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700B1 - 고기 세절기 - Google Patents

고기 세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700B1
KR101449700B1 KR1020130004145A KR20130004145A KR101449700B1 KR 101449700 B1 KR101449700 B1 KR 101449700B1 KR 1020130004145 A KR1020130004145 A KR 1020130004145A KR 20130004145 A KR20130004145 A KR 20130004145A KR 101449700 B1 KR101449700 B1 KR 101449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main body
plate
fix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999A (ko
Inventor
기관호
Original Assignee
기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관호 filed Critical 기관호
Priority to KR102013000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7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세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훈제 처리된 닭고기나 오리고기, 족발 등을 일정한 두께로 절단시 고기가 부스러지지 않으면서 표면이 깨끗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요동되는 고기세절부가 구비된 고기 세절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구동부와 컨트롤판넬 및 동력전달부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 일측에 마련되어 타측으로 강제 슬라이딩되면서 고기를 수평 이동시키는 고기공급부; 상기 구동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반복적으로 요동하는 복수개의 커팅날이 구비되어 상기 고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기를 일정 두께로 세절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기세절부; 상기 고기세절부를 통과하면서 세절된 고기가 고기공급부의 이동과 함께 세절된 상태 그대로 배출되도록 고기공급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고기배출부; 상기 고기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서 전달된 동력으로 고기공급부를 수평 왕복운동시키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동작부; 상기 고기공급부, 고기세절부 및 이송동작부의 구동과 속도조절, 공급전원 제어를 위한 복수개의 조작스위치가 구비되어 본체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고기 세절기{A meat chopper machine}
본 발명은 고기 세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훈제 처리된 닭고기나 오리고기, 족발 등을 일정한 두께로 절단시 고기가 부스러지지 않으면서 표면이 깨끗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요동되는 고기세절부가 구비된 고기 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고기 세절기는 일반 식당은 물론 고기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정육점, 닭고기, 오리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등을 판매하는 도소매업종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고기 세절기는 주로 생고기 또는 냉동고기를 세절하는데 주로 사용되었다.
그리나, 다양한 수요자의 취향에 맞추고, 고기 공급업자의 증가에 따른 판매 촉진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가공된 고기가 일반수요자에게 판매되고 있다.
특히, 수요자의 섭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건강에 대한 인식 향상으로 생고기 위주의 식습관에서 다양한 형태의 가공 처리된 육고기의 보급이 널리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중에서도, 닭고기와 오리고기 등의 가금류에 대한 가공처리된 고기의 보급이 날로 증가추세에 있다.
훈제처리된 닭고기와 오리고기 등은 소비자들이 구입하여 약간의 열을 가해 데워서 간편하게 섭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도소매점에서 훈제처리된 고기를 판매할 때는 일정 두께로 고기를 세절하여 보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때 고기는 고기 세절기를 이용하여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소매점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기 세절기는 회전하는 원반형 커터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로 생육 또는 냉동된 고기를 세절하게 되는데, 종래의 회전식 원반커터는 절단될 고기와 접촉면적이 넓어서 커터의 회전력이 절단될 고기에 그대로 전달되어 절단된 면이 깨끗하지 못하고, 서로 다른 조직간에 쉽게 분리되어 세절 후 상품성이 떨어지고, 또한 고기의 종류에 따른 육질의 차이로 고기의 대량 세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가공된 훈제 고기는 생육에 포함되었던 기름기가 어느 정도 제거된 상태여서, 고기 육질간의 결합력이 약해서 종래의 회전식 원반형 커터가 구비된 고기 세절기를 이용하여 절단할 경우, 절단되는 고기 표면의 접촉면적이 넓어 그 접촉면에 작용하는 저항력으로 인해서 고기 육질간의 결합력이 약한 훈제고기들의 경우 절단시 잘게 부스러지져 절단 후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종래의 고기 세절기를 개선하여 절단되는 고기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기 세절기의 개발 필요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 제20-0161199호(등록일 : 1999. 08.27, 명칭: 고기 세절기)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 제20-0316203호(등록일: 2003. 05.30, 명칭 : 닭고기 절단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31746호(공개일:2012.04.04, 명칭: 육류세절기)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고기 세절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훈제고기의 절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대량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절단되는 고기가 서로 다른 육질 간에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절단 고기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기 세절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세절기는 내부에 구동부와 컨트롤판넬 및 동력전달부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 일측에 마련되어 타측으로 강제 슬라이딩되면서 고기를 수평 이동시키는 고기공급부; 상기 구동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반복적으로 요동하는 복수개의 커팅날이 구비되어 상기 고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기를 일정 두께로 세절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기세절부; 상기 고기세절부를 통과하면서 세절된 고기가 고기공급부의 이동과 함께 세절된 상태 그대로 배출되도록 고기공급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고기배출부; 상기 고기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서 전달된 동력으로 고기공급부를 수평 왕복운동시키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동작부; 상기 고기공급부, 고기세절부 및 이송동작부의 구동과 속도조절, 공급전원 제어를 위한 복수개의 조작스위치가 구비되어 본체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기세절부의 수직 상하요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 전달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이송동작부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동력을 발생 전달하는 제2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회전축이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선단부에 구동풀리가 구비된 제1구동모터; 상기 제1구동모터가 설치된 상부의 본체부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방향으로 일정 높이 설치되어 종동풀리의 회전시 일정 회전반경으로 회전되는 제1로드; 선반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양측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동 되게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 상기 제1로드의 상단부가 링크결합되어 제1로드의 상하 회동시에 좌우 양단이 상하 롤링되는 제2로드; 상기 제2로드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고기세절부에 연결되어 고기세절부를 일정변위 내에서 상하 요동시키는 제3로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회전축이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선단부에 구동풀리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 상기 제2구동모터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와 연결된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구동풀리보다 큰 직경을 갖는 종동풀리;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종동풀리의 동일 회전축상에 종동풀리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외접되어 종동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동작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종동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송동작부는 상기 종동기어의 전면 일측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아이들회전체; 상기 종동기어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본체부에 하단부가 축 고정되고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된 중앙부에 길이방향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아이들회전체에 중공부가 끼움 결합되는 수직지지바; 상기 수직지지바의 상단과 상기 고기공급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아이들회전체의 회전시 좌향 및 우향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수직지지바에 의해 상기 고기공급부를 좌우 수평이동시키는 연결로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기공급부를 향하는 고기세절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절단될 고기의 상면을 눌러주는 가압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가압부재는 고기세절부의 외측판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 각각 회동되게 일단이 결합된 연결브라켓트;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트 사이에 수평 연결된 복수개의 수평지지대;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트에 일단이 고정된 연결로드의 타단에 양측면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에 대해 직각 또는 수평되게 접철되는 가압판; 상기 세절부의 상단 일측에 구비된 핸들의 회동 조작으로 상기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지지판과 연결된 높이조절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기세절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지지판의 양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트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의 접철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압축코일스프링; 상기 가압판의 접철동작시 회동되는 연결브라켓트의 움직임을 감시하여 가압판이 지지판에 수평하게 접철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의 동작명령을 강제로 차단하기 위해 지지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감지센서; 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기세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 상부로 설치되는 중공형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부의 제3로드에 연결되어 제3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상하 요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 이상 구비되는 직사각구조의 고정틀; 톱니형 칼날이 상기 고기공급부를 향하도록 상하단이 상기 고정틀의 내측에 각각 고정되어 고정틀의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띠톱 형상의 커팅날이 복수개 구비되는 커팅날 세트; 상기 고정틀의 상단부에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고정틀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봉;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기공급부는 판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일측 상면에서 상기 고기세절부를 통과하여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동작부에 의해 이동되면서 그 내측에 위치한 고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의 내측 좌우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고정대; 상면에 