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515B1 -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515B1
KR102559515B1 KR1020230034256A KR20230034256A KR102559515B1 KR 102559515 B1 KR102559515 B1 KR 102559515B1 KR 1020230034256 A KR1020230034256 A KR 1020230034256A KR 20230034256 A KR20230034256 A KR 20230034256A KR 102559515 B1 KR102559515 B1 KR 10255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zen
frozen food
outside air
cu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국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국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국미트
Priority to KR102023003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33Cutting slices out of a piece of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23Dividing poultry
    • A22C21/003Filleting poultry, i.e. extracting, cutting or shaping poultry fillet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20Shredding; Cutting into cubes; Fl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4Crank and pi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는: 공급부를 통해 공급 안내되는 냉동식품을 냉동육편으로 절단하도록 바디에 구비되는 절단부로써, 냉동식품을 설정간격으로 절단하여 냉동육편으로 형성하는 절단칼, 바디에 연결된 채 절단칼을 왕복 이동시키는 전동부, 및 절단칼에 의해 냉동식품이 절단시 절단되는 냉동육편의 절단면과 냉동식품의 표면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AUTOMATIC CUTTER OF FROZEN MEAT}
본 발명은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육(冷凍肉)이나 냉동어(冷凍漁) 등 냉동식품을 절단칼로 절단시, 외기공급모듈을 통해 절단부위에 외기를 분출 제어함으로써, 냉동식품의 내부와 절단된 냉동육편의 내부에 외기를 강제 투입함에 따라 단시간에 일부 해동하여 섭취시 냉장식품의 식감과 유사하도록 하고, 냉동식품의 절단면과 냉동육편의 절단면에 공기층을 형성 안내하여 육즙의 배출을 방지하면서 슬라이스 절단된 냉동육편끼리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호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익힐 경우 열기를 이웃한 냉동육편 사이로 전달되는 효율을 증대하고자 하는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와 같은 육류 제품은 냉장 상태로 가공된 후 국거리, 구이용 등 다양한 형태로 섭취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육류 제품은 냉장 상태에 있는 경우 보존 기간이 길지 않으므로 육류 제품은 다양한 형태로 냉동 가공되어 유통되고 있다.
특히, 냉동의 수산물이나 육제품 가공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골절기나 띠톱 절단기는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기계장치로서, 보통은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칼날이나 띠톱을 이용해서 뼈가 있는 단단한 냉동의 수산물이나 육제품을 절단하는 기계장치이다. 이 기계장치는 인력으로는 과도한 힘의 소요되는 냉동의 수산물이나 육제품을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골절기와 마찬가지로 냉동의 수산물이나 육제품의 가공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슬라이스기는 전기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기계장치로서, 회전하는 톱날로 육제품을 얇게 슬라이스 하는 기계장치이다. 이 기계장치는 정해진 치수대로 냉동의 수산물이나 육제품을 연속해서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정육점이나 냉동 수산물 판매 매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8106호에 띠톱 방식 육절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영하 5도 내외의 온도 상태인 공간에 저장되는 수산물이나 육류 등의 냉동식품은 설정 시간 동안 자연 해동 후 골절기나 띠톱 절단기로 절단하지만, 절단면이 빙결 상태임에 따라 절단면끼리 달라붙어 떼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냉동식품은 설정 시간 동안 자연 해동 후 골절기나 띠톱 절단기로 절단하지만 소정 냉동 상태로 불판에서 구워 시식함에 따라 불판에서 해동과 동시에 익혀짐에 따라 육질 내부에 물기가 잔류하기 때문에 냉장제품 대비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동육(冷凍肉)이나 냉동어(冷凍漁) 등 냉동식품을 절단칼로 절단시, 외기공급모듈을 통해 절단부위에 외기를 분출 제어함으로써, 냉동식품의 내부와 절단된 냉동육편의 내부에 외기를 강제 투입함에 따라 단시간에 일부 해동하여, 섭취시 냉장식품의 식감과 유사하도록 함으로 인해 섭취자의 만족도를 증대하고자 하는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동식품의 절단면과 냉동육편의 절단면에 공기층을 형성 안내하여 육즙의 배출을 방지하면서 슬라이스 절단된 