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740B1 - 닭도체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닭도체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740B1
KR101241740B1 KR1020110020279A KR20110020279A KR101241740B1 KR 101241740 B1 KR101241740 B1 KR 101241740B1 KR 1020110020279 A KR1020110020279 A KR 1020110020279A KR 20110020279 A KR20110020279 A KR 20110020279A KR 101241740 B1 KR101241740 B1 KR 101241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push head
conductor
push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257A (ko
Inventor
임형봉
Original Assignee
임형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봉 filed Critical 임형봉
Priority to KR1020110020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74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23Dividing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46Suppor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26D1/0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닭도체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닭도체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칼날이 교차하도록 배열된 커터와, 상기 커터에 놓인 닭도체를 가압하여 절단하는 푸시헤드와, 상기 푸시헤드의 일단에 마련되어 닭도체 절단시 껍질을 살코기에 밀착시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누름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푸시헤드의 일단면 가장자리가 돌출된 형태이거나 상기 푸시헤드의 일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된 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절단된 닭도체가 상기 푸시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푸시헤드의 일단면에 배출돌기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닭도체를 절단하기 위해 푸시헤드를 이동시킬 경우 누름돌기가 껍질을 살코기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절단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닭도체를 절단과정에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푸시헤드에 배출돌기가 추가로 형성되어 닭도체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푸시헤드에 부착된 닭도체 토막을 쉽게 탈락시킬 수 있어 가공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닭도체 절단장치{DRESSED POULTRY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닭도체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닭도체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닭도체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고기는 수육에 비해 연하고 맛과 풍미가 담백하며 조리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영양가도 높아 전세계적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닭고기의 성분을 살펴보면, 100g 중 단백질이 20.7g, 지방이 4.8g, 칼슘이 4㎎, 인이 302㎎이며, 비타민 A 40IU, 비타민 B1 0.09㎎, 비타민 B2 0.15㎎이다. 이러한 닭고기가 맛있는 것은 글루탐산이 있기 때문이며, 여기에 여러 가지 아미노산과 핵산 성분이 들어 있어 강하면서도 산뜻한 맛을 낸다.
최근 들어 닭고기에 대한 요리법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람들의 기호 식품으로 그 수요가 매우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육 및 도축되는 닭의 숫자도 빠르게 증가하였다. 닭을 요리하는 방법은 도축된 닭을 한 마리 전체로 요리하는 방법과 먹기에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요리하는 방법이 있는데, 삼계탕이나 백숙을 제외하고는 도축된 닭(이하, 닭도체라 함)을 부위별로 절단하거나 또는 뼈와 함께 임의의 크기로 절단하여 요리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종래에는 컨베이어에 놓인 닭도체를 다수의 커터에 의해 1차 절단하고, 1차 절단된 닭도체를 90도 회전시켜 커터로 2차 절단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운 것은 물론 절단된 닭도체의 무게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손질된 닭도체를 일정한 틀에 넣고 프레스 방식에 의해 다수로 절단될 수 있도록 한 닭도체 절단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X는 종래의 닭도체 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닭도체 절단장치는, 절단된 닭도체가 아래 방향으로 빠질 수 있도록 배출홈(2)을 갖는 절단틀(1)과, 배출홈(2) 상단에 형성되고 한 마리의 닭이 일정한 중량을 가지고 다수 절단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가지고 배열 형성되면서 삽입홈(3)을 갖는 절단칼(4)과, 절단틀(4) 상단에 위치하고 상하 이동하는 상부펀치(5)와, 상부펀치(5) 저면에 위치하고 상부펀치(5)가 절단틀(1)과 형합될 때 닭도체의 몸통을 누름과 동시에 절단칼(4)의 삽입홈(3)에 각각 삽입되면서 닭이 절단되게 하는 다수의 누름부(6)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닭도체 절단장치는 절단틀(1) 내부에 장치된 절단칼(4)에 닭도체를 올려놓은 후 상부펀치(5)가 하강하면서 절단틀(1)과 형합되고, 이것들이 형합될 때 절단칼(4)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3)에 누름부(6)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닭도체가 다수로 절단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닭도체 절단장치는 닭도체를 다수로 절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절단시 닭도체의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절단작업시 껍질이 밀리기 때문에 정확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절단된 후에는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닭도체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닭도체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닭도체 절단장치는, 복수의 칼날이 교차하도록 배열된 커터와, 상기 커터에 놓인 닭도체를 가압하여 절단하는 푸시헤드와, 상기 푸시헤드의 일단에 마련되어 닭도체 절단시 껍질을 살코기에 밀착시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누름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푸시헤드의 일단면 가장자리가 돌출된 형태이거나 상기 푸시헤드의 일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된 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절단된 닭도체가 상기 푸시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푸시헤드의 일단면에 배출돌기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닭도체를 커터 측으로 가압하여 절단하는 푸시헤드에 누름돌기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며, 닭도체를 절단하기 위해 푸시헤드를 이동시킬 경우 누름돌기가 껍질을 살코기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절단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닭도체를 