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7903A -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7903A
KR20010097903A KR1020000022362A KR20000022362A KR20010097903A KR 20010097903 A KR20010097903 A KR 20010097903A KR 1020000022362 A KR1020000022362 A KR 1020000022362A KR 20000022362 A KR20000022362 A KR 20000022362A KR 20010097903 A KR20010097903 A KR 20010097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and saw
main body
cut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658B1 (ko
Inventor
정석봉
Original Assignee
정석봉
주식회사 청하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봉, 주식회사 청하기계 filed Critical 정석봉
Priority to KR102000002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658B1/ko
Priority to KR2020000016470U priority patent/KR200203377Y1/ko
Publication of KR2001009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3/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p saw-blades which are effectively endless in use, e.g. for contou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및 냉동되지 않은 각종 육류(돈육, 우육, 기타 짐승 그리고 그들의 갈비 등)나 어류(모든 생선)를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간단하고 용이하며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하부 사방에 구동바퀴가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컨트롤 패널이 설치되며 전방에는 상하 높낮이가 조절되는 절단테이블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띠톱이 권취된 각각의 풀리가 설치되고 그 양측의 풀리 중 일측의 풀리에는 모터가 연결 설치되며 타측의 풀리에는 띠톱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된 절단부와;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동력모터와 연결된 샤프트의 상부에 절단테이블로 절단물을 공급하는 절단물 공급수단이 설치된 절단물공급부와; 상기 절단물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어 띠톱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을 목적지로 이송하는 벨트콘베이어가 설치된 절단물이송부;로 이루어져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An automatic cutting device of meat and fish}
본 발명은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냉동 및 냉동되지 않은 각종 육류(돈육, 우육, 기타 짐승 그리고 그들의 갈비 등)나 어류(모든 생선)(이하 절단물이라 칭함)를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간단하고 용이하게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600)의 내부에 모터가 내장되어 있고 그 몸체(600)의 모터에는 톱(610)을 연결 설치하며 상기 몸체(600)의 중앙부 톱(610)이 설치된 내부에는 가이드(620)를 마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종래의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물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냉동된 절단물을 톱(610)이 설치된 몸체(600)의 중앙부 일 측에 상기 절단물의 일 측이 가이드(620)와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서서히 밀어 넣어 톱(610)이 절단을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절단되는 상기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는 사람이 절단물을 손으로 잡고 톱(610)을 향하여 서서히 밀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절단물의 밀어 넣는 속도가 빠르게 되면 톱(610)이 파손되어 주위로 튀게 됨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었다.
또 상기 절단물은 냉동된 상태에서 꺼내어 절단되면서 녹게됨으로 상기 절단물은 미끄럽게 되고 장갑을 끼고 작업하는 손은 잘못하면 절단물로부터 미끄러지게 되어 손가락이 절단되는 등의 치명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원형 톱(720)이 몸체(700)의 상판(710)으로 소정의 량만큼돌출 되게 설치되고 상기 원형 톱(720)의 상부에는 지지대(730)를 설치하여 이에 보호판(7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 톱(720)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은 몸체(700)의 중앙부에 경사지게 마련된 철망(750)을 통하여 일측 하부로 배출되게 형성된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를 제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는 절단물(500)의 절단 작업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원형 톱(720)의 상부에 지지대(730)를 이용하여 보호판(740)을 설치하였으나 이 또한 상기 절단물(500)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밀어 넣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절단물(500)의 크기가 다르게 되면 그 때마다 보호판(740)을 지지대(730)로부터 높낮이를 조절한 다음, 상기 절단물(500)을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자는 상기 보호판(740)을 지지대(730)로 분리해내고 절단작업을 하기 때문에 