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2544A -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12544A KR20070112544A KR1020060045571A KR20060045571A KR20070112544A KR 20070112544 A KR20070112544 A KR 20070112544A KR 1020060045571 A KR1020060045571 A KR 1020060045571A KR 20060045571 A KR20060045571 A KR 20060045571A KR 20070112544 A KR20070112544 A KR 200701125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ife
- meat
- conveyor
- unit
- base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Producing portions of meat with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e.g. weight or particular dim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고기의 갈비살 양면에 칼집을 성형하기 위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규격으로 세절된 단위 육고기를 컨베이어에 공급하여 이송하면서, 컨베이어의 상방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1 환형 나이프에 의해 육고기 상면에 일방향으로 칼집을 성형한 다음, 가이드부재에 의해 육고기의 이송자세를 강제적으로 회동시켜 자세변환된 상태로 이송하여 컨베이어의 하방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2 환형 나이프에 의해 육고기 저면에 다른 방향의 칼집을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다이아몬드형이나 체크무늬와 같이 형성된 칼집을 통하여 양념장이 보다 고루 스며들게 할 수 있는 칼집 성형을 자동화된 공정에 의해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육고기 칼집, 육고기 칼집, 갈비살 칼집, 육고기(육고기) 가공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의 개략적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의 개략적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베이스 프레임 111, 112...지지프레임
120...컨베이어 130...제1 나이프 유닛
131...나이프 모듈 131a...하우징
131b...회전축 131c...환형 나이프
131d...나이프 커버 131f...커버부재
132...브라켓 140...제2 나이프 유닛
141...나이프 모듈 141a...회전축
141b...구동기어 141c...환형 나이프
141d...나이프 커버 142...롤러 모듈
142a...하우징 142c...가이드 롤러
142d...구동기어 142e...커버부재
150...가이드수단 151...브릿지 프레임
152...가이드부재 M...구동 유닛
P1, P2, P3...풀리 B...벨트
본 발명은 육고기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된 공정에 의해 소고기나 돼지고기의 갈비살과 같이 세절된 단위 육고기의 양면에 칼집을 성형하기 위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고기의 갈비살은 통상 3 내지 10mm의 두께로 세절하여 양면에 다수의 칼집을 성형한 상태로 양념장에 절여 놓음으로써, 육고기에 양념장이 고루 스며들게 하여 요리맛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육고기에 칼집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음식점 등에서는 식칼을 이용하여 세절된 육고기 하나하나에 일일이 칼집을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식칼을 이용하여 육고기에 칼집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육체적인 노동의 어려움은 물론, 특히 다량의 육고기를 취급하기가 어려워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육고기 칼집 성형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화된 공정에 의해 효율적으로 육고기 양면에 서로 다른 방향의 칼집을 성형하기 위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무한궤도상으로 주행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육고기의 상면에 칼집을 성형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상방에 마련되는 제1 나이프 유닛과; 상기 컨베이어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육고기의 저면에 칼집을 성형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하방에 마련되는 제2 나이프 유닛; 및 상기 제1 나이프 유닛과 제2 나이프 유닛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컨베이어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육고기를 구속하여 이송자세를 변환시켜 주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에 따르면, 상기 제1 나이프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상 태로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도록 외주상에 구비된 환형 나이프와; 상기 환형 나이프의 선단부를 하향되게 노출시켜 은폐하도록 구비된 빗살형 나이프 커버;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켜 주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나이프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도록 외주상에 구비된 환형 나이프와; 상기 환형 나이프의 선단부를 상향되게 노출시켜 은폐하도록 구비된 빗살형 나이프 커버와; 상기 환형 나이프의 상방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 및 상기 회전축과 가이드 롤러를 연동하여 회전 구동시켜 주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을 횡단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브릿지형태로 설치된 브릿지 프레임과, 상기 브릿지 프레임에 고정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자유단이 컨베이어의 상면에 대해 일정 