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780B1 - 오징어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오징어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780B1
KR101731780B1 KR1020140036533A KR20140036533A KR101731780B1 KR 101731780 B1 KR101731780 B1 KR 101731780B1 KR 1020140036533 A KR1020140036533 A KR 1020140036533A KR 20140036533 A KR20140036533 A KR 20140036533A KR 101731780 B1 KR101731780 B1 KR 101731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rocessing
squid
processing machin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408A (ko
Inventor
허성아
Original Assignee
허성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성아 filed Critical 허성아
Priority to KR102014003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78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20Shredding; Cutting into cubes; Flak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징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가공롤러가 설치된 메인 가공기에는 한 쌍의 가공롤러가 각각 설치된 다수의 서브 가공기를 선택적으로 메인 가공기에 착,탈식으로 설치 구성하여 사용자는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하게 두께로 오징어를 가공하거나 그 가공된 오징어를 잘라 오징어 채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징어 가공 장치 { Squid processing equipment }
본 고안은 오징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가공롤러가 설치된 메인 가공기에 한 쌍의 가공롤러가 각각 설치된 다수의 서브 가공기를 선택적으로 연결 설치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오징어 가공 정도에 따라 서브 가공기의 설치 댓수를 가변시켜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되어 오징어 가공 상태가 변경될때마다 가공장치를 매번 새롭게 제조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해 오징어 가공업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징어 가공업자가 필요에 따라 서브 가공기의 설치 댓수를 편리하게 가변시켜 다양한 오징어 가공상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오징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 가공 장치란 반 건조된 오징어를 넓게 펴거나 펴진 오징어를 잘라 오징어 채로 가공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오징어 가공 장치는 선 등록된 실용 신안 제 332165 호에 의하면, 본체의 내부에는 구동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상,하부롤러와 제2 상,하부롤러를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 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본체의 상부면에는 컨베어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된 제1 상,하부롤러와 제2 상,하부롤러로 오징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된 제1 상,하부롤러는 컨베어를 통해 공급되는 오징어를 넓게 펴는 장치이며, 상기 제1 상,하부롤러로부터 이격되게 본체으 상부면에 설치된 제2 상,하부롤러는 넓게 펴진 오징어를 채 형태로 자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오징어 가공 장치의 문제점은 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된 제1 상,하부롤러를 이용하여 오징어를 펴기 때문에 소비자의 요구에 맞게 다양한 두께를 가진 오징어를 가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얇게 펴진 오징어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본체의 상부에 다수의 제1 상,하부롤러가 설치된 오징어 가공기를 다시 제작해야만 함으로써, 오징어 가공기의 제작 비용의 증가로 인해 펴진 오징어 또는 그 오징어를 자른 오징어 채의 비용이 증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두께의 오징어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본체의 상부에 소비자 요구에 맞게 오징어를 펼 수 있는 다수의 제1 상,하부롤러가 설치된 각각의 오징어 가공기를 제작해야만 함으로써, 상기 오징어 가공기의 제작으로 인해 빠른 시간에 가공된 오징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징어 가공기의 제작 비용이 증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게 오징어를 펼 수 있는 다수의 제1 상,하부롤러가 설치된 오징어 가공기를 각각 제작해야만 하기 때문에 오징어 가공기의 보관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각각의 오징어 가공기를 제작하고, 그 가공기를 이용하여 가공된 오징어 및 오징어 채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가공된 오징어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가공롤러가 설치된 메인 가공기에 한 쌍의 가공롤러가 각각 설치된 다수의 서브 가공기를 선택적으로 연결 설치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오징어 가공 정도에 따라 서브 가공기의 설치 댓수를 가변시켜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되어 오징어 가공 상태가 변경될때마다 가공장치를 매번 새롭게 제조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해 오징어 가공업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징어 가공업자가 필요에 따라 서브 가공기의 설치 댓수를 편리하게 가변시켜 다양한 오징어 가공상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오징어 가공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메인본체의 상부에 메인구동모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한 쌍의 오징어 가공용 제1 가공롤러가 수평 설치되고, 메인본체의 전,후단에는 오징어 이송용 제1 컨베어 및 제2 컨베어가 설치되며, 메인구동모터의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메인 가공기와;
