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871A - 생선비늘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생선비늘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871A
KR20180120871A KR1020170054639A KR20170054639A KR20180120871A KR 20180120871 A KR20180120871 A KR 20180120871A KR 1020170054639 A KR1020170054639 A KR 1020170054639A KR 20170054639 A KR20170054639 A KR 20170054639A KR 20180120871 A KR20180120871 A KR 20180120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rotating
unit
rotar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874B1 (ko
Inventor
강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Priority to KR102017005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87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2Washing or descal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22Fish-roll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생선 표면의 비늘 등을 효과적으로 자동 제거할 수 있는 생선비늘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생선비늘제거장치는, 서로 병렬 배치되어 같은 속도로 회전하며 일 방향으로 생선을 이송하는 복수 개의 회전롤러, 회전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며, 동일축상에 결합된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져 회전롤러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생선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기어부, 및 생선의 이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탄성체에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움직이며, 경사면으로 생선과 접촉하며 생선을 가압하여 회전롤러 및 회전기어부에 밀착시키는 복수 개의 탄성가압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선비늘제거장치{Apparatus for eliminating fish scale}
본 발명은 생선 표면의 비늘 등을 제거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선 표면의 비늘 등을 효과적으로 자동 제거할 수 있는 생선비늘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다양한 식재료들이 소비된다. 식재료는 유통 상의 편의성, 가공 편의성, 사용상의 편의성 또는 부패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손질되어 유통된다. 특히, 식재료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소비처나 가공 공장 등에서는 보다 원활한 작업을 위해 적절한 방식으로 식재료를 손질하거나 선처리할 수 있다.
식재료 중 생선과 같이 부패가 빠르고 손질이 쉽지 않은 재료의 경우에는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처리가 요구된다. 생선은 비늘을 제거하여 취식하므로 이를 위해 표면을 손질하거나, 내장을 제거하는 등의 여러 가지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대량으로 소비하거나 가공하는 경우 보다 신속하고 자동화된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 가공공장이나 소비처 등에서는 생선을 자동으로 손질하는 장치들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생선 표면의 비늘을 제거하는 장치 등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생선의 일 면에 국한하여 처리가 되거나, 표면 손질이 충분히 되지 않거나, 수압을 이용하는 경우 생선의 표면이 손상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많아 개선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4526호, (2015. 12. 2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4731호, (2012. 09. 2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선 표면의 비늘 등을 효과적으로 자동 제거할 수 있는 생선비늘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생선비늘제거장치는, 서로 병렬 배치되어 같은 속도로 회전하며 일 방향으로 생선을 이송하는 복수 개의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며, 동일축상에 결합된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롤러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기어부; 및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탄성체에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움직이며, 상기 경사면으로 상기 생선과 접촉하며 상기 생선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롤러 및 상기 회전기어부에 밀착시키는 복수 개의 탄성가압판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롤러와 상기 탄성가압판은, 서로 쌍을 이루어 상기 생선의 서로 반대편 면과 접촉하되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위치가 적어도 한 번 바뀌는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부와 상기 탄성가압판은, 서로 쌍을 이루어 상기 생선의 서로 반대편 면과 접촉하되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위치가 적어도 한 번 바뀌는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부 후단의 상기 회전롤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동일축상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복수 개의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롤러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스크래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만입되어 상기 생선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만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롤러에 제1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 상기 회전기어부에 제2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1구동부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구동부와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된 구동기어 및 상기 회전롤러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의 사이에 연결된 체인 또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부의 회전방향과 상기 제2구동부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정하여 상기 회전롤러 및 상기 회전기어부의 회전방향을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기어의 기어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다수의 상기 기어가 동일축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비틀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어의 비틀림각은 상기 회전기어부의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기어부의 회전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판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한 쌍의 분할판, 상기 분할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일 측에 상기 탄성체가 연결된 고정판, 및 상기 분할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가압판의 회전중심으로 