높이 부상된 상태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컨베이어상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육고기의 일측을 구속하여 타측이 회전된 상태로 자세를 변환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재는 예컨대, 시멘트 바닥 마감시에 이용되는 흙손 또는 부엌칼과 같이 자유단의 선단부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 구조를 가지는 플레이트부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된 복수의 풀리(P2)(P3)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을 연결하도록 폐곡선 형태로 설치된 벨트와; 상기 제1 및 제 2 나이프 유닛을 각각 상기 풀리에 연결하도록 구비된 기어부재;를 포함하여 공용의 구동부로서 장치의 엔진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들이 탑재 지지되도록 장치 전체의 골격 유지를 위해 박스형태로 제작된 베이스 프레임(11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컨베이어(120)와 제1 나이프 유닛(130) 및 제2 나이프 유닛(140),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120)에 탑재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육고기를 간섭하여 이송자세를 강제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가이드수단(150)이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120)는 예컨대, 벨트컨베이어 등과 같이 평판형의 이송컨베이가 구동 유닛(M)에 의해 무한궤도상의 주행운동이 가능하도록 지면에 대해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상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나이프 유닛(13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1쌍의 패널형 지지프레임(1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나이프 모듈(131)과 그 지지를 위한 브라켓(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쌍의 패널형 지지프레임(111)은 컨베이어(120)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측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나이프 유닛(130)의 브라켓(132)은 나이프 모듈(131)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1쌍의 패널형 지지프레임(111)에 각각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132)의 착탈수단은 예컨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쌍의 패널형 지지프레임(111)의 양측단에 각각 마련된 가이드레일(G)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스크류 등과 같은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착탈 구성을 가지도록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수단을 이용한 변형된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나이프 모듈(131)은 도 4에 분해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32)에 결합되는 하우징(131a)과, 그 하우징(131a)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축(131b)과, 그 회전축(131b)의 외주상에 연동 가능한 상태로 마련되는 환형 나이프(131c)와, 환형 나이프(131c)의 선단부만을 하향되게 노출시킨 상태로 은폐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반원통형의 빗살(comb)형 나이프 커버(131d)와, 구동 유닛(M)에 연결되도록 상기 회전축(131b)의 끝단에 설치된 구동기어(131e) 및 모듈 전체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131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나이프 커버(131d)에는 다수의 슬릿홀이 형성되어 있고, 그 슬릿홀을 통해 환형 나이프(131c)의 선단이 노출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나이프 모듈(131)은 컨베이어(120)의 상면에 대해 소정 높이 이격되어 부상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축(131b)의 회전운동에 따라 환형 나이프(131c)의 선단부가 컨베이어(120)상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육고기의 상면에 칼질을 하여 칼집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120)상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육고기의 두께에 따라 형성되는 칼집 자국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120)의 상면에 대해 나이프 모듈(131)의 부상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패널형 지지프레임(111)에 제1 나이프 유닛(130)의 브라켓(132)을 착탈 결합하는 과정에서, 볼트/너트 또는 스토퍼핀 등과 같은 공지된 위치결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결합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1 나이프 모듈(131)의 하우징(131a)과 브라켓(132)의 상대적인 결합위치를 공지된 위치결정수단들(미도시)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120)의 상면에 대해 환형 나이프(131c)의 부상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 나이프 유닛(140)은 제1 나이프 유닛(130)의 하류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1쌍의 패널형 지지프레임(1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나이프 모듈(141)과 롤러 모듈(142) 및 그들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쌍의 패널형 지지프레임(112)은 