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367Y1 - 장어 가공기 - Google Patents

장어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367Y1
KR950002367Y1 KR92009692U KR920009692U KR950002367Y1 KR 950002367 Y1 KR950002367 Y1 KR 950002367Y1 KR 92009692 U KR92009692 U KR 92009692U KR 920009692 U KR920009692 U KR 920009692U KR 950002367 Y1 KR950002367 Y1 KR 950002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l
cutter
presser
elastic spring
process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9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071U (ko
Inventor
박경만
Original Assignee
박경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만 filed Critical 박경만
Priority to KR92009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367Y1/ko
Publication of KR940000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8Cutting fish into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6Removing fish-bones; Filleting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어 가공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의 조절수단에 따른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모터 11 : 회전축
12 : 베셀기어 13, 14, 13a, 14a : 풀리
15 : 제2커터기 16 : 뼈제거기
17 : 체인구동기어 18, 18a : 풀리
19 : 체인 20 : 보조기어
21 : 체인기어 22 : 기어풀리A
23 : 기어풀리B 24 : 풀리
25 : 제1커터기 26 : 브러쉬
27 : 급수관 28 : 투입구
29 : 유도대 29a : V자홈
30 : 삽입공 31 : 가이드축
32 : 탄성스프링 33 : 케이스
34 : 이송대 35 : 제1누름대
36 : 제2누름대 37 : 봉
38 : 탄성스프링 39 : 조절레버
40 : 이송판
본 고안은 생선의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뱀장어를 기계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몸통을 절개하여 뼈를 발라내는 장어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뱀장어는 민물장어와 바다장어로 구분되는데 그 맛과 영양가가 높기 때문에 미식가(美食家)들이 즐기는 요리중에 하나이다.
이와 같은 장어요리를 할때에는 먼저, 장어의 배를 가르고 뼈를 발라내어 일정한 크기로 자른후에 양념에 절인다음 굽는 장어구이와 꼬치에 끼워굽는 꼬치구이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요리를 하기 위해 장어의 배를 가르고 뼈를 발라내는 작업은 숙달되지 않은 사람으로써는 힘든 일이다.
즉 장어의 몸체 구조 및 표피에 미끄러운 점액질이 분포하여 장어를 손으로 감고 도구(칼)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함에 있어 매우 어려운 난점이 있고, 특히 많은 량의 장어를 처리할 때 장시간이 소요 되었다.
특히, 장어요리를 전문하는 음식점에서는 많은 손님의 주문에 따라 공급이 늦어질 수 밖에 없으며, 또한 상기 일련의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사람의 태부족으로 인해 구인난이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인건비의 지출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서는 많은 량의 장어를 짧은 시간에 처리할수 있도록 자동화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어의 크기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장어를 이송하여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장어 가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장어의 규격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자체 조절 작동되어 제1커터기에 의해 적절히 장어 몸통의 일부를 절개되도록 하는 제1조절수단과 상기 제1커터기에 의해 일부 절개된 몸통을 상측 절개부는 모아지고 하측은 벌어진 한쌍으로 구성된 제2커터기에 의해 재차 절개함과 동시에 몸통의 내부를 벌려 뼈와 살을 분리하는 뼈제거기의 작동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제2커터기의 상측에 위치한 누름대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봉에 체결된 탄성스프링을 눌러주는 조절레버를 임의로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구비한 제2조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점부된 도면을 근거로 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제1도와 제2도는 장어를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원인 구동모터(10)와, 상기 구동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장어의 몸통을 가르는 제1, 제2커터기(25), (15)와, 상기 제1커터기(25)의 전방에 위치하여 투입되는 장어를 유도하는 유도대(29)와, 상기 커터기의 사이를 연결하여 장어가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이송대(34)과, 상기 이송대(34)의 상측에 위치하여 장어의 등지느러미부위를 눌러주는 저면에 장홈을 갖는 제1, 제2누름대(35), (36)로 이루어진 장어 가공기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다.
상기 유도대(29)로 부터 투입되는 장어의 크기에 따라 상, 하운동하여 상기 제1커터기(25)에 장어가 적절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자체 조절되는 제1조절수단과 ; 상기 제1커터기에 의해 일부절개된 장어를 상기 제2커터기(15)와 뼈제거기(16)로의 안내 및 눌러주는 기능을 갖도록 하되 임의 강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제2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1조절수단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설치된 제1누름대(35)와 ; 상면이 V자홈(29a)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의 좌, 우에 형성된 삽입공(30)에 가이드축(31)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축의 사이에 탄성스프링(32)이 체결되어 상 하 작동되는 유도대(29)와 ; 이를 받쳐주는 케이스(33)로 구성되었다.