절단과정에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푸시헤드에 배출돌기가 추가로 형성되어 닭도체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푸시헤드에 부착된 닭도체 토막을 쉽게 탈락시킬 수 있어 가공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도체 절단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닭도체 절단장치 중 가공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와 도 6을 본 실시예에 따른 닭도체 절단장치 중 푸시헤드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닭도체 절단장치를 이용한 닭도체 절단과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도체 절단장치는, 상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구동부(130)와, 상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가공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프레임(110)은 닭도체를 절단하기 위한 가공부(14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0)은 상하로 이격된 제1 및 제2플레이트(112a,112b)와, 제1 및 제2플레이트(112a,112b)를 연결하는 포스트(114)로 구성된다. 이때, 상하로 이격된 제1 및 제2플레이트(112a,112b) 사이에는 가공부(140)가 설치되고, 상부에 위치된 제2플레이트(112b)에는 가공부(1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36)가 설치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120)의 상면에 설치된 제1플레이트(112a)에는 배출구(116)가 형성되고, 배출구(116)의 하부에는 호퍼(118)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구(116)와 호퍼(118)는 닭도체 토막을 하부 프레임(120)에 설치된 용기(126)로 자동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플레이트(112a) 중 가공부(140)가 설치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프레임(120)은 가공부(140)를 포함한 상부 프레임(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가공부(1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구동부(13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하부 프레임(120)은 일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다수의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육면체로 제작된다. 이러한 형상의 하부 프레임(120)의 전면에는 가공부(140) 및 구동부(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122)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스위치(122) 조작시 작동하는 오일탱크(132) 및 유압모터(134)가 설치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120)의 내부에는 닭도체 토막 저장용 용기(126)가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124)가 설치된다.
여기서 가공부(140) 및 구동부(13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122)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위치(122)를 한 쌍으로 구비한 이유는 작업자가 양손으로 한 쌍의 스위치(122)를 동시에 조작할 경우에만 가공부(140) 및 구동부(130)가 작동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구동부(130)는, 작동매체인 오일이 저장된 오일탱크(132)와, 스위치(122) 조작시 오일탱크(132)에 저장된 오일을 압송하는 유압모터(134)와, 유압모터(134)에서 압송된 오일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136)로 구성된다. 이때, 오일탱크(132)와 유압모터(134)는 하부 프레임(120)에 설치되고, 유압실린더(136)는 상부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가 한 쌍의 스위치(122)를 동시에 조작할 경우 유압모터(134)가 작동하여 오일탱크(132)에 저장된 오일을 유압실린더(136)에 압송한다. 압송된 오일에 의해 유압실린더(136)가 작동하면 가공부(140)가 가동하여 닭도체를 절단하고, 절단된 닭도체 토막은 상부 프레임(110)의 배출구(116)와 호퍼(118)를 통해 배출되어 하부 프레임(120)의 지지플레이트(124)에 장착된 용기(126)로 자동 저장된다.
가공부(140)는 닭도체를 절단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가공틀(142)과, 가공틀(142)의 내부에 설치된 커터(도 3의 144)와, 가공틀(142)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푸시헤드(146)를 포함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가공부(140)의 각 구성요소(142,144,146)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공틀(142)은 머리, 발, 내장, 털 등이 제거된 닭도체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가공틀(142)은 상판(142a)과 하판(142b)으로 구성되고, 그 중앙에는 닭도체 모양의 관통공(143)이 형성되며, 관통공(143)에는 커터(144)가 설치된다. 이때, 가공틀(142)은 절단된 닭도체 토막이 배출구(116)와 호퍼(118)를 통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플레이트(112a)의 배출구(116)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터(144)는 닭도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커터(144)는 복수의 칼날이 교차하도록 배열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공(143) 상에 설치되어 관통공(143)을 다수의 단위 관통공(143h)으로 구획한다. 이때, 커터(144)는 가공틀(142)의 상판(142a)과 하판(142b) 사이에 설치되되, 상판(142a)에 형성된 관통공(143) 상에 닭도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판(142b)에 형성된 관통공(143)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시헤드(146)는 가공틀(142)의 관통공(143) 상에 위치된 닭도체를 커터(144) 측으로 가압하여 절단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푸시헤드(146)는 가공틀(142)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푸시헤드(146)는 제1플레이트(112a)와 제2플레이트(112b)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 봉(148b)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판(148a)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136) 작동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푸시헤드(146)는 직하부에 형성된 단위 관통공(143h)에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닭도체를 절단할 수 있도록 단위 관통공(143h)과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고, 그들 사이에는 커터(14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릿(147)이 형성된다. 특히, 다수의 푸시헤드(146)는 단위 관통공(143h)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닭도체가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직하부에 형성된 단위 관통공(143h)과 동일한 평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시헤드(146)의 하면에는 닭도체 절단시 껍질을 살코기에 밀착시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누름돌기(도 5의 146a, 도 6의 146b)와, 절단된 닭도체가 푸시헤드(146)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돌기(도 5의 146c, 도 6의 146d)가 마련된다.
