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697B1 -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697B1
KR101630697B1 KR1020130159453A KR20130159453A KR101630697B1 KR 101630697 B1 KR101630697 B1 KR 101630697B1 KR 1020130159453 A KR1020130159453 A KR 1020130159453A KR 20130159453 A KR20130159453 A KR 20130159453A KR 101630697 B1 KR101630697 B1 KR 101630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ork
tenderer
moistur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132A (ko
Inventor
유형근
윤재학
강전국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Priority to KR102013015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69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9/00Apparatus for tenderising meat, e.g. ha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연육기가 일일이 고기의 해동상태 및 수분상태를 체크할 수가 없어, 텐더라이저 칼날을 통한 칼집형상이 균일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양념이 고기 깊숙히 스며들지 못하고, 고기가 텐더라이저 칼날에 들러붙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어 고기의 훼손으로 인한 제품 불량이 많이 발생되고,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과, 덴더라이저 칼날의 회전속도, 칼날깊이, 칼날각도를 수작업으로 부품을 해체한 후, 다시 조립해서 구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돈육이송컨베이어(100),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200),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300),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400),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500),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600),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700), 축 가이드레일부(800), 마이컴부(900)로 구성됨으로서, 모니터링서버를 통해 화면상에 모니터링하면서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각 기기의 구동을 원격제어시킬 수 있으며, 돈육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수분함량에 따라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를 1:1 맞춤형으로 제어시킬 수 있어, 돈육의 훼손없이 균일하게 칼집이 형성된 돈육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를 통해 텐더라이저 칼날의 다짐 높이를 조절 가능하여, 돈육의 두께와 해동상태에 관계없이, 여러종류의 돈육을 원하는 방향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전체기기와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어, 원가절감과 함께, 돈육가공불량을 기존에 비해 70% 이하로 낮출 수 있는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THE APPARATUS OF AUTO CONTROL A MEAT KNIFE WITH SENSER}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서버를 통해 화면상에 모니터링하면서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각 기기의 구동을 원격제어시킬 수 있으며, 돈육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수분함량에 따라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를 1:1 맞춤형으로 제어시킬 수 있어, 돈육의 훼손없이 균일하게 칼집이 형성된 돈육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전체기기와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돈까스나 함박, 치킨, 생선까스 등의 경우에는 고기를 잘게 부수고 이를 일정형태로 만들어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순살의 경우 망치로 일정형태를 만든 후 가위나 칼로 다듬어 모양을 만들었으므로 비위생적이고 비생산적인 결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순살을 일정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예를 들어, 순살 돈까스를 만들기 위해 부드럽고 연하게 형성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장소에서 별도의 기구를 통해 순살을 수동적으로 밀거나 칼집을 내야 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호퍼로부터 투입되는 고기가 호퍼하단에 판상의 삽입칼날이 여러개로 조립구성된 한쌍의 연육롤러사이를 지나면서 고기의 전면 내부 깊숙히까지 칼집이 형성되게 하여 육질을 부드럽게 가공하는 연육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연육기는 고기의 연육 및 편육 시에 한쪽 방향, 즉 고기가 투입되는 방향으로만 고기가 펼쳐지기 때문에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된 고기가 처음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고기의 결 방향 늘임이 힘들어 편육의 맛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일이 고기의 해동상태 및 수분상태를 체크할 수가 없어, 텐더라이저 칼날을 통한 칼집형상이 균일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양념이 고기 깊숙히 스며들지 못하고, 고기가 텐더라이저 칼날에 들러붙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어 고기의 훼손으로 인한 제품 불량이 많이 발생되고,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 덴더라이저 칼날의 회전속도, 칼날깊이, 칼날각도를 수작업으로 부품을 해체한 후, 다시 조립해서 구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2553호 (2009년01월09일 공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서버를 통해 화면상에 모니터링하면서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각 기기의 구동을 원격제어시킬 수 있으며, 돈육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수분함량에 따라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를 1:1 맞춤형으로 제어시킬 수 있고,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를 통해 텐더라이저 칼날의 다짐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전체기기와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는
돈육을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로 이송시키는 돈육이송컨베이어(100)와,
돈육이송컨베이어의 전단표면에 위치되어, 돈육의 해동에 따른 돈육표면의 온도를 감지한 후, 지그비통신망을 통해 마이컴부로 전달시키는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200)와,