보호판(74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2의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도 도 1의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와 동일한 안전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절단물의 절단에서부터 절단된 절단물을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절단물의 절단작업 도중 띠톱이 절단되게 되면 그와 동시에 절단장치의 작동을 자동으로 즉시 정지시켜 안전성이 확보되며, 상기 절단물을 절단하면서 발생하는 잔재물을 에어와 스크레퍼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하여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과 다른 상태의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정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평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풀리와 모터와의 연결설치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띠톱장력조절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띠톱절단감지장치 작용도
도 9는 본 발명의 샤프트와 감속모터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절단물공급수단 작용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절단물가이드 발췌도
도 12는 본 발명의 에어분사구 발췌도
도 13은 본 발명의 스크레퍼 발췌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본체 101 : 상판 110 : 구동바퀴
120 : 컨트롤 패널 130 : 절단테이블 140 : 링
150 : 에어분사구 160 : 스크레퍼 200 : 절단부
210.210a : 풀리 220 : 띠톱 230 : 모터
240 : 띠톱장력조절수단 241 : 장력조절슬라이더
242 : 고정판 243 : 스크류샤프트 244 : 핸들
250 : 띠톱절단감지장치 251 : 스프링 252 : 하우징
253 : 접점부 254 : 센서 300 : 절단물공급부
310 : 샤프트 320 : 감속모터 330 : 절단물공급수단
331 : 연결구 332 : 암 333 : 바스켓
334 : 절단물고정판 335 : 실린더 336 : 실린더가이드
337 : 에어콘트롤레버 340 : 절단물가이드 341 : 고정구
342 : 가이드 343 : 연결구 344 : 가이드슈
400 : 절단물이송부 410 : 벨트콘베이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는 하부 사방에 구동바퀴가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컨트롤 패널이 설치되며 전방에는 상하 높낮이가 조절되는 절단테이블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띠톱이 권취된 각각의 풀리가 설치되고 그 양측의 풀리 중 일측의 풀리에는 모터가 연결 설치되며 타측의 풀리에는 띠톱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된 절단부와;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동력모터와 연결된 샤프트의 상부에 절단테이블로 절단물을 공급하는 절단물공급수단이 설치된 절단물공급부와; 상기 절단물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어 띠톱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을 목적지로 이송하는 벨트콘베이어가 설치된 절단물이송부;로 이루어져서 구성된 것이다.
또 상기 띠톱이 진행하는 본체의 상판에는 띠톱을 수용하며 그 띠톱에 부착된 절단잔여물을 에어로 불어내는 잔여물제거구가 설치되고 상기 풀리의 일측에는 그 풀리에 부착된 절단잔여물을 제거하는 스크레퍼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또 상기 타측의 풀리와 연결 설치되는 띠톱장력조절수단은 풀리축에 장력슬라이더가 설치되고, 그 장력슬라이더의 출측에는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며 끝단부에핸들이 설치된 스크류샤프트가 설치되며, 상기 핸들이 설치된 스크류샤프트의 내측과 본체의 측면 사이에는 띠톱절단감지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또 상기 띠톱절단감지장치는 핸들 내측과 본체의 측면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고 그 스프링의 외부에는 선단부에 접점부가 마련된 하우징이 설치되며 상기 접점부와 대향하는 본체의 측면에는 센서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또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설치된 절단물공급수단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암이 설치되고 그 암의 선단부에는 전단물을 수용하는 바스켓이 설치되며, 상기 바스켓의 일측면 중앙에는 바스켓내에 마련된 절단물고정판과 연결 설치되는 실린더가 설치되고 그 실린더의 상/하부에는 절단물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암의 내측에는 실린더로의 에어공급을 필요에 따라 온/오프 해주는 에어콘트롤레버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또 상기 절단물공급수단의 저부 본체의 상판 상에는 전방이 개방된 링이 설치되고 상기 바스켓의 저 부에는 하부에 띠톱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을 벨트콘베이어로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가 설치된 고정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의 하부에는 링을 따라 이동하며 가이드를 들어올리거나 내려주는 가이드슈가 연결구에 의해 연결설치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에 대한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부 사방에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바퀴(110)가 설치되고상기 본체(100)의 상부 일 측에는 상기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를 콘트롤하는 컨트롤 패널(1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는 상하 높낮이가 조절되는 절단테이블(130)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바퀴(110)는 360°회전 가능하고 컨트롤 패널(120)은 풀리(210)를 구동시키는 모터(230)와 