냉동육편끼리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호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익힐 경우 열기를 이웃한 냉동육편 사이로 전달되는 효율을 증대하고자 하는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동식품을 높이 방향으로 전체나 일부를 절단하거나, 또는 전체와 일부를 번갈아 절단하도록, 절단칼이 제어됨에 따라, 절단된 냉동육편의 활용도를 증대하고자 하는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고, 냉동식품을 공급 안내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 안내되는 상기 냉동식품을 냉동육편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절단부; 절단된 상기 냉동육편을 공급받아 설정된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배출 안내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배출부; 및 상기 절단칼의 작동에 연동되어, 상기 외기공급모듈을 통해 상기 냉동식품의 절단부위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냉동식품을 설정간격으로 절단하여 상기 냉동육편으로 형성하는 절단칼; 상기 바디에 연결된 채, 상기 절단칼을 왕복 이동시키는 전동부; 및 상기 절단칼에 의해 상기 냉동식품이 절단시, 절단되는 상기 냉동육편의 절단면과 상기 냉동식품의 표면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외기공급모듈은, 상기 냉동식품이 절단을 위해 이송되는 방향으로 상기 절단칼의 전측과 후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외기튜브; 상기 외기튜브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통공 형성되어, 상기 외기튜브를 따라 유동되는 외기를 상기 냉동식품의 절단측으로 분출 안내하는 외기토출홀부; 및 상기 외기튜브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칼은 상기 냉동식품을 높이 방향으로 전체나 일부를 절단하거나, 또는 전체와 일부를 번갈아 절단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단되는 상기 냉동육편의 내부와 절단면, 및 상기 냉동식품의 내부와 표면은 저온 상태에서 외기로 인해 공기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냉동육(冷凍肉)이나 냉동어(冷凍漁) 등 냉동식품을 절단칼로 절단시, 외기공급모듈을 통해 절단부위에 외기를 분출 제어함으로써, 냉동식품의 내부와 절단된 냉동육편의 내부에 외기를 강제 투입함에 따라 단시간에 일부 해동하여, 섭취시 냉장식품의 식감과 유사하도록 함으로 인해 섭취자의 만족도를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동식품의 절단면과 냉동육편의 절단면에 공기층을 형성 안내하여 육즙의 배출을 방지하면서 슬라이스 절단된 냉동육편끼리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호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익힐 경우 열기를 이웃한 냉동육편 사이로 전달되는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동식품을 높이 방향으로 전체나 일부를 절단하거나, 또는 전체와 일부를 번갈아 절단하도록, 절단칼이 제어됨에 따라, 절단된 냉동육편의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동육편의 절단 표면과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익혀질 경우 드립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식감이 부드러워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의 개략적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의 냉동식품을 이송하는 구동부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의 절단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의 절단부의 절단칼과 외기공급모듈의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의 절단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의 개략적 외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의 냉동식품을 이송하는 구동부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의 절단부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의 절단부의 절단칼과 외기공급모듈의 배치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10)의 자동 육절장치(1)는 바디(50), 공급부(100), 절단부(200) 및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바디(5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육절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부(100)는 바디(50)의 일측에 구비되고, 냉동식품(10)을 공급 안내한다. 이때, 바디(50)는 냉동식품(10)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공급부(100)에 해당되는 부위 특히 상측을 개방 또는 개폐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10)은 소, 돼지, 오리, 닭 등 냉동육(冷凍肉)이나, 동태 덩어리 등 냉동어(冷凍漁)와 같이 냉동된 상태의 다양한 식품을 의미한다.
아울러, 절단부(200)는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 안내되는 냉동식품(10)을 냉동육편(20)으로 절단하도록, 바디(50)에 구비된다.
또한, 배출부(300)는 절단된 냉동육편(20)을 공급받아 설정된 바디(50)의 외측으로 배출 안내하도록, 바디(50)에 구비된다.
