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496A -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 Google Patents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496A
KR20150137496A KR1020140065454A KR20140065454A KR20150137496A KR 20150137496 A KR20150137496 A KR 20150137496A KR 1020140065454 A KR1020140065454 A KR 1020140065454A KR 20140065454 A KR20140065454 A KR 20140065454A KR 20150137496 A KR20150137496 A KR 20150137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cutting
cutter
slice
cub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9986B1 (ko
Inventor
손진원
박미향
Original Assignee
손진원
박미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진원, 박미향 filed Critical 손진원
Priority to KR1020140065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98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육류를 자동으로 공급 및 자동으로 종횡방향의 절단하여 입방체형(주사위형)의 육류로 가공하고 안정적인 공급과 절단에 의해 크기가 일정한 입방체형의 육류를 가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는, 절단기 케이스(10)와; 상기 절단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무한궤도로 구동하면서 육류를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20)와; 상기 공급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육류를 종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로 슬라이싱 절단하는 슬라이스 절단기(50)와; 상기 슬라이스 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슬라이스 편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입방체형 육류를 가공하는 입방체형 절단기(60)와; 구동수단에 의해 무한궤도로 구동하면서 상기 입방체형 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입방체형 육류를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3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절단기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51), 상기 회전축의 둘레부에 축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육류를 슬라이싱 절단하는 다수의 슬라이스 절단날(52), 상기 슬라이스 절단날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육류를 저부에서 지지하는 육류 도마(53)를 포함하며, 상기 입방체형 절단기는, 상기 슬라이스 절단기에 의해 슬라이스 절단된 슬라이스 편을 지지하는 슬라이스 도마(61), 상기 슬라이스 도마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63), 상기 회전축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스포크(64), 상기 스포크에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스 도마 위에 지지되는 슬라이스 편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1개 이상의 절단날(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A CUBE TYPE FOOD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를 자동으로 공급 및 자동으로 종횡방향의 절단하여 입방체형(주사위형)의 육류로 가공하고 안정적인 공급과 절단에 의해 크기가 일정한 입방체형의 육류를 가공할 수 있는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 탕수육, 카레 등의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작은 입방체(주사위 모양)모양으로 가늘게 절단된 육류가 필요하다.
그러나 육류는 입방체형으로 공급되지 못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절단하여 사용함에 따라 조리 시간이 길어지고 번거로움을 초래함과 더불어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고, 비 숙련자의 경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며, 결과물인 입방체형 육류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아 상품성과 맛이 떨어진다. 특히, 일반 가정의 경우에는 많은 량의 음식을 한꺼번에 조리하는 것이 아니라 수작업도 가능하겠지만, 각종 음식점이나 정육점과 같이 대량의 육류를 신속하게 조리 제공하거나 판매하는 경우에는 조리자나 판매자가 육류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절단한다는 것은 지극히 불합리 점이 많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육류를 종횡방향으로 절단하여 입방체형의 육류로 가공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입방체형의 육류 절단기는 육류를 종방향으로 절단 - 이 육류를 횡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입방체형의 육류를 가공할 수는 있지만, 기기의 구성이 복잡하고 구동수단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등으로 인하여 균일한 크기의 입방체형의 육류를 가공하지 못하고 유지보수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43902호 공개특허 제10-2002-0089714호 공개실용신안 제20-1997-005317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육류를 자동으로 공급 및 자동으로 종횡방향의 절단하여 입방체형(주사위형)의 육류로 가공하고 안정적인 공급과 절단에 의해 크기가 일정한 입방체형의 육류를 가공할 수 있는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는, 절단기 케이스와; 상기 절단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무한궤도로 구동하면서 육류를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와; 상기 공급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육류를 종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로 슬라이싱 절단하는 슬라이스 절단기와; 상기 슬라이스 