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623B1 - 생선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생선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623B1
KR102418623B1 KR1020200016491A KR20200016491A KR102418623B1 KR 102418623 B1 KR102418623 B1 KR 102418623B1 KR 1020200016491 A KR1020200016491 A KR 1020200016491A KR 20200016491 A KR20200016491 A KR 20200016491A KR 102418623 B1 KR102418623 B1 KR 102418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transfer conveyor
roller
gea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922A (ko
Inventor
강신영
변성욱
박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변성욱
박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변성욱, 박성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Priority to KR102020001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62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20Shredding; Cutting into cubes; Flak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6Work-tables; Fish-holding and auxiliary devices in connection with work-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다양한 크기나 무게를 갖는 여러 가지 생선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안정적으로 생선을 자동 절단할 수 있는 생선 절단장치가 제공된다. 생선 절단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에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생선을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이송컨베이어 상의 생선 이동경로에 배치되고, 말단이 이송컨베이어를 향해 정렬되어 생선과 교차되는 복수의 회전날을 포함하는 절단모듈, 및 절단모듈의 전방에 위치하여, 회전날로 공급되는 생선을 이송컨베이어 측으로 밀착시키되, 프레임에 고정된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무게중심이 축과 이격되어, 자중으로 시소 운동하며 생선을 가압하는 프레싱 바를 포함하는 가압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선 절단장치{Apparatus for cutting fish}
본 발명은 생선을 절단하는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회전날로 생선을 자동 절단하는 생선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선은 쉽게 부패되고 비늘과 같은 부산물도 많아 가공이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생선들이 매일 시장에 공급된다. 기계를 이용한 생선 가공기술은 이러한 생선의 대량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생선을 대량으로 취급하는 가공공장 등에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생선을 모터 구동되는 칼날을 이용하여 자동 절단하거나(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7169호 등), 생선의 비늘을 마찰을 가하여 자동으로 벗겨내는 등의 기계적 가공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생선을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쉽게 제품화할 수 있고, 소비자에게도 더욱 손질하기 쉬운 형태로 생선을 공급해 줄 수 있으며, 취급 가능한 생선의 수량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개시된 생선 가공기계의 경우, 구조적 한계 등으로 크기가 맞지 않는 생선은 잘 절단되지 않거나, 공정 중에 생선이 기계 안에서 훼손되는 문제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특히, 생선과 같은 자연물은 동일품종이라 하여도 크기나 무게가 각자 다를 수 있는 반면 종래의 기계장치는 생선 크기 등이 변동되면 가공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그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7169호, (2007. 11. 08)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회전날로 생선을 자동 절단하는 생선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아울러, 다양한 크기나 무게를 갖는 여러 가지 생선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안정적으로 생선을 자동 절단할 수 있는 생선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생선 절단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생선을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의 상기 생선 이동경로에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향해 정렬되어 상기 생선과 교차되는 복수의 회전날을 포함하는 절단모듈; 및 상기 절단모듈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날로 공급되는 상기 생선을 상기 이송컨베이어 측으로 밀착시키되,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무게중심이 상기 축과 이격되어, 자중으로 시소 운동하며 상기 생선을 가압하는 프레싱 바를 포함하는 가압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싱 바는 상기 축에 편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싱 바의 상기 생선과 접촉하지 않는 타단부에, 상기 축과 거리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된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싱 바의 타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딩 되며 상기 프레싱 바의 무게중심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싱 바는 적어도 한 쌍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프레싱 바의 쌍을 연결하여 움직임을 상호 동기화시키는 연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싱 바의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는 외주부가 상기 회전날과 중첩되되 상기 외주부에 상기 회전날의 말단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싱 바에 상기 축과 회전중심이 일치하게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중심축기어, 및 상기 중심축기어와 상기 제1롤러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축기어와 동일 