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698B1 - 육절기 - Google Patents

육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698B1
KR100400698B1 KR10-2001-0017679A KR20010017679A KR100400698B1 KR 100400698 B1 KR100400698 B1 KR 100400698B1 KR 20010017679 A KR20010017679 A KR 20010017679A KR 100400698 B1 KR100400698 B1 KR 100400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cutting
cut
cutting memb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954A (ko
Inventor
강석주
Original Assignee
강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주 filed Critical 강석주
Priority to KR10-2001-001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698B1/ko
Publication of KR2002007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육절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육절기는 편육을 이송하는 컨베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이송부재;와 상기 제1이송부재에서 이송되는 편육을 일정간격으로 1차절단하는 제1절단부재;와 상기 절단부재에서 1차 절단된 고기편육을 이송하는 컨베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이송부재; 및 상기 제2이송부재에서 이송되는 고기편육을 1차절단된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절단하는 제2절단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절단부재는 회전커터가 상부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된 로울러가 하부에 위치하며, 회전커터는 일정크기의 축에 원형칼날과 와셔가 반복적으로 장착되고, 원형칼날 사이의 간격은 상기 와셔의 폭에 의해서 조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절단부재는 상기 제2이송부재의 전방 일정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커터의 축과 평행하게 회전축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칼날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일정 두께로 편육된 고기를 육면체의 소정형상으로 절단되면서, 길이와 폭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육절기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육절기{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고기를 절단하는 육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육된 상태의 고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가로, 세로의 폭으로 조정하면서 육면체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육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를 가공하는 기계장치로는 육절기, 골절기, 지방제거기와 분리기 등이 있다.
상기 육절기는 고기덩어리를 절단하는 기계장치로서 고기를 절단하는 회전칼장치와 고기를 적재하여 상기 회전칼장치로 이송하는 이송부재와 , 고기의 절단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칼과 이격된 두께조절판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통상의 육절기는 고기덩어리를 일정두께로 절단하여 편육된 상태로 가공하는 장치이나, 상기와 같은 장치로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음식을 조리 하는 방식에 따라, 탕수육과 같이 고기가 일방향으로 길쭉한 육면체의 고기덩어리를 필요로 하거나, 카레와 같은 요리에서는 거의 정육면체의 고기형상이 필요하다. 가정과 소규모 업소에서는 상기와 같은 고기조각을 가공하기 위해서 수작업으로 하여도 문제점이 없으나, 대량의 음식재료를 가공하여 공급하는 업소에서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하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면 작업의 번거러움과 음식재료의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기가 냉동된 상태로는 수작업을 할 수 없으므로, 해동한 후 수작업에 의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절단하고 이를 음식업소에 공급하여야 하고, 이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또 다시 냉동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와 같이 고기가 냉동과 해동 과정을 여러번 거쳐야 하므로 육질이 저하되고,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된 고기를 육면체의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되면서, 길이와 폭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는 육절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육절기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따른 육절기의 회전커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3a는 도1에 따른 육절기의 로울러를 도시하였고, 도3b는 도3a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편육된 고기를 가로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육절기의 사시도.
도6은 도5에 따른 육절기를 간략히 도시하였고,
도7은 도5에 따른 육절기의 제2절단부재의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육절기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하였고,
도10은 제1절단부재와 제2절단부재의 위치를 변경한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육절기, 110:제1눌림 컨베어,
120:투입 컨베어, 210:제2눌림 컨베어,
220:이송 컨베어, 310:회전커터,
311:원형 칼날, 420a,420b,420c:홀더,
430a,430b,430c:칼날, 450:받침대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평편하게 가공된 편육을 일정압력으로 눌러주면서 이송하는 컨베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이송부재;와 상기 제1이송부재에서 이송되는 편육을 일정간격으로 1차절단 하는 제1절단부재;와 상기 절단부재에서 1차 절단된 고기편육을 일정압력으로 눌러주면서 이송하는 컨베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이송부재; 및 상기 제2이송부재에서 이송되는 고기편육을 1차절단된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절단하는 제2절단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절단부재는 회전커터가 상부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된 로울러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커터는 일정크기의 축에 원형칼날과 와셔가 반복적으로 장착되고, 원형칼날 사이의 간격은 상기 와셔의 폭에 의해서 조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제2절단부재는 상기 제2이송부재의 전방 일정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커터의 축과 평행하게 회전축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칼날이 장착되는데 상기 칼날은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방식의 상기 제2절단부재는 상기 제2이송부재의 선단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회전커터의 축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서 1차절단된 고기편육을 2차절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2절단부재는 상기 제2이송부재의 전면에 장착되는데, 하측에는 직선의 밑날이 고정장착되며, 상측에는 상기 밑날의 양측 일정거리 상부에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원판과 상기 원판의 외측에서 힌지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원판을 연결하는 왕복홀더와 상기 왕복홀더의 하측에 장착되는 칼날에 의해서 1차절단된 고기편육을 2차절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육절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따른 육절기의 회전커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육절기는 편육을 이송하는 제1이송부재, 이송된 편육을 1차로 자르는 제1절단부재, 상기 1차절단된 고기편육을 이송하는 제2이송부재 및 이송된 고기편육을 육면체 형상으로 자르는 제2절단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고기덩어리를 일정두께로 자른 편육이 투입되는 상기 제1이송부재는, 투입 컨베어(120)와 제1눌림 컨베어(110)로 이루어진다. 