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760B1 - 생선비늘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생선비늘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760B1
KR102000760B1 KR1020170154110A KR20170154110A KR102000760B1 KR 102000760 B1 KR102000760 B1 KR 102000760B1 KR 1020170154110 A KR1020170154110 A KR 1020170154110A KR 20170154110 A KR20170154110 A KR 20170154110A KR 102000760 B1 KR102000760 B1 KR 102000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ish
axis
contact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801A (ko
Inventor
강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Priority to KR102017015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7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2Washing or descaling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생선비늘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동 제거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생선비늘제거장치는, 외주부에 생선과 접촉하는 매끈한 접촉면을 포함하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롤러, 및 제1롤러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롤러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외주부에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돌출부로 생선과 접촉하는 제2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선비늘제거장치{Apparatus for eliminating fish scale}
본 발명은 생선비늘을 제거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선비늘을 자동 제거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식재료들이 마트 등의 판매처로 유통된다. 공산품과는 달리 식재료는 유통 시 발생하는 부패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손질되어 유통되어야 한다. 또한, 식재료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소비처나 가공 공장 등에서도 원활히 작업을 진행하고 부패 등을 막기 위해 보다 적합한 처리가 필요하다.
특히, 식재료 중 생선과 같이 부패가 빠르고 손질이 쉽지 않은 재료의 경우에는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인 처리가 요구된다. 생선은 비늘을 제거하여 취식하므로 이를 위해 표면을 손질하거나, 내장을 제거하는 등의 여러 가지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대량으로 소비하거나 가공하는 경우 보다 신속하고 자동화된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 가공공장이나 소비처 등에서는 생선을 자동으로 손질하는 장치들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생선 비늘 등의 처리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즉, 종래의 경우 비늘 등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거나, 이를 개선하기 위해 수압을 이용하는 경우 생선의 표면이 손상되어 오히려 상품성이 떨어지거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생선의 일 면에 국한하여 처리가 이루어지는 등의 한계가 있어 개선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4526호, (2015. 12. 2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4731호, (2012. 09. 2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선 표면의 비늘 등을 효과적으로 자동 제거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는, 외주부에 생선과 접촉하는 매끈한 접촉면을 포함하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롤러; 및 상기 제1롤러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롤러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외주부에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로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제2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롤러의 말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상기 제2롤러의 회전 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기어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치는 끝단부에 평면을 포함하며 상기 평면 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할 수 있다.
상기 기어치는 상기 제2롤러의 축을 따라 적층된 복수 개의 기어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기어는 상기 제2롤러의 축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비틀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롤러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격판을 포함하여 상기 격판으로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제3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판은 상기 제3롤러의 축과 수직한 고정판의 사이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3롤러의 축 둘레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격판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격판은 끝단부에 상기 생선의 몸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입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 상기 제2롤러, 및 상기 제3롤러는, 축이 단일 평면 상에 나란히 배치되되, 직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생선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제1롤러, 상기 제2롤러, 및 상기 제3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시키는 탄성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에 의한 기계적 마찰을 이용하여 생선 표면의 비늘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회전요소의 회전속도 차이와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마찰력의 차이 등을 이용하여 처리대상(생선)을 자연스럽게 이동시키면서 표면의 비늘과 불순물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생선의 서로 다른 부위에 형성된 비늘 전체를 깨끗하게 제거하여 효과적으로 손질함으로써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과정을 수작업을 최소화하여 자동으로 매우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제어부와 함께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각각 투입구 및 배출구 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제1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제2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제3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구동구조를 제어부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탄성가압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제1모듈 측의 작동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 전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제어부와 함께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각각 투입구 및 배출구 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1)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적어도 두 종류의 롤러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서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생선과 접촉하는 매끈한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회전하는 제1롤러(100)와, 제1롤러(100) 후단에서 제1롤러(100)보다 고속 회전하는 제2롤러(20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제2롤러(200)는 제1롤러(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되 외주부에는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11)가 형성되어 있어 서로 다른 롤러의 연속된 배치를 통해 회전속도 변화와 마찰력의 변화를 동시에 유발할 수 있다.