안착된 고기를 고기세절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유사한 길이로 구성되되, 길이방향의 하단 일측에 상기 일단의 하부고정대가 끼워지는 삽입부가 마련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외측을 향하는 일단에 끼움턱이 형성된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 상기 하부고정대의 상면에 위치한 복수개의 상기 세절폭조절판의 일단 끼움턱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을 고정하도록 상기 전후 고정플레이트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기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로, 판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일측 상면에서 상기 고기세절부를 통과하여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동작부에 의해 이동되면서 그 내측에 위치한 고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의 내측 일단에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되, 외주연 상면에 고정플레이트 설치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이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하부고정대;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 내측 본체부 상면에 안착된 고기를 밀어 고기세절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일정 길이로 구성되되, 일측 하단이 상기 하부고정대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 상기 하부고정대의 상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상기 세절폭조절판의 일측 상단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전후 고정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상기 하부고정대가 설치된 상방으로 양단이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기배출부는 그 일실시예로 상기 고기세절부의 하단부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고기공급부의 이동방향과 일치되는 본체부의 상면 타측으로 일정 길이 형성된 평판형 판넬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의 고기배출부는 상기 고기공급부의 복수개 세절폭조절판이 이동되어 사이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세절폭조절판과 동일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기받침편; 상기 고기받침편 사이로 진입되어 고기받침편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는 상기 세절폭조절판이 고기받침편과 일정구간 중첩된 상태에서 계속 이동될 경우 상기 세절폭조절판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턱에 걸려 회동되어 상기 고기받침편을 상승시켜 세절폭조절판의 상면에 위치한 세절된 고기가 고기받침편 상부로 옮겨 질 수 있도록 고기받침편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는 가로대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기배출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고기공급부의 이동시 세절폭조절판의 저면에 걸리는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회동시 그 회동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제1연결링크; 상기 제1연결링크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되어 제1연결링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어 제1연결링크의 회동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1연결링크와 수평연결바로 연결 설치된 한 쌍의 제2연결링크;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세절폭조절판의 전진에 따른 가압으로 일측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제1, 제2연결링크의 회동변위에 따라 고기받침편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기받침편을 일정 높이 들어올리고, 세절폭조절판의 후진시 상기 걸림돌기와 제1 및 제2연결링크가 원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고기받침편을 하강시키는 회동승강레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세절기는 고기를 세절시키는 커팅날이 그 폭이 작은 띠톱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 요동되면서 고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기를 세절하게 되어, 고기의 절단면과의 접촉면적이 작아 고기 육질간 분리 및 잔분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품성이 높은 고기 세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고기세절부가 상하 요동하면서 고기 세절이 이루어지게 되어 고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기량에 관계없이 그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대량의 고기절단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고기 공급과 고기의 배출이 동일한 수평면상에서 세절된 상태로 이루어지게 되어 세절 후 배출되는 세절고기를 손쉽게 포장 및 손님에게 제공 가능하여 세절 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기를 세절하는 커팅날이 각각 개별적으로 고정틀에 고정 설치되어 파손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여 사후 관리가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세절기의 전후 외관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세절기에서 본체부의 외측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전면도와 후면도,
도 5 및 도 6은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의 상세구성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고기 세절기에 적용되는 고기공급부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상세도 및 승강부재의 동작상태도,
도 13은 고기배출부를 구성하는 고기받침편의 단품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고기세절기에서 본체부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고기세절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가압부재의 발췌도,
도 15는 본 발명의 고기세절기에서 고기세절부의 일측 커팅날세트의 발췌도,
도 16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세절기에 적용되는 고기공급부와 고기배출부의 제2 및 제3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방향표시 용어는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도면마다 동일명칭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방향성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용 고기를 절단하는 세절기에 관한 것으로, 주요 구성부분이 내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 또는 플라스틱합성수지제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구동부 및 각종 전기장치는 일반 산업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을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세절기(200)의 전후 외관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세절기(200)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구동부와 동력전달부 및 각종 전기장치에 관련된 컨트롤판넬(65)이 설치된 본체부(10)과, 상기 본체부(10)의 상면 좌우 양측으로 본체부(10)에서 약간씩 돌출되어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고기공급부(20)와 고기배출부(30)가 구비되고, 본체부(10)의 상면 중앙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일측 고기공급부(20)에서 고기배출부(30)로 이송되는 고기를 세절하는 고기세절부(40)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기공급부(20)는 본체부(10)의 내측에 설치된 구동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그 상면에 안착된 고기를 고기배출부(30) 측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기공급부(20)에서 공급되는 고기를 일정 두께로 세절하도록 본체부(10)의 중앙에 설치되는 고기세절부(40)는 외측의 케이싱(41) 내부에 상기 구동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왕복운동하는 복수개의 커팅날 및 커팅날세트가 구비되며, 상기 고기배출부(30)는 고기공급부(20)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기세절부(40)에서 세절된 고기가 고기공급부(2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세절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어 배출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기공급부(20)에서 공급되는 고기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기세절부(40) 내측으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기공급부(20)를 향하는 고기세절부(40)의 일측면에는 고기세절부(40)의 케이싱(41) 상면에 구비된 높이조절부재(101)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압부재(1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는 상기 고기공급부(20)와 가압부재(100), 고기세절부(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절스위치가 구성된 조작부(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일측면에는 외부에서 상용전력을 공급받아 고기 세절기의 각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 제어하는 컨트롤판넬(65)이 설치되고, 상기 고기배출부(30)의 하단으로 본체부(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 설치되어 상부측 고기세절부(40) 및 고기배출부(40)에서 고기 절단시 발생된 고기 부스러기가 낙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잔분배출트레이(3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하단 저면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개의 받침대(11)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11) 사이에는 고기 세절기의 설치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복수개의 이동바퀴(12)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본체부(10)의 전후측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전후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는 상기 고기공급부(2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에 필요한 이송동작부(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10)의 후면에는 상기 고기공급부(20)와 고기세절부(30)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 전달하는 구동부(70), 즉, 제1구동부(71)와 제2구동부(75)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고기세절부(40)를 동작시키는 제1구동부(71)와 상기 고기공급부(20)를 수평 왕복운동시키는 제2구동부(75)로 분리 구성되어 작은 동력으로 각각의 동작부를 구동 및 제어할 수 있도록 2개의 구동부로 분리구성된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각 구동부(71,75)는 본체부(10)의 내측에 설치된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동력이 발생되어 그 회전력으로 상기 고기공급부(20)의 수평 왕복이동과 상기 고기세절부(40)의 커팅날세트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며, 특히 상기 제2구동부(75)에 의해 좌우 수평이동되는 상기 고기공급부(20)는 본체부(10)의 전후면에 각각 설치된 별도의 이송동작부(50)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제1구동부(71)와 제2구동부(75)를 각각 발췌하여 각 구동부의 동작관계를 더욱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즉, 도 5는 상기 제1구동부(71)의 구성을 발췌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제1구동부(71)는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 설치된 제1구동모터(71a)의 회전축(71b)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선단부에 구동풀리(73a)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풀리(73a)가 설치된 본체부(10)의 일측 상면에는 상기 구동풀리(73a)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회전가능한 종동풀리(73b)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73a)와 종동풀리(73b) 사이에는 벨트 또는 체인 구조의 동력전달부재(74)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종동풀리(73b)의 회전으로 본체부의 상면 중앙에 수직 설치되는 고기세절부(40)의 승하강을 위해 상기 종동풀리(73b)의 외측면에 일단이 회동자재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방향으로 수직 설치되어 종동풀리(73b)의 회전시 일정한 회전반경으로 회전되면서 그 회전반경에 따라 승하강되는 제1로드(81)가 구비된다.
