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546B1 - 육류 칼집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육류 칼집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546B1
KR101988546B1 KR1020170135366A KR20170135366A KR101988546B1 KR 101988546 B1 KR101988546 B1 KR 101988546B1 KR 1020170135366 A KR1020170135366 A KR 1020170135366A KR 20170135366 A KR20170135366 A KR 20170135366A KR 101988546 B1 KR101988546 B1 KR 101988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eat
blade portion
shaft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375A (ko
Inventor
정연선
Original Assignee
정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선 filed Critical 정연선
Priority to KR1020170135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5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고기의 두께에 상관없고 양념이 고기에 깊숙히 스며들 수 있도록 고기의 양면에 효과적으로 칼집을 형성할 수 있고, 소고기나 돼지고기, 갈비살 등과 같은 고기뿐만 아니라 오돌뼈 등과 같이 비교적 단단한 뼈를 포함한 육류에 칼집을 형성할 수 있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육류 칼집 형성장치는,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육류를 이송시키는 육류이송부와, 육류이송부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회전하는 상부 칼날부와 하부 칼날부를 구비하고 육류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육류를 상부 칼날부와 하부 칼날부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육류에 칼집을 형성하는 칼집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육류 칼집 형성장치{APPARATUS FOR MAKING KNIFE MARK ON MEAT}
본 발명은 육류 칼집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고기나 돼지고기, 갈비살 등과 같은 고기뿐만 아니라 오돌뼈 등과 같이 비교적 단단한 뼈를 포함한 육류에 칼집을 형성하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소고기나 돼지고기, 갈비살 등과 같은 육류에 대한 소비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대형음식점 등에서는 일시에 많은 양의 육류가 소비됨에 따라 적시에 많은 양의 육류를 커팅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자동기계가 필요하다.
또한, 소고기나 돼지고기, 특히 비교적 두꺼운 갈비살의 경우에는 양념을 하거나 고기맛을 연하게 위해 소정 두께로 절단한 후 고기의 표면에 칼집을 형성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한 목적으로 고기의 표면에 칼집을 형성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된 바 있으며,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8528호에 "갈비살 칼집 형성기" 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갈비살 칼집 형성기에 의하면, 갈비뼈와 상기 갈비뼈에 부착되어 전개된 갈비살을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이송시키도록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회전축을 감싸서 장착되어 갈비뼈를 안내하는 하나의 안내 벨트와 상기 안내 벨트와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갈비살을 안내하는 다수의 환형 띠벨트를 구비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 부재의 일정부위에 장착되어 이송중인 갈비살을 소정의 깊이로 칼집을 형성시키는 칼집부재와, 상기 이송부재 및 칼집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갈비살 칼집 형성기는 갈비살과 같이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거나 비교적 얇은 두께의 고기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고기의 표면에 칼집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여 양념이 고기에 깊숙히 스며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오돌뼈 등과 같이 비교적 단단한 뼈를 포함한 육류에는 칼집을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오돌뼈에 프레스 가압하여 칼집을 형성하는 기존 장치에서는 칼집 형성작업과정에서 형태 변형 및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8528호(2000.07.1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기의 두께에 상관없고 양념이 고기에 깊숙히 스며들 수 있도록 고기의 양면에 효과적으로 칼집을 형성할 수 있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고기나 돼지고기, 갈비살 등과 같은 고기뿐만 아니라 오돌뼈 등과 같이 비교적 단단한 뼈를 포함한 육류에 칼집을 형성할 수 있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칼집 형성장치는,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육류를 이송시키는 육류이송부; 및 상기 육류이송부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회전하는 상부 칼날부와 하부 칼날부를 구비하고, 상기 육류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육류를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육류에 칼집을 형성하는 칼집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집형성부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의 샤프트가 상하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다수의 원판칼날이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되는 칼날부; 및 상기 샤프트와 모터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를 회전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의 원판칼날이 육류가 통과하는 사이에서 일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의 원판칼날이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원판칼날의 가장자리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칼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판칼날의 칼날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날부는, 육류의 이송경로 상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제 1 샤프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샤프트에 다수의 제 1 원판칼날이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되며, 다수의 상기 제 1 원판칼날이 회전하면서 육류의 상면에 다수의 