상부에 위치한 제1눌림 컨베어(110)는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절단부재에서 고기를 절단할 때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원활하게 편육이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제1눌림 컨베어(110)와 투입 컨베어(120) 사이의 간격은 가공되는 고기의 두께에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송되는 편육은 회전커터(310)와 로울러(320)로 이루어진 제1절단부재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절단되는데, 상기 회전커터(3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편육을 자르는 원형칼날(311)과 상기 원형칼날(311)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원형칼날(311)을 고정하는 와셔(313)가 축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와셔(313)는 상기 원형칼날(311)을 고정시켜주면서, 또한 상기 원형칼날(311)의 간격을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와셔(313)의 교체에 의해서 상기 원형칼날(31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전커터(310)의 하부에는 서로 맞물려서 회전하는 로울러(320)가 장착되는데 도3a와 도3b에 도시돤 것 처럼 상기 로울러(320)의 상면에는 돌기(321)가 형성되고, 돌기(321)와 돌기(321) 사이에서 상기 원형칼날(311)이 맞물리면서 고기편육을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울러(32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321)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절단되는 고기편육을 너무 누르게 되므로, 상기 돌기(321)는 너무 돌출되지 않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커터(310)와 로울러(320)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1차 절단된 고기편육은 가로방향으로 고기편육을 절단하기 위하여 제2절단부재에 투입된다. 상기 제2절단부재로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부재는 제2눌림 컨베어(210)와 이송 켄베어(22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이송부재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제2이송부재에 의하여 이송된 고기편육은 제2절단부재에 의하여 가로방향으로 절단된다.
상기 제2절단부재는 상기 이송 컨베어(220)의 전방에 위치하는데, 전방에 회전축(410a)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410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홀더(420a)와 상기 홀더(420a)에 장착되는 칼날(430a)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되는 칼날(430a)의 위치는 상기 이송컨베어(220)의 전방에 설치된 받침대(450)의 측면과 가깝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컨베어(220)에 의해서 이송되는 고기편육은 상기 받침대(450)에 의하여 받혀지면서 상기 칼날(430a)에 의하여 절단된다.(도1 참조)
상기 칼날(430a)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되는데 이는 칼날(430a)에 전단각을 형성하여 고기편육에 저항력을 크게 발생시키지 않고 절단하기 위해서다.
도4에는 일정두께로 편육된 고기가 절단된 상태가 도시 되었는데, 상기 회전커터(310)에 의하여 길이 방향의 절단선(11)으로 1차절단되고, 상기 1차로 절단된편육은 가로방향(22)으로 절단된다. 절단되는 육면체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T1의 길이조정은 상기 회전커터(310)의 와셔(313)의 크기로 조정하고, T2의 길이조정은 상술한 회전축(410a)의 회전속도나 이송컨베어(220)의 이송속도로 조절하면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육절기의 사시도이고, 도6과 도7은 각각 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하였으며, 도7은 제2절단부재의 정면을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보여준 구성에서 제2절단부재가 변경된 것으로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변경된 제2절단부재는 상기 제2이송부재의 전면에 장착되는데, 하측에는 직선의 밑날(419)이 고정장착되며, 상측에는 상기 회전커터(310)의 축과 수직방향을 이루면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축(411,411')과, 상기 한 쌍의 회전축(411,411')의 선단에는 원판(413,413')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원판(413,413')의 가장자리에는 힌지(417,417')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417,417')는 왕복홀더(415)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왕복홀더(415)의 하측에는 칼날(41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판(413,413')이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왕복홀더(415)는 상하로 왕복운동 한다. 그런데 상기 회전축(411,411')과 왕복홀더(415)를 힌지(417,417') 연결하는 원판(413,413')은 통상의 바(Bar)로서 연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육절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단부재는 상기 이송컨베어(220)의 전방 회전축과 직각 방향을 이루며상기 이송컨베어(220)의 선단에서 칼날(430b)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칼날(430b)은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홀더(420b)에 끼워지는데 상기 받침대(450)에서 받혀지는 고기를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제4실시예는 제2절단부재가 상기 받침대(450)의 상부에서 상하로 왕복되는 홀더(420c)에 안착된 칼날(430c)에 의해서 절단된다. 상기 홀더(420c)의 왕복운동은 캠이나 크랭크와 같은 기계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도9 참조)
도10에 도시한 제5실시예는 상기 제4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1절단부재와 제2절단부재의 순서를 변경한 것인데, 상측에 위치한 컨베어(1110)와 하측에 위치한 투입 컨베어(1120)에 의하여 편육된 고기가 투입되면 홀더(1420)에 장착된 칼날(1430)이 상하 왕복되면서 받침대(1410)에 의해서 1차 절단되고, 상기 절단된 편육고기는 자유낙하되면서 회전커터(1310)와 로울러(1320)에 의하여 절단된다.
이하의 구성과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일정 두께로 편육된 고기를 육면체의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되면서, 길이와 폭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육절기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알 수 있다.