즉, 생선은 상대적으로 회전속도가 느린 제1롤러(100)에 의해 제2롤러(200)로 안정적으로 이송되고 제2롤러(200)는 상대적으로 고속 회전하며 외주부의 돌출부(도 5의 211참조)를 이용하여 생선 표면의 비늘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상대적으로 저속 회전하는 제1롤러(100)의 사이에 고속 회전하며 돌출부(211)가 형성된 제2롤러(200)를 배치하여, 제1롤러(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송되는 중간에 제2롤러(200)가 고속 회전하며 기계적 마찰로 생선 비늘을 제거할 수 있다. 제2롤러(200)는 상대적으로 고속 회전하므로 외주부의 돌출부(211)가 생선과 접촉하는 회수는 증가되나,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시간은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돌출부(211)를 이용하여 생선 표면의 비늘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생선이 회전에 의해 밀리는 등의 부작용은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선비늘제거장치(1)는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외에 제1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제3롤러(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롤러(300)에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격판(도 6의 310참조)을 이용하여 비늘 등이 튀지 않도록 하면서도 깨끗하게 긁어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100)의 세트를 여러 개 형성하고 그 사이에 제2롤러(200), 또는 제3롤러(300)를 배치하여, 제1롤러(100)로 생선을 이송하면서 상대적으로 고속 회전하는 제2롤러(200), 제3롤러(300)로 생선비늘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요소들을 포함하는 구조로 생선비늘을 매우 효과적으로 자동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압부(400)와 같은 가압구조를 이용하여 회전요소로부터 생선이 이탈되지 않고 보다 면밀히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1)의 구조와 작용효과 등을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생선비늘제거장치(1)는, 외주부에 생선과 접촉하는 매끈한 접촉면을 포함하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롤러(100), 및 제1롤러(100)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외주부에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11)를 포함하여 돌출부(211)로 생선과 접촉하는 제2롤러(200)를 포함한다(도 4 및 도 5참조). 또한, 제1롤러(100)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격판(310)을 포함하여 격판(310)으로 생선과 접촉하는 제3롤러(300)를 포함할 수 있고(도 6참조), 생선에 탄성력을 가해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 중 적어도 하나에 밀착시키는 탄성가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8참조).
생선비늘제거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생선비늘제거장치(1)는 하우징(10)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된 지지판(21), 프레임(12) 등을 이용하여 제1롤러(100), 제2롤러(200) 등 처리구조와 구동구조 등을 설치할 수 있다. 하우징(10) 일 측에는 챔버(11)가 마련되어 있어 챔버(11) 내 공간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생선을 이동시키며 비늘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생선비늘제거장치(1)는, 양 단부에 각각 생선의 투입구(11a) 및 배출구(11b)가 형성되며 투입구(11a)와 배출구(11b) 사이의 공간에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 탄성가압부(400),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부(600)를 포함하는 챔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1) 내부에는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 탄성가압부(400), 분사부(600) 등의 처리구조가 모듈화되어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듈(20a) 및 제1모듈(20a)과 상하방향으로 배치가 반전된 제2모듈(20b)이 연속하여 배열될 수 있다. 탄성가압부(400)와 그에 대응하는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의 위치는 각 모듈 내에서 필요에 따라 서로 바꾸어 배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늘이 제거되는 면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생선의 단일 면이 아닌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된 비늘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즉, 제1롤러(100)와 탄성가압부(400)는 서로 쌍을 이루어 생선의 서로 반대편 면과 접촉하되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위치가 적어도 한 번 바뀌는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롤러(200)와 탄성가압부(400) 역시 서로 쌍을 이루어 생선의 서로 반대편 면과 접촉하되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위치가 적어도 한 번 바뀌는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롤러(300)와 탄성가압부(400) 역시 서로 쌍을 이루어 생선의 서로 반대편 면과 접촉하되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면의 위치가 적어도 한 번 바뀌는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압부(400)를 상방에 배치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는 하방에 배치하여 생선의 하면에 위치한 비늘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압부(400)를 하방에 배치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는 상방에 배치하여 생선의 상면에 위치한 비늘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탄성가압부(400)와 그에 대응하는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의 사이에 생선이 파지되어 떨어지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모듈(20a) 및 제2모듈(20b)을 연속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생선 양 면의 비늘 모두를 매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생선비늘제거장치(1)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서로 다른 모듈로 구분하여 배치될 필요는 없다. 즉, 필요한 경우 단일 모듈 내에서도 서로 대응하는 롤러 들과 탄성가압부(400)의 쌍의 위치를 적어도 한 번 반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형태로 탄성가압부(400)와 그에 대응하는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의 배치를 바꾸어 생선 양 면의 비늘 등(비늘 및 생선 표면에 붙은 불순물 등)을 모두 처리 가능한 효율적인 처리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저면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 등을 설치할 수 있고 고정 시 사용하기 위한 지지장치 등도 설치할 수 있다. 챔버(11)의 전면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 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챔버(11) 일 측은 개방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챔버(11) 내 설치된 분사부(600)는 예를 들어, 내부에 세정액(물일 수 있다)을 통과시킬 수 있는 관으로 형성되어 관의 외주면에 노즐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사부(600)는 처리과정 중에 챔버(11) 내부로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다.