서브본체의 상부에 서브구동모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한 쌍의 오징어 제2 가공롤러가 수평 설치되고, 서브본체의 후단에 오징어 이송용 제3 컨베어가 설치되며, 서브구동모터로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재공급부를 구비하며, 메인가공기의 후단에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가공기;로 구성하고,
메인 가공기의 전원공급부와 서브 가공기의 전원재공급부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메인 가공기와 서브 가공기가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가공롤러가 설치된 메인 가공기에 한 쌍의 가공롤러가 설치된 다수의 서브 가공기를 메인 가공기에 일렬로 배치할 수 있어 오징어 가공기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인 가공기에 서브 가공기를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두께로 오징어를 가공하거나 또는 절단하여 오징어 채를 생산할 수 있어 별도의 다양한 두께를 가공하기 위해 오징어 가공기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다양한 두께로 가공된 오징어 또는 오징어 채의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 가공기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와 서브 가공기에 구비된 전원재공급부를 케이브로 연결하여 메인 가공기와 서브 가공기를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여 메인 가공기와 서브 가공기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징어 가공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징어 가공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오징어 가공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오징어 가공 장치의 전,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오징어 가공 장치의 부분 확대 결합 도면.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오징어 가공 장치의 높이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메인 가공기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서브 가공기의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롤러부에 칼날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원 발명은,
메인본체(10)의 상부에 메인구동모터(20)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한 쌍의 오징어 가공용 제1 가공롤러(30)가 수평 설치되고, 메인본체(10)의 전,후단에는 오징어 이송용 제1 컨베어(40) 및 제2 컨베어(50)가 설치되며, 메인구동모터(20)의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 메인 가공기(1)와;
서브본체(210)의 상부에 서브구동모터(220)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한 쌍의 오징어 제2 가공롤러(230)가 수평 설치되고, 서브본체(210)의 후단에 오징어 이송용 제3 컨베어(240)가 설치되며, 서브구동모터(220)로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재공급부(201)를 구비하며, 메인가공기(1)의 후단에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가공기(200);로 구성하고,
메인 가공기(1)의 전원공급부(2)와 서브 가공기(200)의 전원재공급부(201)를 케이블(3)로 연결하여 메인 가공기(1)와 서브 가공기(200)가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징어를 가공하는 오징어 가공기를 메인 가공기(1)와 상기 메인 가공기(1)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서브 가공기(200)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메인 가공기(1)에 서브 가공기(200)를 착,탈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는 메인 가공기(1)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서브 가공기(200)를 이용하여 한 대의 오징어 가공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두께로 가공된 오징어 내지 오징어 채를 가공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메인 가공기(1)는 이동바퀴(16)가 구비된 메인본체(10)에는 도 1과 같이 전원 공급부(2)와 컨트롤러(4)가 설치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본체(10)의 내부에는 컨트롤러(4)의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스프라켓(21)이 구비된 메인구동모터(2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 구성된 메인본체(10)의 상부에는 끼움홈(12)이 구비된 한 쌍의 설치대(11)를 수직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설치대(11)의 사이로는 메인구동모터(20)이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가공롤러(30)가 설치 구성된다.
상기 제1 가공롤러(30)는 설치대(11)의 사이로 관통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회전축(32)(33)에 설치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가공롤러(30)는 도 3과 같이 다수의 제1 롤러부(3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회전축(32)의 일측에는 메인구동모터(20)의 구동스프라켓(21)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회전스프라켓(3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32)의 타측에는 연결스프라켓(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스프라켓(35)과 대응되게 제2 회전축(33)에는 연결스프라켓(35)을 형성하고, 그 연결스프라켓(35)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컨트롤러(4)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메인구동모터(20)의 동력을 제1 및 제2 회전축(32)(33)이 각각 전달받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1 가공롤러(30)가 설치대(11)의 사이로 설치된 메인본체(10)의 상부면 전단에는 컨트롤러(4)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면서 오징어를 제1 가공롤러(30)로 공급할 수 있는 제1 컨베어(40)가 설치 구성된다.