돈육온도감지센서 일측에 위치되어, 돈육의 수분을 감지한 후, 지그비통신망을 통해 마이컴부로 전달시키는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300)와,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칼날의 회전점접촉으로 인입되는 돈육의 표면상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01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02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400)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에 위치되고,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칼날의 회전점접촉으로 인입되는 돈육의 표면하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03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04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500)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동시에 힘을 가하거나 빼주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켜, 돈육 속으로 들어가는 텐더라이저 칼날의 깊이를 조절시키는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600)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부 양측면 상단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수평위치를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뒤틀려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회전각도를 조절시켜, 돈육의 표면에 형성된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는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700)와,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회전축 사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가이드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압에 의해 축 위치가 뒤틀리지 않고 정위치에 있도록 지지해주는 축 가이드레일부(800)와,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제2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구동을 제어하고,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함량데이터를 원격지의 모니터링서버로 전송시키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모니터링서버로부터 해동상태 및 수분함량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에 관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받아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를 1:1 맞춤형으로 제어시키는 마이컴부(900)와,
마이컴부(900)와 WiFi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마이컴부로부터 전달된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함량데이터를 화면상에 띄워 모니터링시키고,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체크하며, 해동상태 및 수분함량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에 관한 원격제어신호를 마이컴부로 전송시키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서버(95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서버를 통해 화면상에 모니터링하면서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각 기기의 구동을 원격제어시킬 수 있으며, 돈육의 훼손없이 균일하게 칼집이 형성된 돈육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여러종류의 돈육을 원하는 방향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전체기기와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어, 원가절감과 함께, 돈육가공불량을 기존에 비해 70% 이하로 낮출 수 있으며, 돈육의 표면상에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05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06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어, 소비자들로 하여금 미각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양념이 고기 깊숙히 침투시킬 수 있어, 양질의 돈까스를 제공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돈육의 해동감지와 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돈육의 해동감지와 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중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돈육의 해동감지와 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중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돈육의 해동감지와 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중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텐더라이저 칼날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삼각형상 스몰칼날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반원형상 스몰칼날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삿갓형상 스몰칼날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마름모형상 스몰칼날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별형상 스몰칼날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하트형상 스몰칼날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텐더라이저 칼날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돈육분석알고리즘엔진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가 구동되어 돈육의 해동상태 및 수분함량에 따라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를 조절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가 구동되어 돈육의 해동상태 및 수분함량에 따라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각도를 조절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스토리텔링형 빅칼날모듈(487)을 통해 직경 10cm~30cm 크기를 갖으면서, "♡"의 하트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토리텔링형 칼집을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돈육의 해동감지와 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돈육이송컨베이어(100),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200),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300),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400),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500),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600),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700), 축 가이드레일부(800), 마이컴부(9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돈육이송컨베이어(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돈육이송컨베이어(100)는 돈육을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구동모터, 종동모터,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컨베이어벨트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종동모터는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컨벤이어벨트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구동모터와 종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돈육을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표면상에 복수개의 돈육온도감지센서와 돈육수분감지센서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200)은 돈육이송컨베이어의 전단표면에 위치되어, 돈육의 해동에 따른 돈육표면의 온도를 감지한 후, 지그비통신망을 통해 마이컴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온도감지센서부(210), 제1 지그비송신부(220), 