컨베이어(120)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양측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나이프 유닛(140)의 브라켓(143)은 나이프 모듈(141)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1쌍의 패널형 지지프레임(112)에 각각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143)의 착탈수단은 예컨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쌍의 패널형 지지프레임(112)의 양측단에 각각 마련된 가이드레일(G)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스크류 등과 같은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착탈 구성을 가지도록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수단을 이용한 변형된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나이프 모듈(141)은 도 4에 분해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43)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축(141a)과, 그 회전축(141a)의 외주상에 연동 가능한 상태로 마련되는 환형 나이프(141c)와, 환형 나이프(141c)의 선단부만을 상향되게 노출시킨 상태로 은폐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반원통형의 빗살(comb)형 나이프 커버(141d)와, 구동 유닛(M)에 연결되도록 상기 회전축(141b)의 끝단에 설치된 구동기어(141b) 및 연결기어(g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 모듈(142)은 상기 브라켓(143d)에 설치되는 하우징(142a)과, 상기 나이프 커버(141d)와 소정의 틈새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42a)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142b)와, 구동 유닛(M)에 연결되도록 상기 가이드 롤러(142b)의 회전축단에 설치된 구동기어(142d) 및 모 듈 전체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142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나이프 커버(141d)와 상기 가이드 롤러(142b)는 컨베이어(120)의 이송면을 중심으로 각각 하부와 상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142b)는 환형 나이프(141c)가 육고기의 저면을 칼질히여 성형할 때, 부상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육고기의 상면을 가압한 상태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즉, 상기 제2 나이프 유닛(140)의 나이프 모듈(141)과 롤러 모듈(142)은 컨베이어(120)의 하류측 끝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나이프 커버(141d)의 슬릿홀을 통해 노출된 환형 나이프(141c)의 선단부는 컨베이어(120)의 상면에 대해 소정 높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컨베이어(120)에 탑재된 상태로 이송되는 단위 육고기는 나이프 커버(141d)와 가이드 롤러(142b)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 간격을 지나게 되며, 이때 가이드 롤러(142b)에 의해 상방이 구속된 상태로 이송되는 육고기의 저면을 환형 나이프(141c)가 회전하면서 칼질을 하여 칼집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120)상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육고기의 두께에 따라 형성되는 칼집 자국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120)의 상면에 대해 제2 나이프 유닛(140)의 나이프 모듈(141)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패널형 지지프레임(112)에 제2 나이프 유닛(140)의 브라켓(143)을 착탈 결합하는 과정에서, 볼트/너트 또는 스토퍼핀 등과 같은 공지된 위 치결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결합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2 나이프 모듈(141)의 하우징(142a)과 브라켓(143)의 상대적인 결합위치를 공지된 위치결정수단들(미도시)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120)의 상면에 대해 환형 나이프(141c)의 선단부 돌출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수단(150)은 컨베이어(120)의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에 브릿지 형태로 설치된 브릿지 프레임(151)과, 그 브릿지 프레임(151)에 고정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자유단이 컨베이어(120)의 상면에 대해 일정 높이 부상된 상태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5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52)는 예컨대, 시멘트 바닥 마감시에 이용되는 흙손 또는 부엌칼과 같이 자유단의 선단부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 구조를 가지는 플레이트부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형상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152)는 컨베이어(120)상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육고기의 일측을 구속하여 회전된 상태로 이송자세를 변환시켜 주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예를 들어, 일정한 텐션을 가지는 판상체나 핀부재 등의 자유단이 컨베이어(120)를 따라 이송되는 육고기의 일측을 구속하도록 함으로써, 구속되지 않은 육고기의 타측이 컨베이어(120)의 주행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전체적으로는 회동하게 되어 결국 이송자세가 변환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가이드부재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 유닛(M)은 구동모터(M1)의 풀리(P1)와 컨베이어 구동용 풀리(P2)(P3)를 연결하도록 폐곡선 형태로 설치된 벨트(B)를 포함한다.