상기 메인본체(10)의 상부면 후단에는 제1 가공롤러(30)롤 통과한 오징어를 서브 가공기(2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끼움부(51)가 구비된 제2 컨베어(50)를 설치대(11)의 끼움홈(12)에 끼워지도록 설치 구성하여 상기 끼움부(51)를 중심으로 제2 컨베어(50)가 상,하로 회전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메인본체(10)의 상부면 전,후로는 제1 및 제2 컨베어(40)(5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홈(14)이 구비된 지지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컨베어(50)의 상부에는 도 1과 같이 이동 손잡이(52)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메인 가공기(1)의 후단으로 도 8과 같이 다수의 서브 가공기(200)가 설치 구성되는 데, 본원 발명에서는 도 8과 같이 6개의 제2 가공롤러(230a ~ 230f)가 구비된 서브 가공기(200a ~ 200f)가 메인 가공기(1)의 후면에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서브 가공기(200)는 도 1과 같이 메인 가공기(1)에 형성된 전원공급부(2)와 케이블(3)로 연결되는 전원재공급부(201)가 일면에 형성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이동바퀴(202)가 구비된 서브본체(210)를 형성한다.
상기 서브본체(210)의 내부에는 컨트롤러(4)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스프라켓(21)이 구비된 서브구동모터(220)를 형성한다.
상기 서브구동모터(220)가 설치된 서브본체(210)의 상면에는 끼움홈(12)이 구비된 한 쌍의 설치대(11)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대(11)의 사이로 서브구동모터(2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가공롤러(230)를 설치한다.
상기 제2 가공롤러(230)는 다수의 제2 롤러부(231)로 구성되는 데, 상기 제2 롤러부(231)는 도 2와 같이 설치대(11)의 사이로 수평 이격 되게 관통 설치되는 제1 및 제2 회전축(32)(33)에 의해 설치 구성된다.
상기 제1 회전축(32)의 일측에는 서브구동모터(220)의 구동스프라켓(21)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회전스프라켓(3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32)의 타측에는 연결스프라켓(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스프라켓(3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체인으로 연결되도록 연결스프라켓(35)을 제2 회전축(33)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컨트롤러(4)에 의해 구동되는 서브구동모터(2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가공롤러(23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 컨베어(50)를 통해 공급되는 오징어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2 가공롤러(230)가 상부면에 설치된 메인본체(200)의 상면 후단에는 끼움부(241)가 구비된 제3 컨베어(240)를 설치대(11)의 끼움홈(12)에 결합 구성하여 상기 제3 컨베어(240)가 끼움부(241)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설치대(11)의 내측에는 끼움부(51)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는 제2 컨베어(50) 및 제3 컨베어(24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돌기(15)가 도 5와 같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메인 가공기(1)와 서브 가공기(200)에는 고정부재(60)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고정부재(60)로 인해 메인 가공기(1)와 서브 가공기(200)의 설치를 임시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가공기(1)와 서브 가공기(2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부재(60)는 서브본체(210)의 양측 전단에는 제1 고정홈(72)이 구비된 고정대(71)를 힌지(73)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1 고정홈(72)이 내측에 끼워지도록 서브본체(210)의 양측 후단과 메인본체(10)의 양측 후단에 고정돌기(70)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60)를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10)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고정부재(60)에 의해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10)가 결합 시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10)의 