방향으로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중심축기어에 치합된 제1동력전달기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동력전달기어, 일 측은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되고, 타 측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축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 및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와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와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의 회전을 서로 동기화시키는 제2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가압모듈의 하부를 지나며 말단이 상기 회전날의 전방에 놓이게 배치되는 제1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날의 하부를 지나는 제2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날로 생선을 공급하는 제2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구동축과,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의 구동축과, 상기 제2롤러의 구동축은, 각각의 구동축에 형성된 기어들이 단일 구동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여 상호 회전이 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이 통과되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회전날 사이로 삽입되는 이물질 튐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자동 회전하는 칼날을 이용하여 생선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특히, 칼날로 공급되는 생선을 매우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도 불필요한 훼손은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불량을 최소화하고 정확하고 효과적인 가공을 할 수 있다. 또한, 유연하고 적응성 높은 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크기나 무게를 갖는 생선에 대해서도 이러한 공정을 문제없이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치의 범용성도 크게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작용을 상대적으로 간결한 구조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장치 운용의 효율성 과 유지보수의 편리성 등도 아울러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가압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가압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절단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절단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주요부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 절단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 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생선 절단장치(1)는 복수의 회전날(210)이 형성된 절단모듈(20)로 생선을 절단하되, 절단모듈(20)의 전방에 배치된 가압모듈(30)로는 절단모듈(20)로 공급되는 생선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특히, 가압모듈(30)은 축(310)에 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하는 프레싱 바(320)(도 6 참조)의 하중으로, 생선을 자연스럽게 눌러 고정시키도록 되어있어 생선의 크기나 무게 등이 바뀌더라도 알맞은 압력으로 생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탄성체의 반발력에 의해 가해지는 과도한 압력, 특정 크기의 생선만 원활히 고정되는 바스켓과 같은 고정구조와의 접촉, 또는 칼날로 생선을 유도하기 위해 비좁게 만들어진 가이드구조와의 접촉 등 종래 구조적 한계로 인해 발생하는 생선의 훼손 및 불안정한 지지와 같은 가공과정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생선 절단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생선 절단장치(1)는, 프레임(40), 프레임(40)에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생선을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11, 12), 이송컨베이어(11, 12) 상의 생선 이동경로에 배치되고 말단이 이송컨베이어(11, 12)를 향해 정렬되어 생선과 교차되는 복수의 회전날(210)을 포함하는 절단모듈(20), 및 절단모듈(20)의 전방에 위치하여, 회전날(210)로 공급되는 생선을 이송컨베이어(11, 12) 측으로 밀착시키되, 프레임(40)에 고정된 축(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무게중심이 축(310)과 이격되어, 자중으로 시소 운동하며 생선을 가압하는 프레싱 바(320)를 포함하는 가압모듈(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싱 바(320)는 축(310)에 편심 결합될 수 있으며, 프레싱 바(320)의 생선과 접촉하지 않는 타단부에는, 축(310)과 거리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된 무게추(3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 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서, 미처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구조적 특징들과, 그에 따른 다양한 효과들도 더욱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4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으로 방형의 하우징과 같은 형태로 예시되었다. 프레임(40)은 이송컨베이어(11, 12), 절단모듈(20), 및 가압모듈(30)을 형성하고 지지하는 기초이며 이들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방형의 하우징 상단에 만입된 수용구조를 형성하여 이송컨베이어(11, 12)를 안착하고 그 위에 절단모듈(20), 및 가압모듈(30)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레임(40)은 다른 구성요소들의 기계적 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며, 절단모듈(20) 및 가압모듈(30)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구조인 절단모듈 고정판(240)과, 가압모듈 고정판(360) 역시 동등하게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절단모듈 고정판(240)과 가압모듈 고정판(360)은 모두 지지구조 해당하는 것으로서 프레임(40)의 일부로 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들은 프레임(40) 본체와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구조가 과도하게 복잡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모터(41)와 제2모터(42)는 도 3의 평면도와 도 4의 확대도에만 도시하고 도 1과 도 2에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따라서 실제 구현례에서는, 절단모듈(20), 가압모듈(30), 이송컨베이어(11, 12)와 연결된 기어 등 각종 구동구조 및 제1모터(41)와 제2모터(42) 등은 프레임(40) 안쪽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프레임(40)의 하단부에는 바퀴나 스토퍼 등을 결합하여 장치를 이동시키거나 고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11, 12)는 프레임(40)에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생선을 이동시킨다. 