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097B1 - 육골 절단기 - Google Patents

육골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097B1
KR102276097B1 KR1020210037876A KR20210037876A KR102276097B1 KR 102276097 B1 KR102276097 B1 KR 102276097B1 KR 1020210037876 A KR1020210037876 A KR 1020210037876A KR 20210037876 A KR20210037876 A KR 20210037876A KR 102276097 B1 KR102276097 B1 KR 102276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cutting
bone
driven wheel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대
Original Assignee
홍익아이씨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아이씨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익아이씨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7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Producing portions of meat with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e.g. weight or particular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4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n endless band-knife or the like
    • B26D1/5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n endless band-knife or the like with a plurality of band-kniv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골 절단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육골 절단기에 의하면, 상기 육골 절단기가 고기와 뼈가 함께 있는 육골(肉骨)을 절단하여 절단 육골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 부재와, 육골 수용 부재와,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와, 절단 부재와, 구동 휠 부재와,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 및 배출 이송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투입되는 상기 육골을 동시 절단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육골이 형성되도록 하고, 복수 개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 상기 육골 수용 부재의 회전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육골이 연속적으로 투입되면서 절단될 수 있어 절단 작업 효율을 높여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투입된 상기 육골의 절단 및 외부로의 배출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도 보장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육골 절단기{meat bone band saw}
본 발명은 육골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뼈와 고기가 함께 있는 육골(肉骨)을 요구되는 복수 개의 조각으로 동시에 절단시킬 수 있고, 먼저 투입된 상기 육골이 절단되는 동안 절단이 요구되는 다른 상기 육골들이 연속적으로 투입되어 복수 개의 상기 육골에 대한 절단 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투입된 복수 개의 상기 육골의 절단 및 외부로의 배출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육류(肉類)는 먹을 수 있는 짐승의 고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돼지, 소 등의 가축 동물의 고기를 말하고, 육골(肉骨)은 상기 육류에 뼈가 함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육류 또는 육골은 도축 후 부위 별로 분리되거나, 각 부위에서도 적당한 크기로 절단되는 절단 가공 작업을 거친 후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육류 또는 육골의 절단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육류 절단기 또는 육골 절단기이고, 이러한 육류 절단기 또는 육골 절단기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그러나, 종래의 육류 절단기 또는 육골 절단기 및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들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도 1은 육골을 절단시키는 종래의 육골 절단기에 관한 것인데, 종래의 육골 절단기에 의하면, 육류, 육골 및 어류 등의 다양한 절단 대상물에 대해 모두 절단 가능하나, 작업자가 상기 절단 대상물을 직접 잡아서 고정시킨 상태로 절단함에 따라, 상기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작업자에 의한 고정이 약할 경우 줄톱에 상기 절단 대상물이 절단되는 도중 상기 절단 대상물의 임의 흔들림으로 인해 상기 절단 대상물이 수직 방향이 아닌 사선 방향으로 절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숙련된 작업자가 절단 작업을 수행할 경우 절단 작업 비용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절단 대상물을 복수 개의 조각으로 절단시킬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줄톱에 대해 상기 절단 대상물을 복수 회 이송시켜야 함으로써 절단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았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996820호는 종래의 육골 절단기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절단 대상인 육류가 놓여진 이송판의 이송에 의해 상기 육류가 줄톱 쪽으로 이송된 후 육류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줄톱에 의해 절단되고, 그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이송판을 이동시킬 때 상기 이송판에 구비된 손잡이를 잡고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 육골의 절단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는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줄톱이 한 개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상기 육골을 복수 개로 절단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이송판의 이송 및 상기 육류고정부에 의한 상기 육골의 고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육류의 절단을 위한 준비 작업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라 절단 작업 시간이 증가되어 작업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336658호는 절단물공급부를 통해 절단 대상체인 육류 및 어류가 공급된 후 높이 조절부의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절단 대상체를 띠톱 쪽으로 이송시켜 상기 절단 대상체를 절단시키게 되는데, 상기 절단 대상체가 동시에 절단되지 아니하고, 상기 절단 대상체가 수용된 바스켓이 이송되면서 절단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먼저 투입된 상기 절단 대상체의 절단이 완료된 후 절단되어질 상기 절단 대상체가 투입됨으로써 절단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절단물공급부 및 상기 높이 조절부가 구비됨으로 인해 장치의 구성이 그만큼 복잡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육류 및 어류 절단기로 상용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508552호는 절단물 수용 부재에 수용된 절단물이 이송 부재에 의해 이송되다가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설치된 회전 칼날에 의해 절단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단물을 안전하게 자동으로 절단시킬 수는 있으나, 상기 절단물의 절단 길이 또는 절단 조각 개수를 변경할 경우, 복수 개의 상기 회전 칼날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회전 칼날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 조절 부재를 분해 및 재조립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간극 조절 부재의 분해 및 재조립에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절단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회전 칼날은 뼈가 없는 육류 또는 뼈가 상대적으로 작은 어류에 대해서는 절단이 가능하나, 뼈와 고기가 함께 있는 육골에 대해서는 절단이 어려워 절단 대상물에 따른 절단에 한계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996820 호, 등록일자: 2019.07.01., 발명의 명칭: 육류 절단기 등록특허 제 10-0336658 호, 등록일자: 2002.11.08., 발명의 명칭: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등록특허 제 10-0508552 호, 등록일자: 2005.08.08., 발명의 명칭: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