Claims (10)

  1. 상부의 제1눌림컨베어(110)와 하부의 투입컨베어(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눌림컨베어(110)는 진행방향으로 경사져서, 평편하게 가공된 편육을 일정압력으로 눌러주면서 이송하는 제1이송부재;
    일정크기의 축에 원형칼날(311)과 와셔(313)가 반복적으로 장착된 회전커터(310)와 상기 회전커터(3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된 로울러(320)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이송부재에서 이송되는 편육을 일정간격으로 1차절단하는 제1절단부재;
    상기 제1절단부재에서 1차 절단된 고기편육을 이송하는 제2이송부재; 및 하측에는 직선의 밑날(419)이 고정장착되고, 상측에는 상기 밑날(419)의 양측 일정거리 상부에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원판(413,413`)과 상기 원판(413,413`)의 외측에서 힌지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원판(413,413`)을 서로 연결하는 왕복홀더(415)와 상기 왕복홀더(415)의 하측에 장착되는 칼날(418)에 의해서 1차절단된 고기편육을 2차절단하는 제2절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310)의 각 원형칼날(311) 사이의 간격은 상기 와셔(313)의 폭에 의해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칼날은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1-0017679A 2001-04-03 2001-04-03 육절기 KR100400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679A KR100400698B1 (ko) 2001-04-03 2001-04-03 육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679A KR100400698B1 (ko) 2001-04-03 2001-04-03 육절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321U Division KR200234695Y1 (ko) 2001-04-03 2001-04-03 육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954A KR20020077954A (ko) 2002-10-18
KR100400698B1 true KR100400698B1 (ko) 2003-10-10

Family

ID=27699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679A KR100400698B1 (ko) 2001-04-03 2001-04-03 육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6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488B1 (ko) 2007-03-09 2008-03-13 황남효 식품세절장치
KR101565070B1 (ko) 2013-12-19 2015-11-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맞춤형 미트(Meat)칼집형상을 갖는 텐더라이저 칼날
KR20160131346A (ko) 2015-05-06 2016-11-16 박동재 육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211B1 (ko) * 2005-04-23 2007-06-11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냉장육 다이서
KR100941625B1 (ko) * 2007-12-11 2010-02-11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냉장육 다이서
KR20130055898A (ko) * 2011-11-21 2013-05-29 김승현 북어채 가공장치
KR101692588B1 (ko) * 2014-10-07 2017-01-03 강석주 이송장치가 구비된 육절기
KR101713376B1 (ko) * 2014-10-07 2017-03-07 강석주 육면체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하는 육절기
KR101595480B1 (ko) * 2015-10-05 2016-02-18 주식회사 세종하이텍 돼지 머릿고기 생육 절단기
CN108077385A (zh) * 2017-12-21 2018-05-29 陈正康 一种对滚型排骨切方机
KR102077857B1 (ko) * 2018-03-14 2020-02-14 박동재 복합 세절기
KR102418623B1 (ko) * 2020-02-11 2022-07-07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생선 절단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782Y1 (ko) * 1999-09-11 2000-03-15 백동화 폐사 가축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782Y1 (ko) * 1999-09-11 2000-03-15 백동화 폐사 가축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488B1 (ko) 2007-03-09 2008-03-13 황남효 식품세절장치
KR101565070B1 (ko) 2013-12-19 2015-11-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맞춤형 미트(Meat)칼집형상을 갖는 텐더라이저 칼날
KR20160131346A (ko) 2015-05-06 2016-11-16 박동재 육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954A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698B1 (ko) 육절기
CN110574775A (zh) 一种生牛肉切割机
CN211322826U (zh) 一种生牛肉切割机
KR200234695Y1 (ko) 육절기
KR20170073048A (ko) 식육 슬라이서
KR100941625B1 (ko) 냉장육 다이서
KR101898090B1 (ko) 수육 슬라이서
KR200321320Y1 (ko) 육면체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하는 육절기.
KR100455407B1 (ko) 고기 절단장치
JP2003019695A (ja) 食品細断装置
KR101117584B1 (ko)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
FI72895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disintegrering av material.
KR101921269B1 (ko) 목화솜 탕수육 제조장치
CN210061269U (zh) 多刀片的培根切片机
KR20210125775A (ko) 칼날의 교차왕복운동을 이용한 세절기
KR200375661Y1 (ko) 양면 칼집기
KR200151353Y1 (ko) 육절기의 가공물 이송장치
KR200322068Y1 (ko) 다이서의 절단칼 어셈블리
KR200306748Y1 (ko) 탕수육용 절단기
KR950002367Y1 (ko) 장어 가공기
KR200250125Y1 (ko) 식품 세단기
KR200242105Y1 (ko) 식품 세단기
KR102559515B1 (ko)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JP3116020B2 (ja) 食品の手毟り状裁断装置
JP2017038579A (ja) 練り状食品材料の整列装置および練り状食品材料の整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