상기 풀리 P2는 제1 나이프 모듈(131)의 구동기어(131e)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풀리 P3는 제2 나이프 모듈(141)의 구동기어(141b)와 연결기어(g1) 및 롤러 모듈(142)의 구동기어(142d)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공용의 구동부로서 장치의 엔진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유닛(M)에 의해 컨베이어(120)의 주행운동과 제1 나이프 유닛(130)의 환형 나이프(131c) 및 제2 나이프 유닛(140)의 환형 나이프(141C)와 가이드 롤러(142C)가 연동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의 동작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육고기 칼집 성형 장치(100)의 오퍼레이팅 동작에 의해 구동 유닛(M)이 구동됨에 따라 컨베이어(120)의 주행과 제 1 및 제 2 나이프 유닛(130)(140)의 나이프 모듈(131)(141)을 이루고 있는 환형 나이프(131c)(141c)가 연동하여 공회전하는 상태로 초기화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의 초기화 동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와 너비를 가지도록 대략 편평한 상태로 세절된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단위 육고기(1)를 컨베이어(120)상에 탑재하여 공급한다. 이와 같이 공급된 단위 육고기(1)는 컨베이어(120)의 주행속도에 따라 이송되면서 제1 나이프 유닛(13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나이프 커버(131d)의 슬릿홀을 통해 하향되게 노출되도록 회전 구동하는 환형 나이프(131c)의 선단부가 단위 육고기(1)의 상면을 파고들어 칼집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상면에 칼집 형성이 완료된 단위 육고기(1)는 컨베이어(120)의 주행속도에 따라 계속 이송되면서 상기 가이드수단(150)의 가이드부재(152)에 이르러 일측이 막혀 구속된다. 이에 따라 단위 육고기(1)는 가이드부재(152)에 의해 구속된 부위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에, 구속되지 않은 부위는 컨베이어(120)의 주행운동으로 인해 이송이 진행된다. 이로써, 결국 단위 육고기(1)는 전체적으로는 회동하는 상태가 되어 가이드 부재(152)의 구속상태를 벗어나는 순간에 탑재된 자세가 소정 각도 회전되어 변환된 자세로 이송되면서 제2 커터 유닛(14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나이프 커버(141d)에 의해 선단부가 상향되게 노출된 상태로 회전하는 환형 나이프(141c)와 가이드 롤러(142c)의 사이를 단위 육고기(1)가 지나면서 저면에 칼집이 형성된다.
따라서, 단위 육고기(1)가 이송과정에서 가이드부재(152)에 의해 회동하여 이송자세가 변환됨에 따라 상면에 형성된 칼집과 다른 방향의 칼집이 저면에 형성된다. 이때, 단위 육고기(1)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된 칼집을 투시적으로 관찰하면 예컨대, 다이아몬드형이나 체크무늬와 같은 칼집이 형성되므로, 양념장이 고루 스며들게 할 수 있는 칼집 형성을 보다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에 따르면, 자동화된 공정에 의해 육고기의 양면에 정형화된 칼집을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성형 할 수 있으며, 특히 육고기의 이송과정에서 자세 변환이 가능하여 상면과 저면에 서로 다른 방향의 칼집을 형성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양념장이 보다 고루 스며들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6)
- 베이스 프레임과;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무한궤도상으로 주행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컨베이어와;상기 컨베이어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육고기의 상면에 칼집을 성형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상방에 마련되는 제1 나이프 유닛과;상기 컨베이어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육고기의 저면에 칼집을 성형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하방에 마련되는 제2 나이프 유닛; 및상기 제1 나이프 유닛과 제2 나이프 유닛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컨베이어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육고기를 구속하여 이송자세를 변환시켜 주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이프 유닛은,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상기 지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브라켓과;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상기 회전축과 연동하도록 외주상에 구비된 환형 나이프와;상기 환형 나이프의 선단부를 하향되게 노출시켜 은폐하도록 구비된 빗살형 나이프 커버; 및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켜 주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이프 유닛은,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상기 지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브라켓과;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상기 회전축과 연동하도록 외주상에 구비된 환형 나이프와;상기 환형 나이프의 선단부를 상향되게 노출시켜 은폐하도록 구비된 빗살형 