상세히, 공급부(100)는 본체(110), 푸셔(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공급부(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디(50) 자체일 수도 있고, 바디(50)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본체(110)는 베이스(111) 및 측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1)는 냉동된 정형체인 냉동식품(10)을 안착시켜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베이스(111)는 냉동식품(10)의 용이한 이송을 허용하기 위해 평판 형상일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111)는 컨베이어벨트 등 이송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측면부(112)는 베이스(111)에 놓인 냉동식품(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을 접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베이스(111)는 냉동식품(10)을 안착할 수 있도록 냉동식품(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측면부(112)는 베이스(111)에서 이동되는 냉동식품(10)의 측면을 지지 안내한다. 이때, 베이스(111)는 바디(50)에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절단하고자 하는 냉동식품(10)의 한쪽 측면을 측면부(112)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경사를 가질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는 바디(50)의 상측에 함몰된 홈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편의상, 베이스(111)는 바디(50)에 형성되는 홈의 내부 바닥면인 것으로 한다.
또한, 푸셔(120)는 본체(110) 특히 베이스(111)에 놓인 냉동식품(10)을 절단부(200) 측으로 비연속적으로 설정거리만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푸셔(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구동부(130)는 푸셔(120)를 절단부(200) 측으로 비연속적으로 설정거리만큼 미는 역할을 한다.
즉, 구동부(130)는 냉동식품(10)에서 절단되는 냉동육편(20)의 두께를 일정하게 또는 설정된 두께로 하기 위해, 냉동식품(10)의 일측을 눌러 지지하고 있는 푸셔(120)를 냉동육편(20)의 두께 정도의 일정한 거리만큼 반복하여 냉동식품(10)을 절단부(200) 측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구동부(130)는 구동모터(131), 구동풀리(132), 종동풀리(133), 벨트(134), 볼스크류(135) 및 이송블록(136)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31)는 바디(50) 또는 본체(110)에 고정 설치되고,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발생한다.
구동풀리(132)는 구동모터(131)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3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방향, 또는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번갈아 회전된다.
종동풀리(133)는 구동풀리(132)의 회전에 연동되어 일방향, 또는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번갈아 회전된다.
특히, 벨트(134)는 구동풀리(132)와 종동풀리(133)를 연결하여, 구동풀리(132)의 회전력을 종동풀리(13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구동풀리(132)와 종동풀리(133)는 벨트(134)에 의해 동일 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연동되게 회전된다.
그리고, 볼스크류(135)는 종동풀리(133)의 중심에 삽입된다. 이때, 볼스크류(135)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바디(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볼스크류(135)는 축 방향으로 위치 고정된 채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송블록(136)은 푸셔(120)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볼스크류(135)를 축 삽입한다.
이때, 볼스크류(135)는 둘레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송블록(136)은 볼스크류(135)를 축 삽입하는 홀의 내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한다.
그래서, 볼스크류(135)가 종동풀리(133)의 회전에 연동되어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이송블록(136)은 볼스크류(135)의 축 방향을 따라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푸셔(120)가 베이스(111)에 놓인 냉동식품(10)을 절단부(200)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특히, 이송블록(136)이 안정적으로 전후진 이동될 수 있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디(50) 또는 본체(110)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이송블록(136)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냉동식품(10)이 베이스(111)에 놓이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작업자는 레버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푸셔(120)를 밀어 이동시키거나, 또는 실린더 등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작동시켜 푸셔(120)를 설정 거리만큼 반복적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절단부(200)는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이동)되는 냉동식품(10)을 미리 정해진 크기의 냉동육편(20)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칼(210), 전동부(220) 및 외기공급모듈(230)을 포함한다.
절단칼(210)은 냉동식품(10)을 설정간격으로 절단하여 냉동육편(20)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절단칼(2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편의상 사각 커터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전동부(220)는 바디(50)에 연결된 채, 절단칼(210)을 왕복 이동 안내한다.