또한, 선반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양측 중심부가 회동되게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 상기 제1로드(81)의 상단부가 링크결합되어 제1로드(81)의 상하 회동시에 좌우 양단이 상하 일정 변위 내에서 롤링되는 제2로드(82)와, 상기 제2로드(82)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고기세절부(40)에 연결되어 고기세절부(40)를 일정변위 내에서 상하 요동시키는 제3로드(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71)의 동작에 따라 상하 일정 변위에서 상하 요동되어 일측에서 진입되는 고기를 절단하는 상기 고기세절부(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중앙 상부로 설치되는 중공형의 케이싱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본체상면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제1구동부(71)의 제3로드(83)에 연결되어 제3로드(83)의 승하강에 따라 고정틀(44) 및 다수개의 커팅날세트(42)가 상하 요동되면서 진입하는 고기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기세절부(4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또한, 도 6에는 상기 제2구동부(75)의 구성 및 제2구동부(75)와 연결되어 상기 고기공급부(20)를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동작부(50)의 구성을 발췌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동부(75)는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제2구동모터(76)의 회전축(76a) 선단부에 구동풀리(77)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풀리(77)가 설치된 상부로 동력전달부재(78)로 상기 구동풀리(77)와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풀리(77)보다 큰 직경을 갖는 종동풀리(79)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종동풀리(79)의 외측으로 외주연에 기어부가 형성되어 종동풀리(79)의 동일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79a)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79a)에 외접되어 구동기어(79a)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종동풀리(79)의 일측 상단으로 종동기어(79b)가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2구동부(75)에는 제2구동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기공급부를 좌우로 수평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이송동작부(50)가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이송동작부(50)는 상기 종동기어(79b)의 전면 일측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아이들회전체(79c)와, 상기 종동기어(79b)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본체부에 하단부가 축 고정되고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된 중앙부에 길이방향의 중공부(52)가 형성되어 상기 아이들회전체(79c)에 끼움 결합되는 수직지지바(51)와, 상기 수직지지바(51)의 상단과 상기 고기공급부(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종동기어(79b)의 회전에 따른 상기 아이들회전체(79c)의 회전시 좌향 및 우향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수직지지바(51)에 의해 상기 고기공급부(20)를 좌우 수평이동시키는 연결로드(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구동부(75)가 동작됨에 따라서 종동기어(79b)가 회전되고, 종동기어(79b)의 회전으로 종동기어(79b)의 외주면에 결합된 아이들회전체(79c)도 함께 일정한 회전반경을 유지하면서 회전되고, 상기 아이들회전체(79c)가 종동기어(79b)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아이들회전체(79c)에 결합된 수직지지바(51)도 하단 고정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바(51)의 좌우 이동으로 수직지지바(51)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로드(53)가 수직지지바(51)의 이동과 함께 좌우 수평이동되면서 연결로드(53)의 타단에 결합되는 고정편(54)을 통해 연결된 고기공급부(20)를 본체부의 중앙부측으로 수평이동시키면서 고기 절단 및 절단된 고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운동시키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기공급부(20)를 이동시키는 종동기어(79b)는 구동기어(79a)에 비해 훨씬 큰 직경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구동기어(79a)의 회전속도가 종동기어(79b)에서 크게 감속된 상태에서 천천히 회전되어 상기 고기공급부(20)를 좌우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종동기어(79b)에 결합된 아이들회전체(79c)가 12시 방향에서 종동기어(79b)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3시 방향(우측)으로 이동할 때, 아이들회전체(79c)는 수직지지바(51)의 중공부(52)의 중간부에 위치하면서 수직지지바(51)를 하단 고정부를 기준으로 우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그 회전 반경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수직지지바(51)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로드(53)를 수평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로드(53)의 말단에서 고정편(54)에 의해 수직지지바(51)에 연결된 고기공급부(20)는 본체부 상면에서 최외측으로 빠져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그 상면으로 고기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종동기어(79b)가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되어 아이들회전체(79c)가 6시 방향(하단)에 위치할 때, 상기 고기공급부(20)가 본체부의 중앙에 수직 설치된 고기세절부를 통과하면서 고기를 세절시키게 되며, 아이들회전체(79c)는 수직지지바(51)의 중공부(52) 하단부에 위치하면서 수직지지바(51)를 수직상태로 유지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종동기어(79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들회전체(79c)가 9시 방향(죄측)에 위치할 때, 상기 고기공급부(20)가 고기배출부(30) 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가 되고, 고기세절부를 통과하면서 세절된 고기가 고기배출부 측으로 이동되며, 아이들회전체(79c)는 수직지지바(51)의 중공부(52) 중간부에 위치하면서 수직지지바(51)를 하단 고정부를 기준으로 좌향되게 위치된 상태가 된다.