후면에는 각각 제2 고정홈(74)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고정홈(74)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고정부(75)를 서브본체(210)의 전면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1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10)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가공롤러(30)와 제2 가공롤러(230)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80)를 도 3과 같이 설치대(11)에 설치 구성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80)는 제2 회전축(33)이 관통되는 설치대(11)에 이동홀(81)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홀(81)을 관통한 제2 회전축(33)을 축홀(91)이 구비된 이동 브라켓(90)에 베어링 결합하고, 그 이동 브라켓(90)을 설치대(11)의 외면에 각각 볼트로 결합 구성하는 데, 상기 이동 브라켓(90)의 하부에는 장홀(92)을 형성하여 제2 회전축(33)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2 회전축(33)이 결합 된 이동 브라켓(9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 되게 설치대(11)의 외면에는 'ㄷ'자 모양의 고정 브라켓(100)을 볼트로 고정 결합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내측에는 도 6과 같이 제1 및 제2 나사산(102)(103)이 내,외측에 구비된 도넛 형상의 회전체(101)를 회전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하단은 상기 이동 브라켓(91)의 상단에 베어링 결합 되어 상기 회전체(101)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하로 회전 이동되면서 이동 브라켓(91)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나사산(103)에 치합 되는 이동 스크류(104)를 회전체(101)와 고정 브라켓(100)에 관통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 스크루(104)가 결합 구성된 회전체(101)의 제1 나사산(102)에 치합 되는 조절 스크류(106)를 도 2와 같이 설치대(11)에 관통되게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조절 스크류(106)의 양단에는 사용자가 회전시켜 한 쌍의 제1 및 제2 가공롤러(30)(23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회전 손잡이(105)가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 회전축(33)에 회전 손잡이(105)에 제1 및 제2 가공롤러(30)(23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재(80)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재(80)로 인해 제1 및 제2 가공롤러(30)(230)의 간격을 조절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두께로 오징어를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같이 제1 가공롤러(30)가 설치된 메인 가공기(1)의 후면에 도 2와 같이 제2 가공롤러(230)가 설치된 서브 가공기(200)를 도 8과 같이 고정부재(60)를 이용하여 일렬로 배치한다.
이때, 상기 메인 가공기(1)에 설치된 제2 컨베어(50)와 서브 가공기(200)에 설치된 제3 컨베어(240)는 회전 손잡이(105)를 손으로 잡고 상부로 이동시켜 도 5와 같이 제2 기공롤러(230)에 근접되게 설치한다.
상기 고정부재(60)를 이용하여 다수의 서브 가공기(200a ~ 200f)의 설치한 상태에서 메인 가공기(1)에 형성된 전원공급부(2)와 서브 가공기(200)에 형성된 전원재공급부(201)를 도 2와 같이 케이블(3)로 연결하여 컨트롤러(4)의 제어 신호에 의해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된 메인구동모터(20)와 서브구동모터(220)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10)의 회전과 동시에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10)에 설치된 제1 및 제2 컨베어(40)(50)와 제3 컨베어(240)도 동시에 작동됨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구동모터(20)와 서브구동모터(22)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및 제2 가공롤러(30)(230)가 회전되면서 컨베어(40)(50)(240)로 통해 공급되는 오징어를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서브 가공기(200)에 설치 구성되는 제2 가공롤러(230a ~ 230f)는 높이조절부재(80)의 작동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면서 오징어를 펴거나 펴진 오징어를 자를 수 있는 것이다.
