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252B1 -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 - Google Patents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252B1
KR102559252B1 KR1020220093296A KR20220093296A KR102559252B1 KR 102559252 B1 KR102559252 B1 KR 102559252B1 KR 1020220093296 A KR1020220093296 A KR 1020220093296A KR 20220093296 A KR20220093296 A KR 20220093296A KR 102559252 B1 KR102559252 B1 KR 102559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block
groove
support
guide rail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진
Original Assignee
최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진 filed Critical 최민진
Priority to KR102022009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Producing portions of meat with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e.g. weight or particular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08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집의 형상을 톱이 모향으로 제작하여 피절단물이 고기가 칼날 하부로 안정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현한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칼집이 형성될 피절단물인 육류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컨베이어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되는 피절단물을 전달받아 상면에 칼집을 형성시켜 주는 칼집 형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Sheath device including a serrated blade}
본 발명은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칼집의 형상을 톱이 모향으로 제작하여 피절단물이 고기가 칼날 하부로 안정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현한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목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칼집을 내고 있다. 실제로 시중의 음식점에서 갈비를 만들어서 고객에게 제공하는 경우, 갈비의 고기 부분에 일정한 간격의 칼집이 만들어져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육류는 서로 교차하는 형태의 칼 집을 육류의 상하면에 각각 성형하고 있다. 이러한 칼집은, 육류의 두께에 대하여 일정한 깊이로 성형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육류에 칼집을 내기 위한 작업은, 현재 숙련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수작업에 의하여 칼집을 내는 것은, 모든 작업을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해야 하는 것은 물론, 모든 고기를 일일이 작업자의 손에 의하여 수행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시간적인 문제점 등을 포함하는 귀찮은 면이 있다.
이와 같이 육류에 칼집을 내는 것은 크게 두가지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갈비요리를 만드는 경우에,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칼집을 서로 교차하는 일정 깊이로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육류에 갈비 양념이 골고루 베인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칼집을 내는 것은, 고기를 부드럽게 한다는 측면에서도 아주 효과적이다. 육류에 칼집을 내어 고기를 부드럽게 한다는 것은, 실제로 고기에 내장되어 있는 힘줄 또는 질긴 부분을 잘게 절단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고기를 연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종래의 칼집기의 경우, 간혹 고기가 해동이 잘 안되거나 두꺼운 경우 칼집기 내부로 잘 들어가지 않아서 작업자의 손으로 밀어 넣다가 산재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9365호 (2009.01.16.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600614호 (2016.03.07.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칼집의 형상을 톱이 모향으로 제작하여 피절단물이 고기가 칼날 하부로 안정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현한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는, 칼집이 형성될 피절단물인 육류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컨베이어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되는 피절단물을 전달받아 상면에 칼집을 형성시켜 주는 칼집 형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칼집 형성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는 차폐 플레이트;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주동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주동 기어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되는 종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에 축결합되어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와의 사이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의 상면에 칼집을 형성시켜 주는 절단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 유닛은, 상기 종동 기어에 축결합되어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축; 및 외측을 따라 톱니 형상의 칼날형 돌기가 반복 형성되는 톱니형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 축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와의 사이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의 상면에 칼집을 형성시켜 주는 다수 개의 톱니형 절단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 중인 피절단물을 상기 칼집 형성부로 밀어서 투입을 유도시켜 주는 투입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 유도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부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 유도 레일; 상기 제1 유도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부 타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2 유도 레일; 및 일측이 상기 제1 유도 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유도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 외향면과 대향하면서 기 설정된 높이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이동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제1 유도 레일과 상기 제2 유도 레일을 따라 상기 칼집 형성부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안착되어 있는 피절단물을 상기 칼집 형성부로 밀어서 투입을 유도시켜 주는 유도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도 바아는, 상기 제2 유도 레일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유도 레일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홈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완충 슬라이더; 상기 제1 유도 레일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유도 레일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홈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완충 슬라이더; 및 일측이 상기 제1 완충 슬라이더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완충 슬라이더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완충 슬라이더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전진 유도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레일홈에 안착되는 제1 슬라이딩 블록;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레일홈에 안착되는 제2 슬라이딩 