본 발명은 고기와 뼈가 함께 있는 육골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투입되는 육골에 대해 복수 조각으로 동시 절단이 가능하고, 복수 개의 육골이 연속적으로 투입되면서 절단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투입된 상기 육골의 절단 및 외부로의 배출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작업자의 안전도 보장될 수 있는 육골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육골 절단기는 고기와 뼈가 함께 있는 육골(肉骨)을 절단하여 절단 육골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곽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복수 개의 상기 육골이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육골 수용 부재; 상기 육골 수용 부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육골 수용 부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 원형 띠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절단날이 형성되어 상기 육골 수용 부재에 수용된 상기 육골을 절단시키되, 상기 육골이 절단되어 복수 개의 절단 육골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절단 부재;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와 연결된 상태로 회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를 순환 이동시키는 구동 휠 부재; 상기 구동 휠 부재에 연결된 상기 절단 부재를 순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휠 부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서 상기 육골 수용 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에 의해 동시 절단된 상기 절단 육골을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배출 이송 부재;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투입되어 상기 육골 수용 부재의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육골은 상기 육골 수용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절단 부재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절단 부재 쪽으로 이동된 상기 육골은 상기 구동 휠 부재에 의해 순환 이동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에 의해 동시 절단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육골이 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육골은 상기 배출 이송 부재의 상단에 놓여진 후 이송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육골 수용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각 수용 공간에는 상기 각 육골이 연속적으로 수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각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각 육골에 대해 상기 절단 부재에 의한 동시 절단 및 상기 배출 이송 부재에 의한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육골 절단기에 의하면, 육골 절단기가 고기와 뼈가 함께 있는 육골(肉骨)을 절단하여 절단 육골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 부재와, 육골 수용 부재와,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와, 절단 부재와, 구동 휠 부재와,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 및 배출 이송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투입되는 상기 육골을 동시 절단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육골이 형성되도록 하고, 복수 개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 상기 육골 수용 부재의 회전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육골이 연속적으로 투입되면서 절단될 수 있어 절단 작업 효율을 높여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투입된 상기 육골의 절단 및 외부로의 배출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도 보장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를 뒤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7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를 구성하는 육골 수용측 슬라이딩 부재의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를 구성하는 절단측 회동 부재에 적용된 회동 가이드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육골 절단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를 뒤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를 구성하는 육골 수용측 슬라이딩 부재의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를 구성하는 절단측 회동 부재에 적용된 회동 가이드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100)는 고기와 뼈가 함께 있는 육골(肉骨)을 절단하여 절단 육골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 부재(110)와, 육골 수용 부재(120)와,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125)와, 절단 부재(126)와, 구동 휠 부재(130)와,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139) 및 배출 이송 부재(16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육골 절단기(100)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투입되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의 상기 수용 공간(122)에 수용된 상기 육골은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절단 부재(126)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절단 부재(126) 쪽으로 이동된 상기 육골은 상기 구동 휠 부재(130)에 의해 순환 이동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126)에 의해 동시 절단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육골이 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육골은 상기 배출 이송 부재(165)의 상단에 놓여진 후 이송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110)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각 수용 공간(122)에는 상기 각 육골이 연속적으로 수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각 수용 공간(122)에 수용된 상기 각 육골에 대해 상기 절단 부재(126)에 의한 동시 절단 및 상기 배출 이송 부재(165)에 의한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육골 절단기(100)는 절단측 회동 부재(150)와, 육골 수용측 슬라이딩 부재(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부재(110)는 외곽 틀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부재(110)는 그 내부가 빈 사각 단면 형태의 중공 바아(bar)가 복수 개 수직 또는 수평으로 복수 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육골 절단기(100)가 설치면 상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프레임 본체(111)와, 상측 프레임(112)과, 전측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본체(111)는 상기 육골 절단기(100)의 외곽 틀이 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중공 바아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 높이 길게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측 프레임(112)은 상기 프레임 본체(111)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종동 휠부(13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전측 프레임(113)은 상기 프레임 본체(111)에서 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가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측 프레임(112)에 대해 수직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측 프레임(113)은 상기 육골 절단기(100)가 설치되는 상기 설치면에 상기 프레임 본체(111)와 함께 놓이면서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를 지지한다.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는 상기 프레임 부재(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복수 개의 상기 육골이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수용 공간(12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는 육골 수용 몸체(121)와, 복수 개의 절단 삽입 홈(123)과, 육골 수용측 회전축(124)을 포함한다.