제1롤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병렬 배치된다. 생선은 이와 같이 서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제1롤러(100)를 따라 이송된다. 제1롤러(100)의 배치상태를 적절히 변경하여 생선의 이송경로를 조정할 수도 있다. 즉, 체인이나 컨베이어벨트가 아닌, 외주면이 생선과 직접 맞닿는 제1롤러(100)로 이루어진 이송구조를 이용하여, 그 사이에 제2롤러(200)나 제3롤러(300) 등의 고속 회전하는 처리구조를 매우 용이하게 배치하고 배치상태를 바꿀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제1롤러(100)를 이용하여 생선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서로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제1롤러(100)들은 서로 동기화하여 같은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롤러(200)는 제1롤러(100)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롤러(100) 사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2롤러(2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롤러(200)는 예를 들어, 동일축상에 결합된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져 다수의 기어가 한꺼번에 회전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롤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외주부의 돌출부(211)로 생선과 접촉하여 생선 표면을 매우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제2롤러(200)는 생선과 보다 효율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제1롤러(100)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롤러(300)는 제2롤러(200) 후단의 제1롤러(10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3롤러(300)는 예를 들어, 동일축상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격판(도 6의 310참조)을 포함하고 제1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격판(310)으로 생선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3롤러(300)는 제2롤러(200)가 먼저 접촉한 생선 표면에 역시 고속으로 회전하며 다시 접촉하여 비늘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롤러(200)와 제3롤러(300)의 연속된 처리에 의해 생선 표면의 비늘과 불순물 등이 매우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탄성가압부(400)는 생선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탄성가압부(400)는 예를 들어, 생선의 이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도 8의 411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제1롤러(100)에 의해 생선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411)을 이용하여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생선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탄성가압부(400)는 경사면(411)으로 생선과 접촉하며 생선을 가압하여 제1롤러(100), 제2롤러(200), 및 제3롤러(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생선의 이송방향은 도 2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부(400)의 경사면(411) 역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었다.
탄성가압부(400)는 제1모듈(20a) 측과 제2모듈(20b) 측에 서로 반전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듈(20a) 측과 제2모듈(20b) 측의 탄성가압부(40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정렬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선이 제1모듈(20a)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하방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생선이 제2모듈(20b)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방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생선을 지지할 수 있다. 탄성가압부(400)는 프레임(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일 측에 탄성체(510)가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탄성가압부(400)는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 각각과 쌍을 이루어 배치됨으로써, 생선의 위치변화에 따라 탄성적으로 움직이며 해당 위치에서 생선을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 각각에 보다 정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력으로 생선을 받쳐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2모듈(20b)과 같이 상하 반전된 경우에도 생선이 낙하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하며 처리될 수 있다.