또한 제2조절수단은 제2누름대(36)의 일측 끝단부에 탄성스프링(38)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38)의 탄성을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는 조절레버(39)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동작으로 동력의 전달과정을 설명한다.
구동모터(10)의 동력은 제1커터기(25) 및 브러쉬(26)구동과, 제2커터기(15)의 구동, 장어를 이송하는 체인(19)을 구동하는 3가지 형태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0)에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1)의 양측에는 각각 한쌍의 풀리(13), (14), (13a), (14a)와, 상기 좌, 우 위치하는 풀리사이에 상기 회전축(1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한쌍의 베벨기어(12)가 위치한다.
상기 베벨기어(12)와 회전축(11)에 결합된 체인(17)을 구동하여 장어가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2커터기(15)가 구동되도록 하는 전달순서로는 상측이 좁고 하측이 상대적으로 벌어진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2커터기(15)를 구동하기 위해서 구동력이 양쪽에서 전달되어야 함을 전제로 두고 설명한다.
구동모터(1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1)의 좌, 우에서 구비된 풀리(13), (14), (13a), (14a)에 벨트로 연결되어 풀리(18), (18a)가 회전함에 따라 제2커터기(l5)가 회전을 하게 된다.
아울러, 체인(19)의 구동되는 전달체계는 상기 구동모터(10)에 연결된 회전축(11)의 좌, 우에 구비된 풀리(14), (l4a)의 안쪽으로 위치한 한쌍의 베벨기어(12)가 위치한다.
따라서, 구동모터(10)에 의해 회전축(11)이 회전함에 따라 한쌍의 베벨기어(12)가 회전을 한다.
상기 베벨기어(l2)의 회전으로 체인기어(21)가 체인구동기어(17)와 체인기어(21)를 연결하는 체인(19)이 회전을 하게된다.
이때, 체인(19)에 결합된 이송판(40)이 투입되는 장어를 물고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먼저, 제1커터기(25)의 브러시(26)에 동력이 전달순서로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11)이 회전하여 우측의 풀리(13a)가 회전하고 벨트에 의해 연결된 기어풀리A(22)가 회전한다.
상기 기어풀리(22)와 맞물러 있는 기어풀리B(23)가 감속회전하여 풀리(24)를 회전시킨다.
이에따라 상기 풀리(24)의 회전에 따라 브러쉬(26)가 회전한다.
이렇게 동력의 전달은 제2커터기(15)의 체인(l9), 제1커터기(25) 및 브러쉬(26)를 회전하게 하는 것이다.
장어를 절개하여 뼈를 발라내기 전에 장어에 전기쇼크를 준다.
이후, 투입구(28)를 통해 상기 장어를 밀어 넣는다.
구동모터(1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와 같은 동력전달체계에 따라 각기 구동을 한다.
상기, 투입구(28)를 통해 밀려 들어온 장어는 유도대(29)의 V홈(29a)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투입된 상기 장어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력은 구동모터로 부터 회전하는 회전축에 의해 베벨기어(12)가 회전하여 체인구동기어(17)와 체인기어(21)가 체인(19)이 회전한다.
이에따라 체인(19)이 회전을 하게 되는데 상기 체인(19)에 결합된 이송판(40)이 장어를 물고 일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이송되는 장어는 제1누름대(35)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유도대(29) 단부에 위치한 제1커터기(25)에서 장어의 일부가 절개된다.
상기 제1커터기(25)의 구동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제1커터기(25)에 의해 일부 절개된 장어는 이송대(34)를 따라 계속 이송되어 제2커터기(15)에 의해 절개됨과 동시에 뼈제거기(16)에 의해서 살과 뼈로 분리된다.
이때 상기 한쌍 제2커터기(15)는 상부가 모여지고 하부가 벌어진 삼각형태가 되어 장어의 절개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장어의 절개와 뼈를 발라내는 과정은 상기 이송대(34)의 상부에 위치하여 절개되는 장어를 눌러주는 제2누름대(36)에 의해 가능하다.