상기 제 1 원판칼날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제 1 칼집을 다수 형성하는 제 1 칼날부; 및 상기 제 1 칼날부의 하부에서 육류의 이송경로 상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제 2 샤프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에 다수의 제 2 원판칼날이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되며, 다수의 상기 제 2 원판칼날이 상기 제 1 원판칼날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육류의 하면에 다수의 제 2 원판칼날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제 2 칼집을 다수 형성하는 제 2 칼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제 1 칼날부의 후방측에서 상기 제 1 칼날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제 3 샤프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3 샤프트에 다수의 제 3 원판칼날이 다수의 상기 제 1 원판칼날과 교번적으로 교차되게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제 3 원판칼날이 상기 제 1 원판칼날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육류의 상면에 다수의 제 3 원판칼날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다수의 상기 제 1 칼집 사이에 제 3 칼집을 다수 형성하는 제 3 칼날부; 및 상기 제 2 칼날부의 후방측에서 상기 제 2 칼날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제 4 샤프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4 샤프트에 다수의 제 4 원판칼날이 다수의 상기 제 2 원판칼날과 교번적으로 교차되게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제 4 원판칼날이 상기 제 2 원판칼날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육류의 하면에 다수의 제 4 원판칼날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다수의 상기 제 2 칼집 사이에 제 4 칼집을 다수 형성하는 제 4 칼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하고, 원주상으로 다수의 구동톱니가 형성되는 구동기어; 상기 하부 칼날부의 샤프트의 단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구동톱니와 치합되는 제 1 기어톱니가 원주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종동기어; 및 상기 상부 칼날부의 샤프트의 단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 1 종동기어의 제 1 기어톱니와 치합되는 제 2 기어톱니가 원주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종동기어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종동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종동기어와 상기 제 2 종동기어 간의 치합 시 상기 제 1 기어톱니와 상기 제 2 기어톱니 사이에 유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집형성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 사이의 칼날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칼날부를 승강시키는 칼날승강부들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집승강부는, 상기 상부 칼날부의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일부분이 절개 형성되는 승강홈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승강판; 및 상기 프레임의 승강홈 상측을 덮는 고정판에 나사 결합되면서 관통되고, 상기 승강판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상단부에 체결된 너트부재를 회전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집형성부는, 상기 칼날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칼날부를 통과한 육류가 회전하는 상기 칼날부에 의해 말려 올라가지 않도록 상기 칼날부에 육류의 부착을 방지하는 육류부착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육류부착방지부는, 상기 칼날부의 샤프트 후방측에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 상기 샤프트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에 축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칼날부의 원판칼날 방향으로 돌출되어 다수의 원판칼날 사이에 삽입되는 탈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거부재는, 상기 원판칼날 방향으로 삼각형 돌기부가 형성되고, 삼각형 돌기부는 다수의 상기 원판칼날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스페이서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육류이송부는, 상기 칼집형성부의 육류 투입 전방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의 사이로 육류를 투입 이송하는 제 1 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칼집형성부의 육류 배출 후방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의 사이로부터 배출되는 육류를 이송하는 제 2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류 칼집 형성장치에 따르면, 육류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고기를 상부 칼날부와 하부 칼날부의 원판칼날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한 번의 작업으로 고기의 양면에 칼집을 간단하게 형성함으로써, 고기에 양념을 하거나 고기맛을 연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고기나 돼지고기, 갈비살 등과 같은 고기뿐만 아니라 오돌뼈 등과 같이 비교적 단단한 뼈를 포함한 육류에 칼집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날승강부를 통해 상부 칼날부를 승강시켜 상부 칼날부와 하부 칼날부 사이의 칼날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기의 공급 전에 그 두께에 따라 상부 칼날부를 승강시켜 고기에 형성되는 칼집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고기의 두께에 상관없이 양념이 고기에 깊숙히 스며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하는 원판칼날의 가압과 고기 육질의 점성에 의해 고기는 회전하는 원판칼날에 붙어 말려 올라가게 되는데, 다수의 원판칼날의 사이에 삽입되는 육류부착방지부의 탈거부재에 의해 원판칼날로부터 고기가 이탈된다. 따라서, 칼날부를 통과한 육류가 회전하는 칼날부에 의해 말려 올라가지 않도록 칼날부에 고기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기에 칼집형성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칼집 형성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
도 6은 육류 칼집 형성장치의 칼집형성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칼집형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원판칼날의 사시도.