상기 육골 수용 몸체(121)는 원통 형태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수용 공간(122)은 상기 육골 수용 몸체(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것으로, 상기 수용 공간(122)에 절단이 요구되는 상기 육골이 수용된다.
상기 수용 공간(122)은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축(124)과 상대적으로 근접된 곳에서 외측 방향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벌어지면서 전체적으로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122)은 복수 개로 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수용 공간(122)은 격벽이 형성되어 서로 독립된 공간을 이루게 된다.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삽입 홈(123)은 상기 육골 수용 몸체(121)의 길이 방향, 즉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축(124)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절단 부재(126)가 삽입되어 상기 수용 공간(122)에 수용된 상기 육골이 동시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육골 수용 몸체(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육골 수용 몸체(121)가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축(124)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상기 육골 수용 몸체(121)의 외측 일부가 상기 절단 부재(126)와 겹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절단 부재(126)가 상기 절단 삽입 홈(123)에 삽입되면서 상기 수용 공간(122)에 수용된 상기 육골과 만나게 되고, 이 때 상기 육골이 상기 육골 수용 몸체(121)에 삽입된 상기 절단 부재(126)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절단 육골이 형성된다.
상기 각 절단 부재(126)는 요구되는 상기 절단 육골의 길이(서로 이웃하는 상기 절단 부재(126)의 동시 절단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절단 육골의 길이)부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상기 각 절단 부재(126)의 가변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절단 삽입 홈(123) 역시 복수 개로 형성된다.
상기 절단 삽입 홈(123)이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각 절단 부재(126)가 상기 각 절단 삽입 홈(123)에 삽입된 상태로 작동되어 상기 육골이 절단됨으로써, 상기 각 절단 부재(126)가 상기 각 절단 삽입 홈(12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육골을 절단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육골이 절단되는 동안 상기 각 절단 부재(126)의 임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절단 부재(126)가 냉동 상태의 상기 육골을 절단하는 경우, 상기 절단 부재(126)가 상대적으로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육골을 절단시키는 동안 사선 방향 등으로 임의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절단 육골이 요구되는 길이로 절단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절단 부재가 파손될 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절단 부재(126)가 상기 절단 삽입 홈(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절단 삽입 홈(123)에 의해 가이드되면, 상기 각 절단 부재(126)의 임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축(124)은 상기 육골 수용 몸체(121)의 회전 기준이 되는 것으로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125)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육골 수용 몸체(121)에 전달하고, 그에 따라 상기 육골 수용 몸체(12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125)는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의 회전축인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축(124)과 연결되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기 모터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125)와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축(124) 사이에는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125)와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축(124) 사이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 모듈 등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단 부재(126)는 원형 띠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절단날(127)이 형성되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에 수용된 상기 육골을 절단시키되, 상기 육골이 절단되어 복수 개의 절단 육골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 부재(126)는 상기 구동 휠 부재(130)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휠 부재(13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면서 그 이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육골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구동 휠 부재(1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프레임 부재(110), 더 정확하게는 상기 프레임 본체(111)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126)와 연결된 상태로 회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126)를 순환 이동시키는 것으로 원동 휠부(141)와 종동 휠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원동 휠부(141)는 상기 프레임 본체(111)의 하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139)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원동 휠측 회전축(142)과, 원동 휠측 회전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은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139)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육골 수용 몸체(121)와 평행하게, 더 정확하게는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축(124)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동 휠측 회전부(143)의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원동 휠측 회전부(143)는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되면서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에 연결되어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과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각 원동 휠측 회전부(143)는 원동 휠측 회전체(144)와, 원동 휠측 안착홈(145)과, 원동 휠측 손상 방지홈(146)을 포함한다.