제1 지그비수신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돈육온도감지센서부(210)는 돈육이송컨베이어의 전단표면에 형성된 1°~90°의 제1 부채꼴섹터, 91°~180°의 제2 부채꼴섹터, 181°~270°의 제3 부채꼴섹터, 271°~360°의 제4 부채꼴섹터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돈육의 해동상태를 제1,2,3,4 부채꼴섹터에서 온도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돈육온도감지센서부가 제1,2,3,4 부채꼴섹터에 각각 1개씩 설치되는 이유는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돈육의 해동상태를 제1,2,3,4 부채꼴섹터에서 1:1로 온도감지를 통해 측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지그비송신부(220)는 돈육온도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센싱값을 지그비통신망을 통해 마이컴부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지그비수신부(230)는 마이컴부로부터 웨이크업신호를 수신받아, 돈육온도감지센서부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돈육온도감지센서부 일측에 제1 지그비송신부와 제1 지그비수신부가 구성되는 이유는 돈육이송컨베이어(100)가 연속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유선으로 마이컴부와 연결될 경우에 전선라인이 엉키고, 설치작업이 복잡하기 때문에 지그비통신망으로 연결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300)은 돈육온도감지센서 일측에 위치되어, 돈육의 수분을 감지한 후, 지그비통신망을 통해 마이컴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수분감지센서부(310), 제2 지그비송신부(320), 제2 지그비수신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돈육수분감지센서부(310)는 돈육이송컨베이어의 전단표면에 형성된 1°~90°의 제1 부채꼴섹터, 91°~180°의 제2 부채꼴섹터, 181°~270°의 제3 부채꼴섹터, 271°~360°의 제4 부채꼴섹터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돈육의 수분상태를 제1,2,3,4 부채꼴섹터에서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돈육수분감지센서부가 제1,2,3,4 부채꼴섹터에 각각 1개씩 설치되는 이유는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돈육의 수분상태를 제1,2,3,4 부채꼴섹터에서 1:1로 감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지그비송신부(320)는 돈육수분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센싱값을 지그비통신망을 통해 마이컴부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지그비수신부(330)는 마이컴부로부터 웨이크업신호를 수신받아, 돈육수분감지센서부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400)는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칼날의 회전점접촉으로 인입되는 돈육의 표면상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07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08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모터(410), 제1 회전축(420), 제1 구동베어링(430), 제1a 보호커버부(440), 제1 텐더라이저 드럼(450), 제1 종동베어링(460), 제1b 보호커버부(470), 제1 텐더라이저 칼날(48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회전모터(410)는 제1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회전축(420)은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텐더라이저 드럼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구동베어링(430)은 회전하고 있는 제1 회전축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방향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제1 회전축의 자중과 제1 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제1 회전축의 선단방향에서 지지하면서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a 보호커버부(440)는 제1회전모터, 제1 회전축 선단, 제1 구동베어링이 포함되어 수용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제1 회전모터, 제1 회전축 선단, 제1 구동베어링을 보호하고, 외부 상단면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텐더라이저 드럼(450)은 제1 구동베어링과 제1 종동베어링 사이에 위치되고, 제1 회전축을 포함하면서 형성되어, 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텐더라이저 칼날을 지지하면서 제1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제1 텐더라이저 칼날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종동베어링(460)은 제1 구동베어링과 동일선상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면서, 제1 회전축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방향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제1 회전축의 자중과 제1 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제1 회전축의 후단방향에서 지지하면서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b 보호커버부(470)는 제1 회전축 후단, 제1 종동베어링이 포함되어 수용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제1 회전축 후단, 제1 종동베어링을 보호하고, 외부 상단면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1 텐더라이저 칼날(480)은 제1 텐더라이저 드럼 표면상에 마름모 배열구조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돈육 표면 상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09
"의 반원대칭형상,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10
"의 삿갓대칭형상, "◇"의 마름모형상, "☆"의 별형상, "♡"의 하트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삼각형상 스몰칼날모듈(481), 제1 반원형상 스몰칼날모듈(482), 제1 삿갓형상 스몰칼날모듈(483), 제1 마름모형상 스몰칼날모듈(484), 제1 별형상 스몰칼날모듈(485), 제1 하트형상 스몰칼날모듈(486)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삼각형상 스몰칼날모듈(48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정면상에서 봤을 때 삼각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일자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삼각형상의 칼날이 회전면접촉을 통해 돈육 표면에 칼집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30°이하에서는 회전반경이 작아서, 돈육 표면에 칼집을 내기도 전에 이웃하는 또 다른 삼각형상의 칼날을 통해 칼집을 내기 때문에 돈육 내부 깊숙이 칼집형성이 어렵고, 35°이상에서는 회전반경이 커서, 1차 칼집이 형성된 돈육표면에 중복되어 2차 칼집이 형성되어, 돈육이 쉽게 찌저지는 찌저짐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30°~35°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반원형상 스몰칼날모듈(48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반원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11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삿갓형상 스몰칼날모듈(483)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삿갓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12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마름모형상 