다시 종동기어(79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12시 방향, 3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기공급부(20)는 세절된 고기를 고기배출부(30)에 남겨두고 후퇴하여 새로운 고기를 공급받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고기 세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구동부(75)의 회전에 따라 종동기어(79b)가 회전하면서 종동기어(79b)에 일체로 결합된 아이들회전체(79c)도 일정 회전반경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수직지지바(51)의 중공부(52)에서 상하이동되면서 수직지지바(51)의 좌우 이동을 유도하고, 수직지지바(51)의 좌우 이동을 통해 수직지지바(51)의 상단에 연결된 상기 고기공급부(20)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고기공급과세절, 세절된 고기를 고기배출부(30)로 이동시킨 후에 후퇴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기공급부(20)의 세부구성에 대한 분리 및 일부 발췌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상술한 고기공급부(20)와 고기배출부 하단에 설치되는 승강부재(90)의 동작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기공급부(20)의 일실시예는 판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일측 상면에서 상기 고기세절부를 통과하여 반대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길이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동작부에 의해 이동되면서 그 내측에 위치한 고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와,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가 본체부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 설치된 내측 좌우단에서 양단이 각각 고정플레이트(21,22) 고정되는 좌우측 하부고정대(23)와, 상면에 안착된 고기를 고기세절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21,22)와 유사한 길이로 구성되되 길이방향의 하단 일측에 상기 일단의 하부고정대(23)가 끼워지는 삽입부(29b)가 마련된 걸림턱(29a)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향하는 일단에 끼움턱(28a)이 형성된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24)과, 상기 하부고정대(23)의 상면에 위치한 복수개의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의 일단 끼움턱(28a)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24)을 고정하도록 상기 전후 고정플레이트(21,22)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24)이 내측에 결합된 상기 전후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를 수평이동시키도록 상술한 제2구동부측의 고정편(54)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21,22)의 외측방향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고정편(54)이 말단부가 내측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21,22)의 안정된 수평이동을 유도하도록 고정플레이트(21,22)의 외측에서 본체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박스형의 수평이동유도부재(26)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고정플레이트(21,22)의 원활한 좌우 슬라이딩 이동과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플레이트(21,22)의 하단부는 본체상면에 결합된 일정 길이의 가이드레일(21a,22a)의 상면에 결합되어 그 슬라이딩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각각 분리 구성되어 일렬로 좌우측 하부고정대(23)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은 두께가 얇은 금속제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수직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고기세절부를 통과하여 고기배출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설치된다.
물론,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의 간격은 상기 하부고정대(23)의 외주연 상면에는 일정 깊이로 하부고정대(23)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된 끼움홈(27)에 의해 정해지며, 상호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24) 사이로 후술하는 고기세절부의 커팅날이 상하로 통과되면서 고기를 세절하게 되며, 상기 세절폭조절판(24)과 고기커팅날의 갯수는 상호 대응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부가 상방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돌출부(28)가 형성되어 그 돌출부(28) 전방에 놓여지는 고기를 밀고 가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그 하단부 일측 및 우측단에 형성된 삽입부와 끼움턱에 하부고정대(23) 및 상부고정대가 각각 끼워지거나 걸려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복수개가 동시에 수직 고정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기공급부(20)와 대응되게 구성되는 고기배출부(30)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기배출부(30)는 고기공급부(20)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술한 고기공급부(20)의 세절폭조절판(24)과 마찬가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금속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고기받침편(32) 복수개가 하부고정대(23)에 의해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고기받침편(32)도 하측 양단에 내측을 향해 개구된 삽입부(32b)가 형성된 하향돌출부(32a)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32b)에 하부고정대가 끼워져 본체 상면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고정대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고기공급부의 세절폭조절판(24)이 하부고정대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와 마찬가지로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기받침폄(32)이 수직으로 고정되면서 일정간격 유지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수개의 고기받침편(32)이 일체로 구성된 고기배출부의 저부로 복수개의 연결바가 링크구조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90)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90)의 회동에 따라 상기 고기배출부(40)가 일체로 일정 높이내에서 상승과 하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고기세절기에 적용되는 고기공급부와 고기배출부의 일실시예가 본체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기공급부가 고기배출부 측으로 이동된 동작 및 상태를 도 11 및 도 12에 각각 도시하고 있고, 도 13 및 도 14에는 상기 고기공급부의 이동이 따라 고기배출부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승강부재의 동작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고기공급부(20)와 고기배출부(30)가 본체상면에서 양측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고기공급부(20)가 이동(전진)될 때, 얇은 판재형으로 이루어져 세로로 설치된 다수개의 세절폭조절판(24)이 이와 동일한 구조로 이격 설치된 고개배출부의 고기받침편(32) 사이로 진입하게 되고, 고기공급부가 고기배출부츨으로 진입된 초기상태의 일정구간에서는 세절폭조절판과 고기받침편이 상호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고기배출부(30)의 저부에 설치된 승강부재(90)는 도 12의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고기공급부(20)가 고기배출부(30) 측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면,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의 하단에 형성된 하향돌출부(29a)가 승강부재(90)의 일측 걸림돌기(92)의 상면을 밀어젖히게 되고, 걸림돌기(92)가 일측으로 젖혀짐으로 인해서 상기 걸림돌기(92)에 연속 연결된 승강부재의 말단부인 수평지지대(96b)가 회동되어 상기 고기받침편 일체를 일정 높이 들어올리게 되며, 이때 승강부재(90)의 회동 상태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세절폭조절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동된 세절된 고기가 고기받침편의 상승으로 인해 세절폭조절판의 상면에서 고기받침편의 상부로 옮겨지면서 위치이동된다.
상기 고기공급부가 고기배출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의 세절폭조절판과 고기받침편의 절단된 횡단면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호 중첩된 상태를 이루면서 고기받침편(32)이 세절폭조절판(24)보다 약간 높은 상태가 유지되고, 고기공급부(20)가 후퇴하면서 승강부재의 일측 걸림돌기를 밀어젖혔던 세절폭조절판(24)의 하향돌출부가 후퇴하면서 타측 제2연결링크의 상단부를 반대측으로 밀어내면 승강부재의 걸림돌기는 최초의 상태로 하강되면서 도 12의 상태가 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서 상기 승강부재(9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승강부재(9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승강부재(90)는 일정 길이의 가로대(91)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고기배출부(3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어 고기공급부의 이동시 세절폭조절판의 저면에 형성된 하향돌출부에 걸리도록 한 쌍의 걸림돌기(9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92)가 일측으로 회동시 그 회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각 걸림돌기(92)의 일측면에 연결된 한 쌍의 제1연결링크(93)와,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링크(93)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되어 제1연결링크(93)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어 제1연결링크(93)의 회동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수평연결바(94)에 의해 상기 제1연결링크(93)와 연결 설치된 한 쌍의 제2연결링크(9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93,95)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92)가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의 전진에 따른 가압으로 일측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제1, 제2연결링크(93,95)의 회동변위에 따라 고기받침편(32)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기받침편(32)을 상방으로 일정 높이 들어올리고, 세절폭조절판(24)의 후진시 상기 걸림돌기(92)와 제1 및 제2연결링크(93,95)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고기받침편(32)을 하강시키는 한 쌍의 회동승강레버(96)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승강레버(96)는 상기 좌우 양측의 제1 및 제2연결링크(93,95)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어 일정한 구속범위 내에서 접철되도록 구성되는 두 쌍의 연결편(96a)과, 상기 연결편(96a) 사이에 수평 설치되어 연결편(96a)의 회동시 고기받침편(32)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기받침편(32)을 직접 승강시키도록 끼움홈(96c)이 외주면에 형성된 수평지지대(96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조립된 승강부재의 설치상태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는 상기 고기공급부(20)가 고기배출부(30) 측으로 이동되기 전의 상태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고기공급부(20)가 고기배출부(30) 측으로 이동되었을때 승강부재(90)의 회동되는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2에 도시된 승강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고기배출부측으로 상기 고기공급부(20)가 전진하여 세절폭조절판(24)이 고기배출부측로 이동되면, 세절폭조절판(24)이 고기배출부의 고기받침편(32) 사이로 끼워지면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다가, 계속 세절폭조절판(24)이 이동함으로써 세절폭조절판(24)의 하단에 돌출된 하향돌출부(29a)가 고기받침편(32)의 하부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걸림돌기(92)의 상단부를 반대측으로 밀어 젖힌다.
