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514A - 식재료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식재료 절단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514A
KR20100035514A KR1020080094940A KR20080094940A KR20100035514A KR 20100035514 A KR20100035514 A KR 20100035514A KR 1020080094940 A KR1020080094940 A KR 1020080094940A KR 20080094940 A KR20080094940 A KR 20080094940A KR 20100035514 A KR20100035514 A KR 20100035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food
cutting
cutting device
foo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혁
Original Assignee
(주)김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김치라인 filed Critical (주)김치라인
Priority to KR102008009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5514A/ko
Publication of KR2010003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료를 절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식재료를 이송하는 제1 벨트컨베이어,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식재료를 전달받는 제2 벨트컨베이어,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제2 벨트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식재료가 통과하는 가로대, 그리고 상기 가로대와 중첩하고 있으며, 상기 가로대 위에 놓이는 상기 식재료를 절단하는 절단부재를 포함한다.
식재료 절단 장치는 절단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식재료를 정확하게 절단하여 식재료의 절단 모양을 균일하게 하고, 절단면을 깨끗하게 절단하며, 절단칼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의 손상이 없다.
식재료, 절단, 김치, 배추, 칼, 원형칼, 컨베이어, 벨트, 롤러, 가로대, 모터, 체인

Description

식재료 절단 장치{CUTTING DEVICE FOR FOOD}
본 발명은 식재료를 절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김치 제조용 배추를 절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식재료를 절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김치를 제조하는 경우 김치의 원료인 배추 또는 무 등을 절단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각종 식재료들을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절단하는 경우 조리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조리 시간도 지체된다. 특히, 비숙련자의 경우 각종 식재료들을 절단하는 것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며, 절단된 식재료의 크기와 모양이 균일하지 않아 상품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 가정의 경우에는 많은 량의 음식물을 한꺼번에 조리하는 것이 아니므로 수작업도 가능하겠지만, 대형 음식점이나 음식 제조 공장과 같이 대량의 음식을 신속하게 조리하여야 하는 경우 식재료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절단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 각종 식재료를 기계적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들이 고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절단기들은 절단 구조가 복잡하고 매우 고가이며, 크기가 매우 커서 많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고,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그 보급이 일반화되지 못하고, 특정 업체에서만 제한적으로 구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절단기들은 일체로 형성된 벨트컨베이어의 상부에서 식재료들을 절단함으로써 절단칼에 의하여 벨트컨베이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식재료를 정확하게 절단하여 식재료의 절단 모양을 균일하게 하고, 절단면이 깨끗하게 절단하며, 절단칼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의 손상이 없는 식재료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절단 장치는 식재료를 이송하는 제1 벨트컨베이어,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식재료를 전달받는 제2 벨트컨베이어,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제2 벨트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식재료가 통과하는 가로대, 그리고 상기 가로대와 중첩하고 있으며, 상기 가로대 위에 놓이는 상기 식재료를 절단하는 절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대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는 제1 벨트와 상기 제1 벨트가 감겨있는 제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벨트컨베이어는 제2 벨트와 상기 제2 벨트가 감겨있는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 벨트, 기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가로대 위에 배치되어 있고, 내측에 회전 가능한 축이 형성되어 있는 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재는 상기 축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재료 절단 장치는 절단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식재료를 정확하게 절단하여 식재료의 절단 모양을 균일하게 하고, 절단면이 깨끗하게 절단하며, 절단칼에 의한 벨트컨베이어의 손상이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식재료’란 배추, 무, 열무, 상추, 파 등의 농산물, 미역, 파래, 톳 등의 수산물 및 쇠고기, 돼지고기 등의 축산물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식재료 절단 장치에 의하여 절단될 수 있는 모든 식재료를 의미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절단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절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재료 절단 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식재료 절단 장치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식재료 절단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식재료 절단 장치의 절단부를 눕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식재료 절단 장치의 요부를 발췌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식재료 절단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전방 벨트컨베이어(120), 후방 벨트컨베이어(130), 절단부재(151), 그리고 가로대(140)를 포함한다.
식재료 절단 장치(100)의 상기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프레임(110)에 모두 설치될 수 있고, 분획된 각각의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레임(110)은 지면에 대해서 식재료 절단 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식재료 절단 장치(100)의 상기 구성 요소들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종 브라켓, 블록, 바아, 플레이트, 커버, 칼라 등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프레임(110)에 장착하기 위한 부속 요소들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들 부속 요소를 프레임(110)으로 통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는 통상의 벨트컨베이어로서 두 개의 롤러 사이에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걸어 돌리면서 그 위에 물건을 올려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에 이용되는 컨베이어로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물건을 이송시키는 어떠한 구조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상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의 외주면에는 식재료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하여 소정 형태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는 일정한 사이 간격을 두고 앞뒤로 길게 줄을 지어 한 줄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벨트컨베이어(120)는 앞쪽에서 식재료를 공급받아 뒤쪽으로 이송시킨 후, 후방 벨트컨베이어(130)로 식재료를 전달한다. 