상기 원동 휠측 회전체(144)는 소정 면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 부재(126)는 상기 원동 휠측 회전체(144)의 외측에 연결되므로 상기 원동 휠측 회전체(144)의 직경에 따라 그 이격 거리가 결정된다.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동 휠측 회전체(144)의 외측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절단 부재(126)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의 폭은 상기 절단 부재(126)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의 함몰 깊이는 상기 절단 부재(126)가 상기 원동 휠측 회전체(144)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원동 휠측 손상 방지홈(146)은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에 상기 절단 부재(126)가 안착될 때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과 상기 절단날(127)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절단날(127)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의 저면에서 일부가 상대적으로 더 깊게 함몰된 것이다.
상기 종동 휠부(131)는 상기 상측 프레임(112)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원동 휠부(141)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종동 휠측 회전축(132)과, 종동 휠측 회전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종동 휠측 회전축(132)은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이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며 상기 종동 휠측 회전부(133)의 회전 중심이 된다.
상세히, 상기 종동 휠측 회전축(132) 상기 상측 프레임(112)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됨과 함께 베어링 등에 의해 상기 상측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종동 휠측 회전부(133)는 상기 종동 휠측 회전축(13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되면서 상기 종동 휠측 회전축(132)에 연결되어 상기 종동 휠측 회전축(132)과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각 종동 휠측 회전부(133)는 종동 휠측 회전체(134)와, 종동 휠측 안착홈(135)과, 종동 휠측 손상 방지홈(136)을 포함한다.
상기 종동 휠측 회전체(134)는 소정 면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종동 휠측 회전체(134)의 직경은 상기 원동 휠측 회전체(144)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면, 띠 형태로 형성된 상기 절단 부재(126)에서 상기 원동 휠측 회전체(144)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종동 휠측 회전체(134)의 일측까지 배치된 부분과 상기 원동 휠측 회전체(144)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종동 휠측 회전체(134)의 타측까지 배치된 부분은 상기 원동 휠측 회전체(144)의 직경과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면서 서로 평행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 휠측 회전체(134)의 외측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절단 부재(126)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의 폭은 상기 절단 부재(126)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의 함몰 깊이는 상기 절단 부재(126)가 상기 상기 종동 휠측 회전체(134)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종동 휠측 손상 방지홈(136)은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에 상기 절단 부재(126)가 안착될 때 상기 절단날(127)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의 저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깊게 함몰된 것이다.
한편, 상기 각 원동 휠측 회전부(143) 및 상기 각 종동 휠측 회전부(133)는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 절단 부재(126)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 및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절단 부재(126)가 미리 설정된 장력을 가지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 및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139)에 의해 상기 원동 휠부(141)가 회전되면, 상기 원동 휠부(1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원동 휠부(141)와 연결된 상기 절단 부재(126) 및 상기 절단 부재(126)가 연결된 상기 종동 휠부(131)가 함께 회전됨으로써 상기 절단 부재(126)가 상기 원동 휠부(141) 및 상기 종동 휠부(131) 사이에서 순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절단 부재(126)는 요구되는 상기 절단 육골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 및 복수 개의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에서 안착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에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이 각각 형성된 상기 원동 휠측 회전부(143)가 20개 연결되고, 상기 종동 휠측 회전축(132)에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이 각각 형성된 상기 종동 휠측 회전부(133)가 20개 연결되고, 상기 절단 부재(126)가 4개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각 절단 부재(126)는 요구되는 상기 절단 육골의 길이에 따라 20개의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 및 20개의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 중에서 선택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요구되는 상기 절단 육골의 길이가 변경되면, 20개의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 및 20개의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 중에서 요구되는 상기 절단 육골의 길이에 적합한 곳으로 상기 절단 부재(126)의 위치를 변경시키기만 하면 됨으로써, 상기 절단 육골의 길이 변경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요구되는 상기 절단 육골의 길이가 변경될 때 상기 원동 휠측 회전부(143) 또는 상기 종동 휠측 회전부(133)의 분해 및 재조립이 필요하지 않을 뿐더러 상기 절단 부재(126)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도 필요없이 복수 개의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 및 복수 개의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에 대한 상기 절단 작업의 위치만 가변시키면 됨으로써 상기 절단 육골의 길이 변경에 따른 준비 시간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일반 작업자도 손쉽게 준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에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원동 휠측 회전부(143) 및 상기 종동 휠측 회전축(132)에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종동 휠측 회전부(133)는 상기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139)에 의해 모두 함께 회전됨으로써, 상기 원동 휠측 회전부(143) 및 상기 종동 휠측 회전부(133)에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126)가 동시에 함께 순환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에 수용된 상기 육골은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126)에 의해 동시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139)는 상기 구동 휠 부재(130)에 연결된 상기 절단 부재(126)를 순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휠 부재(130)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기 모터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139)와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 사이에는 상기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139)와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 사이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 모듈 등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 이송 부재(165)는 상기 프레임 부재(110)에서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126)에 의해 동시 절단된 상기 절단 육골을 상기 프레임 부재(110)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배출 이송 부재(165)는 띠 형태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순환 이동되는 컨베이어 벨트(167)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67)의 양측 말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67)를 순환 이동시키는 한 쌍의 배출 이송측 회전축(166)과, 한 쌍의 상기 배출 이송측 