이송컨베이어(11, 12) 또한 생선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절단모듈(20)과 가압모듈(30)은 이송컨베이어(11, 12)를 따라 형성되는 생선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이송컨베이어(11, 12)의 형태나 배치에 따라 각각의 구체적인 위치는 바뀔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직선 상으로 수평 배열된 이송컨베이어(11, 12)가 예시되었으나, 이송컨베이어(11, 12)는 곡선부나 경사 등을 포함하는 다른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이송컨베이어(11, 12)는 서로 나란하게 놓이되 분리된 두 개의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모듈(30)의 하부를 지나며 말단이 회전날(210)의 전방에 놓이게 배치되는 제1이송컨베이어(11), 및 제1이송컨베이어(11)에서 분리되어 제1이송컨베이어(11)보다 낮게 배치되고 회전날(210)의 하부를 지나는 제2이송컨베이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높낮이를 달리한 제1이송컨베이어(11)와 제2이송컨베이어(12)의 구성을 이용하여 생선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단모듈(20)의 회전날(210)로 공급할 수 있다. 앞에서와 같이 이후에서도, 본 명세서에서 이송컨베이어(11, 12) 전체를 지시할 때는 별도의 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제1이송컨베이어(11) 및 제2이송컨베이어(12)의 번호를 순서쌍으로 나열한 번호를 병기하여 쓰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생선의 이송방향은 도 2의 우측 말단에서 좌측 말단을 향하는 방향이며 그에 따라 전방 및 후방과 같은 상대적인 위치도 대응하여 정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가압모듈(30)은 절단모듈(20)의 전방에 위치하며, 절단모듈(20)의 전방은 생선의 이송방향을 따라 절단모듈(20)에 도달하기 이전 위치일 수 있다. 즉 절단모듈(20)의 전방은 도 2의 절단모듈(20) 우측일 수 있고 해당 위치에 가압모듈(30)이 배치된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다. 절단모듈(20)의 후방은 절단모듈(20)의 좌측일 수 있다. 회전날(210)의 전방 역시 이와 동등하게, 도 2의 회전날(210) 우측일 수 있다. 제1이송컨베이어(11)는 가압모듈(30)의 하부를 지나면서 말단이 회전날(210)의 전방에 놓이게 배치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모듈(20)의 전방에 가압모듈(30)과, 제1이송컨베이어(11)가 위아래로 배치되어 상호작용하면서 그 사이로 이동하는 생선을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생선의 이송 및 절단과 관련된 구체적인 작동과정은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이송컨베이어(11)와 제2이송컨베이어(12)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생선을 이송할 수 있다. 제1이송컨베이어(11)와 제2이송컨베이어(12)는, 각각의 구동축인 제1이송컨베이어 구동축(111)과 제2이송컨베이어 구동축(121)에 각각 형성된, 제1이송컨베이어 구동축기어(111a) 및 제2이송컨베이어 구동축기어(121a)가 하나의 구동기어(421)와 치합되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421)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모터(42)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기어(421)는 제2모터(42)와 구동기어 회전축(422)으로 직접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이송컨베이어(11, 12)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구동기어(421)는 제1이송컨베이어(11) 및 제2이송컨베이어(12)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이들을 동작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면밀하게 구조화된 동력전달경로를 통해서, 가압모듈(30)에 형성된 제1롤러(340)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기어(421)는 절단모듈(20)에 형성된 제2롤러(220)에도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하나의 목적, 즉 제1이송컨베이어(11)와, 가압모듈(30)의 제1롤러(340)와, 절단모듈(20)의 제2롤러(220)가 연합하여, 생선을 회전날(210)을 향해 이동시키면서 회전날(210)의 중심방향으로 공급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상호 유기적으로 회전방향이 조합된다. 이는 후술하는 기어와 체인들의 면밀한 결합구조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절단모듈(20)은 이송컨베이어(11, 12) 상의 생선 이동경로에 배치되고, 말단이 이송컨베이어(11, 12)를 향해 정렬되어 생선과 교차되는 복수의 회전날(210)을 포함한다. 절단모듈(20) 역시 프레임(40)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절단모듈(20)의 구성부는 전술한 절단모듈 고정판(240)에 지지되며 절단모듈 고정판은 프레임(40)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회전날(210)은 회전중심을 관통하는 회전날 구동축(211)이 절단모듈 고정판(240)에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고, 구동력은 제1모터(41)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회전날(210)은 전술한 제2모터(42)와는 독립적으로, 제1모터(41)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41)와 회전날 구동축(211)은 서로 치합되는 연결기어(411, 412)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날(210)은 말단이 이송컨베이어(11, 12)를 향해 정렬되어 이송컨베이어(11, 12)를 따라 이동하는 생선과 손쉽게 교차된다. 