블록;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홈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밀착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레일홈을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한 쌍의 제1 휠;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홈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밀착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레일홈을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한 쌍의 제2 휠;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 사이를 지지하는 블록 연결부; 상기 제2 유도 레일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진 유도 바아의 일측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유도 레일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진 유도 바아의 일측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승강홈; 상기 전단 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승강홈의 중단에 배치되며, 상기 전단 지지대를 지지하는 완충 블록; 상기 승강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블록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승강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연결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홈;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홈; 전단이 상기 후단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전단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후단홈의 중단에 배치되는 전단 날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단홈의 중단에 배치되는 후단 날개; 상기 후단홈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단 날개의 상측 및 하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완충 스프링; 및 상기 전단홈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후단 날개의 상측 및 하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진 유도 바아는, 일측이 상기 제1 완충 슬라이더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완충 슬라이더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완충 슬라이더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바아 바디; 하측으로 개방 형성되면서 상기 바아 바디의 하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하부홈의 전단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바아; 상기 제1 지지 바아와 대향하면서 상기 하부홈의 후단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바아; 및 전단 내향면이 상기 제1 지지 바아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후단 내향면이 상기 제2 지지 바아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하측이 상기 바아 바디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와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안착되어 있는 피절단물을 상기 칼집 형성부 방향으로 전진시켜 주는 전진 유도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칼집의 형상을 톱이 모향으로 제작하여 피절단물이 고기가 칼날 하부로 안정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자가 칼날에 의한 산재 사고가 발생되는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칼집 형성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2의 절단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투입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1 완충 슬라이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6의 블록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전진 유도 바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10)는, 컨베이어부(100) 및 칼집 형성부(20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부(100)는, 칼집이 형성될 피절단물(P)인 육류를 칼집 형성부(2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칼집 형성부(200)는, 컨베이어부(100)의 단부에 설치되며,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동되는 피절단물(P)을 전달받아 상면에 칼집을 형성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10)는, 칼집의 형상을 톱이 모향으로 제작하여 피절단물이 고기가 칼날 하부로 안정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자가 칼날에 의한 산재 사고가 발생되는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칼집 형성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칼집 형성부(200)는, 차폐 플레이트(210), 종동 기어(220) 및 절단 유닛(240)을 포함한다.
차폐 플레이트(210)는, 컨베이어부(100)의 단부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며, 종동 기어(220) 및 절단 유닛(24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종동 기어(220)는, 차폐 플레이트(2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컨베이어부(100)의 단부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주동 기어(2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주동 기어(230)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되어 절단 유닛(240)을 회전 구동시켜 준다.
절단 유닛(240)은, 종동 기어(220)에 축결합되어 차폐 플레이트(210)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컨베이어부(100)의 단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회전 구동하면서 컨베이어부(100)의 단부와의 사이로 투입되는 피절단물(P)의 상면에 칼집을 형성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칼집 형성부(200)는, 칼집의 형상을 톱이 모향으로 제작하여 피절단물이 고기가 칼날 하부로 안정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자가 칼날에 의한 산재 사고가 발생되는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절단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절단 유닛(240)은, 회전 축(241) 및 다수 개의 톱니형 절단날(242)을 포함한다.
회전 축(241)은, 종동 기어(220)에 축결합되어 차폐 플레이트(210)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다수 개의 톱니형 절단날(242)이 설치된다.
다수 개의 톱니형 절단날(242)은, 외측을 따라 톱니 형상의 칼날형 돌기가 반복 형성되는 톱니형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 축(241)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회전 구동하면서 컨베이어부(100)의 단부와의 사이로 투입되는 피절단물(P)의 상면에 칼집을 형성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절단 유닛(240)은, 칼집의 형상을 톱이 모향으로 제작하여 피절단물이 고기가 칼날 하부로 안정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자가 칼날에 의한 산재 사고가 발생되는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20)는, 컨베이어부(100), 칼집 형성부(200) 및 투입 유도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베이어부(100) 및 칼집 형성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투입 유도부(300)는, 컨베이어부(100)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동 중인 피절단물(P)을 칼집 형성부(200)로 밀어서 투입을 유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20)는, 피절단물(P)이 칼집 형성부(200)로 안정적인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투입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입 유도부(300)는, 제1 유도 레일(310), 제2 유도 레일(320) 및 유도 바아(330)를 포함한다.