샤프트(310)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320)를 온/오프 하는 각각의 스위치(121)가 설치됨과 동시에, 각각의 풀리(210)(210a)에 권취된 띠톱 및 띠칼(이하 "띠톱"이라 칭함)(220)이 사용도중 절단되었을 때 신호음을 울리는 부져(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절단테이블(130)의 하면에는 판 형태의 패널(131)이 덧 데어지고 그 덧 데어진 패널(131)의 하부에는 상기 절단테이블(130)을 지지하며 받쳐주고 양측에 레일이 형성된 고정판(132)으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133)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133)에는 스크류샤프트(134)가 설치되고 그 스크류샤프트(134)의 끝단에는 핸들(13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 양측에는 띠톱(220)을 권취 한 상태에서 그 띠톱(220)을 회전시키는 풀리(210)(210a)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동일선상에 양측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띠톱(220)이 권취 된 양측의 풀리(210)(210a)중 일측의 풀리(210)에는 띠톱(220)을 회전시키는 풀리(210)의 동력원인 모터(230)가 연결 설치되고 타측의 풀리(210a)에는 띠톱장력조절수단(24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단부(200)의 띠톱(220)을 회전시키는 풀리(210)와 모터(230)의 연결 설치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저부 일측에 모터(230)가 고정설치되고, 그 모터(230)의 축에는 브이밸드풀리(231)가 설치되며 이 브이밸드풀리 (231)의 상부에는 또 하나의 브이밸드풀리(232)가 설치되고, 그 브이밸드풀리(232)에는 베어링블럭(234)이 설치된 동력전달축(233)이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축(233)의 선단부에는 풀리(2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띠톱장력조절수단(240)은 상기 타측의 풀리(210a)와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풀리(210a)의 풀리축(211)에는 장력조절슬라이더(241)가 설치되고, 그 장력조절슬라이더(24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에 레일이 설치된 고정판(242)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며, 상기 장력조절슬라이더(241)의 출측에는 본체(100)의 측면을 관통하며 끝 단부에 핸들(244)이 설치된 스크류샤프트(2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244)의 내측과 본체(100)의 측면 사이에는 띠톱절단감지장치(250)가 마련되는데, 그 띠톱절단감지장치(250)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핸들(244)과 본체(100)의 측면 사이에 스프링(251)이 설치되고 그 스프링(251)의 외부에는 스프링(251)을 감싸며, 선단부에 접점부(253)가 마련된 하우징(25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점부(253)와 대향하는 본체(100)의 측면에는 센서(2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단물공급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에 감속모터(320)와 연결 설치되는 샤프트(310)가 마련되고, 그 샤프트(310)의 상부에는 절단물(500)을 파지한 후 회전하여 절단테이블(130)에 도달하면 상기 파지한 절단물(500)의 파지력을 해제하고 띠톱(220)으로 가이드 해주는 절단물공급수단(330)이 설치되며 상기샤프트(310)의 하부에는 감속모터(320)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310)와 감속모터(320)의 연결설치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감속모터(320)의 축에 설치된 웜기어(321)에 샤프트(310) 하단부에 설치된 웜기어(311)가 상호 치합되어 감속모터(320)의 동력이 전달되게 하였고, 상기 감속모터(320)는 본체(100)의 내측 저부에 안전하게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310)는 그 샤프트(310)의 중앙부에 샤프트(310)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베어링블럭(312)이 본체(100)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샤프트(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절단물(500)을 절단테이블(130)로 가이드 해주는 절단물공급수단(330)은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10)의 상부에 연결구(331)가 끼워 맞춤되고, 그 연결구(331)의 사방에는 암(332)이 설치되며 그 암(332)의 선단부에는 절단물(500)을 수용하는 바스켓(333)이 설치되고, 상기 바스켓(333)내부에는 바스켓(333)에 수용된 절단물(500)을 파지하는 절단물고정판(334)이 마련되고 그 절단물고정판(334)은 필요에 따라 작동되는 실린더(335)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335)의 상/하부에는 절단물고정판(334)의 이동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실린더가이드(33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암(332)의 내부에는 끝 단부에 가이드 휠(338)이 설치된 에어콘트롤레버(337)가 설치되어 실린더(335)로의 에어공급을 선택적으로 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바스켓(333)의 저부에는 절단물가이드(3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333)의 저 부에 설치된 절단물가이드(34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톱(220)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500)을 벨트콘베이어(410)로 가이드 해 주는 것으로써 하부에 가이드(342)가 설치된 고정구(34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341)의 하부에는 링(140)을 따라 이동하며 가이드(342)를 들어올리거나 내려주는 가이드슈(344)가 연결구(343)에 의해 연결설치 되어있다.