회전축(166)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한 쌍의 상기 배출 이송측 회전축(166)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배출 이송측 회전력 공급부(168)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이송측 회전력 공급부(168)는 전기 모터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이송측 회전축(166) 및 상기 배출 이송측 회전력 공급부(168) 사이에는 상기 배출 이송측 회전축(166) 및 상기 배출 이송측 회전력 공급부(168)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이 위한 기어 모듈 등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 이송 부재(165)는 상기 원동 휠부(141)의 상공에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125)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육골이 상기 절단 부재(126)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절단 육골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 육골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가 계속 회전되다가 상기 수용 공간(122)의 개구부가 하부 쪽으로 향하게 되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절단 육골이 그 자중에 의해 하부 쪽으로 떨어진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167) 상에 놓이게 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67) 상에 놓인 상기 절단 육골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67)의 이동에 의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육골 절단기(100)의 외부로의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67)의 말단부에는 상기 절단 육골이 보관되는 보관체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150)는 상기 프레임 부재(110)에 설치되고,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 및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에 안착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절단 부재(126)의 방향에 대해 상기 절단 부재(126)가 세워져서 상기 절단 부재(126)의 상기 절단날(127)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 쪽을 향하도록 상기 절단 부재(126)를 회동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150)는 수평 바아(bar)(151)와, 복수 개의 회동 가이드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바아(151)는 상기 프레임 본체(111)에 장착되고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회동 가이드부(152)는 상기 수평 바아(15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 절단 부재(126)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각 회동 가이드부(152)는 회동 가이드 몸체(153)와, 손잡이(160)와, 한 쌍의 측면 롤러(158)와, 지지 롤러(159)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 가이드 몸체(153)는 상기 수평 바아(151)가 삽입되는 관통 홀(156)과, 상기 관통 홀(156)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간극 홀(157)과, 상기 간극 홀(157)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 가이드 몸체(154)와, 상기 간극 홀(157)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타측 가이드 몸체(155)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 회동 가이드 몸체(153)에 연결되고, 상기 간극 홀(157)의 이격 거리를 조절시키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측면 롤러(158)는 상기 회동 가이드 몸체(153)에서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와 대면되는 쪽에 장착되고, 그 회전축이 상기 수평 바아(151)와 수직되도록 배치되며, 세워진 상기 절단 부재(126)의 양면에 각각 접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 롤러(159)는 상기 절단 부재(126)에 의해 상기 육골이 절단될 때 상기 절단날(127)의 반대 부분에 접하면서 상기 절단 부재(126)를 지지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측면 롤러(158) 및 상기 지지 롤러(159)는 상기 절단 부재(126)가 순환 이동될 때 미끄럼 회전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가이드 몸체(153)에 볼 베어링 등의 베어링으로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 일측 가이드 몸체(154) 및 상기 타측 가이드 몸체(155)에 나사산이 맞물리면서 연결되고, 상기 회동 가이드 몸체(153)가 상기 수평 바아(151)에서 요구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16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손잡이(160)가 상기 회동 가이드 몸체(153)에 조여지면서 상기 일측 가이드 몸체(154)를 가압하여 상기 간극 홀(157)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좁혀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관통 홀(156)의 내측면이 상기 수평 바아(151)에 밀착되어 상기 수평 바아(151)에 대한 상기 회동 가이드 몸체(153)의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15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150) 중 하나는 상기 프레임 본체(111)에서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의 최고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15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프레임 본체(111)에서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의 최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배치된다.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150)가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구동 휠 부재(13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기 절단 부재(126)에서 상기 절단 부재(126)가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150)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측면 롤러(158)를 경유하기 전에는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와 나란하게 눕혀져 있다가,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150)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측면 롤러(158)를 경유한 후에는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150)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측면 롤러(158)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와 대면되도록 세워진 다음,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150) 중 다른 하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측면 롤러(158)를 지나갈 때까지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다가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150) 중 다른 하나를 경유한 후에는 다시 눕혀지게 되고,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150) 사이에서 상기 절단 부재(126)가 세워짐으로써 상기 절단날(127)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를 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에 수용된 상기 육골이 상기 절단날(127)에 의해 절단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육골 수용측 슬라이딩 부재(170)는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가 상기 절단 부재(126)와 상대적으로 근접되거나 상기 절단 부재(126)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으로, 슬라이딩 바아(bar)(171)와, 슬라이딩 블럭(172)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바아(171)는 상기 전측 프레임(113)의 상측에 배치되고, 원통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프레임 본체(111)에 대해 상기 전측 프레임(113)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블럭(172)은 상기 슬라이딩 바아(17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상측에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의 회전축인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축(124)이 놓여지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블럭(172)의 상단 중앙부에는 소정 깊이 함몰된 함몰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축(124)은 상기 슬라이딩 블럭(172)에서의 임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이러한 상기 함몰 부분에 놓여진다.