나이프 커버와;상기 환형 나이프의 상방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 및상기 회전축과 가이드 롤러를 연동하여 회전 구동시켜 주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을 횡단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브릿지형태로 설치된 브릿지 프레임과, 상기 브릿지 프레임에 고정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자유단이 컨베이어의 상면에 대해 일정 높이 부상된 상태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컨베이어상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육고기의 일측을 구속하여 타측이 회전된 상태로 자세를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부재는 자유단의 선단부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 구조를 가지는 플레이트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 유닛은,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와;상기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된 복수의 풀리(P2)(P3)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을 연결하도록 폐곡선 형태로 설치된 벨트와;상기 제1 및 제 2 나이프 유닛을 각각 상기 풀리에 연결하도록 구비된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5571A KR20070112544A (ko) | 2006-05-22 | 2006-05-22 |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5571A KR20070112544A (ko) | 2006-05-22 | 2006-05-22 |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2544A true KR20070112544A (ko) | 2007-11-27 |
Family
ID=3909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5571A KR20070112544A (ko) | 2006-05-22 | 2006-05-22 |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112544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72121A (ko) * | 2013-12-19 | 2015-06-29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
KR20150109980A (ko) * | 2014-03-21 | 2015-10-02 | 김흥대 | 칼집형성장치 |
KR20180000140U (ko) | 2016-07-04 | 2018-01-12 | 기관호 | 높이 조절형 칼집성형기 |
KR20190062133A (ko) * | 2018-06-14 | 2019-06-05 | 조은호 | 육류의 칼집형성용 기구 |
-
2006
- 2006-05-22 KR KR1020060045571A patent/KR20070112544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72121A (ko) * | 2013-12-19 | 2015-06-29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인제주 | 비대칭연동형 텐더라이저 칼날 어셈블리장치 |
KR20150109980A (ko) * | 2014-03-21 | 2015-10-02 | 김흥대 | 칼집형성장치 |
KR20180000140U (ko) | 2016-07-04 | 2018-01-12 | 기관호 | 높이 조절형 칼집성형기 |
KR20190062133A (ko) * | 2018-06-14 | 2019-06-05 | 조은호 | 육류의 칼집형성용 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3065786A3 (en) | Conveyor system for slicer apparatus | |
US7025196B2 (en) | Friction drive conveyor | |
CN202184085U (zh) | 自动鱿鱼切花机 | |
KR101713376B1 (ko) | 육면체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하는 육절기 | |
CN205766324U (zh) | 一种可调节式切片机 | |
KR20070112544A (ko) |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 |
KR100781078B1 (ko) | 육류 칼집 자동 세절기 | |
KR200477457Y1 (ko) | 야채절단기용 회전테이블 | |
ATE426485T1 (de) | Schleif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r oberflache | |
KR100984543B1 (ko) | 식육 슬라이서 | |
KR101088900B1 (ko) | 육절기 | |
ATE294677T1 (de) | Vorrichtung zum aufschneiden von lebensmittelprodukten | |
KR101076727B1 (ko) | 회전식 맛김치 절단장치 | |
KR20100066257A (ko) | 떡 절단장치 | |
JP2007014301A (ja) | 海老の切り込み装置 | |
KR20190073083A (ko) |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제조방법 | |
CN209812536U (zh) | 板材圆弧锯痕机 | |
JP3334751B2 (ja) | フードスライサー | |
KR20070115226A (ko) | 육고기 양면칼집 성형기용 육고기 이송자세 변환장치 | |
KR20100035514A (ko) | 식재료 절단 장치 | |
KR20130025076A (ko) | 건축 내,외장식재용 석재 절단장치 | |
JP2005193314A5 (ko) | ||
KR101712882B1 (ko) | 야채 세절기 | |
KR20090037531A (ko) | 양파 탈피기 | |
JP4145772B2 (ja) | 食品成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