회전날(210)과 이송컨베이어(11, 12) 사이의 거리는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회전날(210)은 예를 들어, 이송컨베이어(11, 12)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날 구동축(211)을 따라서 그와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송컨베이어(11, 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회전날(210)과 교차되는 생선을 복수 개로 분할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날(210)을 기점으로 회전날(210) 전방과 하부로 분리 배치되는 제1이송컨베이어(11) 및 제2이송컨베이어(12)의 배치구조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생선을 절단할 수 있다. 회전날(21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회전날(210)의 형상이나 직경 등도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회전날(210) 역시 회전하며 생선을 절단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절단모듈(20)은, 회전날(210)이 통과되는 복수의 슬릿(231)이 형성되어 복수의 회전날(210) 사이로 삽입되는 이물질 튐방지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이물질 튐방지판(230)은 적어도 회전날(210)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슬릿(231)을 가져 용이하게 회전날(21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단과정에서 비산되는 이물질들이 회전날 구동축(211) 등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물질 튐방지판(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날 구동축(211)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경사면을 포함하여 절단된 생선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물질 튐방지판(230) 역시 절단모듈 고정판(240)에 결합될 수 있고,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가압모듈(30)은 절단모듈(20)의 전방에 위치한다. 가압모듈(30)은 절단모듈(20)의 전방에서 회전날(210)로 공급되는 생선을 가압하여 이송컨베이어(11, 12) 측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가압모듈(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40)에 고정된 축(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무게중심이 축(310)과 이격되어, 자중으로 시소 운동하며 생선을 가압하는 프레싱 바(320)의 가압구조를 포함한다. 축(310)은 예를 들어, 가압모듈 고정판(360)에 고정될 수 있고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40)의 일부일 수 있다. 프레싱 바(320)는 이러한 고정된 축(310)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프레싱 바(320)는 양단부 중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도록 축(310)에 편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싱 바(320)의 무게중심을 축(310)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며 무게중심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프레싱 바(32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만, 프레싱 바(320)는 축(310)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강된 일단부가 생선과 접촉하면 밀려서 상승하고 생선이 지나가면 다시 하강하는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단모듈(20)의 회전날(210)로 공급되는 생선을 프레싱 바(320)의 자중으로 자연스럽게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싱 바(320)의 생선과 접촉하지 않는 타단부에는, 축(310)과 거리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된 무게추(33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모듈(3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싱 바(320)의 타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바(322)를 포함하고, 무게추(330)가 가이드바(322)에 결합되어 가이드바(322)를 따라 슬라이딩 되며 프레싱 바(320)의 무게중심을 변경시킬 수 있다. 즉, 프레싱 바(320)는 필요에 따라 무게추(330)를 조정하여 무게중심의 위치를 바꿀 수 있게 형성된다. 따라서, 생선을 가압하는 강도를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조절해 줄 수 있다. 프레싱 바(320)는 하나의 바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레싱 바(320)는, 적어도 한 쌍이 이송컨베이어(11, 12)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프레싱 바(320)의 쌍을 연결하여 움직임을 상호 동기화시키는 연결바(32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321)의 개수나 위치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이중 전술한 프레싱 바(320)의 타단부 측에 위치한 연결바(321)로부터 수직하게 가이드바(32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바(322)는 프레싱 바(320)가 결합된 축(31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무게추(330)와 축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프레싱 바(320)의 무게중심을 적절히 변경시킬 수 있다.
프레싱 바(320)의 생선과 접촉하는 일단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롤러(3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롤러(340)는 외주부가 회전날(210)과 중첩되되, 외주부에 회전날(210)의 말단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홈(34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롤러(340)는 회전날(210)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프레싱 바(320)의 시소 운동에 따라 회전날(210) 사이를 자유롭게 움직이며 생선을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홈 구조는 절단모듈(20) 측의 전술한 제1이송컨베이어(11)와 제2이송컨베이어(12)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제2롤러(2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와 함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가압모듈(30)의 움직임과 구동구조, 절단모듈(20)의 회전날(210)과 제2롤러(220)의 배치, 구동기어(421)와 연결된 구동력 전달구조 등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가압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가압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절단모듈의 배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절단모듈의 측면도이다.