스몰칼날모듈(484)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마름모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마름모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별형상 스몰칼날모듈(485)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별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별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하트형상 스몰칼날모듈(486)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하트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하트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텐더라이저 칼날(480)은 스토리텔링형 빅칼날모듈(487)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토리텔링형 빅칼날모듈(487)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해서 회전되는 두개의 텐더라이저 칼날 드럼 표면에 직경 10cm~30cm 크기를 갖으면서, "$"의 달러형상, "♡"의 하트형상, 숫자형상, 문자형상, 캐릭터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진 스토리텔링형 빅칼날이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미트(Meat)의 표면상에 직경 10cm~30cm 크기와, "$"의 달러형상, "♡"의 하트형상, 숫자형상, 문자형상, 캐릭터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진 스토리텔링형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토리텔링은 '스토리(story) + 텔링(telling)'의 합성어로서 말 그대로 '이야기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즉, 상대방에게 알리고자 하는 바를 재미있고 생생한 이야기로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행위로서, 본 발명에서는 미트(Meat)의 표면상에 형성된 "$"의 달러형상, "♡"의 하트형상, 숫자형상, 문자형상, 캐릭터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진 스토리텔링형 칼집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선물, 이벤트, 광고효과를 줄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500)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에 위치되고,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칼날의 회전점접촉으로 인입되는 돈육의 표면하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13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14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모터(510), 제2 회전축(520), 제2 구동베어링(530), 제2a 보호커버부(540), 제2 텐더라이저 드럼(550), 제2 종동베어링(560), 제2b 보호커버부(570), 제2 텐더라이저 칼날(58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회전모터(510)는 제2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회전축(520)은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회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텐더라이저 드럼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구동베어링(530)은 회전하고 있는 제2 회전축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단방향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제2 회전축의 자중과 제2 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제2 회전축의 선단방향에서 지지하면서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a 보호커버부(540)는 제2회전모터, 제2 회전축 선단, 제2 구동베어링이 포함되어 수용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제2 회전모터, 제2 회전축 선단, 제2 구동베어링을 보호하고, 외부 하단면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의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2 텐더라이저 드럼(550)은 제2 구동베어링과 제2 종동베어링 사이에 위치되고, 제2 회전축을 포함하면서 형성되어, 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텐더라이저 칼날을 지지하면서 제2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제2 텐더라이저 칼날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종동베어링(560)은 제2 구동베어링과 동일선상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면서, 제2 회전축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단방향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제2 회전축의 자중과 제2 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제2 회전축의 후단방향에서 지지하면서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b 보호커버부(570)는 제2 회전축 후단, 제2 종동베어링이 포함되어 수용되도록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제2 회전축 후단, 제2 종동베어링을 보호하고, 외부 하단면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의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2 텐더라이저 칼날(580)은 제2 텐더라이저 드럼 표면상에 마름모 배열구조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돈육 표면 하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15
"의 반원대칭형상,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16
"의 삿갓대칭형상, "◇"의 마름모형상, "☆"의 별형상, "♡"의 하트 형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삼각형상 스몰칼날모듈(581), 제2 반원형상 스몰칼날모듈(582), 제2 삿갓형상 스몰칼날모듈(583), 제2 마름모형상 스몰칼날모듈(584), 제2 별형상 스몰칼날모듈(585), 제2 하트형상 스몰칼날모듈(586)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삼각형상 스몰칼날모듈(58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정면상에서 봤을 때 삼각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일자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삼각형상의 칼날이 회전면접촉을 통해 돈육 표면에 칼집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30°이하에서는 회전반경이 작아서, 돈육 표면에 칼집을 내기도 전에 이웃하는 또 다른 삼각형상의 칼날을 통해 칼집을 내기 때문에 돈육 내부 깊숙이 칼집형성이 어렵고, 35°이상에서는 회전반경이 커서, 1차 칼집이 형성된 돈육표면에 중복되어 2차 칼집이 형성되어, 돈육이 쉽게 찌저지는 찌저짐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30°~35°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반원형상 스몰칼날모듈(58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반원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17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삿갓형상 스몰칼날모듈(583)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삿갓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18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마름모형상 스몰칼날모듈(584)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마름모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마름모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별형상 