도 9는 칼날형성부의 기어부 및 칼날승강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칼날승강부의 승강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육류 칼집 형성장치에 의해 육류에 형성되는 칼집모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육류 칼집 형성장치에 의해 육류에 형성되는 칼집모양 상태를 나타낸 다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칼집 형성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육류 칼집 형성장치의 칼집형성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칼집형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원판칼날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칼날형성부의 기어부 및 칼날승강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0은 칼날승강부의 승강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칼집 형성장치(10)는 본체부(100), 육류이송부(200) 및 칼집형성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00)의 하단 네 모서리에는 캐스터(110) 및 바닥고정대(120)가 각각 설치되어 본 장치(10)를 이동 및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육류이송부(200) 및 칼집형성부(300)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된다. 구동수단은 모터(101)와, 모터(101)에 체인(103)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스프로킷(105)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동수단은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육류이송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소고기나 돼지고기, 갈비살 등과 같은 고기뿐만 아니라 오돌뼈 등과 같이 비교적 단단한 뼈를 포함한 육류(이하, '고기'이라 칭함)를 이송시킨다.
육류이송부(200)는 제 1 벨트 컨베이어(210) 및 제 2 벨트 컨베이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벨트 컨베이어(210)와 제 2 벨트 컨베이어(220) 사이에 후술할 칼집형성부가 배치된다.
제 1 벨트 컨베이어(210)는 칼집형성부(300)의 육류 투입 전방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면서 칼집형성부(300)의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의 사이로 고기(1)를 투입 이송한다.
또한, 제 1 벨트 컨베이어(210)는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여 고기(1)가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의 사이로 원활하게 투입되도록 한다.
제 2 벨트 컨베이어(220)는 칼집형성부(300)의 육류 배출 후방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면서 칼집형성부(300)의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의 사이로부터 배출되는 고기(1)를 이송한다.
또한, 제 2 벨트 컨베이어(220)는 제 1 벨트 컨베이어(210) 보다 낮게, 바람직하게는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 사이의 높이 보다 더 낮게 위치하여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 사이로 배출되는 고기(1)가 제 2 벨트 컨베이어(220)로 자연스럽게 낙하되면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 1 벨트 컨베이어(210)와 제 2 벤트 컨베이어(220)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칼집형성부(300)는 제 1 벨트 컨베이어(210)와 제 2 벨트 컨베이어(2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칼집형성부(300)는 육류이송부(20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회전하는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를 구비하고, 육류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고기(1)를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한 번의 작업으로 고기(1)의 양면에 칼집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고기나 돼지고기, 갈비살 등과 같은 고기뿐만 아니라 오돌뼈 등과 같이 비교적 단단한 뼈를 포함한 고기(1)에 칼집을 형성함으로써, 고기(1)에 양념을 하거나 고기맛을 연하게 할 수 있다.
칼집형성부(300)는 프레임(310), 칼날부(320), 기어부(330), 칼집승강부(340) 및 육류부착방지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0)은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본체부(100)의 상부에 사각형 박스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310)은 내부에 후술할 기어부(330)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31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후술할 구동기어(331)의 일부가 프레임(310)의 수납부(311) 내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개구부(313)가 형성된다.
칼날부(320)는 프레임(310)에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의 샤프트가 상하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의 샤프트에는 다수의 원판칼날이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된다. 이때, 원판칼날은 원주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칼날이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원판칼날의 회전각도를 순차적으로 틀어준다.