상기 걸림돌기(92)의 상단부가 반대측(도13에서 좌측)으로 밀어 젖혀지면서 걸림돌기(92)와 연동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연결링크(93) 및 제1연결링크(93)와 수평연결바(94)로 연결된 제2연결링크(95)가 걸림돌기(92)가 젖혀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1 및 제2연결링크(93,95)에 결합된 회동승강레버(96)의 회동을 유도하여 고기받침편의 저면을 들어올리게 된다(h1->h2).
따라서, 고기공급부의 세절폭조절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동된 세절된 고기가 세절폭조절판 사이에 끼워진 고기받침편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있다가, 고기받침편이 일정 높이 상승함에 따라 세절폭조절판의 상면에 안착되었던 고기가 고기받침편 상면으로 옮겨져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고기공급부가 후퇴하면서 고기배출부에서 빠져나가게 되면, 세절폭조절판의 하단 걸림턱(29)에 의해 밀어젖혀진 걸림돌기(92) 및 제1, 제2연결링크(93,95)가 원래상태로 회동되면서 고기가 안착된 고기받침편이 하강되고, 세절폭조절판은 고기가 없는 상태로 후퇴하여 새로운 고기를 공급받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기공급부가 그 상면에 고기가 안착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본체부의 중앙에 설치된 고기세절부에서 고기가 세절되고, 고기배출부 측으로 계속 이동되면서 일정 구간 세절폭조절판과 고기받침편이 동일한 수평상태를 유지한 후에, 계속 이동된 세절폭조절판이 그 저부에 형성된 하향돌출부를 이용하여 고기받침편의 저부에 설치된 승강부재(90)의 걸림돌기(92)를 밀어젖힘으로써 링크 구조로 연속 연결된 회동승강부재(96)가 회동되어 고기받침편을 일정 높이 상승시키면서 세절폭조절판 상면에 안착된 고기를 고기받침편으로 옮겨오게 된다.
즉, 세절폭조절판 사이의 고기받침편이 일정 높이 상승하면서 세절폭조절판 위에 적재되어 있던 세절된 고기가 고기받침편의 상승으로 인해 세절폭조절판에서 고기받침편으로 자동으로 옮겨지게 되고, 전진했던 상기 세절폭조절판이 후퇴함으로 인해서 상승되었던 고기받침편도 본래 위치로 내려오면서 세절된 고기가 고기받침편에 위치하게 되어 작업자가 고기배출부에 위치한 세절된 고기를 인출하여 포장하면 된다.
이와 같이 고기공급부의 전진에 따라 고기절단과 절단된 고기의 이동 후에 고기배출부로 세절된 고기의 위치이동이 완료되고, 고기공급부는 다시 최초 위치로 이동되어 새로운 고기를 공급받아 이동, 세절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으로, 도 10에는 상술한 고기배출부(30)를 구성하는 고기받침편(32)의 구체적인 형상을 알아보기 쉽도록 하나를 발췌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15에는 고기세절부의 일측면에서 고기공급부(20)를 향해 설치되는 가압부재(100)를 발췌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가압부재(100)는 상기 고기세절부의 일측면에서 고정 설치되어 고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절단될 고기의 상면을 눌러주기 위한 장치이다.
즉, 상기 가압부재(100)는 고기세절부의 외측판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판(102)과, 상기 지지판(102)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일단이 결합된 복수개의 연결브라켓트(103)와,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트(103) 사이에 수평 설치되어 연결브라켓트의 접철이 용이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수평지지대(105)와,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트(103)의 말단에 일측면이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판(102)의 하부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상기 지지판(102)에 대해 직각 또는 수평되게 접철되도록 구성되는 가압판(104)과, 상기 지지판(102)의 외측면이 연결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지지판의 승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절부의 케이싱 상단 일측에 구비된 높이조절부재(1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101)는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는 원형의 회전손잡이와,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이 자재롭게 상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스크류(도시생략)와, 상기 회전스크류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102)의 외측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시 회전스크류의 외주연을 따라 승강동작되는 연결부재(도시생략)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102) 및 가압판(10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양쪽 연결브라켓트(103) 사이에 수평 설치된 중앙의 수평지지대(105)를 상부로 들어올릴 때, 상기 가압판(104)이 접철되어 지지판(102) 측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가압판(104)의 신속한 접힘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판(102)과 연결브라켓트(103) 또는 지지판(102)과 가압판(104) 사이에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압축코일스프링(107)이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104)의 접철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02)에 대해 가압판(104)의 접철동작이 이루어질 때, 양측에 설치된 연결브라켓트(103)의 움직임을 감시하여 가압판이 지지판에 수평하게 접철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의 동작명령을 강제로 차단하여 전체 고기세절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위한 안전수단의 하나로 감지센서(106)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판(104)이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고기공급부 및 고기세젤부의 동작이 이루어지고, 가압판(104)이 들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고기공급부 및 고기세절부의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상기 감지센서(106)는 고기세절기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조작부(60)측의 제어컨트롤부와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6에는 상기 고기세절부(4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커팅날세트(42) 중 일측의 커팅날세트를 발췌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고기세절부(40)는 본체부의 중앙 상면에 일정 높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실톱(띠톱)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커팅날(42)이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수직 설치되어 박스형의 고정틀(44) 내부에 상하단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커팅날(42)은 복수개가 각각 별도로 고정틀(44)의 상하단에 독립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시 커팅날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틀(44)의 내부에 일체로 구성된 복수개의 커팅날(43)을 동시에 상하 요동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틀(44)의 하부에는 판재형의 제3로드(83)가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부측에서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틀(44)을 케이싱 내부에서 수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틀(44)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로 복수개의 지지봉(46)이 돌출되어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3로드(83)의 하단에는 제1구동부(71)의 제2로드(82)에 연결되기 위한 체결공(84)이 형성되어 제2로드(82)에 연결되며, 제2로드(82)가 수평설치된 상태에서 좌우 롤링시 발생되는 진폭의 변위만큼 제3로드(83)가 상하 요동되면서 고기를 세절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틀(44)의 내부에 상하단이 고정되는 커팅날(43)은 일부 분리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에 톱니모양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하 요동에 의해 고기를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틀(44)은 하나의 케이싱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세절기에서 고기공급부(20)또는 고기배출부(30)의 제2실시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고기공급부(20)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에 대응되는 고기배출부(31)가 평판재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고기공급부(20)에서 이동된 고기가 고기세절부를 통과하면서 세절된 후에 평판재의 고기배출부(31) 상면으로 이동,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동된 고기공급부(20)의 세절폭조절판(24)은 평판재의 고기배출부(30) 저면으로 집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장치의 단순화를 도모하였다.
