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851B1 -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851B1
KR101596851B1 KR1020150169741A KR20150169741A KR101596851B1 KR 101596851 B1 KR101596851 B1 KR 101596851B1 KR 1020150169741 A KR1020150169741 A KR 1020150169741A KR 20150169741 A KR20150169741 A KR 20150169741A KR 101596851 B1 KR101596851 B1 KR 101596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bulb
couple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균
노상근
서상균
김생곤
Original Assignee
티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8Devices for topping or skinning onions or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65G33/06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conveyed and guided by parallel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36Devices for emptying from the top
    • B65G65/38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상단 중앙부위에서 연장돌출되는 수평거치대(12)와, 상호 대향하며 수평거치대(12) 좌우 양측 하방에 마련되는 측면거치대(16)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2) 상측에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이송벨트(22)와, 이송벨트(22)를 구동시키는 이송모터(26)가 구비되는 구근운반기(20)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몸체(31) 내부의 상부 일측 및 상부 타측 각각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롤러(32)와, 제1회동판(332)의 하측부위에 설치되는 제1가동롤러(33)와, 제2회동판(342)의 하측부위에 설치되는 제2가동롤러(34)와, 롤러(32) 및 제1, 2가동롤러(33, 34)를 무한궤도 운동하는 가압벨트(35)와, 롤러(32) 중의 어느 하나와 축연결되는 구동모터(36)로 이루어지는 구근가압운반기(30)와; 고정판(41)과, 각 고정판(41)의 내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2, 3가동대(42, 43, 44)와, 각 제1가동대(42)의 타단부위에 마련되되 조절나사(466)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칼날조절대(46)와, 칼날조절대(46)의 하단부위에 마련되는 칼날(47)로 이루어지는 구근외피절개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Apparatus for stripping the epidermis of bulbous plant}
본 발명은 양파 등과 같은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투입되는 다양한 크기의 구근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구근을 긴밀하게 가압한 상태에서 구근의 외피 부위를 정확하게 절개할 수 있는 구근외피절개부가 구비되는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백합과에 속하는 구근 식물은 그 특징적인 맛과 인체에 유익한 영양성분으로 인해 오랜 전부터 동서양의 요리 재료로 활용돼 왔는데 대표적인 구근 식물이 양파이다. 양파를 요리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양파의 겉부분을 이루는 외피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대량으로 양파가 필요한 경우 이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것은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질 뿐 아니라 외피 제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근자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양파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양파의 외피를 절개하고, 절개된 양파의 외피를 물이나 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제거하는 장치들이 속속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62465호이다. 이 기술은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양파공급장치(210), 컨베이어이송수단(220, 260), 양파고정수단(230), 바늘고정수단(240), 공기분사장치(250, 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양파공급장치(210)로부터 양파가 공급되면, 양파는 컨베이어이송수단(220)을 통해 이동한다. 이때, 양파고정수단(230)이 양파를 일시 고정할 때 바늘고정수단(240)이 양파의 측면 부위를 절개하게 되고, 뒤이어 공기분사장치(250, 270)가 절개된 양파들에 순차적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면 양파의 외피가 제거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회전톱날 구조로 이루어지는 양파고정수단으로서 양파를 일시 고정하게 되면, 양파고정수단의 회전톱날이 양파 내부까지 깊숙하게 파고들기 때문에 양파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양파의 외피를 절개하는 바늘고정수단이 양파고정수단의 일측에 위치하는 특성상 양파의 측면부위를 완전하게 절개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아무리 공기분사장치를 이중으로 구성한다 할지라도 양파의 외피가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고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개연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879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6246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52626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되는 구근의 크기에 상관없이 이들을 적절하게 가압한 상태에서 구근의 측면 모서리부위를 완전하게 절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거함(2) 및 공급롤러(3)가 구비되는 구근공급부(4)와, 상기 구근공급부(4)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공급롤러(3)로부터 공급되는 구근의 외피를 절개하는 구근외피절개부(1)와, 일방향스크류(5) 및 외피제거수단(7)이 구비되어 상기 구근외피절개부(1) 일측에 위치하는 구근외피제거부(6)와, 이송컨베이어(9)가 구비되어 상기 구근외피제거부(6) 일측에 위치하는 구근이송부(8)로 이루어지는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로서, 상기 구근외피절개부(1)는,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상단 