칼날부(320)는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의 원판칼날이 고기(1)가 통과하는 사이에서 일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갈비살의 경우에도 원판칼날이 칼비살에 칼집모양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칼날부(320)는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의 원판칼날이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원판칼날 간 간격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고기(1)에 칼집모양을 더욱 촘촘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칼날부(320)는 원판칼날의 가장자리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칼날(325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판칼날의 칼날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칼날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원판칼날은 중심부에 육각홀(325a)이 형성되어 육각단면의 샤프트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칼날부(320)는 제 1 칼날부(321), 제 2 칼날부(322), 제 3 칼날부(323) 및 제 4 칼날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칼날부(321)는 고기(1)의 이송경로 상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310)에 제 1 샤프트(321a)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샤프트(321a)에 다수의 제 1 원판칼날(321b)이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제 1 칼날부(321)는 다수의 제 1 원판칼날(321b)이 회전하면서 고기(1)의 상면에 다수의 제 1 원판칼날(321b)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제 1 칼집(301, 도 11 참조)을 다수 형성한다.
제 2 칼날부(322)는 제 1 칼날부(321)의 하부에서 고기(1)의 이송경로 상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310)에 제 2 샤프트(322a)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샤프트(322a)에 다수의 제 2 원판칼날(322b)이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된다. 이때, 다수의 제 2 원판칼날(322b)은 다수의 제 1 원판칼날(321b)과 교번적으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 2 칼날부(322)는 다수의 제 2 원판칼날(322b)이 제 1 원판칼날(321b)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기(1)의 하면에 다수의 제 2 원판칼날(322b)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제 2 칼집(302, 도 11 참조)을 다수 형성한다.
제 3 칼날부(323)는 제 1 칼날부(321)의 후방측에서 제 1 칼날부(32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310)에 제 3 샤프트(323a)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3 샤프트(323a)에 다수의 제 3 원판칼날(323b)이 다수의 제 1 원판칼날(321b)과 교번적으로 교차되게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제 3 칼날부(323)는 제 3 원판칼날(323b)이 제 1 원판칼날(321b)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기(1)의 상면에 다수의 제 3 원판칼날(323b)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다수의 제 1 칼집(301) 사이에 제 3 칼집(303, 도 11 참조)을 다수 형성한다.
제 4 칼날부(324)는 제 2 칼날부(322)의 후방측에서 제 2 칼날부(32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310)에 제 4 샤프트(324a)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4 샤프트(324a)에 다수의 제 4 원판칼날(324b)이 다수의 제 2 원판칼날(322b)과 교번적으로 교차되게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제 4 칼날부(324)는 제 4 원판칼날(324b)이 제 2 원판칼날(322b)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기(1)의 하면에 다수의 제 4 원판칼날(324b)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다수의 제 2 칼집(302) 사이에 제 4 칼집(304, 도 11 참조)을 다수 형성한다.
기어부(330)는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의 샤프트와 모터(101)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모터(10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를 회전시킨다.
기어부(330)는 구동기어(331), 제 1 종동기어(333) 및 제 2 종동기어(3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331)는 모터(101)의 구동축에 체인(103)으로 연결되어 회전하고, 원주상으로 다수의 구동톱니(331a)가 형성된다. 구동기어(331)는 프레임(310)의 하측에 형성된 개구부(313)를 통해 구동기어(331)의 구동톱니(331a) 일부가 돌출되게 노출된다.
