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121A -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 Google Patents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121A
KR20150072121A KR1020130159427A KR20130159427A KR20150072121A KR 20150072121 A KR20150072121 A KR 20150072121A KR 1020130159427 A KR1020130159427 A KR 1020130159427A KR 20130159427 A KR20130159427 A KR 20130159427A KR 20150072121 A KR20150072121 A KR 20150072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tenderer
rotary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696B1 (ko
Inventor
유형근
윤재학
강전국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Priority to KR1020130159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6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5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 B26D1/6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and is rota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e.g. mounted on a rotary cylind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연육기가 고기의 연육 및 편육 시에 한쪽 방향, 즉 고기가 투입되는 방향으로만 고기가 펼쳐지기 때문에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된 고기가 처음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고기의 결 방향 늘임이 힘들어 편육의 맛을 저하하는 문제점과, 고기가 해동된 상태에서는 연육기에 의한 가공시 고기가 롤러에 들러붙어 가공하기 힘든 문제점과, 칼집깊이와 칼집각도 조절이 힘들어, 일일이 수작업으로 부품을 해체한 후, 다시 조립해서 구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100),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200),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 축 가이드레일부(500)로 구성됨으로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100)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200)의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을 통해 돈육의 형상을 처음상태 그대로 유지하면서, 돈육의 상단표면과 하단표면에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pat00027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pat00028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고,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100)를 구동시키는 제1 회전모터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200)를 구동시키는 제2 회전모터가 각각 따로 구성되어 있어, 돈육의 살이 텐더라이저 칼날에 들러붙는 현상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니터링서버를 통해 화면상에 모니터링하면서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각 기기의 구동을 원격제어시킬 수 있으며, 스위치버튼을 통해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를 구동시킬 수 있어, 돈육의 두께와 해동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칼날깊이와 칼날각도를 1:1 맞춤형으로 자동 조절시킬 수 있는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THE APPARATUS OF TENDERIZER KNIFE}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서버를 통해 화면상에 모니터링하면서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각 기기의 구동을 원격제어시킬 수 있으며, 돈육의 두께와 해동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칼날깊이와 칼날각도를 1:1 맞춤형으로 자동 조절시킬 수 있는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고기나 소고기와 같은 육류의 육질을 부드럽게 가공하여 고기의 맛을 좋게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육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연육기에 대하여서는 이미 여러구성의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육기들의 개략적인 구성을 검토하여 보면 호퍼로부터 투입되는 고기가 호퍼하단에 판상의 삽입칼날이 여러개로 조립구성된 한쌍의 연육롤러사이를 지나면서 고기의 전면 내부 깊숙히까지 칼집이 형성되게 하여 육질을 부드럽게 가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연육기는 한 쌍의 연육롤러 및 한 쌍의 편육롤러를 통한 고기의 연육 및 편육 처리를 동시에 하는 기계가 많이 고안되어 음식점이나 고기 가공업체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육기는 고기의 연육 및 편육 시에 한쪽 방향, 즉 고기가 투입되는 방향으로만 고기가 펼쳐지기 때문에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된 고기가 처음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고기의 결 방향 늘임이 힘들어 편육의 맛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고기가 해동된 상태에서는 연육기에 의한 가공시 고기가 롤러에 들러붙어 가공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 칼집깊이와 칼집각도 조절이 힘들어, 일일이 수작업으로 부품을 해체한 후, 다시 조립해서 구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2553호(2009년01월09일 공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을 통해 돈육의 형상을 처음상태 그대로 유지하면서, 돈육의 상단표면과 하단표면에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pat00001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pat00002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고,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100)를 구동시키는 제1 회전모터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200)를 구동시키는 제2 회전모터가 각각 따로 구성킬 수 있으며, 모니터링서버를 통해 화면상에 모니터링하면서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각 기기의 구동을 원격제어시킬 수 있으며,스위치버튼을 통해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를 구동시킬 수 있어, 돈육의 두께와 해동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칼날깊이와 칼날각도를 1:1 맞춤형으로 자동 조절시킬 수 있는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는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칼날의 회전점접촉으로 인입되는 돈육의 표면상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pat00003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pat00004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100)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에 위치되고,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칼날의 회전점접촉으로 인입되는 돈육의 표면하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pat00005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pat00006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200)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동시에 힘을 가하거나 빼주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켜, 돈육 속으로 들어가는 텐더라이저 칼날의 깊이를 조절시키는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부 양측면 