제1 유도 레일(310)은, 제2 유도 레일(320)와 대향하면서 컨베이어부(100)의 상부 일측을 따라 설치되며, 유도 바아(330)의 일측이 연결 설치된다.
제2 유도 레일(320)은, 제1 유도 레일(310)과 대향하면서 컨베이어부(100)의 상부 타측을 따라 설치되며, 유도 바아(330)의 타측이 연결 설치된다.
유도 바아(330)는, 일측이 제1 유도 레일(310)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제2 유도 레일(320)에 연결 설치되어 컨베이어부(100)의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 외향면과 대향하면서 기 설정된 높이로 이격 설치되며,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이동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제1 유도 레일(310)과 제2 유도 레일(320)을 따라 칼집 형성부(200)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면서 컨베이어 벨트에 안착되어 있는 피절단물(P)을 칼집 형성부(200)로 밀어서 투입을 유도시켜준다.
일 실시예에서, 유도 바아(330)는, 제1 완충 슬라이더(331), 제2 완충 슬라이더(332) 및 전진 유도 바아(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 슬라이더(331)는, 제2 유도 레일(320)과 대향하는 제1 유도 레일(310)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홈(R1)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2 완충 슬라이더(332)는, 제1 유도 레일(310)과 대향하는 제2 유도 레일(320)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한다.
전진 유도 바아(333)는, 일측이 제1 완충 슬라이더(331)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제2 완충 슬라이더(332)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완충 슬라이더(331)와 제2 완충 슬라이더(332)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투입 유도부(300)는, 피절단물(P)을 칼집 형성부(200) 방향으로 밀착시켜 줌으로써, 피절단물(P)이 칼집 형성부(200)로 안정적인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1 완충 슬라이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완충 슬라이더(400)는, 제1 슬라이딩 블록(410), 제2 슬라이딩 블록(420), 한 쌍의 제1 휠(430), 한 쌍의 제2 휠(440), 블록 연결부(450), 제1 완충 지지부(460) 및 제2 완충 지지부(4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완충 슬라이더(332)는,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서 제1 완충 슬라이더(4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일 실시예에서 제1 완충 슬라이더(400)의 제1 슬라이딩 블록(410), 제2 슬라이딩 블록(420), 한 쌍의 제1 휠(430), 한 쌍의 제2 휠(440), 블록 연결부(450), 제1 완충 지지부(460) 및 제2 완충 지지부(47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슬라이딩 블록(410)은, 제1 레일홈(R1)에 안착된다.
제2 슬라이딩 블록(420)은, 제1 슬라이딩 블록(41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제1 레일홈(R1)에 안착된다.
한 쌍의 제1 휠(430)은, 제1 슬라이딩 블록(4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레일홈(R1)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밀착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제1 레일홈(R1)을 따라 제1 슬라이딩 블록(410)을 이동시켜 준다.
한 쌍의 제2 휠(440)은, 제2 슬라이딩 블록(42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레일홈(R1)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밀착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제1 레일홈(R1)을 따라 제2 슬라이딩 블록(420)을 이동시켜 준다.
블록 연결부(450)는, 제1 슬라이딩 블록(410)의 후단과 제2 슬라이딩 블록(420)의 전단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슬라이딩 블록(410)과 제2 슬라이딩 블록(420) 사이를 지지한다.
제1 완충 지지부(460)는, 제2 유도 레일(320)과 대향하는 제1 슬라이딩 블록(4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전진 유도 바아(333)의 일측 전단(333a)에 설치되는 전단 지지대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완충 지지부(460)는, 승강홈(461), 완충 블록(462), 상단 지지 스프링(463) 및 하단 지지 스프링(464)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홈(461)은, 제1 슬라이딩 블록(41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완충 블록(462)은, 전단 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로 승강홈(461)의 중단에 배치되며, 전단 지지대를 지지한다.
상단 지지 스프링(463)은, 승강홈(461)의 상측에 설치되어 완충 블록(462)의 상측을 지지한다.
하단 지지 스프링(464)은, 승강홈(461)의 하측에 설치되어 완충 블록(462)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2 완충 지지부(470)는, 제2 유도 레일(320)과 대향하는 제2 슬라이딩 블록(42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전진 유도 바아(333)의 일측 후단(333b)에 설치되는 후단 지지대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서 제1 완충 슬라이더(400)는, 유도 바아(330)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 시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장치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는 동시에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블록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블록 연결부(450)는, 후단홈(451), 전단홈(452), 지지 프레임(453), 전단 날개(454), 후단 날개(455), 한 쌍의 제1 완충 스프링(456) 및 한 쌍의 제2 완충 스프링(457)을 포함한다.