기능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판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판에 맞닿아 상기 탄성가압판의 회전을 저지하되, 적어도 일부가 신축되며 상기 탄성가압판의 고정위치를 조정하는 가동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 단부에 각각 상기 생선의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의 공간에 상기 회전롤러, 상기 회전기어부, 상기 탄성가압판, 및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선과 접촉하는 회전구조를 이용하여 생선 표면의 비늘 등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회전구조의 회전속도를 상호 유기적으로 조정하여 생선 이송은 원활하게 진행하되 이송과정에서 생선 표면의 비늘 등(비늘 및 그 밖의 생선 표면에 붙은 불순물 등)은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생선 표면에 보다 강하게 접촉하는 접촉구조로 비늘 등을 매우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생선의 서로 다른 면에 작용이 용이한 구조로 생선 표면 전체를 매우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대량의 생선을 자동으로 이송하며 매우 효과적으로 손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제어부와 함께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각각 투입구 및 배출구 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탄성가압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회전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회전기어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회전스크래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구동구조를 제어부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제1모듈 측의 작동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 전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제어부와 함께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각각 투입구 및 배출구 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1)는 서로 병렬 배치되어 같은 속도로 회전하며 일 방향으로 생선(A)을 이송하는 복수 개의 회전롤러(100), 회전롤러(100) 사이에 위치하며, 동일축상에 결합된 다수의 기어(도 6의 210참조)로 이루어져 회전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생선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기어부(200), 및 생선의 이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도 4의 411참조)을 포함하고 탄성체(510)에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움직이며, 경사면으로 생선과 접촉하며 생선을 가압하여 회전롤러(100) 및 회전기어부(200)에 밀착시키는 복수 개의 탄성가압판(400)을 포함한다.
회전롤러(100)는 회전하며 생선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회전기어부(200)는 회전하며 생선 표면의 비늘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회전기어부(200)는 회전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되어있어 생선의 이동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생선과 접촉하며 생선 표면의 비늘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회전기어부(200)는 고속 회전하여 외주부의 기어치(도 6의 211참조)가 생선 표면과 접촉하는 회수는 증가시키되, 생선 표면과 접촉하는 접촉시간은 감소시켜 생선 표면의 비늘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생선이 회전에 의해 밀리는 등의 부작용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체인이나 컨베이어벨트가 아닌, 외주면이 생선과 직접 맞닿는 회전롤러(100)로 이루어진 이송구조를 이용하여, 롤러 사이에 회전기어부(200)나 회전스크래퍼(300) 등의 고속 회전하는 처리구조를 매우 용이하게 배치하고 배치상태를 바꿀 수 있다. 또한,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는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탄성가압판(400) 각각에 의해 반력을 받고 생선과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생선 표면에 보다 효과적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력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 등으로 탄성가압판(400)과 그에 대응하는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 등의 배치를 바꾸더라도 매우 안정적으로 생선을 파지하며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생선비늘제거장치(1)는 하우징(10)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된 지지판(21), 프레임(12) 등을 이용하여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등 처리구조와 구동구조 등을 설치할 수 있다. 하우징(10) 일 측에는 챔버(11)가 마련되어 있어 챔버(11) 내 공간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생선을 이동시키며 비늘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생선비늘제거장치(1)는, 양 단부에 각각 생선의 투입구(11a) 및 배출구(11b)가 형성되며 투입구(11a)와 배출구(11b) 사이의 공간에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탄성가압판(400), 회전스크래퍼(300),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부(600)를 포함하는 챔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1) 내부에는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탄성가압판(400), 회전스크래퍼(300), 분사부(600) 등의 처리구조가 모듈화되어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듈(20a) 및 제1모듈(20a)과 상하방향으로 배치가 반전된 제2모듈(20b)이 연속하여 배열될 수 있다. 탄성가압판(400)과 그에 대응하는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의 위치는 각 모듈 내에서 필요에 따라 서로 바꾸어 배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늘이 제거되는 면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생선의 단일 면이 아닌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된 비늘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즉, 회전롤러(100)와 탄성가압판(400)은 서로 쌍을 이루어 생선의 서로 반대편 면과 접촉하되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위치가 적어도 한 번 바뀌는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기어부(200)와 탄성가압판(400) 역시 서로 쌍을 이루어 생선의 서로 반대편 면과 접촉하되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위치가 적어도 한 번 바뀌는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스크래퍼(300)와 탄성가압판(400) 역시 서로 쌍을 이루어 생선의 서로 반대편 면과 접촉하되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위치가 적어도 한 번 바뀌는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압판(400)을 상방에 배치하고, 그에 대응하는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는 하방에 배치하여 생선의 하면에 위치한 비늘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압판(400)을 하방에 배치하고, 그에 대응하는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는 상방에 배치하여 생선의 상면에 위치한 비늘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탄성가압판(400)과 그에 대응하는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의 사이에 생선이 파지되어 떨어지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모듈(20a) 및 제2모듈(20b)을 연속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생선 양 면의 비늘 모두를 매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생선비늘제거장치(1)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서로 다른 모듈로 구분하여 배치될 필요는 없다. 