상기 고기공급부의 세절폭조절판(24)이 평판재의 고기배출부(31)의 하부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도 17의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재의 고기배출부(31) 선단부가 하향 라운딩되게 절곡되어 있고, 그 절골부에는 세절폭조절판(24)의 설치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절개부(36)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24)이 각각의 절개부(36)로 진입되어 고기배출부 하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17에서는 고기공급부(20)와 고기배출부(31) 사이에서 상방으로 설치되는 고기세절부의 구성을 생략하였으나, 고기세절부는 상기 고기공급부(20)의 세절폭조절판(24) 사이로 다수개의 커팅날이 끼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도 18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고기공급부(20a)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기공급부(20a)는 판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상면(15) 일측에서 중간에 설치된 고기세절부를 통과하여 반대측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의 내측에 상술한 일실시예의 세절폭조절판보다 길이가 짧은 단축형의 세절폭조절판(24a)이 구비되어 상하부고정대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상면(15)에 놓여지는 고기를 밀고 이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고정플레이트(21,22) 및 상하부고정대의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고기를 이동시키는 세절폭조절판(24a)이 본체상면 (15) 전체에 걸쳐 길게 형성되지 않고, 고정플레이트(21,22)의 내측 일단에 소정 폭으로 짧게 형성되고, 절단될 고기는 별도의 안착부에 안착되지 않고 바로 본체상면(15)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되어 세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축형 세절폭조절판(24a)을 고정시키는 하부고정대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외주연 상면에 복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평판재로 구성된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을 일정간격 유지시키면서 수직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기공급부(20)에 대응되는 고기배출부(33)는 상술한 2실시예의 고기배출부(31)와 마찬가지로 평판재로 구성되어 고기세절부를 통과하면서 세절된 고기가 평판재 상면으로 이동,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기공급부(20)와 고기배출부(33)가 만나는 중간부위에는 고기세절부의 커팅날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관통부 또는 절개부(36)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36)는 평판재로 이루어지는 고기배출부(33)의 선단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본체상면에 절단부가 가공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기세절기(200)의 전면 상부에는 고기세절기의 전체 동작을 위한 조작부(6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조작부(60)는 최상단에 긴급버튼스위치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전원표시등과 전원제어스위치, 칼날동작 온/오프스위치 및 고기공급부의 역회전 조작스위치가 구비되며, 하단부에는 고기공급부의 이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제어스위치가 구비되고, 각 스위치의 기능동작 및 각부의 제어내용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기계장치에서 사용되는 기능 및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0 : 본체부 11 : 받침대
12 : 이동바퀴 15 : 본체상면
20,20a : 고기공급부 21,22 : 고정플레이트
21a,22a: 가이드레일 23 : 하부고정대
24,24a : 세절폭조절판 25 : 상부고정대
26 : 수평이동유도부재 27 : 끼움홈
28 : 상향돌출부 28a : 끼움턱
29a : 하향돌출부 29b : 삽입부
30,31,33 : 고기배출부 32 : 고기받침편
35 : 잔분배출트레이 36 : 절개부
40 : 고기세절부 41 : 케이싱
42 : 커팅날세트 43 : 커팅날
44 : 고정틀 48 : 지지봉
50 : 이송동작부 51 : 수직지지바
52 : 중공부 53 : 연결로드
54 : 고정편 60 : 조작부
65 : 컨트롤판넬 70 : 구동부
71 : 제1구동부 71a : 제1구동모터
71b : 회전축 73a : 구동풀리
73b : 종동풀리 74 : 동력전달부재
75 : 제2구동부 76 : 제2구동모터
76a : 회전축 77 : 구동풀리
78 : 동력전달부재 79 : 종동풀리
79a : 구동기어 79b : 종동기어
79c : 아이들회전체 80 : 회전축
81 : 제1로드 82 : 제2로드
83 : 제3로드 84 : 체결공
90 : 승강부재 91 : 가로대
92 : 걸림돌기 93 : 제1연결링크
94 : 수평연결바 95 : 제2연결링크
96 : 회동승강레버 96a : 연결편
96b : 수평지지대 96c : 끼움홈
100 : 가압부재 101 : 높이조절부재
102 : 지지판 103 : 연결브라켓트
104 : 가압판 105 : 수평지지대
106 : 감지센서 107: 압축코일스프링
200 : 고기세절기

Claims (15)

  1. 구동부(70)와 컨트롤판넬 및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 상면에서 강제 슬라이딩되면서 고기를 수평 이동시키는 고기공급부(20,20a)와, 상기 구동부에서 전달된 동력으로 상하 요동하는 복수개의 커팅날이 구비되어 공급되는 고기를 세절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부 중앙에 수직 설치되는 고기세절부(40)와, 상기 고기세절부에서 세절된 고기가 고기공급부의 이동과 함께 배출되도록 고기공급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고기배출부(30,31,33)와, 상기 구동부에서 전달된 동력으로 상기 고기공급부를 수평 왕복운동시키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동작부(50)와, 상기 고기공급부, 고기세절부 및 이송동작부의 구동과 속도조절, 공급전원 제어를 위한 복수개의 조작스위치가 구비되어 본체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조작부(6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고기세절부(40)의 수직 상하요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 전달하는 제1구동부(71)와, 상기 이송동작부(5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동력을 발생 전달하는 제2구동부(75)로 구성되고,
    상기 제1구동부(71)는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회전축이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선단부에 구동풀리(73a)가 구비된 제1구동모터(71a); 상기 제1구동모터(71a)가 설치된 상부의 본체부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73a)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73b); 상기 종동풀리(73b)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방향으로 일정 높이 설치되어 종동풀리(73b)의 회전시 일정 회전반경으로 회전되는 제1로드(81); 선반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서 양측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동되게 고정 설치되되 일측에 상기 제1로드(81)의 상단부가 링크결합되어 제1로드의 상하 회동시에 좌우 양단이 상하 롤링되는 제2로드(82); 상기 제2로드(82)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고기세절부(40)에 연결되어 고기세절부(40)를 일정변위 내에서 상하 요동시키는 제3로드(83);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구동부(75)는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회전축이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선단부에 구동풀리(77)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76); 상기 제2구동모터(76)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와 연결된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풀리보다 큰 직경을 갖는 종동풀리(79);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종동풀리의 동일 회전축상에 종동풀리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구동기어(79a); 상기 구동기어(79a)에 외접되어 회전되도록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동작부(50)에 동력을 전달하는 종동기어(79b);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세절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동작부(50)는
    상기 종동기어(79b)의 전면 일측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아이들회전체(79c);
    상기 종동기어(79b)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본체부(10)에 하단부가 축 고정되고 상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중앙부에 길이방향의 중공부(52)가 형성되어 상기 아이들회전체(79c)에 끼움 결합되는 수직지지바(51);
    상기 수직지지바(51)의 상단과 상기 고기공급부(20,20a)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종동기어(79b)의 회전에 따른 상기 아이들회전체(79c)의 회전시 좌향 및 우향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수직지지바(51)에 의해 상기 고기공급부(20,20a)를 좌우 수평이동시키는 연결로드(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세절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공급부(20,20a)를 향하는 고기세절부(40)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기의 상면을 눌러주는 가압부재(100)가 설치되되,