즉, 메인 가공기(1)에 설치되는 제1 롤러부(31)로부터 서브 가공기(230a ~ 23f)에 설치되는 제2 롤러부(230a ~ 230f)의 간격을 점차적으로 좁게 설치 구성함으로써, 제1 컨베어(40)로 통해 공급되는 오징어는 서브 가공기(230f)를 통과 시 얇게 펴진 상태로 제3 컨베어(2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 가공기(1)와 서브 가공기(200)를 걸쳐 통과되는 오징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로 가공되거나 그 가공된 오징어를 잘라 오징어 채로 생산하기 때문에 한 대의 오징어 가공기를 통해 두께가 얇은 오징어 또는 오징어 채를 생산하거나 두께가 두꺼운 거친 오징어 내지 오징어 채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인 가공기(1)에 설치되는 서브 가공기(200)를 이용하여 증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서브 가공기(200f)에 설치되는 제2 롤러부(231f)의 외주면에는 도 9와 같이 칼날(250)를 형성하여 상기 메인 가공기(1)와 서브 가공기(200a ~ 200e)를 통과하여 얇게 펴진 오징어에 칼집을 형성하거나 또는 얇게 펴진 오징어를 자라 오징어 채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 가공기(1)에 서브 가공기(200a ~ 200f)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는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두께의 오징어를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인 가공기(1)에 설치 되는 다수의 서브 가공기(200)로 인해 다양한 두께로 가공된 오징어 또는 오징어 채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과 같이 얇은 두께를 가진 오징어 가공기 내지 두꺼운 두께를 가진 오징어 가공기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오징어 가공기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가공된 오징어 또는 오징어 채의 생산 단가를 낮춰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메인 가공기(1)에 형성된 전원공급부(2)와 서브 가공기(200)에 형성된 전원재공급부(201)를 케이블(3)로 연결하여 컨트롤러(4)의 제어 신호에 의해 메인 가공기(1)와 서브 가공기(200)를 통제할 수 있어 사용자는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메인 가공기, 2: 전원공급부,
3: 케이블, 4: 컨트롤러,
10: 메인본체, 11: 설치대,
12: 끼움홈, 13: 지지대,
14: 지지홈, 15: 지지돌기,
16, 202: 이동바퀴, 30: 제1 가공롤러,
31: 제1 롤러부, 32: 제1 회전축,
33: 제2 회전축, 34: 회전스프라켓,
35: 연결스프라켓, 40: 제1 컨베어,
50: 제2 컨베어, 51, 241: 끼움부,
52: 이동 손잡이, 60: 고정부재,
70: 고정돌기, 71: 고정대,
72: 제1 고정홈, 73: 힌지,
74: 제2 고정홈, 75: 고정부,
80: 높이조절부재, 81: 이동홀,
90: 이동 브라켓, 91: 축홀,
92: 장홀, 100: 고정 브라켓,
101: 회전체, 102: 제1 나사산,
103: 제2 나사산, 104: 이동스크류,
105: 회전손잡이, 106: 조절스크류,
200: 서브 가공기, 201: 전원재공급부,
210: 서브본체, 220: 서브구동모터,
230: 제2 가공롤러, 231: 제2 롤러부,
240: 제3 컨베어, 250: 칼날,

Claims (4)

  1. 메인본체(10)의 상부에 메인구동모터(20)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한 쌍의 오징어 가공용 제1 가공롤러(30)가 수평 설치되고, 메인본체(10)의 전,후단에는 오징어 이송용 제1 컨베어(40) 및 제2 컨베어(50)가 설치되며, 메인구동모터(20)의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 메인 가공기(1)와;
    서브본체(210)의 상부에 서브구동모터(220)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한 쌍의 오징어 제2 가공롤러(230)가 수평 설치되고, 서브본체(210)의 후단에 오징어 이송용 제3 컨베어(240)가 설치되며, 서브구동모터(220)로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재공급부(201)를 구비하며, 메인가공기(1)의 후단에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 가공기(200);로 구성하고,
    메인 가공기(1)의 전원공급부(2)와 서브 가공기(200)의 전원재공급부(201)를 케이블(3)로 연결하여 메인 가공기(1)와 서브 가공기(200)가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가공 장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서브본체(210)의 전방 양측에는 전방에 위치한 본체(10)(210)에 결속되기 위한 고정대(71)를 회전작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가공 장치.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1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본체(10)의 양측 후단에 고정돌기(70)를 돌출 형성하고,
    고정돌기(70)에 끼워지는 제1 고정홈(72)이 구비된 고정대(71)를 서브본체(210)의 양측 전단에 힌지(73)로 결합 구성하여 메인 가공기(1)와 서브 가공기(200)를 고정 결합하되,
    메인 가공기(1)와 서브 가공기(200)가 결합 되기 전에 임시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메인 본체(10)의 후면에 제2 고정홈(74)을 형성하고,
