는 모터, 로울러, 성형날회전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울러는 일측에 종동기어를 형성하여 그 측면에 위치되는 모터의 원동기어에 맞물리게 되어 모터의 회전력이 로울러에 전달되고, 상기 성형날회전축은 성형날이 로울러에 탄접되게 설치되어 있어 로울러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성형날회전축의 일측에 구동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날회전축에 로울러와의 탄접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가진 조절장치를 구비하게 되고, 상기 로울러와 성형날 사이에 투입되는 육류에 칼집을 성형하게 되는 육류 칼집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일측에는 육류의 전면에 칼집을 내는 1차칼집성형장치를, 타측에는 육류의 이면에 칼집을 내는 2차칼집성형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2차칼집성형장치는 콘베이어벨트로울러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성형날회전축, 하부에는 모터를 수직선상으로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1,2차칼집성형장치내에 위치되며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바닥면에 닿도록 본체에 방향반전간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를 제공하여 1차 칼집이 가공된 육류가 콘베이어벨트를 타고 이송하는 과정에 이를 반전시키고, 반전된 상태로 이송하는 육류의 이면에 콘베이어벨트의 출구측에 설치된 칼집성형장치에 의해 다시 칼집을 성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육류의 양면에 칼집성형으로 인하여 양념이 잘 스며들게 하여 고기맛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육류의 전,후면에 칼집성형이 자동으로 진행되어 빠른 시간내 칼집성형을 할 수 있어 작업에 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An automatic knife mark making device on meat}
본 발명은 돼지고기, 소고기 등의 육류에 칼집을 성형하는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차 칼집이 가공된 육류가 콘베이어벨트를 타고 이송하는 과정에 이를 반전시키고, 반전된 상태로 이송하는 육류의 이면에 콘베이어벨트의 출구측에 설치된 칼집성형장치에 의해 다시 칼집을 성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육류의 양면에 칼집성형으로 인하여 양념이 잘 스며들게 하여 고기맛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육류의 전,후면에 칼집성형이 자동으로 진행되어 빠른 시간내 칼집성형을 할 수 있어 작업에 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나 돼지고기 등과 같은 갈비살의 경우 소정의 두께(3∼10 mm)로 세절한 뒤 양념장에 절여 육류에 양념장이 스며들도록 하는데, 세절된 육류의 표면 또는 이면에 칼집을 성형하여 양념이 잘 스며들도록 하여 고기의 맛을 향상시키고 있다.
육류의 표면 또는 이면에 칼집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반 가정에서많이 사용하고 있는 식칼로 육류의 표면에 일일이 칼집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사람이 육류의 표면에 수십개의 칼집을 일일이 만들어 주어야 하므로 육체적인 노동에 따른 고통이 가중되고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이른바 원시적인 방법으로 칼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육류에 식칼로 일일이 칼집을 형성하는 방법은 소량으로 사용되는 일반 가정에서는 통용될 수 있으나 대량으로 취급하는 식당 같은 곳에서는 단시간내에 많은 양의 칼집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위의 방법으로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자동으로 육류에 칼집의 형성을 하는 기계를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개발된 기계는 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제1999-17101호 및 제1999-27392호의 갈비살 칼집 자동세절기가 고안된 바 있으나, 이의 구조로는, 양측에 프레임이 설치된 사이에 콘베이어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일측에 위치되며 모터와 상기 모터에 형성된 기어에 맞물리는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에 탄접되도록 커터날을 구성하고 있으며, 모터의 작동으로 로울러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로울러에 탄접된 커터날과 함께 내접으로 회전하게 된다.