중앙부위에서 연장돌출되는 수평거치대(12)와, 상호 대향하며 수평거치대(12) 좌우 양측 하방에 마련되는 측면거치대(16)와, 수평거치대(12)의 일단 하측부위에 마련되는 제1결합단(121)과, 복수 개의 제1결합공(123)이 형성되어 제1결합단(1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평거치대(12) 하측부위에 마련되는 제1조절판(124)과, 제1조절판(124)과 인접하여 수평거치대(12)의 하측부위에 마련되는 제2결합단(125)이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2) 상측에 설치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V자 구조를 이루며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이송벨트(22)와, 각 이송벨트(22)의 외측부위에 설치되어 이송벨트(22)를 구동시키는 이송모터(26)가 구비되는 구근운반기(20)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판상의 몸체(31)와, 몸체(31)의 상부 일측에 부위에 마련되는 제1가동단(321)과, 복수 개의 제2결합공(323)이 형성되어 제1가동단(321)과 인접하여 몸체(31)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조절판(324)과, 제2조절판(324)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몸체(31)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가동단(325)과, 일측부위는 제1핀(P2)에 의해 제1결합단(121)과 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제3핀(P3)에 의해 제1가동단(321)에 결합되는 제1가동판(322)과, 일측부위는 제2핀(P2)에 의해 제2결합단(125)과 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제4핀(P4)에 의해 제2가동단(325)과 결합되는 제2가동판(326)과, 일단부위는 제1조절판(124)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123)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제2조절판(324)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323)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328)과,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몸체(31) 내부의 상부 일측 및 상부 타측 각각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롤러(32)와, 중앙부위가 제1고정핀(331)에 의해 지지되며 몸체(31)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제1회동판(332)과, 제1회동판(332)의 하측부위에 설치되는 제1가동롤러(33)와, 일단부위는 제1회동판(332)의 상측부위와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몸체(31)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334)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333)과, 중앙부위가 제2고정핀(341)에 의해 지지되며 제1회동판(33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몸체(31)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는 제2회동판(342)과, 제2회동판(342)의 하측부위에 설치되는 제2가동롤러(34)와, 일단부위는 제2회동판(342)의 상측부위와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몸체(31)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344)에 결합되는 제3스프링(343)과, 롤러(32) 및 제1, 2가동롤러(33, 34)를 무한궤도 운동하는 가압벨트(35)와, 롤러(32) 중의 어느 하나와 축연결되는 구동모터(36)로 이루어지는 구근가압운반기(30)와; 구근가압운반기(30) 하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일단부위에는 절곡단(412)이 마련되어 각 측면거치대(16)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판(41)과, 일단부위는 각 제1가동핀(421)에 의해 각 고정판(41)의 내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일정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1가동대(42)와, 일단부위가 각 제2가동핀(431)에 의해 각 제1가동대(42)의 중앙부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동대(43)와, 일단부위는 각 제3가동핀(441)에 의해 각 제2가동대(43)의 타단부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각 제4가동핀(442)에 의해 각 고정판(41)의 내면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가동대(44)와, 일단부위는 각 절곡단(412)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각 제1가동대(42)의 일측부위에 결합되는 제4스프링(45)과, 각 제1가동대(42)의 타단부위에 마련되되 조절나사(466)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칼날조절대(46)와, 칼날조절대(46)의 하단부위에 마련되는 칼날(47)로 이루어지는 구근외피절개기(4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제1결합단(121) 하단에는 상기 구근가압운반기(30)의 제1가동판(322)의 하향 운동 정도를 제어하기 위해 일정길이의 볼트로 이루어지는 제1스톱퍼(122)가 마련되고, 상기 제3가동핀(441)과 일정거리 이격된 제3가동대(44)의 하측부위에는 수직으로 절곡된 가압면(442)이 구비되고 상기 제2가동대(43)의 중앙부위 일측에는 상기 제3가동대(44)의 상향 운동 정도를 제어하기 위해 일정길이의 볼트로 이루어지는 제2스톱퍼(43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조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이중의 가동롤러를 이용하여 구근을 긴밀하게 가압한 상태로 이동시키되, 이에 연동하여 가동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칼날로서 구근의 외피 부위를 절개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구근이 투입되더라도 구근의 외피 부위를 환형으로 정확하게 절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외피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외피 제거장치에 있어 구근외피절개부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외피 제거장치에 있어 구근외피절개부의 개략적인 측면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외피절개부에 있어 구근가압운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가압운반기의 개략적인 작동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외피절개부에 있어 구근외피절개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외피절개기의 개략적인 작동구성도.