상기 함몰 부분은 소정 곡률의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대면되는 양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만나게 기울어지면서 V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축(124)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가 상기 슬라이딩 블럭(172)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가 밀리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는 상기 슬라이딩 바아(171)를 따라서 상기 절단 부재(126)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는 쪽으로 이동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가 당겨지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는 상기 슬라이딩 바아(171)를 따라서 상기 절단 부재(126)와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육골 수용측 슬라이딩 부재(17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육골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절단 부재(126)가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의 상기 절단 삽입 홈(123)에 삽입되는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를 구성하는 상기 수용 공간(122) 내의 청소가 필요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를 당겨서 상기 절단 부재(126)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지도록 이동시킨 다음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수용 공간(122)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육골 절단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절단되어질 상기 육골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에 외력을 전달하여 상기 절단 부재(126)에 대한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한다.
이 때,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는 상기 슬라이딩 바아(17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절단되어질 상기 육골의 종류 또는 절단 길이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126)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한다.
이 때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126)는 복수 개의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145) 및 복수 개의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135) 중 절단되어질 상기 육골의 종류 또는 절단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안착되되,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142)의 길이 방향으로는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에 안착된다.
그런 다음, 상기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139)에 전원을 인가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126)가 순환 이동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125)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런 다음, 외부로부터 상기 육골을 투입하여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의 상기 수용 공간(122)에 상기 육골이 수용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122)에 수용된 상기 육골이 상기 절단 부재(126)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각 절단 부재(126)가 그에 대응되는 상기 각 절단 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육골을 동시에 절단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육골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육골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가 일방향으로 추가 회전되면, 상기 수용 공간(122)의 개구부가 하부 쪽으로 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122)에 있던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육골이 상기 배출 이송 부재(165) 쪽으로 낙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67) 상에 놓여진다.
그런 다음, 순환 이송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67)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육골은 상기 육골 절단기(100)로부터 외부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육골 절단기(100)가 고기와 뼈가 함께 있는 육골(肉骨)을 절단하여 절단 육골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와, 상기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125)와, 상기 절단 부재(126)와, 상기 구동 휠 부재(130)와, 상기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139) 및 상기 배출 이송 부재(165)를 포함함에 따라, 투입되는 상기 육골을 동시 절단하여 복수 개의 절단 육골이 형성되도록 하고, 복수 개의 수용 공간(122)이 형성된 상기 육골 수용 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육골이 연속적으로 투입되면서 절단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투입된 상기 육골의 절단 및 외부로의 배출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도 보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육골 절단기에 의하면, 투입되는 육골에 대해 복수 조각으로의 동시 절단이 가능하고, 복수 개의 육골이 연속적으로 투입되면서 절단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투입된 상기 육골의 절단 및 외부로의 배출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육골 절단기
110 : 프레임 부재
120 : 육골 수용 부재
125 :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
126 : 절단 부재
130 : 구동 휠 부재
131 : 종동 휠부
139 :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
141 : 원동 휠부
150 : 절단측 회동 부재
165 : 배출 이송 부재
170 : 육골 수용측 슬라이딩 부재

Claims (5)

  1. 고기와 뼈가 함께 있는 육골(肉骨)을 절단하여 절단 육골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곽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복수 개의 상기 육골이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육골 수용 부재;
    상기 육골 수용 부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육골 수용 부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육골 수용측 회전력 공급 부재;
    원형 띠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절단날이 형성되어 상기 육골 수용 부재에 수용된 상기 육골을 절단시키되, 상기 육골이 절단되어 복수 개의 절단 육골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절단 부재;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와 연결된 상태로 회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를 순환 이동시키는 구동 휠 부재;
    상기 구동 휠 부재에 연결된 상기 절단 부재를 순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휠 부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서 상기 육골 수용 부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에 의해 동시 절단된 상기 절단 육골을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배출 이송 부재;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투입되어 상기 육골 수용 부재의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육골은 상기 육골 수용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절단 부재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절단 부재 쪽으로 이동된 상기 육골은 상기 구동 휠 부재에 의해 순환 이동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절단 부재에 의해 동시 절단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육골이 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절단 육골은 상기 배출 이송 부재의 상단에 놓여진 후 이송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육골 수용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각 수용 공간에는 상기 각 육골이 연속적으로 수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각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각 육골에 대해 상기 절단 부재에 의한 동시 절단 및 상기 배출 이송 부재에 의한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골 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육골 수용 부재는
    원통 형태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육골 수용 몸체와,