먼저, 프레싱 바(3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싱 바(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연결바(321)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프레싱 바(320)의 일단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생선과 접촉하는 제1롤러(340)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가이드바(3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무게중심을 변경시키는 무게추(330)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싱 바(320)를 서로 이격된 쌍으로 형성함으로써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롤러(340)의 폭을 대응하여 넓힐 수 있고 이송컨베이어의 보다 넓은 영역에서 생선과 유리하게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복수로 배열된 회전날(210) 중 어느 지점으로 생선이 지나더라도 생선을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안정적으로 회전날(210)로 공급할 수 있다.
프레싱 바(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시소 운동하며 동작하게 된다. 프레싱 바(320)의 무게중심은 예를 들어, 축(310)과 제1롤러(340)의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롤러(340)가 위치한 일단부가 하강하며 생선과 접촉하고, 생선에 의해 밀려 상승되었다가 생선이 지나가면 하강하기를 반복한다. 생선의 크기가 달라지면 그에 따라 승하강되는 회전각도 변동되며 예를 들어, 크기가 커지는 경우 높아진 상승위치에서 좀더 강한 압력으로 생선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33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축(310)방향으로 접근시키면 무게중심이 대응하여 제1롤러(340)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보다 강한 압력으로 생선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생선이 대체적으로 작거나 무게가 적게 나가는 경우 무게추(330)를 조정하여 무게중심을 축(310)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대응하는 줄어든 압력으로 생선을 적절히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프레싱 바(320)의 자중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나 무게를 갖는 생선에 대응하는 적절한 압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압력으로 생선을 훼손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압력이 모자라 생선을 놓치는 일 없이 적절한 압력으로 생선을 가압하여 회전날(210)로 공급해 줄 수 있다.
한편, 제1롤러(340)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능동적으로 회전하며 생선과 접촉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싱 바(320)에 축(310)과 회전중심이 일치하게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중심축기어(311)가 형성될 수 있고, 중심축기어(311)와 제1롤러(340)의 사이에는 중심축기어(311)와 제1롤러(340)의 사이에 연결되어 중심축기어(311)와 동일 방향으로 제1롤러(340)를 회전시키는 제1체인(3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기어(311)는 동심축 상에 적층되어 함께 회전하는 기어치의 쌍으로 이루어진 이를 테면, 이중기어와 같은 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이중 프레싱 바(320)의 쌍 사이에 배치된 내측기어와, 제1롤러 구동축(341)에 형성된 제1롤러 구동축기어(341a)를 제1체인(350)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심축기어(311)가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방향으로 제1롤러(3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중심축기어(311)는 축(310)과 회전중심이 일치하되, 축(310)에 고정될 필요가 없으며 축(310)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심축기어(311)와 제1롤러(340)의 사이에는 텐셔너(351)를 설치하여 제1체인(350)의 장력이 적절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중심축기어(311)는 전술한 구동기어(421)로부터 일련의 동력전달경로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동력전달경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프레임(도 1 내지 도 3의 40참조)에 설치되며 중심축기어(311)에 치합된 제1동력전달기어(431), 프레임(40)에 설치되되 제1동력전달기어(431)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동력전달기어(432), 일 측은 제2동력전달기어(432)와 치합되고, 타 측은 이송컨베이어(11, 12)의 구동축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제2동력전달기어(432)와 이송컨베이어어(11, 12)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421), 및 제2동력전달기어(432)와 제1동력전달기어(431) 사이에 연결되어, 제1동력전달기어(431)와 제2동력전달기어(432)의 회전을 서로 동기화시키는 제2체인(4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중심축기어(311)는 구동기어(421)로부터 제2동력전달기어(432), 제2체인(440), 및 제1동력전달기어(431)의 순서로 동력을 전달받고 회전할 수 있다. 치합된 기어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체인으로 연결된 기어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바, 기어와 체인구조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구동기어(421)에 대한 제1롤러(340)의 회전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제1이송컨베이어(11)와 제2이송컨베이어(12)의 사이에는, 제1이송컨베이어(11)와 제2이송컨베이어(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이송컨베이어(11) 및 제2이송컨베이어(12)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날(210)로 생선을 공급하는 제2롤러(220)가 형성된다. 