즉, 필요한 경우 단일 모듈 내에서도 서로 대응하는 회전기어부(200)와 탄성가압판(400)의 쌍의 위치를 적어도 한 번 반전시킬 수 있고, 서로 대응하는 회전스크래퍼(300)와 탄성가압판(400)의 쌍의 위치 역시 적어도 한 번 반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형태로 탄성가압판(400)과 그에 대응하는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의 배치를 바꾸어 생선 양 면의 비늘 등(비늘 및 생선 표면에 붙은 불순물 등)을 모두 처리 가능한 효율적인 처리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저면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 등을 설치할 수 있고 고정 시 사용하기 위한 지지장치 등도 설치할 수 있다. 챔버(11)의 전면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 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챔버(11) 일 측은 개방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챔버(11) 내 설치된 분사부(600)는 예를 들어, 내부에 세정액(물일 수 있다)을 통과시킬 수 있는 관으로 형성되어 관의 외주면에 노즐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사부(600)는 처리과정 중에 챔버(11) 내부로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다.
회전롤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병렬 배치된다. 생선은 이와 같이 서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회전롤러(100)를 따라 이송된다. 회전롤러(100)의 배치상태를 적절히 변경하여 생선의 이송경로를 조정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회전롤러(100)를 이용하여 생선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서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회전롤러(100)들은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회전기어부(200)는 회전롤러(100)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회전롤러(100) 사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회전기어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기어부(200)는 특히 동일축상에 결합된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져 다수의 기어가 한꺼번에 회전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기어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생선과 접촉하여 생선 표면을 매우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회전기어부(200)는 생선과 보다 효율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회전롤러(100)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스크래퍼(300)는 회전기어부(200) 후단의 회전롤러(10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회전스크래퍼(300)는 동일축상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복수 개의 회전판(도 7의 310참조)을 포함하고 회전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생선과 접촉한다. 즉, 회전스크래퍼(300)는 회전기어부(200)가 먼저 접촉한 생선 표면에 역시 고속으로 회전하며 다시 접촉하여 비늘을 제거한다. 따라서 회전기어부(200)와 회전스크래퍼(300)의 연속작용에 의해 생선 표면의 비늘 등이 매우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탄성가압판(400)은 생선의 이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도 4의 411참조)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회전롤러(100)에 의해 생선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411)을 이용하여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생선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탄성가압판(400)은 경사면(411)으로 생선과 접촉하며 생선을 가압하여 회전롤러(100) 및 회전기어부(200), 그리고, 회전스크래퍼(300) 각각에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생선의 이송방향은 도 2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이며 탄성가압판(400)의 경사면(411) 역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를 이루도록 도시되었다.
탄성가압판(400)은 제1모듈(20a) 측과 제2모듈(20b) 측에 서로 반전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듈(20a) 측과 제2모듈(20b) 측의 탄성가압판(40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정렬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선이 제1모듈(20a)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하방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생선이 제2모듈(20b)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방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생선을 지지할 수 있다. 탄성가압판(400)은 프레임(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일 측에 탄성체(510)가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탄성가압판(400)은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 각각과 쌍을 이루어 배치됨으로써, 생선의 위치변화에 따라 탄성적으로 움직이며 해당 위치에서 생선을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 각각에 보다 정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력으로 생선을 받쳐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2모듈(20b)과 같이 상하 반전된 경우에도 생선이 낙하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하며 처리될 수 있다.
이하, 탄성가압판, 회전롤러, 회전기어부, 회전스크래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구조 등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탄성가압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성가압판(400)은 프레임(12) 등에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탄성가압판(400)은 경사면(411)이 형성된 한 쌍의 분할판(410), 분할판(410)으로부터 연장되고 일 측에 탄성체(510)가 연결된 고정판(420), 및 분할판(410)과 고정판(420)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가압판(400)의 회전중심으로 기능하는 힌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판(410)은 고정판(420)으로부터 반대방향 단부를 향해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전체가 경사면(4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분할판(410)의 경사면(411)으로 생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분할판(41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생선과의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다.