후단홈(451)은, 제1 슬라이딩 블록(410)의 후단에 형성된다.
전단홈(452)은, 제2 슬라이딩 블록(420)의 전단에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453)은, 전단이 후단홈(4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전단홈(4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슬라이딩 블록(410)과 제2 슬라이딩 블록(420) 사이를 지지한다.
전단 날개(454)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453)의 전단에 설치되어 후단홈(451)의 중단에 배치된다.
후단 날개(455)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453)의 후단에 설치되어 전단홈(452)의 중단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제1 완충 스프링(456)은, 후단홈(45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단 날개(454)의 상측 및 하측을 지지한다.
한 쌍의 제2 완충 스프링(457)은, 전단홈(45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후단 날개(455)의 상측 및 하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 연결부(450)는, 제1 슬라이딩 블록(410)과 제2 슬라이딩 블록(420) 사이를 지지함은 물론, 제1 슬라이딩 블록(410)과 제2 슬라이딩 블록(42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제1 슬라이딩 블록(410)과 제2 슬라이딩 블록(420)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전진 유도 바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진 유도 바아(500)는, 바아 바디(510), 하부홈(520), 제1 지지 바아(530), 제2 지지 바아(540) 및 전진 유도 벨트(550)를 포함한다.
바아 바디(510)는, 일측이 제1 완충 슬라이더(331)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제2 완충 슬라이더(332)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완충 슬라이더(331)와 제2 완충 슬라이더(332)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하부홈(520)은, 하측으로 개방 형성되면서 바아 바디(510)의 하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지지 바아(530)는, 하부홈(520)의 전단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 바아(540)는, 제1 지지 바아(530)와 대향하면서 하부홈(520)의 후단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전진 유도 벨트(550)는, 전단 내향면이 제1 지지 바아(5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후단 내향면이 제2 지지 바아(54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하측이 바아 바디(510)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제1 지지 바아(530)와 제2 지지 바아(540)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절단물(P)의 후단을 들어올려 주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컨베이어 벨트에 안착되어 있는 피절단물(P)을 칼집 형성부(200) 방향으로 전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진 유도 바아(500)는, 피절단물(P)를 밀어서 전진시켜 줌과 동시에 회전하는 전진 유도 벨트(550)를 이용하여 피절단물(P)의 후단을 들어 올려 주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피절단물(P)이 보다 효과적으로 칼집 형성부(200)으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
100: 컨베이어부
200: 칼집 형성부
300: 투입 유도부
400: 제1 완충 슬라이더

Claims (3)

  1. 칼집이 형성될 피절단물인 육류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컨베이어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되는 피절단물을 전달받아 상면에 칼집을 형성시켜 주는 칼집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칼집 형성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의 상측을 덮고 설치되는 차폐 플레이트;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 일측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주동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주동 기어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되는 종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에 축결합되어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와의 사이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의 상면에 칼집을 형성시켜 주는 절단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 유닛은,
    상기 종동 기어에 축결합되어 상기 차폐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축; 및
    외측을 따라 톱니 형상의 칼날형 돌기가 반복 형성되는 톱니형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 축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단부와의 사이로 투입되는 피절단물의 상면에 칼집을 형성시켜 주는 다수 개의 톱니형 절단날;을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동 중인 피절단물을 상기 칼집 형성부로 밀어서 투입을 유도시켜 주는 투입 유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입 유도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부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 유도 레일;
    상기 제1 유도 레일과 대향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부 타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2 유도 레일; 및
    일측이 상기 제1 유도 레일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유도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 벨트의 상측 외향면과 대향하면서 기 설정된 높이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이동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제1 유도 레일과 상기 제2 유도 레일을 따라 상기 칼집 형성부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안착되어 있는 피절단물을 상기 칼집 형성부로 밀어서 투입을 유도시켜 주는 유도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 바아는,
    상기 제2 유도 레일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유도 레일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홈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완충 슬라이더;
    상기 제1 유도 레일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유도 레일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홈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완충 슬라이더; 및