    상기 육골 수용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절단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육골이 동시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육골 수용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절단 삽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절단 부재가 상기 각 절단 삽입 홈에 삽입된 상태로 작동되어 상기 육골이 절단됨으로써, 상기 각 절단 부재가 상기 각 절단 삽입 홈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육골을 절단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육골이 절단되는 동안 상기 각 절단 부재의 임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골 절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측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본체에서 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육골 수용 부재가 배치되는 전측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휠 부재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원동 휠부와,
    상기 상측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원동 휠부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는 종동 휠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동 휠부는
    상기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육골 수용 몸체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원동 휠측 회전축과,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되면서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원동 휠측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원동 휠측 회전부는
    소정 면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원동 휠측 회전체와,
    상기 원동 휠측 회전체의 외측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절단 부재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원동 휠측 안착홈과,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에 상기 절단 부재가 안착될 때 상기 절단날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의 저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깊게 함몰된 원동 휠측 손상 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종동 휠부는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종동 휠측 회전축과,
    상기 종동 휠측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되면서 상기 종동 휠측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종동 휠측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종동 휠측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종동 휠측 회전부는
    소정 면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종동 휠측 회전체와,
    상기 종동 휠측 회전체의 외측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절단 부재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종동 휠측 안착홈과,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에 상기 절단 부재가 안착될 때 상기 절단날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의 저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깊게 함몰된 종동 휠측 손상 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각 원동 휠측 회전부 및 상기 각 종동 휠측 회전부는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 절단 부재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 및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절단 부재가 미리 설정된 장력을 가지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 및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휠측 회전력 공급 부재에 의해 상기 원동 휠부가 회전되면, 상기 원동 휠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절단 부재 및 상기 종동 휠부가 함께 회전됨으로써 상기 절단 부재가 상기 원동 휠부 및 상기 종동 휠부 사이에서 순환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각 절단 부재는 요구되는 상기 절단 육골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 및 복수 개의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에서 안착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골 절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육골 절단기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원동 휠측 안착홈 및 상기 종동 휠측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절단 부재의 방향에 대해 상기 절단 부재가 세워져서 상기 절단 부재의 상기 절단날이 상기 육골 수용 부재 쪽을 향하도록 상기 절단 부재를 회동시키는 절단측 회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는
    상기 프레임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원동 휠측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평 바아(bar)와,
    상기 수평 바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 절단 부재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회동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회동 가이드부는
    상기 수평 바아가 삽입되는 관통 홀과, 상기 관통 홀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간극 홀과, 상기 간극 홀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일측 가이드 몸체와, 상기 간극 홀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타측 가이드 몸체를 포함하는 회동 가이드 몸체와,
    상기 회동 가이드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간극 홀의 이격 거리를 조절시키는 손잡이와,
    상기 회동 가이드 몸체에서 상기 육골 수용 부재와 대면되는 쪽에 장착되고, 그 회전축이 상기 수평 바아와 수직되도록 배치되며, 세워진 상기 절단 부재의 양면에 각각 접하는 한 쌍의 측면 롤러와,
    상기 절단 부재에 의해 상기 육골이 절단될 때 상기 절단날의 반대 부분에 접하면서 상기 절단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일측 가이드 몸체 및 상기 타측 가이드 몸체에 나사산이 맞물리면서 연결되고, 상기 회동 가이드 몸체가 상기 수평 바아에서 요구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손잡이가 상기 회동 가이드 몸체에 조여지면서 상기 일측 가이드 몸체를 가압하여 상기 간극 홀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좁혀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관통 홀의 내측면이 상기 수평 바아에 밀착되어 상기 수평 바아에 대한 상기 회동 가이드 몸체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 중 하나는 상기 프레임 본체에서 상기 육골 수용 부재의 최고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프레임 본체에서 상기 육골 수용 부재의 최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휠 부재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기 절단 부재에서 상기 절단 부재가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측면 롤러를 경유하기 전에는 상기 육골 수용 부재와 나란하게 눕혀져 있다가,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측면 롤러를 경유한 후에는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측면 롤러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육골 수용 부재와 대면되도록 세워진 다음,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 중 다른 하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측면 롤러를 지나갈 때까지 세워진 상태로 유지되다가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 중 다른 하나를 경유한 후에는 다시 눕혀지게 되고, 한 쌍의 상기 절단측 회동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절단 부재가 세워짐으로써 상기 절단날이 상기 육골 수용 부재를 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육골 수용 부재에 수용된 상기 육골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골 절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육골 절단기는
    상기 육골 수용 부재가 상기 절단 부재와 상대적으로 근접되거나 상기 절단 부재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육골 수용 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육골 수용측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전측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에 대해 상기 전측 프레임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바아(bar)와,
    상기 슬라이딩 바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상측에 상기 육골 수용 부재의 회전축이 놓여지는 슬라이딩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골 절단기.