도 5는 종래 구근류 외피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외피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며, 도 2a 및 도 2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외피 제거장치에 있어 구근외피절개부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및 측면구성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외피절개부에 있어 구근가압운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외피절개부에 있어 구근외피절개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구근공급부(4), 구근외피절개부(1), 구근외피제거부(6), 구근이송부(8)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구근공급부(4)는 수거함(2) 및 공급롤러(3)를 포함한다. 수거함(2)은 외피 제거가 필요한 구근이 투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그 상부가 개구된다. 공급롤러(3)는 수거함(2)에 투입된 구근을 순차적으로 구근외피절개부(1)로 공급하는 수단으로, 수거함(2)의 일측부위에 마련된다. 공급롤러(3)는 미도시된 모터에 의해 작동되며, 도면과 같이 구근의 안전한 공급을 위한 복수 개의 칸이 구비된다.
구근외피절개부(1)는 공급되는 구근의 외피부분을 절개하는 수단으로, 구근공급부(4) 일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근외피절개부(1)는, 지지프레임(10), 구근운반기(20), 구근가압운반기(30), 구근외피절개기(40)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지지프레임(10)은 구근외피절개부(1)를 이루는 각 부분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도면과 같이 복수 개의 가로프레임(11) 및 세로프레임(13)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10)의 상단 중앙부위에는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이루며 연장돌출되는 수평거치대(12)가 구비된다. 또한, 수평거치대(12)의 좌우 양측 하방에는 상호 대향하는 측면거치대(16)가 구비된다.
또한, 수평거치대(12)에는 제1, 2결합단(121, 125) 및 제1조절판(124)이 마련된다. 제1결합단(121)은 수평거치대(12)의 일단 하측부위에 마련되며, 제1조절판(124)은 제1결합단(1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평거치대(12) 하측부위에 마련된다. 제1조절판(124)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1결합공(123)이 형성된다. 제2결합단(125)은 제1조절판(124)과 인접하여 수평거치대(12)의 하측부위에 마련된다.
구근운반기(20)는 구근공급부(4)에서 공급되는 양파를 운반하는 장치로서, 이송벨트(22) 및 이송모터(26)가 구비된다. 이송벨트(22)는 지지프레임(12) 상측에 설치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V자 구조를 이루며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송벨트(22) 사이의 간격은 구근의 종류에 따라 임의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송모터(26)는 이송벨트(22)를 구동시키는 수단으로 각 이송벨트(22)의 외측부위에 설치된다. 이송모터(26)의 구동축과 이송벨트(22)의 연결은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근가압운반기(30)는 이송벨트(22)에 의해 운반되는 구근을 가압하여 운반하는 장치로서, 몸체(31), 제1, 2가동단(321, 325), 제2조절판(324), 제1, 2가동판(322, 326), 제1스프링(328), 롤러(32), 제1, 2회동판(332, 342), 제1, 2가동롤러(33, 34), 제2, 3스프링(333, 343), 가압벨트(35), 구동모터(36)를 포함한다.
몸체(31)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한다. 제1가동단(321)은 몸체(31)의 상부 일측에 부위에 마련된다. 제2조절판(324)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결합공(323)이 형성되어 제1가동단(321)과 인접하여 몸체(31)의 상부에 마련된다. 제2가동단(325)은 제2조절판(324)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몸체(31)의 상부에 마련된다.
제1가동판(322)은 일측부위가 제1핀(P1)에 의해 제1결합단(121)과 결합되고 타측부위가 제3핀(P3)에 의해 제1가동단(321)과 결합된다. 제2가동판(326)은 일측부위가 제2핀(P2)에 의해 제2결합단(125)과 결합되고 타측부위가 제4핀(P4)에 의해 제2가동단(325)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2가동판(322, 326) 각각은 제1, 3핀(P1, P3) 및 제2, 3핀(P2, P4) 각각의 핀축에 대해 일정 각도 회동가능해진다.