탄성가압판(400)은 힌지부(430)를 기준으로 분할판(410)과 고정판(420)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체로 형성되어 분할판(410)이 움직이면 고정판(420)은 힌지부(430)를 중심으로 반대편으로 이동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선이 진입하는 방향[회전롤러(100) 전방의 화살표 참조]으로 분할판(410)이 회전 이동하면, 고정판(420)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탄성체(510)를 신장시킨다. 따라서 탄성에너지가 축적되어 분할판(410)의 경사면(411)이 생선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된다. 이러한 구조로 생선을 회전롤러(100) 등에 매우 정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탄성가압판(400) 일 측에는 고정판(420)에 맞닿아 탄성가압판(400)의 회전을 저지하는 가동스토퍼(520)가 설치될 수 있다. 가동스토퍼(520)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되며 탄성가압판(400)의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도면과 같이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 길이 조정이 가능한(신축 가능한) 구조를 이용하여 탄성가압판(400)의 초기 고정위치나 고정각도 등을 적절히 조정해 줄 수 있다. 가동스토퍼(520)를 이용한 조정을 통해 생선의 크기나 두께에 알맞은 적절한 초기위치로 탄성가압판(4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생선의 크기나 두께 등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그에 대응하는 적절한 이동공간을 확보하고 생선에 과도하지 않은 압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회전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롤러(100)는 복수 개가 서로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회전롤러(100)는 동일축상에 다수의 링 형상 부재가 중첩하여 결합된 것일 수 있다. 회전롤러(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종동기어(31b)가 형성되며, 종동기어(31b)와 치합되는 구동기어(31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구동기어(31a)에 서로 다른 회전롤러(100)의 종동기어(31b)들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치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회전롤러(100)가 서로 동일한 속도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기어(31a)는 체인 또는 벨트로 제1구동부(도 2의 30참조)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구동기어(31a) 및 종동기어(31b)는 구동기어(31a)에 연결된 체인 또는 벨트와 함께 회전롤러(10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수단(31)을 구성할 수 있다. 구동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회전기어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기어부(200)는 동일축상에 결합된 다수의 기어(210)로 이루어진다. 회전기어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어(210)가 동일축상에 중첩하여 적층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기어(210)의 기어치(211)들이 회전하며 생선 표면과 접촉하여 비늘 등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회전기어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기어(210)의 기어치(211)가 서로 어긋나도록 다수의 기어(210)가 동일축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비틀려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기어부(200) 외주면의 기어치(211)를 고유의 패턴을 갖는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특히, 회전기어부(200)를 이루는 기어(210)의 비틀림각은 회전기어부(200)의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회전기어부(200)의 회전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즉, 중앙부의 기어(210)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할수록 기어(210)들의 비틀림각을 점차 증가시키며 다수의 기어(210)를 동일축상에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시된 것처럼, 회전기어부(200) 바깥쪽의 기어(210)는 중앙측의 기어(210)에 비해 일정각도(α) 비틀린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기어부(200) 중앙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회전기어부(200)의 비틀림각을 회전기어부(200)의 회전방향을 향해 증가시킴으로써, 회전방향을 향해 넓어지는 V자 형태로 패턴화된 기어치(211)의 배열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기어부(200)의 기어치(211)들이 이와 같이 배열되면 회전기어부(200) 회전시 회전방향으로 더 많이 비틀린 바깥쪽의 기어치(211)가 생선 표면에 먼저 접촉하고 순차적으로 회전기어부(200) 중앙측을 향해 위치한 기어치(211)들이 생선 표면과 차례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생선 표면의 비늘이 회전기어부(200)의 바깥쪽에서 중앙 측으로 모이며 이탈되는 효과를 발생시켜 불필요한 비산을 막고 비늘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각각의 기어(210)들은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212)을 동일축으로 관통시켜 체결할 수 있고, 결합공(212) 내주면에는 축에 형성된 키와 결합하는 키 홀(미도시) 등을 형성하여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210)에 따라 키 홀의 위치를 바꾸는 등의 방식으로 기어(210)의 비틀림각을 조정할 수 있다.