육류세절기에 의해 소정의 폭으로 세절된 육류를 상기 로울러와 커터날 사이로 투입하게 되면, 육류는 커터날에 의해 세절(절단)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칼집이 성형되나, 그 칼집은 육류의 일면에만 형성되어 있어, 이 육류를 반대방향으로 돌려 로울러와 커터날 사이로 다시 투입하여 육류의 반대면에도 칼집을 형성하는, 즉 육류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방향이 다른 칼집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육류의 양면에 칼집의 형성으로 양념이 고기에 잘 스며들어 고기맛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육류의 양면에 칼집을 형성하는 과정에 육류의 일면에 칼집을 형성하게 한 후 이면에 칼집을 형성하기 위하여 육류를 반대방향으로 반전시켜야 하는 작업을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번거로움이 있으며, 반전시킨 육류를 다시 투입해서 칼집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어 능률적인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1차적으로 육류의 일면에 칼집을 형성하고, 칼집이 형성된 콘베이어벨트를 타고 이송하는 과정에 자동으로 반전되도록 하고, 반전된 육류는 출구측으로 이송하면서 2차적으로 육류의 이면에 사선상으로 다시 칼집이 형성되도록 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되어 사람이 일일이 반전시킬 필요도 없고, 이를 다시 투입해서 칼집을 형성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프레임이 설치되고, 프레임 사이에는 칼집이 성형된 육류를 출구측으로 이송케하는 콘베이어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도록 육류에 칼집을 성형하는 1차칼집성형장치가 설치되는 바, 상기 칼집성형장치는 모터, 로울러, 성형날회전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울러는 일측에 종동기어를 형성하여 그 측면에 위치되는 모터의 원동기어에 맞물리게 되어 모터의 회전력이 로울러에 전달되고, 상기 성형날회전축은 성형날이 로울러에 탄접되게 설치되어 있어 로울러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성형날회전축의일측에 구동기어를 형식하고, 상기 성형날회전축에 로울러와의 탄접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가진 조절장치를 구비하게 되고, 상기 로울러와 성형날 사이에 투입되는 육류에 칼집을 성형하게 되는 육류 칼집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콘베이어벨트리 일측에는 육류의 전면에 칼집을 내는 1차칼집성형장치를, 타측에는 육류의 이면에 칼집을 내는 2차칼집성형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2차칼집성형장치는 콘베이어벨트로울러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성형날회전축, 하부에는 모터를 수직선상으로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1,2차칼집성형장치내에 위치되며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바닥면에 닿도록 본체(프레임 또는 커버)에 방향반전간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향반전간은 1차칼집성형장치로부터 칼집이 성형된 육류를 반전시켜 주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성형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성형기의 개략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일부를 발췌한 개략적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서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방향반전간을 발췌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방향반전간을 발췌한 상태도
도6은 본 발명에서 성형날회전축과 빗살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에 의해 칼집이 가공된 육류의 일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본체 10. 프레임
20. 콘베이어벨트 21,21a. 콘베이어벨트로울러
30. 1차칼집성형장치 31,41. 모터
32,42. 원동기어 33,43. 로울러
34,44. 종동기어 35,45. 성형날회전축
36,46. 성형날 37,47. 구동기어
40. 2차칼집성형장치 50. 방향반전간
51. 핀 52. 요입홈
53. 볼트공 54. 볼트
60. 빗살간 70. 유도판
80. 조절레버 90. 커버
91. 투입구 A. 육류
이와 같이 구현된 성형기는 1차 칼집성형장치의 로울러와 성형날회전축을 통과하면서 칼집이 성형되는 1차 가공이 이루어지고, 1차 가공된 육류는 콘베이어벨트를 타고 이송하면서 방향반전간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방향이 전환되어 2차 칼집성형장치로 이송하게 되고, 2차 칼집성형장치에 도달된 육류는 1차 가공때와는 달리 콘베이어벨트의 상면에 위치한 성형날회전축에 의해 육류의 이면에 사선상으로 칼집을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의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며, 따라서 아래에서 전술하는 실시례에 의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성형기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성형기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서 일부를 발췌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서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방향반전간을 발췌한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방향반전간을 발췌한 상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서 성형날회전축과 빗살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에 의해 칼집이 가공된 육류의 일례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측에 프레임(10)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투입구(91)가 마련되어 있는 커버(90)가 씌워지고, 상기 프레임(10) 사이에 소정의 구간을 왕복 선회하는 콘베이어벨트(20)의 구성으로 본체(1)를 이루며, 상기 콘베이어벨트(20)의 양단에 1,2차칼집성형장치(30,40)가 설치되고 상기 양단의 칼집성형장치(30,40) 사이에 위치되도록 방향반전간(50)을 설치한다.