제1스프링(328)은 구근가압운반기(3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일단부위는 제1조절판(124)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123)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제2조절판(324)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323)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제1스프링(328)이 제1, 2결합공(123, 323) 중의 어느 곳에 결합되느냐에 따라 구근가압운반기(30)의 하방 처짐 정도가 제어된다. 제1스프링은 도면과 같이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32)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몸체(31) 내부의 상부 일측 및 상부 타측 각각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각 롤러(32)의 회전축은 몸체(31)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구동모터(36)는 롤러(32) 중의 어느 하나와 축연결되어 롤러를 회전시킨다.
제1회동판(332)는 중앙부위가 제1고정핀(331)에 의해 지지되며 몸체(31)의 하부 일측에 마련된다. 제1고정핀(331)의 양단부위는 몸체(31)의 내면에 결합되는 결합판(33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가동롤러(33)는 제1회동판(332)의 하측부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스프링(333)은 그 일단부위가 제1회동판(332)의 상측부위와 결합되고, 그 타단부위는 제1브라켓(334)에 결합된다. 제1브라켓(334)은 결합판(226)에 고정결합된다. 도면부호 335는 제2스프링(333)의 복원력 정도를 제어하는 조절볼트이다.
제2회동판(342)는 제1회동판(33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몸체(31)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며, 중앙부위가 제2고정핀(341)에 의해 지지된다. 제2가동롤러(34)는 제2회동판(342)의 하측부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스프링(343)은 그 일단부위가 제2회동판(342)의 상측부위와 결합되고, 그 타단부위는 제2브라켓(344)에 결합된다. 제2고정핀(341) 및 제2브라켓(344)은 결합판(336)에 의해 지지된다. 도면에 명확하게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제3스프링(343)의 복원력 정도를 제어하는 조절볼트가 구비된다.
가압벨트(35)는 이송벨트(22)에 의해 운반되는 구근을 가압하는 수단으로, 롤러(32) 및 제1, 2가동롤러(33, 34) 각각의 외면에 밀착되어 무한궤도 운동한다. 가압벨트(35)의 회전운동은 이송벨트(22)의 직선운동과 부합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벨트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고장력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3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지지프레임(10)의 제1결합단(121) 하단에는 제1스톱퍼(122)가 마련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스톱퍼(122)는 제1가동판(322)과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스톱퍼(122)가 마련되면 제1스프링(328)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는 구근가압운반기(30)의 제1가동판(322)에 대한 하향 운동하는 정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구근외피절개기(40)는 이송벨트(22) 및 가압벨트(35)에 의해 운반되는 구근의 외피 부위를 절개하는 장치이다. 구근외피절개기(40)는 고정판(41), 제1, 2, 3가동대(42, 43, 44), 제4스프링(45), 칼날조절대(46), 칼날(47)를 포함한다.
고정판(41)은 도 2a 및 도 2b 각각과 같이, 구근가압운반기(30) 하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져 각 측면거치대(16)에 고정결합되며, 각각의 일단부위에는 절곡단(412)이 마련된다. 도 2a는 좌측 측면거치대(16)만이 개시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는데, 고정판(41)은 생략된 우측 측면거치대에 고정결합된다.