도 5와 도 6은 푸시헤드(146)의 하면에 마련된 다양한 형태의 누름돌기(146a,146b) 및 배출돌기(146c,146d)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누름돌기(146a)는 푸시헤드(146)의 하면 가장자리가 돌출된 일체형 구조로, 그 중앙에 배출돌기(146c)가 마련된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누름돌기(146a)는 닭도체 토막의 외곽선을 전체적으로 가압하므로 닭도체를 절단과정에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도 6에 도시된 누름돌기(146b)는 푸시헤드(146)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핀 형태로 구조로, 그 중앙에 배출돌기(146d)가 마련된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누름돌기(146b)는 닭도체 토막의 외곽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가압하므로 닭도체를 절단과정에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돌기(146a,146b)와 배출돌기(146c,146d)를 포함하는 푸시헤드(146)는 닭도체 절단시 누름돌기(146a,146b)가 닭도체 토막의 외곽선을 가압하여 껍질과 살코기에 밀착시키므로 닭도체를 절단과정에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푸시헤드(146)의 하면에 형성된 배출돌기(146c,146d)가 푸시헤드(146)의 하면과 닭도체 토막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므로, 닭도체를 절단과정에서 닭도체가 푸시헤드(146)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절단된 닭도체 토막을 쉽게 탈락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12a)와 제2플레이트(112b) 사이에는 안전용 실린더(152)와 센서(154)가 설치된다. 안전용 실린더(152)는 푸시헤드(146)가 설치된 이동판(148a)이 임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고, 센서는 이동판(148a)이 특정 위치에 도착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안전용 실린더(152)를 작동시킴으로써 이동판(148a)을 고정하는 수단이다.
도 1,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닭도체 절단장치를 이용한 닭도체 절단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한 쌍의 스위치(122)를 동시에 조작하면, 유압모터(134)가 작동하여 오일탱크(132)에 저장된 오일을 유압실린더(136)에 압송하고, 압송된 오일에 의해 유압실린더(136)가 작동하여 가공부(140)가 가동된다. 이때, 안전용 실린더(152)가 작동하여 특정 위치에서 고정된 이동판(148a)을 고정 해제한 후, 유압실린더(136)가 작동하여 푸시헤드(146)를 포함한 이동판(148a)을 가공틀(142) 측으로 이동시킨다.
유압실린더(136)에 의해 하강한 푸시헤드(146)는 누름돌기(146a)가 닭도체 토막의 외곽선을 가압하여 껍질과 살코기에 밀착시킨 후 닭도체를 커터(144) 측으로 가압하므로 절단과정에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8 참조). 또한, 푸시헤드(146)의 하면에 형성된 배출돌기(146c)가 푸시헤드(146)의 하면과 닭도체 토막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므로, 도 9와 같이 닭도체를 절단과정에서 닭도체가 푸시헤드(146)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절단된 닭도체 토막을 쉽게 탈락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절단된 닭도체 토막은 상부 프레임(110)의 배출구(116)와 호퍼(118)를 통해 배출되어 하부 프레임(120)의 지지플레이트(124)에 장착된 용기(126)로 자동 저장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상부 프레임 112a: 제1플레이트
112b: 제2플레이트 114: 포스트
116: 배출구 118: 호퍼
120: 하부 프레임 122: 스위치
124: 지지플레이트 126: 용기
130: 구동부 132: 오일탱크
134: 유압모터 136: 유압실린더
140: 가공부 142: 가공틀
142a: 상판 142b: 하판
143: 관통공 143h: 단위 관통공
144: 커터 146: 푸시헤드
146a, 146b: 누름돌기 146c, 146d: 배출돌기
147: 슬릿 148a: 이동판
148b: 가이드 봉 152: 안전용 실린더
154: 센서

Claims (11)

  1. 복수의 칼날이 교차하도록 배열된 커터;
    상기 커터에 놓인 닭도체를 가압하여 절단하는 푸시헤드;
    상기 푸시헤드의 일단면에 마련되어 닭도체 절단시 껍질을 살코기에 밀착시켜 껍질이 밀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누름돌기; 및
    상기 푸시헤드의 일단면에 형성되어 절단된 닭도체가 상기 푸시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돌기를 포함하는 닭도체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푸시헤드의 일단면 가장자리가 돌출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도체 절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푸시헤드의 일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된 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도체 절단장치.