스몰칼날모듈(585)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별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별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하트형상 스몰칼날모듈(586)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의 표면에 회전면접촉하는 회전면접촉각도가 30°~35°로 형성되어, 평면상에서 봤을 때 하트형상의 칼날이 형성되어, 돈육의 표면상에 "♡"의 하트형상 칼집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600)는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동시에 힘을 가하거나 빼주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켜, 돈육 속으로 들어가는 텐더라이저 칼날의 깊이를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610),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6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610)는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2a 보호커버부 바닥면 일측에 수직하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동시에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면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압실린더(611), 제1 유압모터(6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유압실린더(611)는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2a 보호커버부 바닥면 일측에 수직하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a 보호커버부 바닥면 일측을 지지하면서,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유압모터(612)는 제1 유압실린더에 유압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620)는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2b 보호커버부 바닥면 일측에 수직하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동시에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면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압실린더(621), 제2 유압모터(622)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유압실린더(621)는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2b 보호커버부 바닥면 일측에 수직하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b 보호커버부 바닥면 일측을 지지하면서,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유압모터(622)는 제2 유압실린더에 유압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7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700)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부 양측면 상단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수평위치를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뒤틀려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회전각도를 조절시켜, 돈육의 표면에 형성된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710),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7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710)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1b 보호커버부 상단면 일측에 수직상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Y축을 기준으로 엇갈리게 구동되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를 통해, 평면상에서 바라본 돈육의 좌측상단 표면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유압실린더(711), 제3 유압모터(712)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유압실린더(711)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1b 보호커버부 상단면 일측에 수직상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Y축을 기준으로 엇갈리게 제1b 보호커버부 상단면을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유압모터(712)는 제3 유압실린더에 유압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720)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1a 보호커버부 상단면 일측에 수직상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Y축을 기준으로 엇갈리게 구동되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를 통해, 평면상에서 바라본 돈육의 우측상단 표면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유압실린더(721), 제4 유압모터(722)로 구성된다.
상기 제4 유압실린더(721)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1a 보호커버부 상단면 일측에 수직상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Y축을 기준으로 엇갈리게 제1a 보호커버부 상단면을 수직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유압모터(722)는 제4 유압실린더에 유압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축 가이드레일부(8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축 가이드레일부(800)는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회전축 사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가이드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압에 의해 축 위치가 뒤틀리지 않고 정위치에 있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직사각형 판넬 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직사각형 판넬 몸체의 내부 중앙부위를 따라 세로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삽입홈에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이 삽입되어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축 가이드레일부(800)는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이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를 통해 엇갈리면서 구동되더라도, 축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정위치되면서 구동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9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마이컴부(900)는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제2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구동을 제어하고,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함량데이터를 원격지의 모니터링서버로 전송시키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모니터링서버로부터 해동상태 및 수분함량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에 관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받아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를 1:1 맞춤형으로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원칩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다.