제2롤러(220)는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모듈(20) 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동축이 절단모듈 고정판(240)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롤러(220) 역시 제1롤러(340)와 마찬가지로 회전날(210)의 일부분과 중첩되며 중첩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홈(222)이 형성되어 회전날(210)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롤러(220)는 제1이송컨베이어(11)와 제2이송컨베이어(12)의 사이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제2롤러(220), 제1이송컨베이어(11), 및 제2이송컨베이어(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기어(421)에 의해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처럼, 제1이송컨베이어(11)의 구동축과, 제2이송컨베이어(12)의 구동축과, 제2롤러(220)의 구동축은, 각각의 구동축에 형성된 기어들이 단일 구동기어(421)에 치합되어 회전하여 상호 회전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때 구동기어(421)는 전술한 도 4의 제2모터(42)에 연결된 구동기어(421)일 수 있으며, 따라서, 구동기어(421)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으로, 제1이송컨베이어(11), 제2이송컨베이어(12), 제2롤러(220)를 동기화시켜 회전시키고, 제2동력전달기어(432), 제2체인(440), 제1동력전달기어(431)의 동력전달구조를 이용하여 중심축기어(311)를 회전시키고, 다시 중심축기어(311)와 제1체인(350)으로 연결된 제1롤러(34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421) 역시 전술한 이중기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이송컨베이어 구동축(111)에 형성된 제1이송컨베이어 구동축기어(111a)와, 제2이송컨베이어 구동축(121)에 형성된 제2이송컨베이어 구동축기어(121a)가 구동기어(421)의 내측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롤러 구동축(221)에 형성된 제2롤러 구동축기어(221a)와, 프레임(40)에 고정된 제2동력전달기어(432)는 구동기어(421)의 외측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동력전달기어(432)와 제1동력전달기어(431)는 각각 이중기어로 형성되되, 각각의 외측기어 사이에 제2체인(440)이 연결되어 회전이 상호 동기화될 수 있고, 제2동력전달기어(432)의 내측기어는 구동기어(421)의 외측기어와 치합되고, 제1동력전달기어(431)의 내측기어는 가압모듈(30)의 중심축기어(311)(또는 중심축기어의 외측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이때, 외측기어는 이중기어 중 축의 말단 쪽으로 배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장치가 구동될 수 있다. 먼저 구동기어(4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각각의 구동축에 형성된 기어들이 구동기어(421)와 치합된 제1이송컨베이어(11), 제2이송컨베이어(12), 및 제2롤러(2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구동기어(421)에 치합된 제2동력전달기어(432) 및 제2체인(440)으로 연결된 제1동력전달기어(431)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동력전달기어(431)와 치합된 중심축기어(311)는 회전방향이 역전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체인(350)으로 연결된 제1롤러(340)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구동기어(421)에 물려있는 회전구조 중에서, 하부에서 생선과 직접 접촉하는 제1이송컨베이어(11), 제2롤러(220), 제2이송컨베이어(12)와, 상부에서 생선과 직접 접촉하는 제1롤러(340)는 회전방향이 서로 역전된다. 생선은 프레싱 바(320)의 제1롤러(340)와 접촉하며 제1이송컨베이어(11)에 밀착되므로, 밀착된 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롤러(340)와 제1이송컨베이어(11)에 의해 매우 능동적 회전날(210)로 공급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장치 전체의 사용상태와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생선 절단장치의 주요부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선(A)은 도 9의 우측 말단으로부터 좌측 말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점선화살표를 따라서 생선(A)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생선(A)은 제1이송컨베이어(11)를 따라서 절단모듈(20)로 접근하되, 절단모듈(20) 전방에서 가압모듈(30)을 통과하게 된다. 가압모듈(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싱 바(320)의 자중으로 축(310)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며 생선(A)을 가압한다. 특히, 프레싱 바(32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롤러(340)는, 생선(A)이 가압모듈(30)을 완전히 통과하여 빠져나갈 때까지 생선(A)의 굴곡을 따라 움직이며 생선(A)과 지속적으로 접촉한다. 프레싱 바(320)의 무게추(330)는 장치 구동 전에 미리 조정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가동 중에도 얼마든지 재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싱 바(320)의 무게중심을 바꾸어 생선(A)에 적절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선(A)의 크기, 무게 등이 바뀌더라도 대응하는 압력을 생성하여 생선(A)을 제1이송컨베이어(11)측에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싱 바(320)에 의해 제1이송컨베이어(11)에 밀착된 생선(A)은 고정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회전날(210)을 통과하여 절단된다. 이때, 제1이송컨베이어(11)와 제2이송컨베이어(12) 사이에 배치된 제2롤러(220)가 제1이송컨베이어(11)를 빠져 나온 생선(A)을 회전날(210) 방향으로 밀어 회전날(210)과 교차시킬 수 있다. 제2이송컨베이어(12)는 회전날(210)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생선(A)은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 제1이송컨베이어(11)로부터, 제2롤러(220)를 지나 제2이송컨베이어(12)까지 단계적으로 낙하하며 회전날(210)을 통과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생선(A)이 회전날(210)과 접촉하는 시간을 늘려 더욱 효과적으로 생선(A)을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이를 전술한 구동구조의 관점에서 보면 가공과정이 더욱 능동적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기어(4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이송컨베이어(11), 제2이송컨베이어(12), 및 제2롤러(220)는 전술한 것처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생선(A)을 설정된 방향(도면 상의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동력전달기어(432), 제2체인(440), 및 제1동력전달기어(431)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중심축기어(311)는 제1체인(350)을 통해 역방향으로 제1롤러(34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생선(A)은 프레싱 바(320)의 자중으로 단순 가압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된 것처럼 서로 마주보며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제1롤러와 제1이송컨베이어, 또는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에 밀착되어 회전날(210) 중심부를 향해 토출되게 된다. 