제 1 종동기어(333)는 하부 칼날부(320b)의 샤프트의 단부에 축결합되고, 구동기어(331)의 구동톱니(331a)와 치합되는 제 1 기어톱니(333a)가 원주상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종동기어(333)는 제 1 기어톱니(333a)가 구동기어(331)의 구동톱니(331a)와 맞물려 구동기어(331)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2 종동기어(335)는 상부 칼날부(320a)의 샤프트의 단부에 축결합되고, 제 1 종동기어(333)의 제 1 기어톱니(333a)와 치합되는 제 2 기어톱니(335a)가 원주상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종동기어(335)는 제 2 기어톱니(335a)가 제 1 종동기어(333)의 제 1 기어톱니(333a)와 맞물려 제 1 종동기어(333)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 1 종동기어(333)와 제 2 종동기어(335) 간의 치합 시 제 1 기어톱니(333a)와 제 2 기어톱니(335a) 사이에 유격공간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부 칼날부(320a)가 후술할 칼날승강부(340)에 의해 승강 시 제 1 기어톱니(333a)와 제 2 기어톱니(335a) 사이의 유격공간을 통해 제 1 종동기어(333)와 제 2 종동기어(335) 간의 치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칼집승강부(340)는 프레임(310)에 설치되며, 고기(1)의 두께에 따라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 사이의 칼날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 칼날부(320a)를 승강시킨다.
칼집승강부(340)는 승강판(341) 및 승강볼트(343)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판(341)은 상부 칼날부(320a)의 샤프트, 예컨대 제 1 샤프트(321a)와 제 3 샤프트(323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310)의 상단에 일부분이 절개 형성되는 승강홈(312)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승강볼트(343)는 프레임(310)의 승강홈(312) 상측을 덮는 고정판(342)에 나사 결합되면서 관통되고, 승강판(341)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상단부에 체결된 너트부재(345)를 회전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승강판(341)을 승강시킨다.
육류부착방지부(350)는 칼날부(320)와 나란하도록 프레임(310)에 설치되고, 칼날부(320)를 통과한 고기(1)가 회전하는 칼날부(320)에 의해 말려 올라가지 않도록 칼날부(320)에 고기의 부착을 방지한다. 예컨대, 육류부착방지부(350)는 제 3 칼날부(323)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제 1 육류부착방지부(350a) 및 제 4 칼날부(324)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제 2 육류부착방지부(350b)를 포함할 수 있다.
육류부착방지부(350)는 고정축(351) 및 탈거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축(351)은 칼날부(320)의 샤프트, 예컨대 제 3 샤프트(323a)와 제 4 샤프트(324a)의 후방측에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 제 3 샤프트(323a)와 제 4 샤프트(324a)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탈거부재(352)는 고정축(351)에 축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고, 제 3 칼날부(323)와 제 4 칼날부(324)의 원판칼날 방향으로 돌출되어 다수의 원판칼날 사이에 삽입되며, 제 3 칼날부(323)와 제 4 칼날부(324)에 부착되는 고기(1)를 탈거시킨다.
탈거부재(352)는 원판칼날 방향으로 삼각형 돌기부(353)가 형성되고, 삼각형 돌기부(353)는 다수의 원판칼날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스페이서(355)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육류 칼집 형성장치(10)는 모터(101)의 구동에 의해 육류이송부(200)의 제 1 및 제 2 벨트 컨베이어(210, 220)와, 칼집형성부(300)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칼날부(321, 322, 323, 324)가 동작하게 된다.
사용자는 제 1 벨트 컨베이어(210)에 고기(1)를 얹어 공급하게 되면, 고기(1)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제 1 벨트 컨베이어(210)에 의해 칼집형성부(300)의 육류 투입측으로 이송된다.