다시 말해서, 절단칼(210)은 몸체(211) 및 칼날(212)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1)는 다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211)는 절단하고자 하는 냉동식품(10)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두께가 정해질 수 있다. 이때, 몸체(211)는 일측이 구동부(130)에 연결되어 구동부(130)로부터 직선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일측 이외의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칼날(212)은 냉동식품(10)을 직접적으로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몸체(211)의 타측에 날카로운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칼날(212)은 절단하고자 하는 냉동식품(10)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두께가 정해질 수 있다.
아울러, 칼날(212)은 몸체(211)의 타측 모서리를 따라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지만,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가질 수도 있고, 절단하는 냉동식품(10)의 종류와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동부(220)는 절단칼(210)의 일측에 연결되고, 절단칼(210)이 냉동식품(10)을 절단하기 위한 직선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전동부(220)는 전동모터(221), 전동풀리(222), 전동벨트(224), 회전부재(223), 샤프트(225), 크랭크축(226) 및 커넥팅로드(227)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모터(221)는 바디(50) 또는 본체(110)에 고정 설치되고,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발생한다.
전동풀리(222)는 전동모터(221)에 연결되어, 전동모터(2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방향, 또는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번갈아 회전된다.
회전부재(223)는 전동풀리(222)의 회전에 연동되어 일방향, 또는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번갈아 회전된다.
특히, 전동벨트(224)는 전동풀리(222)와 회전부재(223)를 연결하여, 전동풀리(222)의 회전력을 회전부재(22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전동풀리(222)와 회전부재(223)는 전동벨트(224)에 의해 동일 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연동되게 회전된다.
그리고, 샤프트(225)는 회전부재(223)의 중심에 삽입된다. 이때, 샤프트(225)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회전부재(22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래서, 샤프트(225)는 회전부재(223)와 동일 방향으로 함께 회전된다.
크랭크축(226)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회전부재(223)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그래서, 회전부재(223)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크랭크축(226)은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이 호 또는 원호 궤적을 따라 이동된다. 물론, 크랭크축(226)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커넥팅로드(227)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크랭크축(226)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절단칼(210)의 몸체(211)에 힌지 연결된다. 특히, 커넥팅로드(227)는 몸체(211)의 상대적으로 두꺼운 일측에 힌지 연결됨에 따라, 몸체(211)는 내구성을 유지하거나 증대된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넥팅로드(227)와 절단칼(210)의 몸체(211)의 연결 부위는 바디(50) 또는 본체(110)에 일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된다.
그래서, 커넥팅로드(227)의 타측이 크랭크축(226)의 회전에 연동되어 호 또는 원호 궤적을 따라 회동시, 절단칼(210)은 상하 운동을 하며 냉동식품(10)을 설정된 두께만큼 잘라 냉동육편(20)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설정 두께 특히 슬라이드 형태로 절단된 냉동육편(20)은 배출부(300)를 따라 이동되며 배출 안내되는데, 각 냉동육편(20)은 냉동 상태임에 따라 익힐 경우 내부에 물기의 잔류로 인해 냉장식품 대비 식감이 저감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냉동육편(20)이 냉동 상태이기 때문에 상호 절단면끼리 붙어 떼어내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절단부(200)는 외기공급모듈(230)을 포함한다.
외기공급모듈(230)은 절단칼(210)에 의해 냉동식품(10)이 절단시, 절단되는 냉동육편(20)의 절단면과 내부, 및 냉동식품(10)의 절단면 표면과 내부에 외기를 공급한다.
이때, 외기공급모듈(230)은 외기튜브(232), 외기토출홀부(234) 및 외기공급부(236)를 포함한다.