생선(A)은 프레싱 바(320)의 자중에 의해 지속적으로 하방으로 밀착되는바, 생선(A)은 제1이송컨베이어(11)를 빠져 나오더라도 제1이송컨베이어(1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롤러(220)와 제1롤러(340) 사이에 물려 재차 회전날(210) 중심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제1롤러(340)와 제1이송컨베이어(11), 또는 제1롤러(340)와 제2롤러(220)는 서로 마주보며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사이에 물린 생선(A)을 원형 회전날(210)의 중심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공정을 이용하여, 생선(A)이 회전날(210)과 접촉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러와 같은 회전체의 능동적인 회전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생선(A)을 절단할 수 있다. 절단모듈(20)을 통과한 생선(A)은 회전날(210) 하부에 배치된 제2이송컨베이어(12)를 따라 장치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생선 절단장치 11: 제1이송컨베이어
12: 제2이송컨베이어 20: 절단모듈
30: 가압모듈 40: 프레임
41: 제1모터 42: 제2모터
111: 제1이송컨베이어 구동축 111a: 제1이송컨베이어 구동축기어
121: 제2이송컨베이어 구동축 121a: 제2이송컨베이어 구동축기어
210: 회전날 211: 회전날 구동축
220: 제2롤러 221: 제2롤러 구동축
221a: 제2롤러 구동축기어 222, 342: 홈
230: 튐방지판 231: 슬릿
240: 절단모듈 고정판 310: 축
311: 중심축기어 320: 프레싱 바
321: 연결바 322: 가이드바
330: 무게추 340: 제1롤러
341: 제1롤러 구동축 341a: 제1롤러 구동축기어
350: 제1체인 351: 텐셔너
360: 가압모듈 고정판 411, 412: 연결기어
421: 구동기어 422: 구동기어 회전축
431: 제1동력전달기어 432: 제2동력전달기어
440: 제2체인 A: 생선

Claims (13)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생선을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의 상기 생선 이동경로에 배치되고, 말단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향해 정렬되어 상기 생선과 교차되는 복수의 회전날을 포함하는 절단모듈; 및
    상기 절단모듈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날로 공급되는 상기 생선을 상기 이송컨베이어 측으로 밀착시키되,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무게중심이 상기 축과 이격되고 상기 축에 편심 결합되어, 자중만으로, 하강된 일단부가 상기 생선과 접촉하면 밀려서 상승하고 상기 생선이 지나가면 다시 하강하는 시소 운동을 반복하는 프레싱 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싱 바에는 상기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롤러와, 타단부에 상기 축과 거리 조정이 가능하게 결합된 무게추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싱 바의 무게중심 위치가 상기 축과 상기 제1롤러 사이에서, 상기 무게추의 조정에 의해 상기 축 방향 또는 상기 제1롤러 방향으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생선을 가압하는 강도가 조절되는 가압모듈을 포함하는 생선 절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바의 타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딩 되며 상기 프레싱 바의 무게중심을 변경시키는 생선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바는 적어도 한 쌍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프레싱 바의 쌍을 연결하여 움직임을 상호 동기화시키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생선 절단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는 외주부가 상기 회전날과 중첩되되 상기 외주부에 상기 회전날의 말단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생선 절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바에 상기 축과 회전중심이 일치하게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중심축기어, 및
    상기 중심축기어와 상기 제1롤러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축기어와 동일 방향으로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1체인을 더 포함하는 생선 절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중심축기어에 치합된 제1동력전달기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동력전달기어,
    일 측은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되고, 타 측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축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 및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와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와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의 회전을 서로 동기화시키는 제2체인을 더 포함하는 생선 절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가압모듈의 하부를 지나며 말단이 상기 회전날의 전방에 놓이게 배치되는 제1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날의 하부를 지나는 제2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생선 절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날로 생선을 공급하는 제2롤러를 더 포함하는 생선 절단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구동축과,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의 구동축과, 상기 제2롤러의 구동축은, 각각의 구동축에 형성된 기어들이 단일 구동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여 상호 회전이 동기화되는 생선 절단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이 통과되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회전날 사이로 삽입되는 이물질 튐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생선 절단장치.