칼집형성부(300)에 공급 이송되는 고기(1)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칼날부(321)와 제 2 칼날부(32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고기(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1차로 칼집을 형성한다. 이렇게 1차로 칼집이 형성된 고기를 제 1 칼날부(321)와 제 2 칼날부(322)의 후방측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3 칼날부(323)와 제 4 칼날부(324)가 제 1 칼날부(321)와 제 2 칼날부(322)로부터 고기(1)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후방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고기(1)의 상면과 하면에 2차로 칼집을 형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육류 칼집 형성장치에 의해 육류에 형성되는 칼집모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칼날부(321, 322, 323, 324)는 각각의 원판칼날(321b, 322b, 323b, 324b)이 교번적으로 교차되게 배치됨에 따라, 각각의 원판칼날(321b, 322b, 323b, 324b)에 의해 형성되는 칼집이 교번적으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예컨대, 다수의 제 1 원판칼날(321b)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고기(1)의 상면에 제 1 칼집(301)이 다수 형성되고, 다수의 제 2 원판칼날(322b)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고기(1)의 하면에 다수의 제 2 칼집(302)이 다수의 제 1 칼집(301)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제 3 원판칼날(323b)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고기(1)의 상면에 다수의 제 3 칼집(303)이 다수의 제 1 칼집(301)과 제 2 칼집(302)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다수의 제 4 원판칼날(324b)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고기(1)의 하면에 다수의 제 4 칼집(304)이 다수의 제 2 칼집(302)과 제 1 칼집(301)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즉, 고기에 제 1 칼집(301), 제 3 칼집(303), 제 2 칼집(302), 제 4 칼집(304) 순서로 반복되게 칼집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원판칼날 간 간격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고기(1)에 칼집모양을 더욱 촘촘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양념이 고기(1)에 깊숙히 스며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칼집(301)과 제 2 칼집(302) 사이의 간격, 제 3 칼집(303)과 제 4 칼집(304) 사이의 간격을 각각 4mm로 형성할 경우, 이웃한 제 1 칼집(301)과 제 3 칼집(303) 사이의 간격, 제 2 칼집(302)과 제 3 칼집(303) 사이의 간격, 제 2 칼집(302)과 제 4 칼집(304) 사이의 간격, 제 1 칼집(301)과 제 4 칼집(304) 사이의 간격을 각각 2mm로 더욱 촘촘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육류 칼집 형성장치에 의해 육류에 형성되는 칼집모양 상태를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1)를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칼집형성부(300) 측으로 두 번 이송할 경우, 칼집형성부(300)를 첫번째 통과한 고기(1)에는 일방향으로 일자형 "//" 칼집모양이 다수 형성되고, 칼집형성부(300)를 두번째 통과한 고기(1)에는 타방향으로 일자형 "//" 칼집모양이 다수 형성됨에 따라, 고기(1)에 격자형 "XX" 칼집모양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기(1)의 두께에 따라 칼집 깊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부 칼날부(320a), 예컨대 제 1 칼날부(321)와 제 3 칼날부(323)를 승강시켜 상부 칼날부(320a)와 하부 칼날부(320b) 사이의 칼날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볼트(343)의 상단부에 체결된 너트부재(345)를 회전시키면 프레임(310)에 나사 결합된 승강볼트(343)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승강볼트(343)의 하단부에 고정된 승강판(341)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승강판(341)에 결합된 상부 칼날부(320a)가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고기(1)의 공급 전에 그 두께에 따라 상부 칼날부(320a)를 승강시켜 고기(1)에 형성되는 칼집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회전하는 원판칼날의 가압과 고기 육질의 점성에 의해 고기(1)는 회전하는 원판칼날에 붙어 말려 올라가게 되는데, 다수의 원판칼날의 사이에 삽입되는 육류부착방지부(350)의 탈거부재(352)에 의해 원판칼날로부터 고기(1)가 이탈된다. 따라서, 칼날부(320)를 통과한 고기(1)가 회전하는 칼날부(320)에 의해 말려 올라가지 않도록 칼날부(320)에 고기(1)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기(1)에 칼집형성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고기나 돼지고기, 갈비살 등과 같은 고기뿐만 아니라 오돌뼈 등과 같이 비교적 단단한 뼈를 포함한 육류에 칼집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육류 칼집 형성장치 100 : 본체부
200 : 육류이송부 210 : 제 1 벨트 컨베이어
220 : 제 2 벨트 컨베이어 300 : 칼집형성부
300a : 상부 칼날부 300b : 하부 칼날부
310 : 프레임 320 : 칼날부
321 : 제 1 칼날부 321a : 제 1 샤프트
321b : 제 1 원판칼날 322 : 제 2 칼날부
322a : 제 2 샤프트 322b : 제 2 원판칼날
323 : 제 3 칼날부 323a : 제 3 샤프트
323b : 제 3 원판칼날 324 : 제 4 칼날부
324a : 제 4 샤프트 324b : 제 4 원판칼날
330 : 기어부 331 : 구동기어
331a : 구동톱니 333 : 제 1 종동기어
333a : 제 1 기어톱니 335 : 제 2 종동기어
335a : 제 2 기어톱니 340 : 칼집승강부
341 : 승강판 343 : 승강볼트
345 : 너트부재 350 : 육류부착방지부
351 : 고정축 352 : 탈거부재

Claims (14)

  1.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육류를 이송시키는 육류이송부; 및
    상기 육류이송부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회전하는 상부 칼날부와 하부 칼날부를 구비하고, 상기 육류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육류를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육류에 칼집을 형성하는 칼집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집형성부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의 샤프트가 상하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다수의 원판칼날이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되는 칼날부;