즉,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 일측에 제3 지그비수신부(911)가 연결되어, 제1 지그비송신부를 통해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로부터 감지된 돈육의 해동상태에 따른 온도센싱값이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4 지그비수신부(913)가 연결되어, 제2 지그비송신부를 통해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로부터 감지된 돈육의 수분상태에 따른 수분센싱값이 입력되며, 출력단자 일측에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1 회전모터가 연결되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2 회전모터가 연결되어, 제1 회전모터와 제2 회전모터에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의 수분상태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회전속도값을 동시에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의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의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어,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와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에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의 수분상태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값을 동시에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710)가 연결되어,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의 수분상태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각도값을 출력시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를 통해, 평면상에서 바라본 돈육의 좌측상단 표면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도록 제어하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제2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어,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의 수분상태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각도값을 출력시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를 통해, 평면상에서 바라본 돈육의 우측상단 표면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마이컴부(900)는 일측에 제3지그비수신부(911), 제3 지그비송신부(912), 제4 지그비수신부(913), 제4 지그비송신부(914)가 구성되어, 식별ID별로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과 지그비통신망으로 무선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마이컴부 일측에 연결된 제1 WiFi 통신모듈(920)의 송신단자 일측에 모니터링서버의 제2 WiFi 통신모듈의 수신단자가 연결되어,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함량데이터를 모니터링서버쪽으로 송신시키고, 제1 WiFi 통신모듈의 수신단자 일측에 모니터링서버의 제2 WiFi 통신모듈의 송신단자가 연결되어, 해동상태 및 수분함량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에 관한 원격제어신호가 마이컴부로 수신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9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모니터링서버(950)는 마이컴부(900)와 WiFi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마이컴부로부터 전달된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함량데이터를 화면상에 띄워 모니터링시키고,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체크하며, 해동상태 및 수분함량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에 관한 원격제어신호를 마이컴부로 전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WiFi 통신모듈(951), 모니터링부(952), 스마트돈육분석알고리즘엔진부(953)로 구성된다.
상기 제2 WiFi 통신모듈(951)은 WiFi 무선통신망으로 마이컴부를 연결시켜 마이컴부로부터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함량데이터를 수신받고,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에 관한 원격제어신호를 마이컴부쪽으로 송신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952)는 제2 WiFi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함량데이터를 화면상에 모니터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마트돈육분석알고리즘엔진부(953)는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함량데이터를 수신받아 미리 설정된 돈육표면의 온도 센싱값 및 수분 센싱값에 관한 기준값과 비교분석한 후, 분석한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의 수분상태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회전속도값, 칼날깊이값, 칼날각도값을 기준 테이블 DB에 불러와, 원격제어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돈육등록모드(953a), 비교분석모드(953b), 기기스타트출력모드(953c)로 구성된다.
상기 돈육등록모드(953a)는 돈육의 두께, 돈육의 직경, 돈육의 형상, 돈육의 종류를 등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교분석모드(953b)는 돈육표면의 온도 센싱값을 입력받고, 돈육수분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된 돈육표면의 수분 센싱값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돈육표면의 온도 센싱값 및 수분 센싱값에 관한 기준값과 비교분석한 후, 분석한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의 수분상태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회전속도값, 칼날깊이값, 칼날각도값을 기준 테이블 DB에 불러와, 기기스타트출력모드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기스타트출력모드(953c)는 비교분석모드에서 셋팅된 텐더라이저 칼날의 회전속도값에 따라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로 스타트출력신호를 마이컴부로 출력시키고, 비교분석모드에서 셋팅된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값에 따라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로 스타트출력신호를 마이컴부로 출력시키며, 비교분석모드에서 셋팅된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각도값에 따라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로 스타트출력신호를 마이컴부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돈육이송컨베이어를 통해 돈육을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에서 돈육의 해동에 따른 돈육표면의 온도를 감지한 후, 지그비통신망을 통해 마이컴부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에서 돈육의 수분을 감지한 후, 지그비통신망을 통해 마이컴부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마이컴부에서 모니터링서버쪽으로 WiFi 무선통신망을 통해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함량데이터를 전송시킨다.