상단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수평위치를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뒤틀려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회전각도를 조절시켜, 돈육의 표면에 형성된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는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와,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회전축 사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가이드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압에 의해 축 위치가 뒤틀리지 않고 정위치에 있도록 지지해주는 축 가이드레일부(50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서버를 통해 화면상에 모니터링하면서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각 기기의 구동을 원격제어시킬 수 있으며,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을 통해 돈육의 형상을 처음상태 그대로 유지하면서, 돈육의 상단표면과 하단표면에 다양한 특정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고, 돈육의 살이 텐더라이저 칼날에 들러붙는 현상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위치버튼을 통해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를 구동시킬 수 있어, 돈육의 두께와 해동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칼날깊이와 칼날각도를 1:1 맞춤형으로 조절시킬 수 있고, 무엇보다 돈육의 결방향 가공에 따라 돈육 고품질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해동된 상태의 고기도 쉽게 가공할 수 있으며, 가공시간 단축에 따른 대량 가공을 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중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텐더라이저 칼날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삼각형상 스몰칼날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반원형상 스몰칼날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삿갓형상 스몰칼날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마름모형상 스몰칼날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별형상 스몰칼날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하트형상 스몰칼날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텐더라이저 칼날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 축 가이드레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제1,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를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켜 칼날깊이가 칼날깊이구동용 스위치버튼에 설정된 값만큼 조절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제1,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를 구동시켜 칼집각도가 칼날각도조절용 스위치버튼에 설정된 값만큼 조절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100),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200),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 축 가이드레일부(500), 마이컴부(600), 모니터링서버(7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100)는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칼날의 회전점접촉으로 인입되는 돈육의 표면상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pat00007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pat00008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모터(110), 제1 회전축(120), 제1 구동베어링(130), 제1a 보호커버부(140), 제1 텐더라이저 드럼(150), 제1 종동베어링(160), 제1b 보호커버부(170), 제1 텐더라이저 칼날(18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회전모터(110)는 제1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속도와 구동방향이 제어된다.
상기 제1 회전축(120)은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텐더라이저 드럼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구동베어링(130)은 회전하고 있는 제1 회전축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방향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제1 회전축의 자중과 제1 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제1 회전축의 선단방향에서 지지하면서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a 보호커버부(140)는 제1회전모터, 제1 회전축 선단, 제1 구동베어링이 포함되어 수용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제1 회전모터, 제1 회전축 선단, 제1 구동베어링을 보호하고, 외부 상단면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텐더라이저 드럼(150)은 제1 구동베어링과 제1 종동베어링 사이에 위치되고, 제1 회전축을 포함하면서 형성되어, 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텐더라이저 칼날을 지지하면서 제1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제1 텐더라이저 칼날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종동베어링(160)은 제1 구동베어링과 동일선상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면서, 제1 회전축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방향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제1 회전축의 자중과 제1 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제1 회전축의 후단방향에서 지지하면서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b 보호커버부(170)는 제1 회전축 후단, 제1 종동베어링이 포함되어 수용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제1 회전축 후단, 제1 종동베어링을 보호하고, 외부 상단면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1 텐더라이저 칼날(180)은 제1 텐더라이저 드럼 표면상에 마름모 배열구조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돈육 표면 상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
Figure pat00009
"의 반원대칭형상, "
Figure pat00010
"의 삿갓대칭형상, "◇"의 마름모형상, "☆"의 별형상, "♡"의 하트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삼각형상 스몰칼날모듈(181), 제1 반원형상 스몰칼날모듈(182), 제1 삿갓형상 스몰칼날모듈(183), 제1 마름모형상 스몰칼날모듈(184), 제1 별형상 스몰칼날모듈(185), 제1 하트형상 스몰칼날모듈(186)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삼각형상 스몰칼날모듈(18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정면상에서 봤을 때 삼각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일자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삼각형상의 칼날이 회전면접촉을 통해 돈육 표면에 칼집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30°이하에서는 회전반경이 작아서, 돈육 표면에 칼집을 내기도 전에 이웃하는 또 다른 삼각형상의 칼날을 통해 칼집을 내기 때문에 돈육 내부 깊숙이 칼집형성이 어렵고, 35°이상에서는 회전반경이 커서, 1차 칼집이 형성된 돈육표면에 중복되어 2차 칼집이 형성되어, 돈육이 쉽게 찌저지는 찌저짐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30°~35°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반원형상 스몰칼날모듈(18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반원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