본체(1)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의 일측에 1차칼집성형장치(30)로 구성되는 모터(31), 로울러(33), 성형날회전축(35)을 고정 설치하는 바, 상기 모터(31)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상기 로울러(33)는 베어링을 가진 브래킷을 이용하고, 성형날회전축(35)도 역시 베어링을 가진 브래킷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1차칼집성형장치(30)는 로울러(33)와 성형날회전축(35)의 성형날(36)과는 상호 탄접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호 내접되게 회전한다. 한편, 상기 로울러(33)의 회전은 측면에 구성되는 모터(31)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로울러(33)의 일측 축에 종동기어(34)를 형성하여 상기 모터(31)의 출력축에 형성되는 원동기어(32)에 맞물리게 하여 로울러(3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그리고 로울러(33)의 종동기어(34)에는 또 다른 성형날회전축(35)의 구동기어(37)가 맞물려 있어 모터(31)의 회전으로 로울러(33)와 성형날회전축(35)을 내접되게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콘베이어벨트(20)의 일측에 형성되는 1차칼집성형장치(30)는 모터(31), 로울러(33), 성형날회전축(35)은 프레임(10)이 고정 설치되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으로 나란히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콘베이어벨트(20)의 타측 후방에 설치되는 2차칼집성형장치(40)는 콘베이어벨트로울러(21)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성형날회전축(45)을 콘베이어벨트(20)에 닿도록 설치되고, 하부에는 원동기어(42)를 가진 모터(41)를 설치하고, 한편 상기 콘베이어벨트로울러(21)에는 크고 작은 종동기어(44)를 형성하여 작은 종동기어(44)에는 모터(41)의 원동기어(42)를 맞물리게 하고 큰 종동기어(44)에는 성형날회전축(45)에 가진 구동기어(47)가 맞물리게 되며, 이들의 2차칼집성형장치(40)는 수직선상으로 위치되게 설치되어진다.
한편, 1,2차칼집성형장치(30,40) 사이의 콘베이어벨트(20)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방향반전간(50)은 1차칼집성형장치(30)로부터 가공된 육류(A)를 반전시켜 주는 것으로, 즉 이를 반전시켜 주지 않게 되면 1차 가공때 형성된 칼집모양과 동일한 방향으로 칼집을 형성하게 됨에 따라 육류(A)가 조각으로 세절되기 때문에 1차 가공때의 칼집모양과는 달리 다른 방향에서 칼집을 형성하기 위해 육류(A)를 반전시켜 주는 것이다.
육류(A)는 방향반전간(50)을 경유하는 과정에 방향반전간(50) 또는 방향반전간(50)에 형성된 핀(51)에 의해 콘베이어벨트(20)를 타고 이송하는 육류(A)의 일측이 부딪히는 현상으로 육류(A)는 45∼80°의 각도로 반전하게 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2차칼집성형장치(40)의 성형날회전축(45)에 도달하게 됨과 동시에 육류(A)에는 1차 가공때와는 달리 반대면에 칼집을 형성하게 된다.
2차칼집성형장치(40)에서의 육류(A) 칼집모양은 방향반전간(50)에 의해 반전되는 각도에 따라 칼집이 형성하게 되고, 그 반전되는 각도는 45∼80°임에 따라 칼집모양은 사선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육류(A)를 반전시키기 위한 방향반전간(50)은 그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박판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어떠한 형상으로 구성되어져도 육류를 반전시켜 주는 것으로 족하다 할 것이고, 그러나 육류(A)의 두께를 감안하고, 회전하는 콘베이어벨트(20)에 닿아 있기 때문에 그로 인하여 발생되는 마찰력과 마찰에 의한 콘베이어벨트(20)에서 받는 저항으로 회전력이 감소되는 점 등 때문에 콘베이어벨트(20)에 닿는 면적을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의 형상에 따른 방향반전간(50)에, 즉 콘베이어벨트(20)에 닿는 부분에 요입홈(52)을 