  4. 삭제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터가 설치되는 가공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공틀의 내부에 닭도체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도체 절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공틀은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터가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도체 절단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커터에 의해 다수의 단위 관통공으로 구획되고, 상기 푸시헤드는 상기 단위 관통공과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도체 절단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푸시헤드는 해당 단위 관통공과 동일한 평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도체 절단장치.
  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푸시헤드를 상기 커터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봉을 더 포함하는 닭도체 절단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이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용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닭도체 절단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이 특정 위치에 도착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안전용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닭도체 절단장치.
KR1020110020279A 2011-03-08 2011-03-08 닭도체 절단장치 KR101241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279A KR101241740B1 (ko) 2011-03-08 2011-03-08 닭도체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279A KR101241740B1 (ko) 2011-03-08 2011-03-08 닭도체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257A KR20120102257A (ko) 2012-09-18
KR101241740B1 true KR101241740B1 (ko) 2013-03-14

Family

ID=4711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279A KR101241740B1 (ko) 2011-03-08 2011-03-08 닭도체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0067A (zh) * 2015-04-10 2015-07-08 有友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鸡爪切制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4313B (zh) * 2013-11-29 2016-05-25 郑保君 禽类带骨一次切块机
KR102426539B1 (ko) * 2022-05-13 2022-07-27 최양묵 냉동식품 절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0820A (en) * 1974-01-24 1976-04-20 Duncan Creations, Inc. Poultry cutter
KR20000051345A (ko) * 1999-01-21 2000-08-16 윤영문 계육의 절단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03883U (ko) * 2007-10-23 2009-04-28 박수왕 가금류 절단장치
KR100923777B1 (ko) * 2009-01-21 2009-10-27 최영철 닭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0820A (en) * 1974-01-24 1976-04-20 Duncan Creations, Inc. Poultry cutter
KR20000051345A (ko) * 1999-01-21 2000-08-16 윤영문 계육의 절단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03883U (ko) * 2007-10-23 2009-04-28 박수왕 가금류 절단장치
KR100923777B1 (ko) * 2009-01-21 2009-10-27 최영철 닭 절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0067A (zh) * 2015-04-10 2015-07-08 有友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鸡爪切制机
CN104760067B (zh) * 2015-04-10 2016-04-06 有友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鸡爪切制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257A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4005A1 (en) Molding apparatus for forming food patties having top and bottom surface controus
US90170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unit portions of frozen food materials
KR101241740B1 (ko) 닭도체 절단장치
EP0266521A1 (en) Patty molding mechanism for whole fiber food product
US90227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unit portions of frozen food materials
US5746649A (en) Desinewing of boneless trim
KR20190027569A (ko) 연속 꼬치 제조장치
RU241761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ясных порций
KR200470682Y1 (ko) 소시지 절단 장치
US201202442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Unit Portions of Frozen Food Materials
US6688961B2 (en) Poultry breast meat apportioning method
US2244540A (en) Meat shaping and pressing device
RU209400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брикетов жареной лапши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090111367A1 (en) Meat tenderizing device
US6921326B2 (en) Poultry breast meat apportioning method
KR102138982B1 (ko) 오리날개 뼈 발골 육가공장치
KR20170003138A (ko) 식용피 제조 장치
KR20120004748A (ko) 닭 절단시 스킨 밀림 방지장치
US20040096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eat slabs
KR20230000444U (ko) 개선된 소시지 절단 장치
CN108967909B (zh) 牛肉丝及其加工工艺
US70975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haped meat product
KR102559515B1 (ko) 냉동식품의 자동 육절장치
US1741023A (en) Kamaboko-molding machine
CN220859331U (zh) 鱼肉制品快速切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