이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각 구조와 작용효과 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제1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롤러(100)는 외주부에 생선과 접촉하는 매끈한 접촉면을 포함하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제1롤러(100)의 외주부에는 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끈한 원주면이 배치되어 접촉면으로 작용한다. 제1롤러(100)는 상대적으로 저속 회전하므로 매끈한 접촉면으로도 생선과 충분히 접촉하며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다. 특히 상대적으로 매끈한 접촉면을 이용하여 이송 시 생선 표면에 불필요하게 발생할 수 있는 훼손 등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생선에는 최초 비늘이 있으나 제2롤러(200) 등을 통과하면 비늘이 제거되어 속살이 드러나므로, 이를 제1롤러(100)의 매끈한 접촉면으로 지지하여 훼손을 막으면서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매끈한 접촉면과 상대적으로 저속 회전하는 구조가 합쳐져 나타나는 효과로 둘 중 어느 하나의 요소라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 이러한 효과는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제1롤러(100)는 복수 개가 서로 동기화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1롤러(100)는 동일축상에 다수의 링 형상 부재가 중첩하여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제1롤러(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종동기어(31b)가 형성되며, 종동기어(31b)와 치합되는 구동기어(31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구동기어(31a)에 서로 다른 제1롤러(100)의 종동기어(31b)들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치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제1롤러(100)가 서로 동일한 속도와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기어(31a)는 체인 또는 벨트로 제1구동부(도 2의 30참조)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구동기어(31a) 및 종동기어(31b)는 구동기어(31a)에 연결된 체인 또는 벨트와 함께 제1롤러(10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수단(31)을 구성할 수 있다. 구동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제2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롤러(200)는 제1롤러(도 4의 100참조)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한다. 제2롤러(200)는 특히 외주부에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11)를 포함하여 돌출부(211)로 생선과 접촉한다. 즉, 제2롤러(200)는 제1롤러(100)보다 고속 회전하되 외주부에 생선 표면을 가압할 수 있는 돌출구조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돌출부(211)가 생선과 접촉하는 회수는 증가시키면서 생선과 접촉하는 접촉시간은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211)를 이용하여 생선 표면의 비늘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생선이 회전에 의해 밀리는 등의 부작용은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 또한 외주부의 돌출구조와 상대적으로 고속 회전하는 구조가 합쳐져 나타나는 효과로서 둘 중 어느 하나의 요소라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 이러한 효과를 얻기는 어려울 수 있다.
제2롤러(200)는 동일축상에 결합된 다수의 기어(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어(210)와 기어 외주부의 돌출구조(즉, 기어치)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비늘 제거가 가능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돌출부(2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롤러(200)의 말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제2롤러(200)의 회전 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기어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롤러(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어(210)가 제2롤러(200)의 축을 따라 중첩하여 적층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기어치는 이러한 기어(210) 둘레에 배치되어 돌출부(211)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11)를 이루는 기어치는 끝단부에 평면을 포함하며 평면 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할 수 있다.
즉, 말단이 평면인 기어치로 돌출부(211)를 형성함으로써 생선 비늘에 회전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이탈시키되, 평면으로 비늘 안쪽의 생선살은 최대한 보호할 수 있다. 최초 비늘이 있는 경우 돌출부(211)의 회전방향에 위치한 비늘들이 돌출부(211) 모서리 등에 걸려 제거되나 비늘이 제거된 후에는 속살이 노출되므로 이를 고속 회전하는 돌출부(211) 말단의 평면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훼손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기어(210)의 기어치로 이루어진돌출부(211)들이 회전하며 생선 표면과 접촉하여 비늘 등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기어(210)는 돌출부(211)가 서로 어긋나도록 제2롤러(200)의 축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비틀려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롤러(200) 외주면의 돌출부(211)를 고유의 패턴을 갖는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롤러(200)를 이루는 기어(210)의 비틀림각은 제2롤러(200)의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제2롤러(200)의 회전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즉, 중앙부의 기어(210)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할수록 기어(210)들의 비틀림각을 점차 증가시키며 다수의 기어(210)를 동일축상에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시된 것처럼, 제2롤러(200) 바깥쪽의 기어(210)는 중앙측의 기어(210)에 비해 일정각도(α)비틀린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롤러(200) 중앙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제2롤러(200)의 비틀림각을 제2롤러(200)의 회전방향을 향해 증가시킴으로써, 회전방향을 향해 넓어지는 V자 형태로 패턴화된 돌출부(211)의 배열(즉, 전술한 제2롤러의 회전 방향에 대해 오목한 배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롤러(200)의 돌출부(211)들이 이와 같이 배열되면 제2롤러(200) 회전시 회전방향으로 더 많이 비틀린 바깥쪽의 돌출부(211)가 생선 표면에 먼저 접촉하고 순차적으로 제2롤러(200) 중앙측을 향해 위치한 돌출부(211)들이 생선 표면과 차례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생선 표면의 비늘이 제2롤러(200)의 바깥쪽에서 중앙 측으로 모이며 이탈되는 효과를 발생시켜 불필요한 비산을 막고 비늘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각각의 기어(210)들은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212)을 동일축으로 관통시켜 체결할 수 있고, 결합공(212) 내주면에는 축에 형성된 키와 결합하는 키 홀(미도시) 등을 형성하여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210)에 따라 키 홀의 위치를 바꾸는 등의 방식으로 기어(210)의 비틀림각을 조정할 수 있다.