형성하여 그 각각의 요입홈(52)에 핀(51)을 끼워 닿는 면적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반전간(50)은 도4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반전간(50)의 일측에 볼트공(53)을 형성하여 양측의 프레임(10) 어느 한 부분에 볼트(54)로 고정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향반전간(50)은 1,2차칼집성형장치(30,40)내에 위치하여 육류(A)를 반전하게 하는 것으로, 1,2칼집성형장치(30,40)내 어떠한 부분에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향반전간(50)은 콘베이어벨트(20)상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정도는 콘베이어벨트(20)의 폭에서 과반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구성되어져야 육류(A)를 반전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콘베이어벨트(20)의 폭에서 3/8∼1/4 이내 정도로 돌출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날회전축(35,45)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프레임(10)에 볼트로 고정하게 되는 빗살간(60)을 구성하고, 상기 빗살간(60)의 빗살이 성형날(35,45)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성형날(35,45) 사이에 끼이는 육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절된 육류의 두께와 칼집이 깊이 정도는 성형날회전축(35,45)에 형성된 조절레버(80)의 조절로 성형날회전축(35,45)과 로울러(33,21) 사이의 틈새를 조절하게 된다(이 부분에 대하여는 공지의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육류(A)를 소정의 크기(30∼280mmx 280mm정도가 가장 적당함)로 세절하고, 본 발명의 성형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1차칼집성형장치(30)와 2차칼집성형장치(40)에 마련된 모터(31,41)가 가동하게 되고(필요에 따라 별도로 전원을 연결하여 별도로 가동할 수도 있음), 그러한 상태에서 세절된 육류(A)를 커버(90)의 투입구(91)로 공급하게 되면, 1차칼집성형장치(30)의 로울러(33)와 성형날회전축(35)사이에 육류(A)가 도달하게 동시에 상호 내접되게 회전하는 사이로 들어가 아래의 콘베이어벨트(20)로 낙하되기 전에 성형날회전축(35)의 성형날(36)에 의해 육류의 일면에 칼집이 형성되고, 낙하된 육류(A)는 상기 콘베이어벨트(2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방향반전간(50)에 부딪히면서 육류(A)는 45∼80°정도로 반전하게 되고, 반전된 상태로 계속 이송되면서 콘베이어벨트(20)의 후방에 설치된 콘베이어벨트로울러(21)의 지점에 도달하게 됨과 동시에 2차칼집성형장치(40)의 성형날회전축(45)에 형성된 성형날(46)에 의해 육류(A)는 1차 가공때 형성된 칼집의 반대편에 사선상으로 칼집이 형성하게 되면서 아래의 유도판(70)으로 낙하하게 되면서 육류에의 칼집작업이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성형기에 의해 1차적으로 육류의 일면에 칼집을 형성하고, 콘베이어벨트를 타고 자동으로 이송하는 과정에 방향을 반전시켜 주고, 반전된 상태로 육류의 타면에 2차적인 칼집을 형성하여 주게 되므로 사람이 일일이 육류를 이리 저리 이동하지 않고서도 자동으로 육류의 전후면에 칼집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대량으로 육류를 취급하는 업체에서 사용이 불가피할 정도로 편리함과 작업에 능률을 도모하게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성형기는, 육류의 일측면에 1차적인 칼집성형과 이송되는 과정에 이를 반전시키고, 반전된 육류의 타측면에 2차적인 칼집성형이자동으로 진행되어 사람이 일일이 반전시키는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양면에 칼집을 형성하기 위해 육류를 들고 이동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지극히 편리한 특징이 있다.