    제2 고정홈(74)의 내측에 끼워져 결합 되는 고정부(75)를 상기 서브본체(210)의 전면에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가공 장치.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메인 가공기(1)에는 제1 롤러부(31)가 제1 회전축(32)과 제2 회전축(33)에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진 제1 가공롤러(30)를 형성하고,
    서브 가공기(200)에는 제2 롤러부(231)가 제1 회전축(32)과 제2 회전축(33)에 각각 결합하여 이루어진 제2 가공롤러(230)를 형성하며,
    제1 가공롤러(30)와 제2 가공롤러(230)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80)를 메인 가공기(1)와 서브 가공기(200)에 각각 설치 구성하되,
    상기 높이조절부재(80)는,
    제2 회전축(33)이 관통되는 설치대(11)에 각각 상,하로 형성되는 이동홀(81)과;
    이동홀(81)에 관통된 제2 회전축(33)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장홀(92)이 하부에 구비되며, 그 장홀(92)에 볼트를 관통시켜 설치대(11)의 외면에 결합 되는 이동 브라켓(90)과;
    이동 브라켓(9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 되게 설치대(11)의 외면에 각각 결합 되는 'ㄷ'자 모양의 고정 브라켓(100)과;
    제1 및 제2 나사산(102)(103)이 내,외측에 구비된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체(101)와;
    하단은 이동 브라켓(91)의 상단에 결합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101)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하로 회전 이동되면서 이동 브라켓(91)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101)에 관통 결합 되는 이동 스크류(104)와;
    양측단에는 손잡이(105)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101)의 제1 나사산(102)에 결합 되어 손잡이(105)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체(101)를 회전시켜 제2 회전축(33)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대(11)에 관통되게 결합 되는 조절 스크류(10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가공 장치.
KR1020140036533A 2014-03-28 2014-03-28 오징어 가공 장치 KR101731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533A KR101731780B1 (ko) 2014-03-28 2014-03-28 오징어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533A KR101731780B1 (ko) 2014-03-28 2014-03-28 오징어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408A KR20150112408A (ko) 2015-10-07
KR101731780B1 true KR101731780B1 (ko) 2017-05-02

Family

ID=5434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533A KR101731780B1 (ko) 2014-03-28 2014-03-28 오징어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33Y1 (ko) * 2017-03-24 2018-03-14 서항교 오징어 확장 가공장치
CN114698799B (zh) * 2022-03-15 2024-01-19 福州宏东食品有限公司 一种即食风味鱿鱼干制作工艺及其制造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150Y1 (ko) 2001-11-15 2002-03-09 하나테크(주) 오징어 확장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150Y1 (ko) 2001-11-15 2002-03-09 하나테크(주) 오징어 확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408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7314B2 (en) Apparatus for cutting products
JP5107478B1 (ja) 野菜カッティング装置
KR101731780B1 (ko) 오징어 가공 장치
EP1844926A2 (en) Logo embossing assembly for products such as tissues, napkins and the like
US9694982B2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substantially non-rigid shaped bodies
CN107950184A (zh) 一种剑麻收割机
CN202763889U (zh) 橡胶带切割机的可调式切刀装置
CN106945185B (zh) 间距可调节的切割机
CN104786264B (zh) 全自动变频切花机
CN101873802A (zh) 碾压用于意大利面食的软面团的设备
KR101901334B1 (ko) 제과용 절단장치
KR102220737B1 (ko) 파이프 샌딩기
CN213616922U (zh) 一种馍片胚体的快速切片装置
CN210610827U (zh) 揉面机
CN210336175U (zh) 一种方便调节切割尺寸的云母分切机
CN206856376U (zh) 一种花环工艺品成型机
JP4145772B2 (ja) 食品成形装置
CN206413745U (zh) 一种滤嘴切割装置
CN214393129U (zh) 一种电器产品制造用组装装置
CN219381801U (zh) 一种新型环保材质pp编制袋加工用拉丝机剪切机构
CN105410972B (zh) 粉皮、凉皮生产设备
CN205685394U (zh) 红薯粉丝成型装置
JP3002409B2 (ja) 棒状野菜切削装置
CN105252813B (zh) 能够实现快速换刀的制袋机用分切架
CN216765234U (zh) 裁片车缝防扭压靴组件以及车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