즉, 상기 제2누름대(36)은 끝단부에 입설된 봉(37)에 탄성스프링(38)이 계제된 상태에서 조절레버(39)의 회전에 따라 누르는 힘에 따라 탄성스프링(38)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장어의 절개와 함께 뼈가 발라지도록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일련의 동작에 의해 장어가 절개되고 뼈가 발라지는 동안에 브러쉬(26)가 회전을 계속하면 장어을 물고 이송시키는 이송판(40)의 홈사이낀 즉, 장어의 몸에 미끈거리는 성질로 인해 상기 이송판(10)의 기능을 제되로 발휘못함에 따라 급수관(27)에 의해 급수되는 물을 브러쉬(26)에 분사하여 상기 브러쉬(26)가 회전하면서 이송판(40)을 청소하여 장어를 제1커터기(25)와 제2커터기(15)를 원활히 통과 되도륵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장어의 뼈를 가를때 장어의 굵기에 따라 상, 하운동하여 장어의 굵기에 관계없이 원활히 절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련의 작업이 짧은 시간에 이루어짐에 따라 수요에 따른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장어를 이송되도록 하는 동력원의 구동모터(10)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장어의 몸통을 절개하는 제1 제2커터기(25), (15)와, 상기 제1커터기의 전방에 위치하여 투입되는 장어를 유도하는 유도대(29)와, 상기 커터기의 사이를 연결하여 장어가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이송대(34)와, 상기 이송대의 상측에 위치하여 장어의 등지느러미부위를 눌러주는 저면에 장홈을 갖는 제1 제2누름대(35), (36)로 이루어진 장어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유도대(29)로 투입되는 장어의 크기에 따라 상, 하운동 하여 상기 제1커터기(25)에 장어가 적절하게 절개되도록 조절하는 상측에 설치된 제1누름대(35)와 ; 상면이 V자홈(29a)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의 좌, 우에 형성된 삽입공(30)에 가이드축(31)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축의 사이에 탄성스프링(32)이 체결되어 상 하 작동되는 유도대(29)와 ; 이를 받쳐주는 케이스(33)로 구성된 제1조절수단과 ; 상기 제1커터기(25)에 의해 일부절개된 장어를 상기 제2커터기(15)내로 안내 및 눌러주는 기능을 갖도록 제2누름대(36)의 일측 끝단부에 탄성스프링(38)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38)의 탄성을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는 조절레버(39)를 구비한 제2조절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 가공기.
KR92009692U 1992-06-02 1992-06-02 장어 가공기 KR950002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692U KR950002367Y1 (ko) 1992-06-02 1992-06-02 장어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692U KR950002367Y1 (ko) 1992-06-02 1992-06-02 장어 가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071U KR940000071U (ko) 1994-01-03
KR950002367Y1 true KR950002367Y1 (ko) 1995-04-03

Family

ID=1933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9692U KR950002367Y1 (ko) 1992-06-02 1992-06-02 장어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3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68B1 (ko) * 2016-10-05 2017-02-27 정하용 장어의 뼈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칼집을 내는 커팅장치
KR102403443B1 (ko) * 2021-09-02 2022-05-31 농업회사법인(주)엠이텍코리아 장어 활복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68B1 (ko) * 2016-10-05 2017-02-27 정하용 장어의 뼈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칼집을 내는 커팅장치
KR102403443B1 (ko) * 2021-09-02 2022-05-31 농업회사법인(주)엠이텍코리아 장어 활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071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548A (en) Multiple drive press roller and slicer apparatus and method
US6036591A (en) Tenderizing process for pieces of meat, mechanical equip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
EP0118963A1 (en) Device for removing, in pieces, the meat from breast of slaughtered poultry
KR101469922B1 (ko) 계육 수직 절단가공장치
US3930282A (en) Machine for processing the backs of poultry
US4534085A (en) Fish filleting system
KR950002367Y1 (ko) 장어 가공기
US9609882B2 (en) Apparatus for removing bones from fish meat
CN112621859B (zh) 萝卜自动切块装置
US4817245A (en) Meat saw and method of processing meat
KR100400698B1 (ko) 육절기
KR101394418B1 (ko) 계육 수평 절단가공장치
US4602404A (en) Fish filleting device
KR100455407B1 (ko) 고기 절단장치
KR101576572B1 (ko) 미꾸라지 가공장치
US4365414A (en) Vegetable slicer
KR200375661Y1 (ko) 양면 칼집기
ATE28053T1 (de) Vorrichtung zum zufuehren von stangenfoermigem stueckgut.
CN215455065U (zh) 肉、骨类切断清洗装置
KR200242105Y1 (ko) 식품 세단기
CN215790155U (zh) 一种食品加工用于切黄瓜设备
US2304337A (en) Fish machine
CN214724572U (zh) 一种数控切配机
CN213731958U (zh) 一种果蔬切割设备
CN213165557U (zh) 一种鲜猪肉导向切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