Figure pat00011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삿갓형상 스몰칼날모듈(183)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삿갓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
Figure pat00012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마름모형상 스몰칼날모듈(184)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마름모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마름모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별형상 스몰칼날모듈(185)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별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별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하트형상 스몰칼날모듈(186)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하트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하트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200)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에 위치되고,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칼날의 회전점접촉으로 인입되는 돈육의 표면하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pat00013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pat00014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모터(210), 제2 회전축(220), 제2 구동베어링(230), 제2a 보호커버부(240), 제2 텐더라이저 드럼(250), 제2 종동베어링(260), 제2b 보호커버부(270), 제2 텐더라이저 칼날(28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회전모터(210)는 제2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속도와 구동방향이 제어된다.
상기 제2 회전축(220)은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텐더라이저 드럼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구동베어링(230)은 회전하고 있는 제2 회전축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방향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제2 회전축의 자중과 제2 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제2 회전축의 선단방향에서 지지하면서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a 보호커버부(240)는 제2회전모터, 제2 회전축 선단, 제2 구동베어링이 포함되어 수용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제2 회전모터, 제2 회전축 선단, 제2 구동베어링을 보호하고, 외부 하단면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의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2 텐더라이저 드럼(250)은 제2 구동베어링과 제2 종동베어링 사이에 위치되고, 제2 회전축을 포함하면서 형성되어, 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텐더라이저 칼날을 지지하면서 제2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제2 텐더라이저 칼날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종동베어링(260)은 제2 구동베어링과 동일선상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면서, 제2 회전축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방향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제2 회전축의 자중과 제2 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제2 회전축의 후단방향에서 지지하면서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b 보호커버부(270)는 제2 회전축 후단, 제2 종동베어링이 포함되어 수용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제2 회전축 후단, 제2 종동베어링을 보호하고, 외부 하단면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의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2 텐더라이저 칼날(280)은 제2 텐더라이저 드럼 표면상에 마름모 배열구조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돈육 표면 하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
Figure pat00015
"의 반원대칭형상, "
Figure pat00016
"의 삿갓대칭형상, "◇"의 마름모형상, "☆"의 별형상, "♡"의 하트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삼각형상 스몰칼날모듈(281), 제2 반원형상 스몰칼날모듈(282), 제2 삿갓형상 스몰칼날모듈(283), 제2 마름모형상 스몰칼날모듈(284), 제2 별형상 스몰칼날모듈(285), 제2 하트형상 스몰칼날모듈(286)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삼각형상 스몰칼날모듈(28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정면상에서 봤을 때 삼각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일자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삼각형상의 칼날이 회전면접촉을 통해 돈육 표면에 칼집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30°이하에서는 회전반경이 작아서, 돈육 표면에 칼집을 내기도 전에 이웃하는 또 다른 삼각형상의 칼날을 통해 칼집을 내기 때문에 돈육 내부 깊숙이 칼집형성이 어렵고, 35°이상에서는 회전반경이 커서, 1차 칼집이 형성된 돈육표면에 중복되어 2차 칼집이 형성되어, 돈육이 쉽게 찌저지는 찌저짐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30°~35°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반원형상 스몰칼날모듈(28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반원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
Figure pat00017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삿갓형상 스몰칼날모듈(283)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삿갓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
Figure pat00018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마름모형상 스몰칼날모듈(284)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마름모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마름모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별형상 스몰칼날모듈(285)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별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별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하트형상 스몰칼날모듈(286)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하트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하트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는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동시에 힘을 가하거나 빼주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켜, 돈육 속으로 들어가는 텐더라이저 칼날의 깊이를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310),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31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2a 보호커버부 일측면에 수직하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과 동시에 구동되어,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면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실린더가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어 칼날깊이가 칼날깊이구동용 스위치버튼에 설정된 값만큼 조절된다.