    일측이 상기 제1 완충 슬라이더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완충 슬라이더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완충 슬라이더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전진 유도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완충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레일홈에 안착되는 제1 슬라이딩 블록;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레일홈에 안착되는 제2 슬라이딩 블록;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홈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밀착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레일홈을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한 쌍의 제1 휠;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홈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밀착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 레일홈을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한 쌍의 제2 휠;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 사이를 지지하는 블록 연결부;
    상기 제2 유도 레일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진 유도 바아의 일측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유도 레일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진 유도 바아의 일측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승강홈;
    상기 전단 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승강홈의 중단에 배치되며, 상기 전단 지지대를 지지하는 완충 블록;
    상기 승강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블록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승강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 연결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홈;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홈;
    전단이 상기 후단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전단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후단홈의 중단에 배치되는 전단 날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단홈의 중단에 배치되는 후단 날개;
    상기 후단홈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단 날개의 상측 및 하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완충 스프링; 및
    상기 전단홈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후단 날개의 상측 및 하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는,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093296A 2022-07-27 2022-07-27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 KR102559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296A KR102559252B1 (ko) 2022-07-27 2022-07-27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296A KR102559252B1 (ko) 2022-07-27 2022-07-27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252B1 true KR102559252B1 (ko) 2023-07-25

Family

ID=8742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296A KR102559252B1 (ko) 2022-07-27 2022-07-27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25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04Y1 (ko) * 2003-03-26 2003-06-12 박미희 양면 칼집기
KR20080005719U (ko) * 2007-05-23 2008-11-27 이종욱 육류 양면칼집기
KR100879365B1 (ko) 2007-05-15 2009-01-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고기의 칼집형성장치
KR101275006B1 (ko) * 2011-06-10 2013-06-14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다기능 식육 가공기계
KR101600614B1 (ko) 2014-03-21 2016-03-07 김흥대 칼집형성장치
KR20160131346A (ko) * 2015-05-06 2016-11-16 박동재 육절기
KR20190043375A (ko) * 2017-10-18 2019-04-26 정연선 육류 칼집 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04Y1 (ko) * 2003-03-26 2003-06-12 박미희 양면 칼집기
KR100879365B1 (ko) 2007-05-15 2009-01-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고기의 칼집형성장치
KR20080005719U (ko) * 2007-05-23 2008-11-27 이종욱 육류 양면칼집기
KR101275006B1 (ko) * 2011-06-10 2013-06-14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다기능 식육 가공기계
KR101600614B1 (ko) 2014-03-21 2016-03-07 김흥대 칼집형성장치
KR20160131346A (ko) * 2015-05-06 2016-11-16 박동재 육절기
KR20190043375A (ko) * 2017-10-18 2019-04-26 정연선 육류 칼집 형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03876A (en) Knife for cutting cheese and the like
US89313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a user to correctly use a knife
KR102559252B1 (ko) 톱니 형상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 장치
US20120210680A1 (en) Machine for cutting meat
KR20170103783A (ko) 콘베이어 시스템의 운반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된 간극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절단 장치
US3295400A (en) Band saw for butchering meat
CN104626234A (zh) 豆制品高速切片机
US2621693A (en) Power-operated meat saw
KR830005983A (ko) 과일, 야채등의 세절(細切)용 부엌용구 및 이에 필요한 칼날
US6460255B1 (en) Cutting instrument
EP2039483A1 (en) Bread slicer
WO2006080047A1 (ja) 連鎖状ソーセージ材料の切断装置
CA3068892A1 (en) Cutting land configured to be used in relation with a slicer apparatus and slicing method
CN110405864B (zh) 一种应用于树干加工的斜立式木材切割机
US2747633A (en) Meat slicer guide
US2830368A (en) Butchers' skinning knives
US2537555A (en) Knife having a serrated edge
KR101857257B1 (ko) 조리용 식칼
CN209440315U (zh) 一种安全台锯推台
NL1033876C1 (nl) Kaasschaaf.
KR101789313B1 (ko) 손가락 보호용 칼질 가이드 기구
KR102573053B1 (ko) 식자재 절단장치
KR200329225Y1 (ko) 에지밴딩기의 트리밍장치
WO2007024528A1 (en) Overmolded food product table support arm for a food slicer
KR890009347Y1 (ko) 냉동육류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