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슬라이스 편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입방체형 육류를 가공하는 입방체형 절단기와; 구동수단에 의해 무한궤도로 구동하면서 상기 입방체형 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입방체형 육류를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절단기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부에 축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육류를 슬라이싱 절단하는 다수의 슬라이스 절단날, 상기 슬라이스 절단날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육류를 저부에서 지지하는 육류 도마를 포함하며, 상기 입방체형 절단기는, 상기 슬라이스 절단기에 의해 슬라이스 절단된 슬라이스 편을 지지하는 슬라이스 도마, 상기 슬라이스 도마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스포크, 상기 스포크에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스 도마 위에 지지되는 슬라이스 편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1개 이상의 절단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에 의하면, 절단기 케이스를 외부와 밀폐된 절단실 및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기계실로 구획하여 먼지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육류 가공기기로서의 신뢰성과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정렬기를 통해 육류와 슬라이스 편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종방향/횡방향 절단이 이루어짐으로써 균일한 크기의 입방체형 육류를 가공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양질의 육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육류의 가공에서부터 종방향 절단과 횡방향 절단 및 배출 등 모든 공정이 일련의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하고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에 적용된 절단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에 의해 구분된 기계실과 절단실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에 적용된 구동수단 및 동력전달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에 적용된 절단수단을 보인 사시도로서, 슬라이스 절단날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는, 박스형태의 절단기 케이스(10), 절단기 케이스(10)에서 육류의 공급과 절단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육류 공급수단과 절단수단 및 입방체형 육류 배출수단으로 구성된다.
절단기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 특히 절단실을 외부와 차단하고 육류의 공급과 입방체형 육류의 배출을 위한 필요 공간만을 개방하고 나머지 공간을 밀폐형으로 구성하여 육류의 오염을 막기 위한 박스 구조이며 또한, 구획벽(11)에 의해 절단실과 기계실로 좌우로 구분된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공급수단과 절단수단 및 배출수단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며 기계실 커버(12)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과 동력전달부재가 고장난 경우 기계실 커버(12)를 분리하여 상기 기계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보수작업이 가능하므로 절단기 케이스(10) 전체를 분리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기계실 커버(12)를 분리하여도 구획벽(11)에 의해 상기 절단실이 밀폐 상태를 유지하므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모터는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우므로 절단기 케이스(10)의 저부에 별도의 선반을 통해 구획되는 하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에는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절단실에는 상기 절단수단 중에서도 육류를 직접적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구동수단 제외)이 외부와 밀폐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절단기 케이스(10)는 기계실 커버(12)에 의해 상기 기계실만 개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절단실 등을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육류 공급수단은 절단기 케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무한궤도형으로 회전하면서 육류를 상기 절단수단에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20)이다.
육류(1)가 공급 컨베이어(20)를 따라 상기 절단수단에 공급되는 중에 앞쪽에서부터 슬라이스 절단이 이루어지며, 이때, 공급 컨베이어(20)에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어 일정 두께의 슬라이스 편을 얻을 수 있도록 제1정렬기(40)가 적용된다.
제1정렬기(40)는 공급 컨베이어(2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회전암(41), 양측이 한 쌍의 제1회전암(41)에 각각 지지되며 육류(1)를 공급 컨베이어(20)쪽으로 눌러 지지하는 제1정렬롤러(42)로 구성된다. 즉 제1정렬롤러(42)에 의해 육류(1)를 지지하는 것이므로 제1정렬롤러(42)는 제1회전암(41)의 길이방향의 양쪽 중에서 제1회전암(41)의 힌지보다 상기 절단수단에 가까운 곳에 연결된다.
제1정렬롤러(42)는 육류(1)를 눌러 지지하면서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양측이 제1회전암(4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정렬기(40)는 자중에 의해 제1회전암(41)과 제1정렬롤러(42)가 육류(1)를 누르는 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육류를 절단하지 않을 때에는 공급 컨베이어(20) 위에 올려지거나 근접된다. 이때, 제1정렬기(40)와 공급 컨베이어(20)가 가깝기 때문에 유지 보수시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제1정렬기(40)를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손잡이(43)가 갖추어질 수 있다.