KR1020210037876A 2021-03-24 2021-03-24 육골 절단기 KR102276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876A KR102276097B1 (ko) 2021-03-24 2021-03-24 육골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876A KR102276097B1 (ko) 2021-03-24 2021-03-24 육골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097B1 true KR102276097B1 (ko) 2021-07-12

Family

ID=7685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876A KR102276097B1 (ko) 2021-03-24 2021-03-24 육골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09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9355A (ja) * 1993-04-10 1994-12-13 Nippon Kiyaria Kogyo:Kk スライス肉のセンタ折り装置
KR100336658B1 (ko) 2000-04-27 2002-05-24 정석봉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KR200316203Y1 (ko) * 2003-03-26 2003-06-12 박미희 닭고기 절단기
KR100508552B1 (ko) 2004-01-02 2005-08-17 학교법인 한마학원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
KR101189726B1 (ko) * 2012-05-24 2012-10-10 김상민 자동 골절기
KR101867700B1 (ko) * 2016-11-09 2018-06-14 박동재 세절기
KR101996820B1 (ko) 2017-10-31 2019-07-08 농업회사법인 드림푸드 주식회사 육류 절단기
KR20200063931A (ko) * 2018-11-28 2020-06-05 가부시키가이샤 난쓰네 식품 슬라이서 및 냉동육 덩어리용 슬라이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9355A (ja) * 1993-04-10 1994-12-13 Nippon Kiyaria Kogyo:Kk スライス肉のセンタ折り装置
KR100336658B1 (ko) 2000-04-27 2002-05-24 정석봉 육류 및 어류 자동 절단장치
KR200316203Y1 (ko) * 2003-03-26 2003-06-12 박미희 닭고기 절단기
KR100508552B1 (ko) 2004-01-02 2005-08-17 학교법인 한마학원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
KR101189726B1 (ko) * 2012-05-24 2012-10-10 김상민 자동 골절기
KR101867700B1 (ko) * 2016-11-09 2018-06-14 박동재 세절기
KR101996820B1 (ko) 2017-10-31 2019-07-08 농업회사법인 드림푸드 주식회사 육류 절단기
KR20200063931A (ko) * 2018-11-28 2020-06-05 가부시키가이샤 난쓰네 식품 슬라이서 및 냉동육 덩어리용 슬라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922B1 (ko) 계육 수직 절단가공장치
US20060219069A1 (en) Food product slic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49914A (ko) 밤 외피 절개장치
CN111185955B (zh) 一种切片装置
KR20100101880A (ko) 수직형 식품 슬라이서
CN113710440A (zh) 切割机以及用于将条切割成切片的方法
JP5414084B2 (ja) 食肉スライス方法
KR101851304B1 (ko) 양송이대 커팅장치
KR102276097B1 (ko) 육골 절단기
JP2023106462A (ja) 豆腐のパック詰め装置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KR101394418B1 (ko) 계육 수평 절단가공장치
CA2488608A1 (en) Forage cutter
KR101459896B1 (ko) 교체 가능한 분할식 원형 커터를 갖는 육절기
KR101449701B1 (ko) 순대 자동절단기
KR20160008936A (ko) 냉동 뼈 고기 절단기
KR20150032047A (ko) 어류 필렛 머신
KR200172787Y1 (ko) 채낚기 어업용 미끼세절장치
JP6840401B2 (ja) 食材用切断機
JP2012115974A (ja) 食肉スライサーおよび食肉スライス方法
CN219205748U (zh) 一种蝴蝶鸡排在线切割机
US3781936A (en) Meat handling equipment
KR101861224B1 (ko) 육류 세절기
JP5988437B2 (ja) コマギレ肉のスライス方法及びコマギレ肉スライサー
CN215501121U (zh) 多段锯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