제1가동대(42)의 일단부위는 각 제1가동핀(421)에 의해 각 고정판(41)의 내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일정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타단부위가 도 4a와 같이 일정각도를 이루게 한 이유는 칼날(47)과 운반되는 구근 사이의 간격을 좁히기 위함이다. 제2가동대(43)는 일단부위가 각 제2가동핀(431)에 의해 각 제1가동대(42)의 중앙부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가동대(44)는 일단부위가 각 제3가동핀(441)에 의해 각 제2가동대(43)의 타단부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각 제4가동핀(442)에 의해 각 고정판(41)의 내면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4스프링(45)은 일단부위가 각 절곡단(412)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각 제1가동대(42)의 일측부위에 결합된다. 칼날조절대(46)는 각 제1가동대(42)의 타단부위에 마련되며, 조절나사(466)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된다. 칼날(47)은 칼날조절대(46)의 하단부위에 마련되어 돌출되며, 교체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3가동대(44)에 대한 상향 운동 정도를 제어하는 제2스톱퍼(432)가 마련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제2스톱퍼(432)는 제2가동대(43)의 중앙부위 일측에 마련되며, 이와 대응하여 제3가동핀(441)과 일정거리 이격된 제3가동대(44)의 하측부위에는 수직으로 절곡된 가압면(442)이 구비된다. 제2스톱퍼(432)는 가압면(442)과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스톱퍼(432)가 마련되면, 제4스프링(45)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는 구근외피절개기(40)의 상향 정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구근외피제거부(6)는 구근외피절개부(1) 일측에 위치하며, 일방향스크류(5) 및 외피제거수단(7)이 구비된다. 일방향스크류(5)는 도면과 같이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일방향스크류에는 구근의 안치를 위한 홈이 마련된다. 외피제거수단(7)은 구근외피절개부(1)의 작동으로 절개된 양파의 외피를 제거하는 수단으로, 물 또는 고압공기의 분사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방향스크류(5) 및 외피제거수단(7)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은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근이송부(8)는 구근외피제거부(6) 일측에 위치하며 이송컨베이어(9)가 구비된다. 구근외피제거부(6)에서 외피가 제거된 양파는 이송컨베이어(9)를 통해 미도시된 작업공간으로 이송된다. 이송컨베이어(9)는 미도시된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을 전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 1, 도 2a, 도 3b, 도 4b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외피 제거가 필요한 구근(O)이 수거함(2)에 투입되면, 투입되는 순서대로 공급롤러(3)가 이를 구근외피절개부(1)로 공급한다. 구근외피절개부(1)로 공급된 구근(O)은 이송벨트(22)에 의해 운반되어 구근가압운반기(30) 쪽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벨트(35)와 접한다. 이때, 구근(O)의 하부는 이송벨트(22)와 접하고 상부는 가압벨트(35)와 접하기 때문에, 제1가동롤러(33)는 도 3b와 같이 구근(O)에 의해 상방으로 살짝 들린다.
즉, 구근(O)은 신장된 제2스프링(333)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는 제1가동롤러(35)와 이송벨트(22)에 의해 긴밀하게 가압된 상태로 운반되는 것이다. 제1가동롤러(35)와 이송벨트(22)에 의해 긴밀하게 가압된 상태로 일정거리 운반된 구근(O)은 도 4b와 같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는 구근외피절개기(40)의 칼날조절대(46) 하단부위와 접한다.
칼날조절대(46) 사이의 간격이 구근(O)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구근(O)은 제1가동롤러(35)와 이송벨트(22)의 작동에 따라 그 외피 부위가 칼날조절대(46)의 하단부위와 접한 상태로 칼날조절대(46)를 밀어내면서 전진한다. 이때, 칼날조절대(46)에 구비되는 칼날(47)이 구근(O)의 외피 속으로 침투하면서 절개가 시작된다.
한편, 구근(O)이 제4스프링(45)의 복원력을 받고 있는 칼날조절대(46)를 밀어내면서 전진하는 과정에서 제1가동롤러(33)를 지나친 구근(O)은 다시 제2가동롤러(34)와 접하게 되고, 구근(O)은 신장된 제3스프링(343)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는 제2가동롤러(34)와 이송벨트(22)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즉, 구근(O)은 재차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4스프링(45)의 복원력을 받고 있는 칼날조절대(46)의 칼날(47)을 밀면서 전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구근(O)의 외피 부위는 칼날(47)에 의해 환형으로 완전히 절개된다. 구근에 대한 외피 절개가 완료되면, 제2가동롤러(34)는 제3스프링(343)의 복원력으로 인해 원위치로 복귀하고, 칼날조절대(46) 역시 제4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구근에 대한 외피 절개 작업을 대비한다.