상기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32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2b 보호커버부 바닥면 일측에 수직하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과 동시에 구동되어,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면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실린더가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어 칼날깊이가 칼날깊이구동용 스위치버튼에 설정된 값만큼 조절된다.
상기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는 칼날깊이구동용 스위치버튼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칼날깊이구동용 스위치버튼(350)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에 따라 상, 중, 하 버튼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 버튼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35mm~50mm로 조절시키는 버튼이고, 중 버튼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15~35mm로 조절시키는 버튼이며, 하 버튼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5mm~15mm로 조절시키는 버튼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부 양측면 상단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수평위치를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뒤틀려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회전각도를 조절시켜, 돈육의 표면에 형성된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410),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41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1b 보호커버부 상단면 일측에 수직상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과 엇갈리게 구동되는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를 통해, 평면상에서 바라본 돈육의 좌측상단 표면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키는 이유는 ±1°이하에서는 돈육의 상단표면에 형성시키는 칼집각도가 변형없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고, 30°이상에서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이 커서, 인입되는 돈육의 상단표면과 하단표면에 칼집을 형성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과 엇갈리게 되도록 유압실린더가 구동되어 칼집각도가 칼날각도조절용 스위치버튼에 설정된 값만큼 조절된다.
상기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42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1a 보호커버부 상단면 일측에 수직상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과 엇갈리게 구동되는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를 통해, 평면상에서 바라본 돈육의 우측상단 표면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키는 이유는 ±1°이하에서는 돈육의 상단표면에 형성시키는 칼집각도가 변형없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고, 30°이상에서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이 커서, 인입되는 돈육의 상단표면과 하단표면에 칼집을 형성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과 엇갈리게 되도록 유압실린더가 구동되어 칼집각도가 칼날각도조절용 스위치버튼에 설정된 값만큼 조절된다.
상기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는 칼날각도조절용 스위치버튼(450)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칼날각도조절용 스위치버튼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에 따른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칼날각도에 따라 제1,2,3 버튼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제1 버튼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1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에 따른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칼날각도 30°~35°로 조절시키는 버튼이고, 제2 버튼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1°~2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에 따른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칼날각도 30°~35°로 조절시키는 버튼이며, 제3 버튼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2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에 따른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칼날각도 30°~35°로 조절시키는 버튼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축 가이드레일부(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축 가이드레일부(500)는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회전축 사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가이드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압에 의해 축 위치가 뒤틀리지 않고 정위치에 있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직사각형 판넬 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직사각형 판넬 몸체의 내부 중앙부위를 따라 세로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삽입홈에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이 삽입되어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축 가이드레일부(500)는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이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를 통해 엇갈리면서 구동되더라도, 축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정위치되면서 구동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마이컴부(600)는 원격지의 모니터링서버와 WiFi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모니터링서버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받아 구동된 상태에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100),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200),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 축 가이드레일부(500)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며, 기기 정상동작신호와 기기 이상신호를 1차 체크한 후, 체크된 기기 정상동작신호와 기기 