또 상기 링(140)은 가이드슈(344)가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으로써 그 링(140)은 본체(100)의 상판(101)에 전방이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링(140)의 전방이 개방된 것은 가이드슈(344)가 링(140)을 따라 이동하다가 개방부(141)에 도달하면 링(140)에서 떨어지면서 가이드(342)의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가 절단테이블(130)과 접촉되면서 띠톱(22)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500)을 벨트콘베이어(410)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띠톱(220)이 진행하는 본체(100)의 상판(101)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톱(220)을 수용하며, 그 띠톱(220)에 부착된 절단잔여물을 불어내는 에어분사구(150)가 설치되고, 상기 풀리(210)(210a)의 일측에는 그 풀리(210) (210a)에 부착된 절단잔여물을 제거하는 스크레퍼(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띠톱(220)에 부착된 절단잔여물을 불어내는 에어분사구(150)는 절단테이블(130)과 대향하는 본체(100)의 상판(101)에 띠톱(220)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그 띠톱(220)을 수용하는 띠톱수용부(152)가 형성되어 있는 "ㄷ" 자형의 몸체(15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몸체(151)의 띠톱수용부(152) 내측에는 에어라인 (154)과 연통되는 에어분사공(15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띠톱(220)이 권취된 풀리(210)(210a)의 저부 일측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리(210)(210a)에 부착된 절단잔여물을 제거하는 스크레퍼(160)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크레퍼(160)의 상부는 풀리(210)(210a)와 접촉되는 긁게(161)가 마련되고 하부는 하측으로 힘이 작용되는 중량체(162)를 마련하여 그 중량체(162)의 힘이 하측으로 작용하면 상기 긁게(161)는 힌지(163)를 축으로 회동하면서 풀리(210)(210a)와 더욱 긴밀하게 접촉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물공급수단(330)에 의해 공급되어 띠톱(220)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500)을 목적지로 이송하는 절단물이송부(400)는 절단테이블(130)의 단부 하단에 벨트콘베이어(41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컨트롤 패널(120)에 마련된 스위치(121)를 온(ON)하여 모터(230)와 감속모터(320)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와 동시에 모터(230)와 감속모터(320)가 작동되면 풀리(210)(210a)와 샤프트(310)가 회전하여 띠톱(220)과 절단물공급수단(330)이 연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물공급수단(330)의 바스켓(333)에 절단물(500)을 투입하면 실린더(335)가 작동하여 절단물고정판(334)이 전진하면서 절단물(500)을 안전하게 파지하게 되고 그 파지된 바스켓(333)은 샤프트(31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단 상기 바스켓(333)에 절단물(500)을 투입하는 공정은 상기 바스켓(333)이 본체(100)의 상판(101)상으로 절단테이블(130)로 이동하기 직전이고, 그 이유는 상기 바스켓(333)이 절단테이블(130)상에 위치하기 전에는 암(332)의 내측에 설치된에어콘트롤레버(337)가 에어공급체(339)를 오프시켜 실린더(335)에 에어를 공급하지 않을 때이므로 실린더(335)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절단물고정판(334)이 바스켓(333)의 일측에 위치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333)이 본체(100)의 상판(101)상에서 절단테이블(130)상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암(332)의 내측에 설치된 에어콘트롤레버(337)의 하단부에 설치된 가이드휠(338)이 상기 본체(100)의 상판(101)에서 이탈하면서 에어콘트롤레버(337)의 각도가 변하게 되어 상기 에어의 공급을 오프하던 에어공급체(339)의 에어를 온 해주기 때문에 실린더(335)가 작동하여 절단물(500)을 파지해 준다.