외피 부위가 완전하게 절개된 구근은 구근외피제거부(6)의 일방향스크류(5)에 의해 운반되며, 운반과정에서 외피제거수단(7)의 작용으로 구근의 외피는 완전히 제거된다. 외피제거 과정에서 제거된 외피는 미도시된 구근외피제거부(6)의 하측에 설치되는 외피수거함으로 떨어지고, 외피가 제거된 구근은 이송컨베이어(9)에 의해 미도시된 작업공간으로 운반되면서 작업은 종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구근외피절개부 4 : 구근공급부
6 : 구근외피제거부 8 : 구근이송부
10 : 지지프레임 20 : 구근운반기
30 : 구근가압운반기 40 : 구근외피절개기

Claims (2)

  1. 수거함(2) 및 공급롤러(3)가 구비되는 구근공급부(4)와, 상기 구근공급부(4)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공급롤러(3)로부터 공급되는 구근의 외피를 절개하는 구근외피절개부(1)와, 일방향스크류(5) 및 외피제거수단(7)이 구비되어 상기 구근외피절개부(1) 일측에 위치하는 구근외피제거부(6)와, 이송컨베이어(9)가 구비되어 상기 구근외피제거부(6) 일측에 위치하는 구근이송부(8)로 이루어지는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로서,
    상기 구근외피절개부(1)는,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상단 중앙부위에서 연장돌출되는 수평거치대(12)와, 상호 대향하며 수평거치대(12) 좌우 양측 하방에 마련되는 측면거치대(16)와, 수평거치대(12)의 일단 하측부위에 마련되는 제1결합단(121)과, 복수 개의 제1결합공(123)이 형성되어 제1결합단(1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평거치대(12) 하측부위에 마련되는 제1조절판(124)과, 제1조절판(124)과 인접하여 수평거치대(12)의 하측부위에 마련되는 제2결합단(125)이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2) 상측에 설치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V자 구조를 이루며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이송벨트(22)와, 각 이송벨트(22)의 외측부위에 설치되어 이송벨트(22)를 구동시키는 이송모터(26)가 구비되는 구근운반기(20)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는 판상의 몸체(31)와, 몸체(31)의 상부 일측에 부위에 마련되는 제1가동단(321)과, 복수 개의 제2결합공(323)이 형성되어 제1가동단(321)과 인접하여 몸체(31)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조절판(324)과, 제2조절판(324)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몸체(31)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가동단(325)과, 일측부위는 제1핀(P2)에 의해 제1결합단(121)과 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제3핀(P3)에 의해 제1가동단(321)에 결합되는 제1가동판(322)과, 일측부위는 제2핀(P2)에 의해 제2결합단(125)과 결합되고 타측부위는 제4핀(P4)에 의해 제2가동단(325)과 결합되는 제2가동판(326)과, 일단부위는 제1조절판(124)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123)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제2조절판(324)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323)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328)과,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몸체(31) 내부의 상부 일측 및 상부 타측 각각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롤러(32)와, 중앙부위가 제1고정핀(331)에 의해 지지되며 몸체(31)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제1회동판(332)과, 제1회동판(332)의 하측부위에 설치되는 제1가동롤러(33)와, 일단부위는 제1회동판(332)의 상측부위와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몸체(31)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334)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333)과, 중앙부위가 제2고정핀(341)에 의해 지지되며 제1회동판(332)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몸체(31)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는 제2회동판(342)과, 제2회동판(342)의 하측부위에 설치되는 제2가동롤러(34)와, 일단부위는 제2회동판(342)의 상측부위와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몸체(31)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344)에 결합되는 제3스프링(343)과, 롤러(32) 및 제1, 2가동롤러(33, 34)를 무한궤도 운동하는 가압벨트(35)와, 롤러(32) 중의 어느 하나와 축연결되는 구동모터(36)로 이루어지는 구근가압운반기(30)와;