    상기 가압부재(100)는 고기세절부의 외측판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판(102);
    상기 지지판(102)의 양측에 각각 회동되게 일단이 결합된 연결브라켓트(103);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트(103) 사이에 수평 연결된 복수개의 수평지지대(105);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트(103)의 말단에 일측면이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판(102)의 하부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상기 지지판(102)에 대해 직각 또는 수평되게 접철되도록 구성되는 가압판(104);
    상기 고기세절부(40)의 상단 일측에 구비된 핸들의 회동 조작으로 상기 지지판(102)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지지판(102)과 연결된 높이조절부재(10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세절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세절부(40)의 외측면 또는 상기 지지판(102)의 양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트(103)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가압판(104)의 접철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압축코일스프링(107);
    상기 가압판(104)의 접철동작시 회동되는 연결브라켓트(103)의 움직임을 감시하여 가압판(104)이 지지판(102)에 수평하게 접철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60)의 동작명령을 강제로 차단하기 위해 지지판(102)의 일측에 설치되는 감지센서(106); 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세절기.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세절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중앙 상부로 설치되는 중공형의 케이싱(41);
    상기 케이싱(41)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부(71)의 제3로드(83)에 연결되어 제3로드(83)의 승하강에 따라 상하 요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 이상 구비되는 직사각구조의 고정틀(44);
    톱니형 칼날이 상기 고기공급부(20)를 향하도록 상하단이 상기 고정틀(44)의 내측에 각각 고정되어 고정틀(44)의 폭방향으로 수직 설치되는 띠톱 형상의 커팅날(43)이 복수개 구비되는 커팅날 세트(42);
    상기 고정틀(44)의 상단부에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케이싱(41)의 내부에서 고정틀(44)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봉(48);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세절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세절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중앙 상부로 설치되는 중공형의 케이싱(41);
    상기 케이싱(41)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부(71)의 제3로드(83)에 연결되어 제3로드(83)의 승하강에 따라 상하 요동되게 한 개 이상 구비되는 직사각구조의 고정틀(44);
    톱니형 칼날이 상기 고기공급부(20)를 향하도록 상하단이 상기 고정틀(44)의 내측에 각각 고정되어 고정틀(44)의 폭방향으로 수직 설치되는 띠톱 형상의 커팅날(43)이 복수개 구비되는 커팅날 세트(42);
    상기 고정틀(44)의 상단부에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케이싱(41)의 내부에서 고정틀(44)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지지봉(4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세절기.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공급부(20)는
    판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상면에서 상기 고기세절부(40)를 통과하여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동작부(50)에 의해 이동되면서 그 내측에 위치한 고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의 내측 좌우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고정대(23); 상면에 안착된 고기를 고기세절부(40)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21,22)와 유사한 길이로 구성되되 길이방향의 하단 일측에 상기 하부고정대(23)의 일단이 끼워지는 삽입부(29b)가 마련된 하향돌출부(29a)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을 향하는 일단에 끼움턱(28a)이 형성된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24,24a); 상기 하부고정대(23)의 상면에 위치한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의 일단 끼움턱(28a)에 설치되어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을 고정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대(2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기배출부(30)는
    상기 고기공급부(20)의 세절폭조절판(24)이 이동되어 사이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전후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세절폭조절판과 동일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기받침편(32); 상기 고기받침편(32) 사이로 진입되어 고기받침편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는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이 고기받침편과 일정구간 중첩된 상태에서 계속 이동될 경우 상기 세절폭조절판의 하단에 형성된 하향돌출부(29a)에 걸려 회동되어 상기 고기받침편을 상승시켜 세절폭조절판의 상면에 위치한 세절된 고기가 고기받침편 상부로 옮겨 질 수 있도록 고기받침편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세절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공급부(20)는
    판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상면에서 상기 고기세절부(40)를 통과하여 반대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동작부(50)에 의해 이동되면서 그 내측에 위치한 고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의 내측 좌우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부고정대(23); 상면에 안착된 고기를 고기세절부(40)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유사한 길이로 구성되어 상기 고기배출부(30) 하단까지 연장되되, 길이방향의 하단 일측에 상기 하부고정대(23)의 일단이 끼워지는 삽입부(29b)가 마련된 하향돌출부(29a)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을 향하는 일단에 끼움턱(28a)이 형성된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24); 상기 하부고정대(23)의 상면에 위치한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의 일단 끼움턱(28a)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을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대(2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기배출부(30)는
    상기 고기공급부(20)의 복수개 세절폭조절판(24)이 이동되어 사이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전후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세절폭조절판(24)과 동일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기받침편(32); 상기 고기받침편(32) 사이로 진입되어 고기받침편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는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이 고기받침편과 일정구간 중첩된 상태에서 계속 이동될 경우 상기 세절폭조절판의 하단에 형성된 하항돌출부(29a)에 걸려 회동되어 상기 고기받침편(32)을 상승시켜 세절폭조절판의 상면에 위치한 세절된 고기가 고기받침편 상부로 옮겨 질 수 있도록 고기받침편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세절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공급부(20a)는
    판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상면에서 상기 고기세절부(40)를 통과하여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동작부(50)에 의해 이동되면서 그 내측에 위치한 고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의 내측 일단에 본체부(10)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되, 외주연 상면에 고정플레이트(21,22)의 설치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27)이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하부고정대(23);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 내측 본체부 상면에 안착된 고기를 밀어 고기세절부(40)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소정 길이로 구성되되, 일측 하단이 상기 하부고정대(23)의 끼움홈(27)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세절폭조절판(24a); 상기 하부고정대(23)의 상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상기 세절폭조절판(24a)의 일측 상단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21,22)의 내측에서 상기 하부고정대(23)가 설치된 상방으로 양단이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대(2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기배출부(31,33)는