이상신호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모니터링서버쪽으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원칩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 일측에 칼날깊이구동용 스위치버튼이 연결되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에 따라 설정된 상, 중, 하 버튼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칼날각도조절용 스위치버튼이 연결되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에 따른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칼날각도에 따라 설정된 제1,2,3 버튼신호가 입력되며,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1 회전모터의 출력단자가 연결되어, 제1 회전모터의 구동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2 회전모터의 출력단자가 연결되어, 제2 회전모터의 구동신호가 입력되며,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의 출력단자가 연결되어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의 구동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의 출력단자가 연결되어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의 구동신호가 입력되며, 출력단자 일측에 제1 회전모터의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제1 회전모터의 구동속도와 회전방향을 제어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회전모터의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제2 회전모터의 구동속와 회전방향을 제어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를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켜 칼날깊이가 칼날깊이구동용 스위치버튼에 설정된 값만큼 조절시키도록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의 구동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를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켜 칼날깊이가 칼날깊이구동용 스위치버튼에 설정된 값만큼 조절시키도록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의 구동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어,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과 엇갈리게 되도록 유압실린더를 구동시켜 칼집각도가 칼날각도조절용 스위치버튼에 설정된 값만큼 조절시키도록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의 구동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어,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과 엇갈리게 되도록 유압실린더를 구동시켜 칼집각도가 칼날각도조절용 스위치버튼에 설정된 값만큼 조절시키도록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의 구동신호를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마이컴부 일측에 연결된 제1 WiFi 통신모듈(610)의 송신단자 일측에 모니터링서버의 제2 WiFi 통신모듈의 수신단자가 연결되어, 체크된 기기 정상동작신호와 기기 이상신호를 모니터링서버쪽으로 송신시키고, 제1 WiFi 통신모듈의 수신단자 일측에 모니터링서버의 제2 WiFi 통신모듈의 송신단자가 연결되어, 웨이크업신호와, 이상신호가 발생된 기기의 구동을 스톱시키라는 원격정지명령신호가 마이컴부로 수신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7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모니터링서버(700)는 마이컴부와 WiFi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마이컴부쪽으로 웨이크업신호를 보내어 마이컴부를 원격구동시키고, 마이컴부로부터 전송된 기기 정상동작신호와 기기 이상신호를 수신받아, 화면상에 모니터링하면서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2차 체크한 후, 이상신호가 발생된 기기의 구동을 스톱시키라는 원격정지명령신호를 마이컴부로 송신시켜 각 기기의 구동을 원격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WiFi 통신모듈(710), 모니터링부(720), 원격제어부(73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WiFi 통신모듈(710)은 마이컴부와 WiFi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마이컴부쪽으로 웨이크업신호와 이상신호가 발생된 기기의 구동을 스톱시키라는 원격정지명령신호를 송신시키고, 마이컴부로부터 전송된 기기 정상동작신호와 기기 이상신호를 수신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720)는 제2 WiFi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기기 정상동작신호와 기기 이상신호를 화면상에 모니터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격제어부(730)는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체크하면서, 이상신호가 발생된 기기의 구동을 스톱시키라는 원격정지명령신호를 마이컴부로 송신시켜 각 기기의 구동을 원격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표면 둘레를 따라 "|"의 일자형상 칼집모듈을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표면 둘레를 따라 "|"의 일자형상 칼집모듈을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축 가이드레일부를 통해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회전축을 수직상하방향의 동일선상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를 통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동시에 힘을 가하거나 빼주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켜, 돈육 속으로 들어가는 텐더라이저 칼날의 깊이를 조절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중 버튼을 눌러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15~35mm로 조절시킨다.
다음으로,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를 통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수평위치를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뒤틀려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회전각도를 조절시켜, 돈육의 표면에 형성된 칼집각도를 변형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1 버튼을 눌러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1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에 따른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칼날각도 30°~35°로 조절시킨다.
끝으로,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에 돈육을 넣고, 돈육의 상단표면과 하단표면에,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1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에 따른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칼날각도 30°~35°를 갖는 "|"의 일자형상 칼집 또는 "\", "/"의 사선형상 칼집을 형성시킨다.