외기튜브(232)는 냉동식품(10)이 절단을 위해 이송되는 방향으로 절단칼(210)의 전측과 후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바디(50) 또는 본체(110)에 고정된다. 아울러, 외기튜브(232)는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측으로 외기를 내부로 유입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물론, 외기튜브(232)는 내부직경, 설치 개수, 형상 및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편의상, 외기튜브(232)는 절단칼(210)의 후측에 하나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외기토출홀부(234)는 외기튜브(232)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통공 형성되어, 외기튜브(232)를 따라 유동되는 외기를 냉동식품(10)의 절단측으로 분출 안내한다. 이때, 외기토출홀부(234)는 외기가 냉동식품(10)의 절단측으로 집중 분출되는 방향으로 외기튜브(232)에 통공 형성된다. 물론, 외기토출홀부(234)는 형상 및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외기공급부(236)는 외기튜브(232)에 외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송풍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발명에 따른 냉동식품(10)의 자동 육절장치(1)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절단칼(210)의 작동에 연동되어, 외기공급모듈(230)을 통해 냉동식품(10)의 절단부위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즉, 구동부(130)를 통해 설정거리만큼 푸셔(120)가 냉동식품(10)을 절단칼(210) 측으로 미는 작동시점에, 제어부(400)는 냉동식품(10)이 설정거리만큼 이동한 시간 직후에 전동부(2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절단칼(210)이 냉동식품(10) 측으로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연동하여, 제어부(400)는 외기공급부(236)를 제어하여 외기튜브(232)의 내부로 외기를 설정량만큼 공급하도록 한다.
절단칼(210)이 냉동식품(10)의 일부를 절단하여 냉동육편(20)을 형성하며 초기 위치로 상승시, 제어부(400)는 외기공급부(236)의 작동을 정지할 수도 있고, 공급부(100)에 공급된 냉동식품(10) 전체를 냉동육편(20)으로 절단하는 시간동안에 걸쳐 연속적으로 외기공급부(236)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절단칼(210)이 냉동식품(10)을 절단하기 위해 하강할 때마다, 제어부(400)는 외기공급부(236)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제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배출부(300)는 컨베이어벨트로 적용하고, 절단된 냉동육편(20)은 넘어지면서 배출부(300) 상에 놓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전동부(220)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연이어 배출부(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절단된 냉동육편(20)은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절단칼(210)은 냉동식품(10)을 높이 방향으로 전체를 절단하여 냉동육편(20) 각각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110) 또는 베이스(111)는 칼날(212)에 손상을 주지 않는 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한편, 외기공급부(236)에 의해 토출되는 외기는 절단되는 냉동육편(20) 각각의 양쪽 표피측 내부와, 냉동식품(10)의 절단측 내부에 침투하게 된다. 그래서, 냉동육편(20)의 내부와 냉동식품(10)의 내부에는 외기가 잔류하는 공기층(30)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냉동 상태인 냉동식품(10)과 냉동육편(20)의 표피측 내부가 해동 처리되며, 내부의 물기 일부가 배출된다. 따라서, 냉동식품(10)과 냉동육편(20)은 익힌 경우 냉장 보관 상태의 육질과 유사해지게 된다.
아울러, 외기가 냉동육편(20) 각각의 양쪽 표면과, 냉동식품(10)의 절단측 표면에 접하면서 서서히 소정 빙결된 공기층(30)을 형성하게 된다.
냉동육편(20)의 표면에 형성되는 공기층(30)으로 인해, 이웃한 냉동육편(20)이 냉동 상태로 서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각 냉동육편(20)이 용이하게 분리되고, 이웃한 냉동육편(20) 사이로 열기가 침투함에 따라 냉동육편(20)이 고르게 익을 수 있게 되며 익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아울러, 냉동육편(20)의 표면에 형성되는 공기층(30) 및 냉동식품(10)의 절단면 표면에 형성되는 공기층(30)으로 인해, 냉동육편(20)과 냉동식품(10)의 해동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육절장치(1)는 외기공급모듈(230)에 의해 냉동식품(10)과 냉동육편(20)의 각 내부와 표면에 공기층(30)을 형성함으로써, 연육기(도시하지 않음)라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냉동육편(20)의 수축 현상과 기름의 고임 현상을 방지하고, 육즙 배출을 감소시키며,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식품(10)의 절단면에 외기가 분출됨에 따라, 냉동육편(20)의 표면과 표피층 내부에 수분과 공기층(30)이 공존함으로써, 냉동육편(20)이 익혀질 때, 수분이 배출되지 않고 냉동육편(20)의 표면이나 내부에서 끓게 되며 냉동육편(20)을 과열된 수분으로도 익힘으로 인해, 익혀진 냉동육편(20)의 육질이 외기를 조사하지 않은 상태의 냉동육의 익힘 상태의 육질보다 현저히 부드러워진다.