다음으로, 모니터링서버에서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체크하며, 해동상태 및 수분함량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에 관한 원격제어신호를 마이컴부로 전송시킨다.
다음으로, 마이컴부에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1 회전모터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제2 회전모터쪽으로, 원격제어신호 중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의 수분상태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회전속도값을 동시에 출력시킨다.
다음으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의 제1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와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의 제2 칼날깊이조절형 유압실린더부쪽으로, 원격제어신호 중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의 수분상태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값을 동시에 출력시킨다.
다음으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710)쪽으로, 원격제어신호 중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의 수분상태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각도값을 출력시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를 통해, 평면상에서 바라본 돈육의 좌측상단 표면 칼집각도를 변형시킨다.
다음으로, 마이컴부의 제어하에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의 제1 칼날각도조절형 유압실린더부쪽으로, 원격제어신호 중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의 수분상태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각도값을 출력시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수평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를 기준으로 ±1°~30°각도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회전각도를 통해, 평면상에서 바라본 돈육의 우측상단 표면 칼집각도를 변형시킨다.
끝으로, 마이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돈육의 해동상태 및, 수분함량에 따라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를 1:1 맞춤형으로 제어시킨 텐더라이저 칼날을 통해 돈육의 상단표면과 하단표면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19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20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킨다.
1 :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100 : 돈육이송컨베이어 200 :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
300 :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 400 :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500 :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600 :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
700 :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 800 : 축 가이드레일부
900 : 마이컴

Claims (7)

  1. 돈육을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로 이송시키는 돈육이송컨베이어(100)와,
    돈육이송컨베이어의 전단표면에 위치되어, 돈육의 해동에 따른 돈육표면의 온도를 감지한 후, 지그비통신망을 통해 마이컴부로 전달시키는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200)와,
    돈육온도감지센서 일측에 위치되어, 돈육의 수분을 감지한 후, 지그비통신망을 통해 마이컴부로 전달시키는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300)와,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칼날의 회전점접촉으로 인입되는 돈육의 표면상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21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22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400)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에 위치되고,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칼날의 회전점접촉으로 인입되는 돈육의 표면하단에 칼집을 내서 "|"의 일자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23
    "의 반원대칭형상 칼집, "
    Figure 112013116589042-pat00024
    "의 삿갓대칭형상 칼집, "◇"의 마름모형상 칼집, "☆"의 별형상 칼집, "♡"의 하트형상 칼집으로 이루어진 특정문양을 형성시키는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500)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하단 양측면에 동시에 힘을 가하거나 빼주어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와 제2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시켜, 돈육 속으로 들어가는 텐더라이저 칼날의 깊이를 조절시키는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600)와,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부 양측면 상단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상하구동되는 유압의 힘으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수평위치를 좌측면과 우측면에서 뒤틀려서,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의 회전각도를 조절시켜, 돈육의 표면에 형성된 칼집각도를 변형시키는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700)와,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회전축 사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점촉형 텐더라이부의 제1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가이드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압에 의해 축 위치가 뒤틀리지 않고 정위치에 있도록 지지해주는 축 가이드레일부(800)와,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 제1 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제2회전점접촉형 텐더라이저부, 텐더라이저칼날깊이조절부, 텐더라이저칼날각도조절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구동을 제어하고,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함량데이터를 원격지의 모니터링서버로 전송시키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모니터링서버로부터 해동상태 및 수분함량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에 관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받아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를 1:1 맞춤형으로 제어시키는 마이컴부(900)와,