후방 벨트컨베이어(130)는 전방 벨트컨베이어(120)로부터 식재료를 전달받아 식재료를 후방 벨트컨베이어(130)의 뒤쪽으로 이송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절단 장치(100)는 식재료를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가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로 분리되어 있어 식재료를 절단하는 칼에 의하여 벨트컨베이어의 벨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벨트컨베이어(130)는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같은 높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후방 벨트컨베이어(130)가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에 비하여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후방 벨트컨베이어(130)와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의 높이 차는 식재료가 낙차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는 동력전달수단(160)에 의하여 연결되어 하나의 모터(180)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은 체인, 벨트, 기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의 뒤쪽 롤러(121)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의 앞쪽 롤러(131)의 일측에는 각각 스프로킷(161, 162)이 설치되고, 각각의 스프로킷(161, 162)은 체인(163)에 의하여 맞물릴 수 있다.
이때,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의 뒤쪽 롤러(121) 또는 후방 벨트컨베이어(130)의 앞쪽 롤러(131) 중 어느 하나가 모터(180)에 의하여 회전하면, 체인(163)에 의하여 다른 롤러도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는 동일한 속도로 식재료를 이송시킬 수 있다.
식재료 절단 장치(100)는 하나의 모터(180)로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를 동시에 구동함에 따라 식재료 절단 장치(100)의 작동에 따른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의 이송 속도를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절단부(150)는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 사이에 위치하며, 식재료를 절단하는 절단부재(151)를 구비한다.
절단부재(151)는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의 사이의 상부에 위치하며, 식재료의 이송 방향에 따라 식재료를 절단한다. 절단부재(151)는 원형칼 형상일 수 있으며, 원형칼은 필요에 따라 칼날에 다수의 홈을 만들거나, 톱날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원형칼에 다수의 홈을 만들거나 톱날 형태로 만드는 것은 원형칼에 닿은 식재료가 미끌어지거나 절단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절단부(150)는 식재료의 이송 방향에 따라 식재료를 균일하고 깨끗하게 절단 하기 위하여, 절단부재(151)를 회전 가능한 축(152) 상에 고정 설치하고 절단부재(151)를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한 절단 구조를 통하여 식재료를 균일하고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에, 절단부(150)는 절단부재(151)가 고정 설치된 축(152)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단부(150)는 절단부재(151)의 설치 또는 청소 등을 위하여 후방 벨트컨베이어(130) 방향으로 눕혀질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절단부(150)는 경첩(155) 등에 의하여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절단부(150)는 절단부재(151)를 덮는 후드(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드(153)는 식재료가 절단부재(151)에 의하여 절단될 때, 절단된 식재료 또는 부스러기 등이 절단부재(151)에 휩쓸려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로대(140)는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 사이에 위치한다. 즉, 가로대(140)는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의 뒤쪽 롤러(121)와 후방 벨트컨베이어(130)의 앞쪽 롤러(1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가로대(140)는 절단부재(151)의 하부에 절단부재(151)와 중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가로대(140)는 절단부재(151)와 접촉될 수 있고, 절단부재(151)와 약간의 거리를 두고 위치할 수도 있고, 가로대(140)와 절단부재(151)의 거리는 절단되어야 할 식재료의 종류, 상태, 두께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가로대(140)는 절단부재(151)와 대응되어 식재료를 받쳐줌으로써, 절단부재(151)에 의하여 식재료가 원활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가로대(140)는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고, 절단부재(151)와 유사한 속도로 회 전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회전하지 않으나 스쳐지나가는 식재료에 의하여 회전할 수도 있다.
가로대(140)는 다각 기둥 또는 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는데, 원기둥 형상인 경우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에서 후방 벨트컨베이어(130)로 식재료가 이송될 때 보다 부드러운 이송이 가능하며, 절단부재(151)와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되면서 식재료를 받쳐주어 식재료의 절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절단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에 식재료를 올려놓으면, 전방 벨트컨베이어(120)는 절단부(150) 방향으로 식재료를 이송시킨다.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의 뒤쪽 롤러(121)는 모터(180)에 연결되고, 모터(180)의 작동에 의하여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의 뒤쪽 롤러(121)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가 움직이면서 식재료가 이송된다.
식재료는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의 끝 부분에서 회전하는 절단부재(151)와 접촉하면서 절단된다. 식재료는 절단부재(151)의 회전력에 의하여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의 끝에서 가로대(140)를 거치면서 절단된 후, 후방 벨트컨베이어(130)로 이송된다. 이때, 가로대(140)는 식재료를 받쳐줌으로써, 절단부재(151)에 의하여 식재료가 원활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후방 벨트컨베이어(130)는 절단된 식재료를 가로대(140)로부터 전달 받아 뒤쪽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후방 벨트컨베이어(130)의 앞쪽 롤러(131)는 스프로 킷(161, 162)과 체인(163)으로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의 뒤쪽 롤러(121)과 연결되어 전방 벨트컨베이어(120)와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 식재료를 이송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절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재료 절단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재료 절단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식재료 절단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식재료 절단 장치의 절단부를 눕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식재료 절단 장치의 요부를 발췌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0 : 식재료 절단 장치 110 : 프레임
120 : 전방 벨트컨베이어 130 : 후방 벨트컨베이어
140 : 가로대 150 : 절단부
151 : 원형칼 152 : 축
153 : 후드 155 : 경첩
160 : 동력전달수단 161, 162 : 스프로킷
163 : 체인 180 : 모터