또한, 냉동상태로 외기가 조사되지 않은 냉동육편(20)이 익혀질 경우 드립현상이 발생되는 반면, 냉동상태로 외기에 의해 공기층(30)을 형성한 냉동육편(20)은 드립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드립현상은 냉동육편(20)을 구울 때 하얀색 물질이 흘러나오는 현상으로서, 냉동육편(20)이 녹는 과정에서 수분과 단백질, 비타민 등 영향성분이 분리되어 흘러나오는 것이다.
드립현상이 많이 발생 할 경우, 냉동육편(20) 내부의 영양성분이 빠져 나올 뿐 아니라 냉동육편(20)의 수분도 함께 빠지기 때문에 육질의 식감이 퍽퍽해지게 된다.
공기층(30)을 형성하는 냉동육편(20)은 절단 표면과 내부의 공기층(30)에 의해 영양성분과 수분이 배출되는 드립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익힌 상태의 육질이 부드러워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의 절단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식품(10)의 자동 육절장치 중 절단부(200)는 절단칼(210) 및 전동부(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절단칼(210)은 냉동식품(10)을 높이 방향으로 일부를 절단하거나, 또는 전체와 일부를 번갈아 절단하도록 제어된다. 물론, 절단칼(2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전동부(220)는 전동모터(221), 전동풀리(222), 전동벨트(224), 회전부재(223) 및 샤프트(2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동모터(221), 전동풀리(222), 전동벨트(224), 회전부재(223) 및 샤프트(225)는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절단칼(210)은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또는 회동되며 냉동식품(10)으로부터 냉동육편(20)을 절단할 수도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냉동식품 20: 냉동육편
30: 공기층 50: 바디
100: 공급부 110: 본체
111: 베이스 112: 측면부
120: 푸셔 130: 구동부
131: 구동모터 132: 구동풀리
133: 종동풀리 200: 절단부
210: 절단칼 211: 몸체
212: 칼날 220: 전동부
221: 전동모터 222: 전동풀리
230: 외기공급모듈 232: 외기튜브
234: 외기토출홀부 236: 외기공급부
300: 배출부 400: 제어부

Claims (5)

  1.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고, 냉동식품을 공급 안내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 안내되는 상기 냉동식품을 냉동육편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절단부; 및 절단된 상기 냉동육편을 공급받아 설정된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배출 안내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냉동식품을 설정간격으로 절단하여 상기 냉동육편으로 형성하는 절단칼; 상기 바디에 연결된 채, 상기 절단칼을 왕복 이동시키는 전동부; 및 상기 절단칼에 의해 상기 냉동식품이 절단시, 절단되는 상기 냉동육편의 절단면과 상기 냉동식품의 표면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외기공급모듈은, 외기튜브; 상기 외기튜브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통공 형성되어, 상기 외기튜브를 따라 유동되는 외기를 상기 냉동식품의 절단측으로 분출 안내하는 외기토출홀부; 및 상기 외기튜브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튜브는, 상기 냉동식품이 절단을 위해 이송되는 방향으로 상기 절단칼의 전측과 후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인접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외기토출홀부를 통해 상기 냉동식품의 절단측으로 외기를 분출 안내하며,
    상기 공급부는, 상기 냉동식품을 안착하여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놓인 상기 냉동식품을 상기 절단부 측으로 비연속적으로 설정거리만큼 이송시키는 푸셔; 및
    상기 푸셔의 작동을 안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칼의 작동에 연동되어, 상기 외기공급모듈을 통해 상기 냉동식품의 절단부위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칼은 상기 냉동식품을 높이 방향으로 전체나 일부를 절단하거나, 또는 전체와 일부를 번갈아 절단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절단되는 상기 냉동육편의 내부와 절단면, 및 상기 냉동식품의 내부와 표면은 저온 상태에서 외기로 인해 공기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KR1020230034256A 2023-03-16 2023-03-16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KR10255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256A KR102559515B1 (ko) 2023-03-16 2023-03-16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256A KR102559515B1 (ko) 2023-03-16 2023-03-16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515B1 true KR102559515B1 (ko) 2023-07-27