제2롤러(200)는 단부에 체인 또는 벨트로 이루어진 제2동력전달수단(41)이 연결되어 제2동력전달수단(41)으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2롤러(200)는 제2동력전달수단(41)을 통해 제2구동부(도 2의 40참조)에 연결되어 제1구동부(도 2의 30참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롤러(도 4의 100참조)보다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제3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롤러(300)는 제1롤러(도 4의 100참조)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한다. 제3롤러(300)는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격판(310)을 포함하여 격판(310)으로 생선과 접촉한다. 제3롤러(300) 역시 제1롤러(100)보다 고속 회전하며 접촉하므로 전술한 제2롤러(200)의 효과에 대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3롤러(300)는, 격판(310)으로 생선 표면과 접촉하며 비늘이 남아있거나, 비늘 제거 후 불규칙해진 표면 등을 보다 매끈하고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제3롤러(300)는 예를 들어, 동일축상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복수 개의 격판(310)을 포함할 수 있다. 격판(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로 서로 이격되어 회전 대칭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격판(310)은 제3롤러(300)의 축과 수직한 고정판(321)의 사이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 제3롤러(300)의 축 둘레에 고정판(321) 및 격판(310)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격판(310)은 끝단부에 생선의 몸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입된 오목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격판(310)에는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만입되어 생선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311)가 형성된다. 격판(310)의 오목부(311) 내에 생선이 수용되면 오목한 곡면으로 인해 생선 표면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생선 표면의 비늘 등을 보다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다. 제3롤러(300)는 회전기어부(도 5의 200참조)의 후단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생선 표면과 접촉하며 남은 비늘을 제거할 수 있다.
제3롤러(300)의 외측 및 내측에는 격판(310)과 결합하여 격판(310)을 고정하는 고정판(32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321)에는 회전 대칭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 격판(310)을 각 홈에 삽입하여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롤러(300)의 축 둘레에 고정판(321) 및 격판(310)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격판(310)과 고정판(321)은 서로 수직하게 만나 구획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므로 생선 표면에서 긁어낸 비늘을 수용공간 내 가두어 외측으로 비산하는 양을 줄일 수 있다. 고정판(321)은 직경이 다른 복수 개가 제3롤러(3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제3롤러(300) 역시 단부에 체인 또는 벨트로 이루어진 제2동력전달수단(41)이 연결되어 제2동력전달수단(41)으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3롤러(300) 역시 제2동력전달수단(41)을 통해 제2구동부(도 2의 40참조)에 연결되어 제1구동부(도 2의 30참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롤러(도 4의 100참조)보다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 구동구조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구동구조를 제어부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구동구조는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는 구조로 회전력은 제1구동부(30) 및 제2구동부(40)의 서로 다른 동력장치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제1구동부(30)는 제1롤러(100)들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시키며, 제2구동부(40)는 제2롤러(200), 제3롤러(3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제1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30)와 제2구동부(40)의 회전속도, 회전방향 등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는 제1롤러(100)에 제1동력전달수단(31)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30), 제2롤러(200)에 제2동력전달수단(41)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40), 제1구동부(30) 및 제2구동부(40)를 제어하여 제2구동부(40)의 회전속도를 제1구동부(30)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조정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40)는 제2동력전달수단(41)을 통해 제3롤러(300)에도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7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동력전달수단(31)은 제1구동부(30)와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된 구동기어(31a) 및 제1롤러(100)의 단부에 형성되어 구동기어(31a)와 치합되는 종동기어(31b)를 포함하고, 제2동력전달수단(41)은 제2구동부(40)와 제2롤러(200)의 사이에 연결된 체인 또는 벨트를 포함하고, 제어부(50)는 제1구동부(30)의 회전방향과 제2구동부(40)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정하여 제1롤러(100) 및 제2롤러(200)의 회전방향을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제2동력전달수단(41)은 제2롤러(200)뿐만 아니라 제2구동부(40)와 제3롤러(300)의 사이에도 연결되어 제2롤러(200)와 제3롤러(300)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구동부(30)로 구동되는 제1롤러(100)와, 제2구동부(40)로 구동되는 제2롤러(200) 및 제3롤러(300)의 회전방향이 모두 동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로 병렬 배열된 복수 개의 제1롤러(100)는 구동기어(31a) 및 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31b)를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동기화하고 회전방향도 일치시킬 수 있다. 