제1정렬기(40)는 절단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육류(1)의 공급시 절단기 케이스(10)를 분해하지 않고 걸림을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방체형 육류 배출수단은 절단기 케이스(10)의 타측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입방체형 육류를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30)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절단수단은 육류를 종방향으로 슬라이스 절단하는 슬라이스 절단기(50), 슬라이스 절단기(50)에 의해 절단된 입방체형 육류로 절단하는 입방체형 절단기(60)로 구성된다.
먼저 슬라이스 절단기(50)는 구동수단(예를 들어 구동모터, 기어와 벨트 등의 동력전달수단), 공급 컨베이어(20)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51), 회전축(51)의 둘레에 축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51)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급 컨베이어(20)를 따라 공급되는 육류(1)를 슬라이싱 절단하는 다수의 슬라이스 절단날(52), 슬라이스 절단날(52)들이 각각 수용되는 홈이 구비되며 슬라이스 절단날(52)의 저부에 설치되는 육류 도마(53)로 구성된다.
회전축(51)의 구동수단인 구동모터는 슬라이스 절단기(50)의 전용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다른 구동수단과 함께 하나의 모터로 운용될 수 있다.
슬라이스 절단날(52)은 둘레부에 커팅날이 있는 원판형이 스페이서 등을 통해 회전축(51)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육류(1)를 일정 두께로 슬라이스 절단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슬라이스 절단날(52)과 별개의 단품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두께가 사용됨으로써 슬라이스 절단날(52)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즉 슬라이스 편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육류 도마(53)는 슬라이스 절단날(52)보다 직경이 작은 원판이며 슬라이스 절단날(52)과 동일하게 축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슬라이스 절단날(52)들 사이에 삽입되는 방식, 둘레부에 슬라이스 절단날(52)이 삽입되는 홈을 갖는 원통형의 드럼 방식 모두가 가능하다. 육류 도마(53)는 절단기 케이스(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공급 컨베이어(20)와 슬라이스 절단날(52)의 회전력에 의한 슬라이스 편의 이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스 편이 슬라이스 절단날(52)과 슬라이드 도마(53)에 있는 틈[슬라이스 절단날(52)과 슬라이드 도마(53) 각각에 있는 틈, 슬라이스 절단날(52)과 슬라이드 도마(53) 사이의 틈]에 끼이거나 붙지 않도록 스크래퍼(54) 가 적용될 수 있다. 스크래퍼(54)는 슬라이스 절단날(52) 및/또는 슬라이드 도마(53)의 틈에 삽입되는 돌기를 갖는 모든 구성이 가능하다. 스크래퍼(54)는 전술한 위치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슬라이스 절단날(52)의 상부에도 적용 가능하다.
슬라이스 절단기(50)는 슬라이스 절단날(52)과 육류 도마(53)에 의해 육류(1)를 슬라이스 편으로 슬라이스 절단하는 것이며, 절단된 슬라이스 편을 입방체형 절단기(60)로 공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이급 롤러(55)를 포함한다.
이송 롤러(55)는 육류 도마(53)와 입방체형 절단기(60)의 사이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한 회전식, 외력에 의한 회전식 모두가 가능하다.
슬라이스 절단기(50)에 의해 슬라이스 절단된 슬라이스 편(2)이 입방체형 절단기(60)로 이송되고 입방체형 절단기(60)에 의해 절단될 때 흔들리지 않도록 슬라이스 편(2)을 지지하는 제2정렬기(70)가 적용된다.
제2정렬기(70)는 슬라이스 절단기(5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회전암(71), 양측이 한 쌍의 제2회전암(71)에 각각 지지되며 슬라이스 편(2)을 이송 롤러(65)쪽으로 눌러 지지하는 제2정렬롤러(72)로 구성된다. 즉 제2정렬롤러(72)에 의해 슬라이스 편(2)을 지지하는 것이므로 제2정렬롤러(42)는 제2회전암(71)의 길이방향의 양쪽 중에서 제2회전암(71)의 힌지보다 슬라이스 절단기(50)에 가까운 곳에 연결된다.