Claims (10)

  1. 양측으로 프레임이 설치되고, 프레임 사이에는 칼집이 성형된 육류를 출구측으로 이송케하는 콘베이어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도록 육류에 칼집을 성형하는 1차칼집성형장치가 설치되는 바, 상기 1차칼집성형장치는 모터, 로울러, 성형날회전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울러는 일측에 종동기어를 형성하여 그 측면에 위치되는 모터의 원동기어에 맞물리게 되어 모터의 회전력이 로울러에 전달되고, 상기 성형날회전축은 성형날이 로울러에 탄접되게 설치되어 있어 로울러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성형날회전축의 일측에 구동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날회전축에 로울러와의 탄접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가진 조절장치를 구비하게 되고, 상기 로울러와 성형날 사이에 투입되는 육류에 칼집을 성형하게 되는 육류 칼집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되며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일측에는 육류의 전면에 칼집을 내는 1차칼집성형장치를, 타측에는 육류의 이면에 칼집을 내는 2차칼집성형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2차칼집성형장치는 콘베이어로울러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성형날회전축, 하부에는 모터를 수직선상으로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1,2차칼집성형장치내에 위치되며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바닥면에 닿도록 본체에 방향반전간을 설치하여 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2차칼집성형장치는 1차 가공되는 육류의 이면에 사선상으로 칼집을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3. 제1항에 있어서,
    1차 가공된 육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상기 방향반전간의 일측면에 너트공을 형성하여 양측의 프레임 가운데 어느 일측에 볼트로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4. 제1항에 있어서,
    1차 가공된 육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상기 방향반전간의 일측면에 너트공을 형성하여 콘베이어벨트의 상측에 구성되는 커버의 소정의 위치에 볼트로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5. 제1항 또는 제3항, 제4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반전간은 삼각형상으로 구성하여 변이 가장 긴 부분에 의해 육류를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6. 제1항 또는 제3항, 제4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반전간은 강성이 있는 박판으로 구성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7.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6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반전간에 다수의 요입홈을 형성하여 각각의 요입홈에 핀을 끼워 핀에 의해 육류를 반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8.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반전간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정도는 콘베이어벨트의 과반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9.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8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날회전축의 측면에 빗살이 형성된 빗살간을, 성형날 사이에 빗살이 끼워지도록 설치하여 성형날 사이에 끼이는 육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10.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9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반전간에 의해 반전되는 육류의 각도는 45° ∼80°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KR1020010041759A 2001-07-06 2001-07-06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KR20030004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759A KR20030004958A (ko) 2001-07-06 2001-07-06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759A KR20030004958A (ko) 2001-07-06 2001-07-06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908U Division KR200264605Y1 (ko) 2001-07-25 2001-07-25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958A true KR20030004958A (ko) 2003-01-15

Family

ID=2771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759A KR20030004958A (ko) 2001-07-06 2001-07-06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495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969B1 (ko) * 2004-08-11 2006-06-09 김수권 편육기
KR100781078B1 (ko) * 2007-07-18 2007-11-30 황의서 육류 칼집 자동 세절기
KR20150072121A (ko) * 2013-12-19 2015-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KR20150109983A (ko) * 2014-03-21 2015-10-02 김흥대 가공물 분리장치
KR101595480B1 (ko) * 2015-10-05 2016-02-18 주식회사 세종하이텍 돼지 머릿고기 생육 절단기
KR20190099734A (ko) * 2018-02-19 2019-08-28 주식회사 참코청하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969B1 (ko) * 2004-08-11 2006-06-09 김수권 편육기
KR100781078B1 (ko) * 2007-07-18 2007-11-30 황의서 육류 칼집 자동 세절기
KR20150072121A (ko) * 2013-12-19 2015-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KR20150109983A (ko) * 2014-03-21 2015-10-02 김흥대 가공물 분리장치
KR101595480B1 (ko) * 2015-10-05 2016-02-18 주식회사 세종하이텍 돼지 머릿고기 생육 절단기
KR20190099734A (ko) * 2018-02-19 2019-08-28 주식회사 참코청하 오징어 몸체의 칼집 형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116185T1 (de) Aufschnittschneidemaschine.
KR200264605Y1 (ko)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KR20030004958A (ko)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KR200399808Y1 (ko) 육류 절단기
CA2051918A1 (en) Apparatus for macerating meat
KR20050112937A (ko) 목재가공장치
KR100455407B1 (ko) 고기 절단장치
JP4453065B2 (ja) 食品千切り器
CN215749443U (zh) 一种新型组合切刀
JPS5823599Y2 (ja) 自動切断機用まな板
KR100821057B1 (ko) 생선살 경사세절장치
Jumain et al. Fish Slicer
KR200354640Y1 (ko) 생선뼈와 생선살 분리장치
JP4583034B2 (ja) 麺帯切断装置
KR930000560Y1 (ko) 파 세절기
KR950002367Y1 (ko) 장어 가공기
CN219617849U (zh) 一种蔬菜分切装置
KR200274641Y1 (ko) 세절기
CN218200738U (zh) 麦穗腰花机
KR200200101Y1 (ko) 빵 절단기
CN220548364U (zh) 一种砍排机夹爪装置
CN216941123U (zh) 一种卫生纸加工原料切片设备
JPH0728384U (ja) 刺身用イカ千切り機
KR100813488B1 (ko) 식품세절장치
US20050005756A1 (en) Rotary cutting kni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