회전기어부(200)는 단부에 체인 또는 벨트로 이루어진 제2동력전달수단(41)이 연결되어 제2동력전달수단(41)으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회전기어부(200)는 제2동력전달수단(41)을 통해 제2구동부(도 2의 40참조)에 연결되어 제1구동부(도 2의 30참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롤러(도 5의 100참조)보다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회전스크래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스크래퍼(300)는 동일축상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복수 개의 회전판(310)을 포함한다. 회전판(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로 서로 이격되어 회전 대칭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판(310)은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만입되어 생선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만입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310)의 만입부(311) 내에 생선이 수용되면 오목한 곡면으로 인해 생선 표면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생선 표면의 비늘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회전스크래퍼(300)는 회전기어부(도 6의 200참조)의 후단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생선 표면과 접촉하며 남은 비늘을 긁어낼 수 있다.
회전스크래퍼(300)의 외측 및 내측에는 회전판(310)과 결합하여 회전판(310)을 고정하는 고정원판(321)이 형성된다. 고정원판(321)에는 회전 대칭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판(310)을 각 홈에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310)과 고정원판(321)은 서로 수직하게 만나 이들로 이루어진 격실을 형성하므로 생선 표면에서 긁어낸 비늘을 격실 내 가두어 외측으로 비산하는 양을 줄일 수 있다. 고정원판(321)은 직경이 다른 복수 개가 회전스크래퍼(3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스크래퍼(300) 역시 단부에 체인 또는 벨트로 이루어진 제2동력전달수단(41)이 연결되어 제2동력전달수단(41)으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회전스크래퍼(300) 역시 제2동력전달수단(41)을 통해 제2구동부(도 2의 40참조)에 연결되어 제1구동부(도 2의 30참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롤러(도 5의 100참조)보다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 구동구조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구동구조를 제어부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구동구조는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는 구조로서 회전력은 제1구동부(30) 및 제2구동부(40)의 서로 다른 동력장치를 통해 전달된다. 특히, 제1구동부(30)는 회전롤러(100)들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시키며, 제2구동부(40)는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제1구동부(30)와 제2구동부(40)의 회전속도, 회전방향 등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된다. 즉, 비늘제거장치는 회전롤러(100)에 제1동력전달수단(31)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30), 회전기어부(200)에 제2동력전달수단(41)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40), 제1구동부(30) 및 제2구동부(40)를 제어하여, 제2구동부(40)의 회전속도를 제1구동부(30)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조정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40)는 제2동력전달수단(41)을 통해 회전스크래퍼(300)에도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8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동력전달수단(31)은 제1구동부(30)와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된 구동기어(31a) 및 회전롤러(100)의 단부에 형성되어 구동기어(31a)와 치합되는 종동기어(31b)를 포함하고, 제2동력전달수단(41)은 제2구동부(40)와 회전기어부(200)의 사이에 연결된 체인 또는 벨트를 포함하고, 제어부(50)는 제1구동부(30)의 회전방향과 제2구동부(40)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정하여 회전롤러(100) 및 회전기어부(200)의 회전방향을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제2동력전달수단(41)은 회전기어부(200)뿐만 아니라 제2구동부(40)와 회전스크래퍼(300)의 사이에도 연결되어 회전기어부(200)와 회전스크래퍼(300)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구동부(30)로 구동되는 회전롤러(100)와, 제2구동부(40)로 구동되는 회전기어부(200) 및 회전스크래퍼(300)의 회전방향이 모두 동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로 병렬 배열된 복수 개의 회전롤러(100)는 구동기어(31a) 및 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31b)를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동기화하고 회전방향도 일치시킬 수 있다. 