제2정렬롤러(72)는 슬라이스 편(2)을 눌러 지지하면서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양측이 제2회전암(7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정렬롤러(72)는 손잡이가 필요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제1,2정렬롤러(42,72)는 육류의 두께를 감안하여 공급 컨베이어(20) 또는 이송롤러(55)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초기 상태로 셋팅되어도 무방하다.
입방체형 절단기(60)는 이송 롤러(55)에 의해 이송되는 슬라이스 편(2)을 저부서 지지하는 슬라이스 도마(61), 슬라이스 도마(61) 위에 공급된 슬라이스 편(2)을 입방체형으로 절단하는 절단날(62)로 구성된다.
슬라이스 도마(61)는 절단기 케이스(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절단날(62)은 회전축(63)과 스포크(64)로 이루어진 회전수단에 의해 양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스 도마(61) 위에 올려진 슬라이스 편(2)을 입방체형 육류(3)로 절단한다. 절단날(62)은 슬라이드 도마(61)로부터 튀어나온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입방체형 육류(3)를 절단하는 것이다.
절단날(62)은 일정 길이의 판형 구조이며 별도의 지지대없이 양측이 각각 후술하는 스포크(64)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한 쌍의 스포크(64)를 연결하는 지지대를 구성하여 이 지지대에 하나 이상이 체결구로 고정될 수도 있다.
회전축(63)은 슬라이스 도마(61)의 좌우 폭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양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포크(64)는 회전축(63)의 둘레부에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절단날(62)의 양측이 각각 체결구 등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한다.
도면에서처럼 절단날(62)은 2개가 구성되고 따라서 스포크(64)는 2셋트가 구성된다.
입방체형 절단기(60)에 의해 절단되는 입방체형 육류(3)의 길이는 슬라이스 편(2)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 절단날(6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방식 및 이 2가지 방식의 조합에 의한 방식에 의해 조절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동수단은 구동모터, 기어와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재이며 하나의 구동모터를 공유할 수 있고 각각의 구동모터를 전용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을 개별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전체를 조작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 등 다양한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육류의 가공시 걸림이 발생되는 경우 구동수단의 부하를 감지하는 방법 등에 의해 알람을 출력하고 기기를 강제가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육류(1)는 공급 컨베이어(2)를 따라 슬라이스 절단기(50)에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제1정렬기(40)는 제1정렬롤러(42)가 공급 컨베이어(20)쪽으로 눕혀져 있으며 육류(1)가 통과하면서 회전하게 되어 육류(1)의 상부를 눌러 지지한다.
제1정렬롤러(42)의 지지를 받는 육류(1)는 슬라이스 절단기(50)를 통과하며, 이때, 슬라이스 절단날(52)에 의해 일정 두께로 절단되어 슬라이스 편(2)이 가공된다.
슬라이스 편(2)은 이송 롤러(55)를 통해 슬라이드 도마(61)를 통과하며, 회전체인 입방체형 절단날(62)은 슬라이드 도마(61)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절단하고, 이 절단에 의해 가공된 입방체형 육류(3)는 배출 컨베이어(30)를 따라 배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유지보수 그 중에서도 구동수단과 관련된 부분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절단기 케이스(10)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기계실 커버(12)를 분리하여 기계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구동수단을 유지보수하며, 따라서, 유지보수가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하여 유지보수하고 특히나 잦은 유지보수가 발생되는 기계실만을 개방하고 절단실을 밀폐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오염을 막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육류를 입방체형으로 절단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육류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안에서 육류 이외의 식품(야채 등)을 종방향 및 횡방향에 의해 절단하는 것도 포함된다.