    상기 고기세절부(40)의 하단부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고기공급부(20)의 이동방향과 일치되는 본체부(10)의 상면 타측으로 일정 길이 형성된 평판형 판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세절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90)는
    가로대(91)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기배출부(30)의 저면에 설치되어 고기공급부(20)의 이동시 세절폭조절판(24)의 저면에 걸리는 걸림돌기(92);
    상기 걸림돌기(92)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회동시 그 회동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제1연결링크(93);
    상기 제1연결링크(93)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되어 제1연결링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어 제1연결링크의 회동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1연결링크와 수평연결바(94)로 연결 설치된 한 쌍의 제2연결링크(95);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93,95)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92)가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의 전진에 따른 가압으로 일측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제1, 제2연결링크의 회동변위에 따라 고기받침편(32)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기받침편을 일정 높이 들어올리고, 세절폭조절판(24)의 후진시 상기 걸림돌기와 제1 및 제2연결링크가 원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고기받침편을 하강시키는 회동승강레버(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세절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90)는
    가로대(91)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기배출부(30)의 저면에 설치되어 고기공급부(20)의 이동시 세절폭조절판(24)의 저면에 걸리는 걸림돌기(92);
    상기 걸림돌기(92)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회동시 그 회동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제1연결링크(93);
    상기 제1연결링크(93)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되어 제1연결링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어 제1연결링크의 회동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1연결링크와 수평연결바(94)로 연결 설치된 한 쌍의 제2연결링크(95);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93,95)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92)가 상기 세절폭조절판(24)의 전진에 따른 가압으로 일측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제1, 제2연결링크의 회동변위에 따라 고기받침편(32)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기받침편을 일정 높이 들어올리고, 세절폭조절판의 후진시 상기 걸림돌기와 제1 및 제2연결링크가 원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고기받침편을 하강시키는 회동승강레버(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세절기.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22)의 저면이 끼워져 좌우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상면 고기공급부(20)에서 고기배출부(30)에 이르는 거리에 가이드레일(21a,22a)이 수평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1,22)의 양측 외면에는 본체부(10)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고정편(54)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편(54)의 선단부가 끼워져 고정플레이트(21,22)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21,22)의 외측으로 본체부(10) 상면에 수평이동유도부재(26)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세절기.
KR1020130004145A 2013-01-14 2013-01-14 고기 세절기 KR101449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45A KR101449700B1 (ko) 2013-01-14 2013-01-14 고기 세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45A KR101449700B1 (ko) 2013-01-14 2013-01-14 고기 세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999A KR20140091999A (ko) 2014-07-23
KR101449700B1 true KR101449700B1 (ko) 2014-10-15

Family

ID=5173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145A KR101449700B1 (ko) 2013-01-14 2013-01-14 고기 세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775A (ko) *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이레코리아 칼날의 교차왕복운동을 이용한 세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277B1 (ko) * 2015-03-10 2016-09-07 (주)코스턴 분리 세척이 용이한 식품 절단 장치
KR101682858B1 (ko) * 2016-06-03 2016-12-05 권유리 생선절단장치
KR200486305Y1 (ko) * 2016-07-04 2018-04-30 기백준 높이 조절형 칼집성형기
CN107079963A (zh) * 2017-05-12 2017-08-22 陕西科技大学 一种菜馅加工装置
KR102330965B1 (ko) * 2019-02-12 2021-11-24 오재욱 육류 연골 가공 장치
KR102229388B1 (ko) * 2020-02-11 2021-03-17 박동재 세절기
CN111937946B (zh) * 2020-08-27 2021-11-12 湖南山野农产品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腊肉加工设备
CN216682512U (zh) * 2021-12-20 2022-06-07 青岛理工大学 一种全自动冷冻家禽切块设备
CN117562099B (zh) * 2024-01-19 2024-03-15 临夏丰登西倍牛食品有限公司 肉制品切片装置及切片方法
CN117733942B (zh) * 2024-02-20 2024-04-30 佐今明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转盘式切片机及切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051B1 (ko) 1997-07-28 1999-10-01 박종덕 냉동식품의 절단장치
KR100791585B1 (ko) 2006-08-23 2008-01-03 나성현 냉동참치 절단기
KR101041470B1 (ko) * 2009-05-12 2011-06-17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식품 슬라이서
US20120085216A1 (en) 2010-10-08 2012-04-12 Rollmatic S.R.L. Slicing Machine for Food Produ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051B1 (ko) 1997-07-28 1999-10-01 박종덕 냉동식품의 절단장치
KR100791585B1 (ko) 2006-08-23 2008-01-03 나성현 냉동참치 절단기
KR101041470B1 (ko) * 2009-05-12 2011-06-17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식품 슬라이서
US20120085216A1 (en) 2010-10-08 2012-04-12 Rollmatic S.R.L. Slicing Machine for Food Produc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775A (ko) *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이레코리아 칼날의 교차왕복운동을 이용한 세절기
KR102421612B1 (ko) * 2020-04-09 2022-07-15 주식회사 이레코리아 칼날의 교차왕복운동을 이용한 세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999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700B1 (ko) 고기 세절기
CN110574775B (zh) 一种生牛肉切割机
US7493841B1 (en) Slicer
KR101713376B1 (ko) 육면체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하는 육절기
EP2412283B1 (en) A meat slicing apparatus, a method of using it and a preparation unit for use with the meat slicing apparatus
US20140047964A1 (en) Food Slicer
CN211322826U (zh) 一种生牛肉切割机
JP3597804B2 (ja) 食品細断装置
JP2019080500A (ja) 栗皮の切込み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481701B2 (en) Device for making a spiral incision on a meat product
CN101716774B (zh) 自动食品切片切丝机
JP2009023081A (ja) カッタ装置
KR100455407B1 (ko) 고기 절단장치
KR101449701B1 (ko) 순대 자동절단기
US107030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iral ham slicing
JP2020519471A (ja) フードスライサ
CN2933757Y (zh) 丝片切削机
CN210998887U (zh) 一种家用小型切片机
KR200322263Y1 (ko) 다이서의 냉동육 압지장치
KR200250125Y1 (ko) 식품 세단기
KR200322068Y1 (ko) 다이서의 절단칼 어셈블리
KR200243902Y1 (ko) 식품 세단기
JP5020266B2 (ja) フードスライサー
KR200242105Y1 (ko) 식품 세단기
KR102377831B1 (ko) 칼날의 교차왕복운동을 이용한 세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