Claims (5)

  1. 식재료를 이송하는 제1 벨트컨베이어,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식재료를 전달받는 제2 벨트컨베이어,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제2 벨트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식재료가 통과하는 가로대, 그리고
    상기 가로대와 중첩하고 있으며, 상기 가로대 위에 놓이는 상기 식재료를 절단하는 절단부재
    를 포함하는 식재료 절단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는 원기둥 형상인 것인 식재료 절단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는 제1 벨트와 상기 제1 벨트가 감겨있는 제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벨트컨베이어는 제2 벨트와 상기 제2 벨트가 감겨있는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인 식재료 절단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체인, 벨트, 기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식재료 절단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 위에 배치되어 있고, 내측에 회전 가능한 축이 형성되어 있는 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재는 상기 축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식재료 절단 장치.
KR1020080094940A 2008-09-26 2008-09-26 식재료 절단 장치 KR20100035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940A KR20100035514A (ko) 2008-09-26 2008-09-26 식재료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940A KR20100035514A (ko) 2008-09-26 2008-09-26 식재료 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514A true KR20100035514A (ko) 2010-04-05

Family

ID=4221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940A KR20100035514A (ko) 2008-09-26 2008-09-26 식재료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55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24Y1 (ko) * 2014-12-15 2015-06-09 이수춘 슬라이스 단무지 절단장치
CN110978095A (zh) * 2019-11-25 2020-04-10 湖南和美园食品有限公司 一种糕点加工用的分切机
CN112536851A (zh) * 2020-11-23 2021-03-23 九江鸿立食品有限公司 一种生姜切片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24Y1 (ko) * 2014-12-15 2015-06-09 이수춘 슬라이스 단무지 절단장치
CN110978095A (zh) * 2019-11-25 2020-04-10 湖南和美园食品有限公司 一种糕点加工用的分切机
CN112536851A (zh) * 2020-11-23 2021-03-23 九江鸿立食品有限公司 一种生姜切片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376B1 (ko) 육면체 형상으로 고기를 절단하는 육절기
KR20140091999A (ko) 고기 세절기
KR200477424Y1 (ko) 슬라이스 단무지 절단장치
KR20100035514A (ko) 식재료 절단 장치
KR101082596B1 (ko) 떡 절단장치
CN111716397B (zh) 一种加工香肠用香肠切刀花装置
KR20100066257A (ko) 떡 절단장치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KR200428174Y1 (ko) 김치용 자동 절단장치
KR100726211B1 (ko) 냉장육 다이서
KR101117584B1 (ko)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
CN110053092B (zh) 一种海带加工装置及海带加工方法
KR102387801B1 (ko) 대파 절단장치
KR200326135Y1 (ko) 육류 세절기
KR101781467B1 (ko) 길이가 긴 과채류 절단장치
JP6840401B2 (ja) 食材用切断機
CN204183611U (zh) 新型牛肉自动切片机
CN210913983U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上料机构
KR200243902Y1 (ko) 식품 세단기
JPH0976195A (ja) スライサー
CN220458466U (zh) 一种带式禽类切块设备
KR20100005176U (ko) 야채 세절기
KR200262299Y1 (ko) 풋고추를 슬라이스형으로 절단하는 장치
CN215624548U (zh) 一种用于传输肉制品的防粘黏装置
KR101712882B1 (ko) 야채 세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