반면, 회전기어부(200) 및 회전스크래퍼(300)는 기어 없이 체인 또는 벨트를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동기화하고 회전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회전롤러(100)는 치합구조를 통해 제1구동부(30)의 회전력을 매개하는 구동기어(31a)와 종동기어(31b)로 인해 회전속도를 안정화할 수 있고, 회전기어부(200) 및 회전스크래퍼(300)는 체인 또는 벨트로 제2구동부(40)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아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전롤러(100)는 저속 회전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생선을 이송하되, 회전기어부(200) 및 회전스크래퍼(300)는 고속 회전하며 강화된 토크로 생선 표면의 비늘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제1구동부(30) 및 제2구동부(40)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정하여 구동기어(31a)와 종동기어(31b)간 맞물림에 의해 반전되는 회전방향을 보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의 회전방향을 모두 일치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부(30)의 회전속도보다 제2구동부(40)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조정하여 제1구동부(3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러(100)보다 제2구동부(4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부(200) 및 회전스크래퍼(300)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것처럼 체인 또는 벨트의 길이를 조정하여 전술한 제1모듈(도 2의 20a참조)에 대응하는 배치[도 8의 (a)]를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전술한 제2모듈(도 2의 20b참조)에 대응하는 배치[도 8의 (b)]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듈(20a)은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가 생선의 하방에서 접촉하는 구조인 반면, 제2모듈(20b)은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가 생선의 상방에서 접촉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모듈(20a) 및 제2모듈(20b) 전체를 통해 단일 방향으로 생선을 이송하기 위해, 제1모듈(20a) 측의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의 회전방향[도 8의 (a)참조]과, 제2모듈(20b) 측의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의 회전방향[도 8의 (b)참조]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모듈(20a) 측의 제1구동부(30) 및 제2구동부(40)의 회전방향[도 8의 (a)참조]과, 제2모듈(20b) 측의 제1구동부(30) 및 제2구동부(40)의 회전방향[도 8의 (b)참조] 역시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선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표면의 비늘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작동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제1모듈 측의 작동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생선(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회전롤러(100)와 접촉하며 일 방향으로 이송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러(100)가 배열된 수평방향으로 생선(A)이 이동하여 회전롤러(100) 사이의 회전기어부(200)로 진입된다. 회전롤러(100) 및 회전기어부(200)의 맞은편에는 복수 개의 탄성가압판(400)이 생선(A)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탄성적으로 움직이며 생선(A)을 지지한다. 따라서, 생선(A)은 이송 간에 회전롤러(100) 및 회전기어부(200) 등과 매우 정밀하게 밀착된다.
회전기어부(200)는 회전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선(A) 표면의 비늘(B)을 제거한다. 비늘(B) 외에 생선(A) 표면의 불순물들도 회전기어부(200)의 기어치(211)와 접촉하며 함께 제거된다. 생선(A)은 탄성가압판(400)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회전기어부(200)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므로, 회전기어부(200)의 기어치(211) 자체에는 탄성이 없더라도 탄성가압판(40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력이 조정되어 생선(A)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탄성가압판(400)의 초기위치, 초기각도 등을 조절하여 생선(A)에 가해지는 압력 등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회전기어부(200)의 기어치(2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기어부(200) 중앙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회전기어부(200)의 비틀림각이 증가되어 회전방향을 향해 넓어지는 V자 형태 등으로 패턴화될 수 있다(도 6참조). 따라서 생선(A) 표면의 비늘은 각각의 기어치(211)에 의해 회전기어부(200)의 바깥쪽에서 중앙 측으로 모이며 이탈되도록 처리할 수 있어 불필요한 비산을 막고 보다 청결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늘(B)이 1차적으로 제거된 생선(A)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회전롤러(100)를 따라 이동하며 회전스크래퍼(300)에 진입된다. 회전스크래퍼(300) 역시 회전롤러(100) 보다 고속 회전하며 생선(A)과 접촉한다. 회전스크래퍼(300)는 회전판(310)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비늘(B)이 제거된 생선(A) 표면을 다시 긁어내므로, 생선(A)의 비늘(B)과 그 밖의 불순물까지 매우 깨끗하게 제거된다. 특히, 회전판(310)은 전술한 만입부(도 7의 311참조)를 이용하여 생선(A) 표면과 넓게 접촉하면서 작은 비늘(B)이나 불순물까지 말끔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회전기어부(200)의 기어치(211)는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생선(A) 표면의 비늘(B) 등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점 접촉하며 제거하고, 이를 다시 회전스크래퍼(300)의 회전판(310)을 이용하여 넓게 긁어낼 수 있으므로 이들의 복합작용으로 생선(A) 표면을 전체적으로 매우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선(A) 표면의 비늘(B) 등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과정은 도 2의 제1모듈(도 2의 20a참조)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 것이나, 이러한 과정은 제2모듈(도 2의 20b참조)을 통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진행된다. 