KR1020200016491A 2020-02-11 2020-02-11 생선 절단장치 KR102418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91A KR102418623B1 (ko) 2020-02-11 2020-02-11 생선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91A KR102418623B1 (ko) 2020-02-11 2020-02-11 생선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22A KR20210101922A (ko) 2021-08-19
KR102418623B1 true KR102418623B1 (ko) 2022-07-07

Family

ID=7749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491A KR102418623B1 (ko) 2020-02-11 2020-02-11 생선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6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03Y1 (ko) 2003-03-26 2003-06-12 박미희 닭고기 절단기
KR200321320Y1 (ko) 2003-05-06 2003-07-28 강석주 육면체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하는 육절기.
KR200434859Y1 (ko) * 2006-09-26 2006-12-28 정명훈 자동 육절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98B1 (ko) * 2001-04-03 2003-10-10 강석주 육절기
KR200437169Y1 (ko) 2006-12-11 2007-11-08 양희창 생선의 머리부 커팅장치
KR20100060298A (ko) * 2008-11-27 2010-06-07 이창복 건초 절단기
KR101692587B1 (ko) * 2014-10-07 2017-01-17 강석주 카트리지형 육절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03Y1 (ko) 2003-03-26 2003-06-12 박미희 닭고기 절단기
KR200321320Y1 (ko) 2003-05-06 2003-07-28 강석주 육면체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하는 육절기.
KR200434859Y1 (ko) * 2006-09-26 2006-12-28 정명훈 자동 육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22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9242B2 (ja) 切断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おける方法
US1843453A (en) Conveyer mechanism for wrapping machines
JP7102664B2 (ja) 栗皮の切込み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418623B1 (ko) 생선 절단장치
KR101437116B1 (ko) 양파 박피기
CN216578063U (zh) 一种瓦楞纸的自动切割装置
KR101473098B1 (ko) 배추 절단기
KR101488977B1 (ko) 양파 가공기
KR20100066257A (ko) 떡 절단장치
CN207105006U (zh) 一种实用型切菜机
KR20150144970A (ko) 양파의 뿌리 및 줄기 자동제거장치
JP2018102279A (ja) 鱗茎菜類調製機
KR100453326B1 (ko) 양초재단장치
JP7109760B2 (ja) 鱗茎菜類調製機
JP4641519B2 (ja) 鱗茎菜類調製機
KR20000003981U (ko) 생무우 절단기의 생무우 공급장치
KR101596851B1 (ko)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
JP2010193800A (ja) 根切断装置および玉葱調製機
CN216180908U (zh) 大黄切片机
CN114570810B (zh) 一种风扇叶片的快速扭曲装置
CN219537389U (zh) 一种改进型玉桂生皮表层刨皮机
CN210553271U (zh) 一种彩印纸盒生产单个纸盒分割装置
CN216493150U (zh) 一种风干牛羊肉自动加工装置
CN113968383B (zh) 拖鞋成对合并机及拖鞋包装设备
CN215094962U (zh) 一种隐形眼镜模具送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