Family

ID=8743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256A KR102559515B1 (ko) 2023-03-16 2023-03-16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51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956B2 (ja) * 1991-03-12 1995-10-25 日本水産株式会社 冷凍肉の切屑付着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00013851A (ko) * 1998-08-14 2000-03-06 정운조 고기절단용 커터의 에어분사장치
KR20010097903A (ko) * 2000-04-27 2001-11-08 정석봉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KR100850195B1 (ko) * 2007-11-30 2008-08-04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고기 절단기
KR20150137495A (ko) * 2014-05-29 2015-12-09 손진원 육류 톱밥의 회수가 용이한 슬라이스 절단기
KR20180099196A (ko) * 2017-02-28 2018-09-05 강석주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을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KR102272912B1 (ko) * 2020-09-29 2021-07-05 서해광 육류 골절기
CN218364951U (zh) * 2022-10-11 2023-01-24 河南御江食品股份有限公司 冻肉分切机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956B2 (ja) * 1991-03-12 1995-10-25 日本水産株式会社 冷凍肉の切屑付着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00013851A (ko) * 1998-08-14 2000-03-06 정운조 고기절단용 커터의 에어분사장치
KR20010097903A (ko) * 2000-04-27 2001-11-08 정석봉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KR100850195B1 (ko) * 2007-11-30 2008-08-04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고기 절단기
KR20150137495A (ko) * 2014-05-29 2015-12-09 손진원 육류 톱밥의 회수가 용이한 슬라이스 절단기
KR20180099196A (ko) * 2017-02-28 2018-09-05 강석주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 및 상기 띠톱 방식 육절기용 띠톱 세정 유닛을 포함하는 띠톱 방식 육절기
KR102272912B1 (ko) * 2020-09-29 2021-07-05 서해광 육류 골절기
CN218364951U (zh) * 2022-10-11 2023-01-24 河南御江食品股份有限公司 冻肉分切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0998A (en) Portion controlled frozen food
FI78599C (fi) Ytstekfoerfarande och -anordning.
US4193272A (en) Portion controlled frozen food
KR101449700B1 (ko) 고기 세절기
US4195489A (en) Portion controlled frozen food
US202003970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formed meat patties
US90170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unit portions of frozen food materials
KR20190027569A (ko) 연속 꼬치 제조장치
CN110744599B (zh) 一种土豆清洗和切片装置
US90227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unit portions of frozen food materials
CN211322826U (zh) 一种生牛肉切割机
KR102559515B1 (ko)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KR100400698B1 (ko) 육절기
KR101394418B1 (ko) 계육 수평 절단가공장치
KR101243979B1 (ko) 칼날의 경사각과 간격을 이용한 생육, 생선, 홍어의 세절 방법
US201202442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Unit Portions of Frozen Food Materials
KR20170073048A (ko) 식육 슬라이서
KR101117584B1 (ko)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
CN211466478U (zh) 一种香肠自动切割机
KR101241740B1 (ko) 닭도체 절단장치
JP5648228B2 (ja) 食肉スライサーおよび食肉スライス方法
US20030114097A1 (en) Poultry thigh processor
KR100455407B1 (ko) 고기 절단장치
KR20090075647A (ko) 칼날의 직선 왕복운동을 이용한 연질 식품 세절 방법
CN212218625U (zh) 食物自动切片装置及智能烹饪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