    구근가압운반기(30) 하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일단부위에는 절곡단(412)이 마련되어 각 측면거치대(16)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판(41)과, 일단부위는 각 제1가동핀(421)에 의해 각 고정판(41)의 내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일정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1가동대(42)와, 일단부위가 각 제2가동핀(431)에 의해 각 제1가동대(42)의 중앙부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동대(43)와, 일단부위는 각 제3가동핀(441)에 의해 각 제2가동대(43)의 타단부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각 제4가동핀(442)에 의해 각 고정판(41)의 내면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가동대(44)와, 일단부위는 각 절곡단(412)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각 제1가동대(42)의 일측부위에 결합되는 제4스프링(45)과, 각 제1가동대(42)의 타단부위에 마련되되 조절나사(466)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칼날조절대(46)와, 칼날조절대(46)의 하단부위에 마련되는 칼날(47)로 이루어지는 구근외피절개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제1결합단(121) 하단에는 상기 구근가압운반기(30)의 제1가동판(322)의 하향 운동 정도를 제어하기 위해 일정길이의 볼트로 이루어지는 제1스톱퍼(122)가 마련되고, 상기 제3가동핀(441)과 일정거리 이격된 제3가동대(44)의 하측부위에는 수직으로 절곡된 가압면(442)이 구비되고 상기 제2가동대(43)의 중앙부위 일측에는 상기 제3가동대(44)의 상향 운동 정도를 제어하기 위해 일정길이의 볼트로 이루어지는 제2스톱퍼(43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
KR1020150169741A 2015-12-01 2015-12-01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 KR101596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741A KR101596851B1 (ko) 2015-12-01 2015-12-01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741A KR101596851B1 (ko) 2015-12-01 2015-12-01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851B1 true KR101596851B1 (ko) 2016-02-23

Family

ID=5544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741A KR101596851B1 (ko) 2015-12-01 2015-12-01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8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046B1 (ko) * 2017-01-09 2018-03-26 티이티 주식회사 구근류 박피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900B1 (ko) 2009-09-28 2010-10-13 최병국 양파 탈피장치
KR101127620B1 (ko) * 2009-07-24 2012-03-26 고찬규 파 탈피장치
KR101162465B1 (ko) 2011-01-20 2012-07-04 김성부 양파껍질 탈피장치
KR101437116B1 (ko) * 2013-12-05 2014-09-03 주식회사 청하기계 양파 박피기
KR101488977B1 (ko) * 2014-03-20 2015-02-11 주식회사 청하기계 양파 가공기
KR20150052626A (ko) 2013-11-06 2015-05-14 주식회사 삼원테크 양파껍질 탈피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20B1 (ko) * 2009-07-24 2012-03-26 고찬규 파 탈피장치
KR100987900B1 (ko) 2009-09-28 2010-10-13 최병국 양파 탈피장치
KR101162465B1 (ko) 2011-01-20 2012-07-04 김성부 양파껍질 탈피장치
KR20150052626A (ko) 2013-11-06 2015-05-14 주식회사 삼원테크 양파껍질 탈피장치
KR101437116B1 (ko) * 2013-12-05 2014-09-03 주식회사 청하기계 양파 박피기
KR101488977B1 (ko) * 2014-03-20 2015-02-11 주식회사 청하기계 양파 가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046B1 (ko) * 2017-01-09 2018-03-26 티이티 주식회사 구근류 박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1315A (en) Centering device for feeding articles to a food slicer
US5168801A (en) Apparatus for slicing broccoli and the like into spears
US3621900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rienting and trimming vegetables
KR20150052626A (ko) 양파껍질 탈피장치
KR101596851B1 (ko)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
JP7102664B2 (ja) 栗皮の切込み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940077B2 (ja) カッタ装置
KR101849858B1 (ko) 과실 씨 분리장치
KR101499184B1 (ko) 양파 가공장치
US3623524A (en) Machine for preparing onions
CN108284470B (zh) 一种竹笋纵向开片机
KR20190018992A (ko) 깍둑썰기용 회전커터 자동보정장치
CN215401983U (zh) 一种医用布料分切装置
CN212971615U (zh) 洋葱提升划皮机
KR101675872B1 (ko) 양파의 뿌리 및 줄기 자동제거장치
KR102105964B1 (ko) 야채절단장치
US3126930A (en) Onion coring
KR101768496B1 (ko) 자동 롤 트리밍기
KR101739237B1 (ko) 물결무늬 감자스틱을 제조하기 위한 감자절단장치
JP2016215332A (ja) 食品細割装置
JPH10295350A (ja) 鱗茎菜類の根切断処理装置
US521109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haping the corners of stacked sheet material
JP2003191201A (ja) 多刃鋸盤における材料押さえ装置
KR101924385B1 (ko) 양파 탈피 장치
CN107718221B (zh) 用于高级工艺品制作的全自动化象牙果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