10 : 절단기 케이스, 11 : 구획벽
12 : 기계실 커버
20 : 공급 컨베이어, 30 : 배출 컨베이어
40 : 제1정렬기, 50 : 슬라이스 절단기
51 : 회전축, 52 : 슬라이스 절단날
53 : 육류 도마,
60 : 입방체형 절단기, 61 : 슬라이스 도마
62 : 절단날,

Claims (4)

  1. 절단실과 기계실이 구획되는 박스형의 절단기 케이스(10)와;
    상기 절단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무한궤도로 구동하면서 육류를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20)와;
    상기 공급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육류를 종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로 슬라이싱 절단하는 슬라이스 절단기(50)와;
    상기 슬라이스 절단기의 앞에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표면쪽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육류를 눌러 지지하는 제1정렬기(40)와;
    상기 슬라이스 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슬라이스 편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입방체형 육류를 가공하는 입방체형 절단기(60)와;
    구동수단에 의해 무한궤도로 구동하면서 상기 입방체형 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입방체형 육류를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3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절단기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51), 상기 회전축의 둘레부에 축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육류를 슬라이싱 절단하는 다수의 슬라이스 절단날(52), 상기 슬라이스 절단날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 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육류를 저부에서 지지하는 육류 도마(53)를 포함하며,
    상기 입방체형 절단기는, 상기 슬라이스 절단기에 의해 슬라이스 절단된 슬라이스 편을 지지하는 슬라이스 도마(61), 상기 슬라이스 도마의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63), 상기 회전축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스포크(64), 상기 스포크에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스 도마 위에 지지되는 슬라이스 편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1개 이상의 절단날(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절단기에 의해 슬라이스 절단된 슬라이스 편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슬라이스 편을 눌러 지지하는 제2정렬기(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 케이스는 구획벽(11)을 통해 절단실과 기계실로 구분되며, 상기 기계실은 상기 슬라이스 절단기와 입방체형 절단기의 구동수단 및 상기 공급 컨베이어와 배출 컨베이어의 구동수단이 각각 설치되면서 기계실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기와 제2정렬기는 각각 상기 육류의 공급 경로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2회전암(41,71), 양측이 상기 한 쌍의 제1,2회전암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육류 또는 슬라이스 편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육류 또는 슬라이스 편을 지지하는 제1,2정렬롤러(42,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KR1020140065454A 2014-05-29 2014-05-29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KR101759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454A KR101759986B1 (ko) 2014-05-29 2014-05-29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454A KR101759986B1 (ko) 2014-05-29 2014-05-29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496A true KR20150137496A (ko) 2015-12-09
KR101759986B1 KR101759986B1 (ko) 2017-07-31

Family

ID=5487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454A KR101759986B1 (ko) 2014-05-29 2014-05-29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8274A (zh) * 2020-12-21 2021-03-30 路建鹏 一种食品加工用家禽肉块自动化分解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173B1 (ko) 2018-01-16 2019-10-01 정의현 육류 절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407B1 (ko) 2001-04-27 2004-11-08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고기 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8274A (zh) * 2020-12-21 2021-03-30 路建鹏 一种食品加工用家禽肉块自动化分解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986B1 (ko) 201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1296C (en) Size-reduction machines, feed units therefor, and methods of use
US3972256A (en) Meat slicer
KR200477424Y1 (ko) 슬라이스 단무지 절단장치
KR20160041404A (ko) 육면체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하는 육절기
KR20170101676A (ko) 냉동육 고속 절단기
KR101759986B1 (ko)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KR101691175B1 (ko)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
CN103522328A (zh) 一种新型切菜机及其控制方法
KR101770166B1 (ko) 식육 고속 슬라이서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JP3597804B2 (ja) 食品細断装置
JP6308481B1 (ja) スライス装置およびこのスライス装置を用いたスライス方法
KR100726211B1 (ko) 냉장육 다이서
KR200491141Y1 (ko) 근채류 절단장치
CA1318574C (en) Dicing machine
KR100455407B1 (ko) 고기 절단장치
KR101739237B1 (ko) 물결무늬 감자스틱을 제조하기 위한 감자절단장치
JP6840401B2 (ja) 食材用切断機
CN203636872U (zh) 一种新型切菜机
JP5020266B2 (ja) フードスライサー
KR200322068Y1 (ko) 다이서의 절단칼 어셈블리
KR101861224B1 (ko) 육류 세절기
KR200250125Y1 (ko) 식품 세단기
US2807299A (en) Slicing machine
KR200322263Y1 (ko) 다이서의 냉동육 압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