1 :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100 :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200 :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300 :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
400 :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
500 : 축 가이드레일부

Claims (7)

  1.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칼날의 회전점접촉으로 인입되는 돈육의 표면상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pat00019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pat00020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100)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에 위치되고,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칼날의 회전점접촉으로 인입되는 돈육의 표면하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pat00021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pat00022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200)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동시에 힘을 가하거나 빼주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켜, 돈육 속으로 들어가는 텐더라이저 칼날의 깊이를 조절시키는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부 양측면 상단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수평위치를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뒤틀려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회전각도를 조절시켜, 돈육의 표면에 형성된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는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와,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회전축 사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가이드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압에 의해 축 위치가 뒤틀리지 않고 정위치에 있도록 지지해주는 축 가이드레일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100)는
    제1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회전모터(110)와,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텐더라이저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축(120)과,
    회전하고 있는 제1 회전축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방향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제1 회전축의 자중과 제1 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제1 회전축의 선단방향에서 지지하면서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베어링(130)과,
    제1회전모터, 제1 회전축 선단, 제1 구동베어링이 포함되어 수용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제1 회전모터, 제1 회전축 선단, 제1 구동베어링을 보호하고, 외부 상단면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제1a 보호커버부(140)와,
    제1 구동베어링과 제1 종동베어링 사이에 위치되고, 제1 회전축을 포함하면서 형성되어, 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텐더라이저 칼날을 지지하면서 제1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제1 텐더라이저 칼날로 전달시키는 제1 텐더라이저 드럼(150)과,
    제1 구동베어링과 동일선상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면서, 제1 회전축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방향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제1 회전축의 자중과 제1 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제1 회전축의 후단방향에서 지지하면서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 종동베어링(160)과,
    제1 회전축 후단, 제1 종동베어링이 포함되어 수용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제1 회전축 후단, 제1 종동베어링을 보호하고, 외부 상단면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제1b 보호커버부(170)와,
    제1 텐더라이저 드럼 표면상에 마름모 배열구조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돈육 표면 상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
    Figure pat00023
    "의 반원대칭형상, "
    Figure pat00024
    "의 삿갓대칭형상, "◇"의 마름모형상, "☆"의 별형상, "♡"의 하트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제1 텐더라이저 칼날(180)로 이루어져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200)는
    제2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 회전모터(210)와,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텐더라이저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축(220)과,
    회전하고 있는 제2 회전축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방향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제2 회전축의 자중과 제2 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제2 회전축의 선단방향에서 지지하면서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베어링(230)과,
    제2회전모터, 제2 회전축 선단, 제2 구동베어링이 포함되어 수용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제2 회전모터, 제2 회전축 선단, 제2 구동베어링을 보호하고, 외부 하단면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의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제2a 보호커버부(240)와,
    제2 구동베어링과 제2 종동베어링 사이에 위치되고, 제2 회전축을 포함하면서 형성되어, 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텐더라이저 칼날을 지지하면서 제2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제2 텐더라이저 칼날로 전달시키는 제2 텐더라이저 드럼(250)과,
    제2 구동베어링과 동일선상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면서, 제2 회전축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방향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제2 회전축의 자중과 제2 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제2 회전축의 후단방향에서 지지하면서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 종동베어링(260)과,
    제2 회전축 후단, 제2 종동베어링이 포함되어 수용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제2 회전축 후단, 제2 종동베어링을 보호하고, 외부 하단면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의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제2b 보호커버부(270)와,
    제2 텐더라이저 드럼 표면상에 마름모 배열구조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돈육 표면 하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
    Figure pat00025
    "의 반원대칭형상, "
    Figure pat00026