    상기 샤프트와 모터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를 회전시키는 기어부; 및
    상기 칼날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칼날부를 통과한 육류가 회전하는 상기 칼날부에 의해 말려 올라가지 않도록 상기 칼날부에 육류의 부착을 방지하는 육류부착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육류부착방지부는,
    상기 칼날부의 샤프트 후방측에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 상기 샤프트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에 축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고, 상기 칼날부의 원판칼날 방향으로 돌출되어 다수의 원판칼날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칼날부에 부착되는 육류를 탈거시키는 탈거부재;를 포함하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의 원판칼날이 육류가 통과하는 사이에서 일부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의 원판칼날이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원판칼날의 가장자리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칼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육류의 이송경로 상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제 1 샤프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샤프트에 다수의 제 1 원판칼날이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되며, 다수의 상기 제 1 원판칼날이 회전하면서 육류의 상면에 다수의 상기 제 1 원판칼날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제 1 칼집을 다수 형성하는 제 1 칼날부; 및
    상기 제 1 칼날부의 하부에서 육류의 이송경로 상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제 2 샤프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에 다수의 제 2 원판칼날이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되며, 다수의 상기 제 2 원판칼날이 상기 제 1 원판칼날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육류의 하면에 다수의 제 2 원판칼날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제 2 칼집을 다수 형성하는 제 2 칼날부;를 포함하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제 1 칼날부의 후방측에서 상기 제 1 칼날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제 3 샤프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3 샤프트에 다수의 제 3 원판칼날이 다수의 상기 제 1 원판칼날과 교번적으로 교차되게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제 3 원판칼날이 상기 제 1 원판칼날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육류의 상면에 다수의 제 3 원판칼날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다수의 상기 제 1 칼집 사이에 제 3 칼집을 다수 형성하는 제 3 칼날부; 및
    상기 제 2 칼날부의 후방측에서 상기 제 2 칼날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제 4 샤프트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4 샤프트에 다수의 제 4 원판칼날이 다수의 상기 제 2 원판칼날과 교번적으로 교차되게 이격 공간을 유지하면서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제 4 원판칼날이 상기 제 2 원판칼날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육류의 하면에 다수의 제 4 원판칼날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게 다수의 상기 제 2 칼집 사이에 제 4 칼집을 다수 형성하는 제 4 칼날부;를 더 포함하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하고, 원주상으로 다수의 구동톱니가 형성되는 구동기어;
    상기 하부 칼날부의 샤프트의 단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구동톱니와 치합되는 제 1 기어톱니가 원주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종동기어; 및
    상기 상부 칼날부의 샤프트의 단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 1 종동기어의 제 1 기어톱니와 치합되는 제 2 기어톱니가 원주상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종동기어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 종동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종동기어와 상기 제 2 종동기어 간의 치합 시 상기 제 1 기어톱니와 상기 제 2 기어톱니 사이에 유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집형성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 사이의 칼날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칼날부를 승강시키는 칼날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승강부는,
    상기 상부 칼날부의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일부분이 절개 형성되는 승강홈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승강판; 및
    상기 프레임의 승강홈 상측을 덮는 고정판에 나사 결합되면서 관통되고, 상기 승강판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상단부에 체결된 너트부재를 회전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볼트;를 포함하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부재는,
    상기 원판칼날 방향으로 삼각형 돌기부가 형성되고, 삼각형 돌기부는 다수의 상기 원판칼날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스페이서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이송부는,
    상기 칼집형성부의 육류 투입 전방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의 사이로 육류를 투입 이송하는 제 1 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칼집형성부의 육류 배출 후방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칼날부와 상기 하부 칼날부의 사이로부터 배출되는 육류를 이송하는 제 2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육류 칼집 형성장치.