다만, 제2모듈(20b)은 탄성가압판(400)과 그에 대응하는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의 위치가 바뀌어 생선(A)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서로 바뀌므로 제2모듈(20b)을 이용하여 생선(A)의 다른 표면에 형성된 비늘(B) 등 역시 동일한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 전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러한 처리과정에 대해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 생선(A)은 챔버(11) 일단부의 투입구(11a)를 통해 투입되고, 먼저, 제1모듈(20a)을 통과하며 처리된다. 제1모듈(20a)을 통과한 생선(A)은 전술한 바와 같은 처리과정을 통해서,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 등을 차례로 통과하며 하면에 위치한 비늘(B) 등이 깨끗이 제거된다.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 등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설치하여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모듈(20a)을 통과한 생선(A)은 다시 제2모듈(20b)을 통과하며 다른 면이 처리된다. 즉, 제2모듈(20b)로 진입된 생선(A)은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 등이 상방에 위치한 제2모듈(20b) 내부를 하방의 탄성가압판(400)들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롤러(100), 회전기어부(200), 회전스크래퍼(300)와 밀착하여 이동하며 상면에 위치한 비늘(B) 등이 깨끗이 제거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제2모듈(20b)을 통과하여 챔버(11)의 배출구(11b) 측으로 배출된 생선(A)은, 양 면의 비늘(B) 등이 모두 깨끗이 제거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1)를 이용하여 생선(A)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며 표면의 비늘(B) 등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생선비늘제거장치 10: 하우징
11: 챔버 11a: 투입구
11b: 배출구 12: 프레임
20a: 제1모듈 20b: 제2모듈
21: 지지판 30: 제1구동부
31: 제1동력전달수단 31a: 구동기어
31b: 종동기어 40: 제2구동부
41: 제2동력전달수단 50: 제어부
100: 회전롤러 200: 회전기어부
210: 기어 211: 기어치
212: 결합공 300: 회전스크래퍼
310: 회전판 311: 만입부
321: 고정원판 400: 탄성가압판
410: 분할판 411: 경사면
420: 고정판 430: 힌지부
510: 탄성체 520: 가동스토퍼
600: 분사부
A: 생선 B: 비늘

Claims (12)

  1. 서로 병렬 배치되어 같은 속도로 회전하며 일 방향으로 생선을 이송하는 복수 개의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며, 동일축상에 결합된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롤러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기어부; 및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탄성체에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움직이며, 상기 경사면으로 상기 생선과 접촉하며 상기 생선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롤러 및 상기 회전기어부에 밀착시키는 복수 개의 탄성가압판을 포함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와 상기 탄성가압판은, 서로 쌍을 이루어 상기 생선의 서로 반대편 면과 접촉하되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위치가 적어도 한 번 바뀌는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된 생선비늘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부와 상기 탄성가압판은, 서로 쌍을 이루어 상기 생선의 서로 반대편 면과 접촉하되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위치가 적어도 한 번 바뀌는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된 생선비늘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부 후단의 상기 회전롤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동일축상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복수 개의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롤러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스크래퍼를 더 포함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만입되어 상기 생선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만입부를 포함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에 제1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
    상기 회전기어부에 제2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1구동부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구동부와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된 구동기어 및 상기 회전롤러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의 사이에 연결된 체인 또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부의 회전방향과 상기 제2구동부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정하여 상기 회전롤러 및 상기 회전기어부의 회전방향을 서로 일치시키는 생선비늘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기어의 기어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다수의 상기 기어가 동일축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비틀려 결합된 생선비늘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의 비틀림각은 상기 회전기어부의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기어부의 회전방향으로 증가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판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한 쌍의 분할판,
    상기 분할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일 측에 상기 탄성체가 연결된 고정판, 및