    마이컴부(900)와 WiFi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마이컴부로부터 전달된 돈육의 해동상태 및, 돈육수분감지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수분함량데이터를 화면상에 띄워 모니터링시키고, 각 기기의 이상여부를 체크하며, 해동상태 및 수분함량에 따른 텐더라이저 칼날의 칼날깊이, 칼날속도, 칼날각도에 관한 원격제어신호를 마이컴부로 전송시키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서버(9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육의 해동감지와 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돈육온도감지센서모듈(200)은
    돈육이송컨베이어의 전단표면에 형성된 1°~90°의 제1 부채꼴섹터, 91°~180°의 제2 부채꼴섹터, 181°~270°의 제3 부채꼴섹터, 271°~360°의 제4 부채꼴섹터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돈육의 해동상태를 제1,2,3,4 부채꼴섹터에서 온도감지하는 돈육온도감지센서부(210)와,
    돈육온도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센싱값을 지그비통신망을 통해 마이컴부로 전송시키는 제1 지그비송신부(220)와,
    마이컴부로부터 웨이크업신호를 수신받아, 돈육온도감지센서부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1 지그비수신부(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육의 해동감지와 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159453A 2013-12-19 2013-12-19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KR101630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453A KR101630697B1 (ko) 2013-12-19 2013-12-19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453A KR101630697B1 (ko) 2013-12-19 2013-12-19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132A KR20150072132A (ko) 2015-06-29
KR101630697B1 true KR101630697B1 (ko) 2016-06-15

Family

ID=5351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453A KR101630697B1 (ko) 2013-12-19 2013-12-19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6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375A (ko) * 2017-10-18 2019-04-26 정연선 육류 칼집 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526B1 (ko) * 2022-05-11 2023-08-07 주식회사 돈앤우농축산 육류 가공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974Y1 (ko) 2002-11-18 2003-02-14 박현민 육류칼집 형성기
WO2007096942A1 (ja) 2006-02-20 2007-08-30 Mayekawa Mfg. Co., Ltd 食肉ばら部位の肋骨位置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93A (ja) * 1995-07-25 1997-02-04 Yamato Scale Co Ltd 定重量切断装置
KR20090002553A (ko) 2007-07-02 2009-01-09 정풍균 순살 성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974Y1 (ko) 2002-11-18 2003-02-14 박현민 육류칼집 형성기
WO2007096942A1 (ja) 2006-02-20 2007-08-30 Mayekawa Mfg. Co., Ltd 食肉ばら部位の肋骨位置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375A (ko) * 2017-10-18 2019-04-26 정연선 육류 칼집 형성장치
KR101988546B1 (ko) * 2017-10-18 2019-06-12 정연선 육류 칼집 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132A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12014002353B4 (de) Vorrichtung zum Messen eines Kontaktzustandes einer Tragrolle eines Förderbandes
DE10084492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ühren eines Nahrungsmittelteigs
CN104115589B (zh) 甘蔗种芽完好性检测系统及方法
KR101630697B1 (ko)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RU1837776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делени хлебного теста на порции
RU220108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пищевого теста (варианты)
US20140090535A1 (en) Method, device and measuring device for cutting open foodstuff
CN104209968A (zh) 工业切片机
US20130160659A1 (en) Noodle string treatment apparatus and treatment method
US933278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segment filter rods
KR101630696B1 (ko)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US8702484B2 (en) Automatic corn cutter apparatus
CN103476263A (zh) 面条切割装置及其方法
CN105658071A (zh) 面条切割装置及生面
KR100808571B1 (ko) 제빵장치
CN104802536B (zh) 图像形成装置
CN205221970U (zh) 一种切片前烟包归正装置
KR101892479B1 (ko) 압축된 햄 원료를 절단하는 장치
US20020089110A1 (en) Paper jam detector for automatic food processing line
US20050262981A1 (en) Cutting device for cutting in quarters food products and other products
JP2018519848A (ja) バゲット、細長いパン、及び細長いロールを成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1632488A (zh) 垂直切片机切片控制方法
KR101479571B1 (ko) 꼬치 제조장치용 트레이의 정위치 정지장치
CN110027031B (zh) 一种中药饮片切制过程片厚在线控制装置、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5851112A (zh) 一种油条切断拼压滚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