KR1020170135366A 2017-10-18 2017-10-18 육류 칼집 형성장치 KR101988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366A KR101988546B1 (ko) 2017-10-18 2017-10-18 육류 칼집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366A KR101988546B1 (ko) 2017-10-18 2017-10-18 육류 칼집 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375A KR20190043375A (ko) 2019-04-26
KR101988546B1 true KR101988546B1 (ko) 2019-06-12

Family

ID=6628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366A KR101988546B1 (ko) 2017-10-18 2017-10-18 육류 칼집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5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73B1 (ko) * 2020-08-13 2021-01-14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냉장 또는 냉동육류 겸용 양면 연육기
KR102431130B1 (ko) 2022-03-17 2022-08-16 주식회사 푸드앤리빙 뼈를 포함한 la 식 갈비 및 육류 양면 칼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252B1 (ko) * 2022-07-27 2023-07-25 최민진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528Y1 (ko) 2000-01-14 2000-07-15 강석주 갈비살 칼집 형성기
KR200303974Y1 (ko) * 2002-11-18 2003-02-14 박현민 육류칼집 형성기
KR100879365B1 (ko) * 2007-05-15 2009-01-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고기의 칼집형성장치
KR101630697B1 (ko) * 2013-12-19 2016-06-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528Y1 (ko) 2000-01-14 2000-07-15 강석주 갈비살 칼집 형성기
KR200303974Y1 (ko) * 2002-11-18 2003-02-14 박현민 육류칼집 형성기
KR100879365B1 (ko) * 2007-05-15 2009-01-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고기의 칼집형성장치
KR101630697B1 (ko) * 2013-12-19 2016-06-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돈육의 해동감지·수분감지를 통한 텐더라이저 칼날구동 자동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73B1 (ko) * 2020-08-13 2021-01-14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냉장 또는 냉동육류 겸용 양면 연육기
KR102431130B1 (ko) 2022-03-17 2022-08-16 주식회사 푸드앤리빙 뼈를 포함한 la 식 갈비 및 육류 양면 칼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375A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546B1 (ko) 육류 칼집 형성장치
JP6160222B2 (ja) 豆のさや剥き装置
US2291809A (en) Apparatus for slicing, dicing, and cutting meat and the like
EP2226170A1 (de) Zuführkettenrahmen für automatische Scheibenschneidemaschinen
US6426104B1 (en) Bacon trimmer
US4420118A (en) Cauliflower size cutter
CN203831494U (zh) 一种切丝装置
KR20100066257A (ko) 떡 절단장치
JP7284900B2 (ja) パイナップルの果肉削ぎ取り装置及び方法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CA2488608A1 (en) Forage cutter
KR101712882B1 (ko) 야채 세절기
JP2009189487A (ja) 箸材の小割装置
KR200316204Y1 (ko) 양면 칼집기
US3669167A (en) Sausage slicing apparatus
CN108771255B (zh) 香蕉剥皮加工设备
CN211278599U (zh) 一种野生菌切片机
EP14720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product to a cutting device
KR101293676B1 (ko) 통배추 절단장치
KR101908105B1 (ko) 육절기용 절단 유닛 및 상기 육절기용 절단 유닛을 포함하는 육절기
KR20150137496A (ko)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CN209903286U (zh) 一种可换刀组的切肉机
CN219337920U (zh) 一种肉肠网格切割设备
CN205111970U (zh) 自动化槟榔切籽设备
CN219404559U (zh) 一种针对菠萝去蒂、自动分瓣、分瓣导向、挖肉的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