한편 상기 바스켓(333)의 하부에 설치된 절단물가이드(340)의 가이드슈(344)는 본체(100)의 상판(101)에 설치된 링(140)을 타고 회전되면서 가이드(342)를 링(140) 높이만큼 상부로 들어 올려주고, 상기 바스켓(333)이 절단테이블(130)에 이르게 되면 가이드슈(344)가 링(140)의 개방부(141)에 위치하면서 상기 들어 올려주던 가이드(342)를 절단테이블(130)상으로 내려준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342)의 하단부는 절단테이블(130)의 상면과 접촉되고 바스켓(333)에 수용된 절단물(500)은 띠톱(220)에 의해 절단되며, 그 절단된 절단물(500)은 가이드(342)가 벨트콘베이어(410)측으로 밀어주어 목적지로 이송하게 되고 그 이송된 목적지에서 상기 절단물(500)을 포장하면 된다.
상기 바스켓(333)이 절단테이블(130)에 위치하면 상기 에어콘트롤레버(337)의 하단부에 설치된 가이드휠(338)이 상기 본체(100)의 상판(101)과 이격 되면서 에어콘트롤레버(337)의 각도가 수직을 이루게 되어 에어공급체(339)의 에어를 온시켜 주어 절단물(500)을 파지하였다가 절단물을 절단한 후, 바스켓(333)이 다시 본체(100)의 상판(101)상에 이르게 되면 에어콘트롤레버(337)의 각도가 꺽이면서 에어공급체(339)의 에어를 오프 시키므로 실린더(335)를 원래의 상태로 이동시켜 절단물(500)의 파지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풀리(210)(210a)에 권취되어 풀리(210)(210a)와 함께 회전하면서 절단물(500)을 절단하는 띠톱(220)은 그 사용도중에 장력이 변화하게 되면 띠톱장력조절수단(240)의 핸들(244)을 회전시켜 선단부에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샤프트(243)를 본체(100)의 외측으로 인출시키고, 이때 상기 스크류샤프트(243)의 선단부와 연결 설치된 장력조절슬라이더(241)가 고정판(242)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인출되면서 풀리축(211)을 외측으로 당겨주어 상기 변화된 장력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띠톱(220)이 사용도중 절단되게 되면 상기 띠톱(220)에 작용하던 장력이 해제되면서 핸들(244)과 본체(100)의 측면사이에 마련된 스프링(251)의 탄발력에 의해 핸들(244)을 밀어냄으로 스크류샤프트(243)가 풀리(210a)와 함께 밀려나게 되어 상기 스프링(251)을 감싸는 하우징(252)의 선단부에 형성된 접점부(253)가 센서(254)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컨트롤패널(120)의 부져(122)에 신호음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부져(122)에서 신호음이 발생함과 동시에, 되면 모터(230)와 감속모터(320)의 전원은 자동으로 오프 되어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의 작동을 멈춘다.
또 상기 띠톱(220)이 절단물(500)을 절단하게 되면 그 띠톱(220)에 상기 절단물(500)의 잔재들이 묻게 되고, 이렇게 묻게된 절단물(500)의 잔재들은 에어분사구(150)의 띠톱수용부(152)를 통과하면서 에어라인(154)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가 분사공(153)을 통하여 띠톱(220)으로 분사됨으로서 상기 띠톱(220)에 묻어있는 잔재들을 불어내어 제거해준다.