    상기 분할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가압판의 회전중심으로 기능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판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판에 맞닿아 상기 탄성가압판의 회전을 저지하되, 적어도 일부가 신축되며 상기 탄성가압판의 고정위치를 조정하는 가동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양 단부에 각각 상기 생선의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의 공간에 상기 회전롤러, 상기 회전기어부, 상기 탄성가압부, 및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챔버를 더 포함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20170054639A 2017-04-27 2017-04-27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2034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39A KR102034874B1 (ko) 2017-04-27 2017-04-27 생선비늘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39A KR102034874B1 (ko) 2017-04-27 2017-04-27 생선비늘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871A true KR20180120871A (ko) 2018-11-07
KR102034874B1 KR102034874B1 (ko) 2019-10-22

Family

ID=6436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639A KR102034874B1 (ko) 2017-04-27 2017-04-27 생선비늘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8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551B1 (ko) * 2019-01-25 2019-08-13 김영님 생선 가공장치
CN111616194A (zh) * 2020-05-27 2020-09-04 大连工业大学 一种鞭抽式水产品表层物质去除装置
CN112425639A (zh) * 2020-10-12 2021-03-02 成都友金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杀鱼机
KR102230160B1 (ko) * 2020-11-30 2021-03-22 서성웅 생선 비늘 제거장치
CN113575663A (zh) * 2021-07-07 2021-11-02 陈五女 一种家庭用小型鱼类去鳞装置
CN114009483A (zh) * 2021-10-11 2022-02-08 王雅群 一种鱼类除鳞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214A (ja) * 2000-01-11 2001-07-17 Yukihiro Tsunezawa 魚のウロコ取り装置
JP2002058419A (ja) * 2000-08-18 2002-02-26 Minami Shokuhin:Kk 冷凍魚体の切削装置
KR20070006948A (ko) * 2005-07-07 2007-01-12 김흥수 생선류 비늘제거장치
KR20120104731A (ko) 2011-03-14 2012-09-24 양희창 생선의 비늘 제거장치
KR20150054562A (ko) * 2013-11-12 2015-05-20 주식회사 청하기계 생선 가공기
KR20150004526U (ko) 2014-06-11 2015-12-21 김호현 생선 비늘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214A (ja) * 2000-01-11 2001-07-17 Yukihiro Tsunezawa 魚のウロコ取り装置
JP2002058419A (ja) * 2000-08-18 2002-02-26 Minami Shokuhin:Kk 冷凍魚体の切削装置
KR20070006948A (ko) * 2005-07-07 2007-01-12 김흥수 생선류 비늘제거장치
KR20120104731A (ko) 2011-03-14 2012-09-24 양희창 생선의 비늘 제거장치
KR20150054562A (ko) * 2013-11-12 2015-05-20 주식회사 청하기계 생선 가공기
KR20150004526U (ko) 2014-06-11 2015-12-21 김호현 생선 비늘 제거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551B1 (ko) * 2019-01-25 2019-08-13 김영님 생선 가공장치
CN111616194A (zh) * 2020-05-27 2020-09-04 大连工业大学 一种鞭抽式水产品表层物质去除装置
CN111616194B (zh) * 2020-05-27 2021-12-07 大连工业大学 一种鞭抽式水产品表层物质去除装置
CN112425639A (zh) * 2020-10-12 2021-03-02 成都友金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杀鱼机
KR102230160B1 (ko) * 2020-11-30 2021-03-22 서성웅 생선 비늘 제거장치
CN113575663A (zh) * 2021-07-07 2021-11-02 陈五女 一种家庭用小型鱼类去鳞装置
CN114009483A (zh) * 2021-10-11 2022-02-08 王雅群 一种鱼类除鳞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874B1 (ko)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0871A (ko)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1545165B1 (ko)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US5245919A (en) Apparatus for peeling fruits or vegetables
EP1658777B2 (en) Device for coating food products with a particulate material
CN108669206A (zh) 立式鱼鳞鱼腹一体机
KR102000760B1 (ko)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1904650B1 (ko) 패각류 자동 세척장치
JP5171168B2 (ja) 農産物の清浄装置
US5520457A (en) Machine and method for the continuous treatment of surfaces of articles of reduced thickness
EP0115669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quid
KR100684567B1 (ko) 생선류 비늘제거장치
US200702751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inuous Coating of Cores by Means of a Dragee-Making Apparatus
KR101989508B1 (ko) 무 박피장치
KR101437116B1 (ko) 양파 박피기
US5378133A (en) Dough extruding feeder
KR20100066257A (ko) 떡 절단장치
KR102192971B1 (ko) 새알심 제조장치
JP2523923B2 (ja) 作物加工装置
KR20150032047A (ko) 어류 필렛 머신
EP0403217A1 (en) A dough-twisting machine
FI90492B (fi) Riivari
SU1055392A1 (ru) Аппарат дл очистки початков кукурузы от оберток
JP2514812Y2 (ja) 組合せ秤の物品供給装置
JPH07110641B2 (ja) 粉粒体の分包機
KR102476573B1 (ko) 밤 외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