    "의 삿갓대칭형상, "◇"의 마름모형상, "☆"의 별형상, "♡"의 하트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제2 텐더라이저 칼날(280)로 이루어져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는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2a 보호커버부 일측면에 수직하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과 동시에 구동되어,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면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키는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310)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2b 보호커버부 바닥면 일측에 수직하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과 동시에 구동되어,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면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키는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1b 보호커버부 상단면 일측에 수직상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과 엇갈리게 구동되는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를 통해, 평면상에서 바라본 돈육의 좌측상단 표면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는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410)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1a 보호커버부 상단면 일측에 수직상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과 엇갈리게 구동되는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를 통해, 평면상에서 바라본 돈육의 우측상단 표면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는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는
    원격지의 모니터링서버와 WiFi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모니터링서버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받아 구동된 상태에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100),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200),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300),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400), 축 가이드레일부(500)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구동을 제어하며, 기기 정상동작신호와 기기 이상신호를 1차 체크한 후, 체크된 기기 정상동작신호와 기기 이상신호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모니터링서버쪽으로 전송시키는 마이컴부(6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는
    마이컴부와 WiFi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마이컴부쪽으로 웨이크업신호를 보내어 마이컴부를 원격구동시키고, 마이컴부로부터 전송된 기기 정상동작신호와 기기 이상신호를 수신받아, 화면상에 모니터링하면서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2차 체크한 후, 이상신호가 발생된 기기의 구동을 스톱시키라는 원격정지명령신호를 마이컴부로 송신시켜 각 기기의 구동을 원격제어시키는 모니터링서버(7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KR1020130159427A 2013-12-19 2013-12-19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KR10163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427A KR101630696B1 (ko) 2013-12-19 2013-12-19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427A KR101630696B1 (ko) 2013-12-19 2013-12-19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121A true KR20150072121A (ko) 2015-06-29
KR101630696B1 KR101630696B1 (ko) 2016-06-15

Family

ID=5351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427A KR101630696B1 (ko) 2013-12-19 2013-12-19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6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831A (ko) * 2019-05-28 2019-09-18 정재우 닭튀김 방법
KR20190106231A (ko) * 2018-03-08 2019-09-18 정재우 닭튀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1948B (zh) * 2018-07-25 2021-07-30 南京溧水高新产业股权投资有限公司 一种能够辅助缩短烹饪时间用排骨切块设备及切块方法
KR20230050686A (ko) 2021-10-08 2023-04-17 주영상 연육 및 편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958A (ko) * 2001-07-06 2003-01-15 임건식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KR20070112544A (ko) * 2006-05-22 2007-11-27 애니텍 주식회사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KR20070115226A (ko) * 2006-06-01 2007-12-05 애니텍 주식회사 육고기 양면칼집 성형기용 육고기 이송자세 변환장치
KR20090002553A (ko) 2007-07-02 2009-01-09 정풍균 순살 성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958A (ko) * 2001-07-06 2003-01-15 임건식 육류 칼집 자동성형기
KR20070112544A (ko) * 2006-05-22 2007-11-27 애니텍 주식회사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KR20070115226A (ko) * 2006-06-01 2007-12-05 애니텍 주식회사 육고기 양면칼집 성형기용 육고기 이송자세 변환장치
KR20090002553A (ko) 2007-07-02 2009-01-09 정풍균 순살 성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231A (ko) * 2018-03-08 2019-09-18 정재우 닭튀김 장치
KR20190106831A (ko) * 2019-05-28 2019-09-18 정재우 닭튀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696B1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696B1 (ko)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CN105979784B (zh) 用于将食品切割成较小食品的切割设备和方法
CN109479532B (zh) 可调节式脱粒凹板筛装置和脱粒装置
CN103876271A (zh) 烟丝断丝装置
CN107744326A (zh) 一种简易的甘蔗去皮机
KR101630697B1 (ko)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KR200399808Y1 (ko) 육류 절단기
CN203045443U (zh) 烟叶切丝机的磨刀装置
US8707840B2 (en) Apparatus for slicing food products
KR20170001161U (ko) 인쇄용지 컷팅장치
CN105522218B (zh) 动力工具
CN206254233U (zh) 凉粉切块工具
JP4162887B2 (ja) ワイヤーコード入りゴムシート材料の切断方法及びその切断に用いる切断刃
KR101731780B1 (ko) 오징어 가공 장치
KR200486305Y1 (ko) 높이 조절형 칼집성형기
TW201900979A (zh) 加工處理紡織品之裁切裝置及其操作方法
GB1471506A (en) Electrical cable stripping device
JP5464925B2 (ja) 食肉加工機用食肉処理モジュールと、これを用いた食肉加工機
CN204702983U (zh) 一种用于成卷机上固定硬切刀刀片的固定装置
KR20130136094A (ko) 콩 탈곡기
US2360728A (en) Meat slitting machine
CN202610557U (zh) 毛球修剪器
CN201115402Y (zh) 切丝切片机
KR20190063612A (ko) 세절기용 슬라이스 두께 조절장치
CN204546600U (zh) 一种传送切片联动的切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