그리고 풀리(210)(210a)에 묻어있는 잔재들은 스크레퍼(160)의 긁게(161)에 의해 깨끗하게 제거된다. 또한 상기 절단테이블(130)은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됨으로 본체(100)의 상판(101)으로부터 절단테이블(130)이 어느 정도 이격 되어 있느냐에 따라 절단물(500)의 절단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단테이블(130)의 상하 높낮이 조절은 스크류샤프트(134)의 끝 단부에 설치된 핸들(135)을 회전시켜 슬라이더(133)를 이동시키면 패널(131)을 매개로 상기 슬라이더(133)와 연결 설치된 절단테이블(130)이 이동되면서 상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는 절단물의 절단작업시 작업자가 띠톱과 근접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스켓에 상기 절단물만 투입하게 되면 그 투입된 절단물을 본체의 상판과 절단테이블간의 이격 폭만큼의 두께로 절단되어 벨트콘베이어로 안내되고, 그 안내된 절단물을 벨트콘베이어가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이송시킴으로 절단물의 절단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는 절단물의 절단작업 도중 띠톱이 절단되게 되면, 그와 동시에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띠톱이 권취된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절단물공급부가 설치된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감속모터의 전원을 즉시 차단하여 작동을 중시시킴으로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타 설비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는 띠톱의 장력을 수시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띠톱 및 풀리에 부착된 절단물의 잔재물을 에어분사구와 스크레퍼에 의해서 제거할 수 있음으로 별도로 청소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항상 청결한 상태에서 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어 위생을 확보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하부 사방에 구동바퀴(110)가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컨트롤 패널(120)이 설치되며 전방에 상하 높낮이가 조절되는 절단테이블(130)이 마련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띠톱(220)이 권취된 각각의 풀리(210)(210a)가 설치되고 그 양측의 풀리 중 일측의 풀리(210)에는 모터 (230)가 연결 설치되며 타측의 풀리(210a)에는 띠톱장력조절수단(240)이 설치된 절단부(200)와;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감속모터(320)와 연결설치된 샤프트(310)의 상부에 절단테이블(130)로 절단물(500)을 공급하는 절단물공급수단(330)이 설치된 절단물공급부(300)와;
    상기 절단물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어 띠톱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을 목적지로 이송하는 벨트콘베이어(410)가 설치된 절단물이송부(400);로 이루어진 구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띠톱이 진행하는 본체(100)의 상판(101)에는 띠톱 (220)을 수용하며, 그 띠톱(220)에 부착된 절단잔여물을 불어내는 에어분사구(150)가 설치되고, 상기 풀리(210)(210a)의 일측에는 그 풀리에 부착된 절단잔여물을 제거하는 스크레퍼(16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의 풀리와 연결 설치되는 띠톱장력조절수단(240)은 풀리축(211)에 장력조절슬라이더(241)가 설치되고, 그 장력조절슬라이더의 출측에는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며 끝단부에 핸들(244)이 설치된 스크류샤프트(243)가 설치되며, 상기 핸들(244)이 설치된 스크류샤프트의 내측과 본체의 측면 사이에는 띠톱절단감지장치(250)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띠톱절단감지장치(250)는 핸들 내측과 본체의 측면 사이에 스프링(251)이 설치되고, 그 스프링(251)의 외부에는 선단부에 접점부(253)가 마련된 하우징(252)이 설치되며, 상기 접점부(253)와 대향하는 본체의 측면에는 센서(25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10)의 상부에 설치된 절단물공급수단(33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암(332)이 설치되고, 그 암의 선단부에는 절단물을 수용하는 바스켓(333)이 설치되며, 상기 바스켓의 일측면 중앙에는 바스켓내에 마련된 절단물고정판(334)과 연결 설치되는 실린더(335)가 설치되고, 그 실린더의 상/하부에는 실린더가이드(336)가 설치되며, 상기 암의 내측에는 실린더로의 에어공급을 필요에 따라 온/오프 해주는 에어콘트롤레버(33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및 어류자동 절단장치.
  6.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물공급수단(330)의 저부인 본체(100)의 상판(101) 상에는 전방이 개방된 링(140)이 설치되고, 상기 바스켓의 저부에는 하부에 띠톱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을 벨트콘베이어(410)로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342)가 설치된 고정구(34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의 하부에는 상기 링(140)을 따라 이동하며 가이드를 들어올리거나 내려주는 가이드슈(344)가 연결구(343)에 의해 연결설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KR1020000022362A 2000-04-27 2000-04-27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KR10033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362A KR100336658B1 (ko) 2000-04-27 2000-04-27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KR2020000016470U KR200203377Y1 (ko) 2000-04-27 2000-06-10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362A KR100336658B1 (ko) 2000-04-27 2000-04-27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470U Division KR200203377Y1 (ko) 2000-04-27 2000-06-10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903A true KR20010097903A (ko) 2001-11-08
KR100336658B1 KR100336658B1 (ko) 2002-05-24

Family

ID=1966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362A KR100336658B1 (ko) 2000-04-27 2000-04-27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6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112A (ko) * 2014-03-11 2015-09-21 박태웅 육류절단장치용 이송벨트 및 그 이송벨트가 구비된 육류절단장치
KR20160120488A (ko) * 2015-04-08 2016-10-18 임상훈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KR102559515B1 (ko) * 2023-03-16 2023-07-27 주식회사 건국미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482B1 (ko) * 2014-05-29 2016-02-18 손진원 육류 톱밥의 회수가 용이한 슬라이스 절단기
KR102145231B1 (ko) 2018-12-04 2020-08-19 (주)그랜드벨 고기류 정량절단기
KR102276097B1 (ko) 2021-03-24 2021-07-12 홍익아이씨티 주식회사 육골 절단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973B1 (ko) * 1997-04-15 1999-06-15 양동광 식료절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112A (ko) * 2014-03-11 2015-09-21 박태웅 육류절단장치용 이송벨트 및 그 이송벨트가 구비된 육류절단장치
KR20160120488A (ko) * 2015-04-08 2016-10-18 임상훈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KR102559515B1 (ko) * 2023-03-16 2023-07-27 주식회사 건국미트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658B1 (ko) 200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658B1 (ko)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CA2284056A1 (en) Improved loin knife assembly for automatic loin puller apparatus
US4637288A (en) Safety mechanism for saws
JP2015033756A (ja) パインホールカット装置
US5759350A (en) Papermaking process dry end slabbing method
KR101132242B1 (ko) 과일 꼭지 간편 제거장치
KR200203377Y1 (ko)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US20070032185A1 (en) Device for cutting and stripping meat
JP2003062711A (ja) Uリブ自動孔明け装置
JP2007160433A (ja) 帯鋸盤の安全装置および帯鋸盤
KR20040059220A (ko) 절단기
AU2010229463B2 (en) A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removal of animal carcass knuckle tips
KR200299839Y1 (ko) 면취장치
KR20160008936A (ko) 냉동 뼈 고기 절단기
KR20050029062A (ko) 석재 자동 절단기
KR100508552B1 (ko)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
US5295897A (en) Fish fin remover
KR200346402Y1 (ko)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
KR100736893B1 (ko) 폐골프공 외피탈피장치
US20030024362A1 (en) Return conveyor belt system
US5237752A (en) Movable control-handle for chainsaw
KR100194886B1 (ko) 탁상 드릴링머신 안전장치
JPH0736747B2 (ja) 果実のへた取り・切断装置
KR100544428B1 (ko) 코일밴드 자동 제거장치
AU694289B2 (en) Cut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