반면, 제2롤러(200) 및 제3롤러(300)는 기어 없이 체인 또는 벨트를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동기화하고 회전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제1롤러(100)는 치합구조를 통해 제1구동부(30)의 회전력을 매개하는 구동기어(31a)와 종동기어(31b)로 인해 회전속도를 안정화할 수 있고, 제2롤러(200) 및 제3롤러(300)는 체인 또는 벨트로 제2구동부(40)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아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롤러(100)는 저속 회전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생선을 이송하되, 제2롤러(200) 및 제3롤러(300)는 고속 회전하며 강화된 토크로 생선 표면의 비늘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제1구동부(30) 및 제2구동부(40)의 회전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정하여 구동기어(31a)와 종동기어(31b)간 맞물림에 의해 반전되는 회전방향을 보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의 회전방향을 모두 일치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부(30)의 회전속도보다 제2구동부(40)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조정하여 제1구동부(30)에 의해 회전하는 제1롤러(100)보다 제2구동부(40)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롤러(200) 및 제3롤러(300)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것처럼 체인 또는 벨트의 길이를 조정하여 전술한 제1모듈(도 2의 20a참조)에 대응하는 배치[도 7의 (a)]를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전술한 제2모듈(도 2의 20b참조)에 대응하는 배치[도 7의 (b)]를 구성할 수 있다.
제1모듈(20a)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가 생선의 하방에서 접촉하는 구조인 반면, 제2모듈(20b)은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가 생선의 상방에서 접촉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모듈(20a) 및 제2모듈(20b) 전체를 통해 단일 방향으로 생선을 이송하기 위해, 제1모듈(20a) 측의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의 회전방향[도 7의 (a)참조]과, 제2모듈(20b) 측의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의 회전방향[도 7의 (b)참조]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모듈(20a) 측의 제1구동부(30) 및 제2구동부(40)의 회전방향[도 7의 (a)참조]과, 제2모듈(20b) 측의 제1구동부(30) 및 제2구동부(40)의 회전방향[도 7의 (b)참조] 역시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선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표면의 비늘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탄성가압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탄성가압부(400)는 생선에 탄성력을 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탄성가압부(400)는 생선에 탄성력을 가해 제1롤러(100), 제2롤러(도 5의 200참조), 제3롤러(도 6의 300참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는 축이 단일 평면 상에 나란히 배치되되, 돌출부, 격판 등을 구조로 인해 직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변동되는 직경으로 생선 표면에 보다 자연스럽게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지만(특히, 직경이 상대적으로 증가된 제2, 제3롤러의 경우) 그로 인해 롤러에서 이탈될 가능성도 생길 수 있다. 탄성가압부(400)로 생선에 탄성력을 가하여 롤러에 밀착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탄성가압부(400)는 프레임(12) 등에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탄성가압부(400)는 경사면(411)이 형성된 한 쌍의 분할판(410), 분할판(410)으로부터 연장되고 일 측에 탄성체(510)가 연결된 고정판(420), 및 분할판(410)과 고정판(420)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가압부(400)의 회전중심으로 기능하는 힌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판(410)은 고정판(420)으로부터 반대방향 단부를 향해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전체가 경사면(4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분할판(410)의 경사면(411)으로 생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분할판(41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생선과의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다.
탄성가압부(400)는 힌지부(430)를 기준으로 분할판(410)과 고정판(420)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체로 형성되어 분할판(410)이 움직이면 고정판(420)은 힌지부(430)를 중심으로 반대편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선이 진입하는 방향[제1롤러(100) 전방의 화살표 참조]으로 분할판(410)이 회전 이동하면, 고정판(420)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탄성체(510)를 신장시킨다. 따라서 탄성에너지가 축적되어 분할판(410)의 경사면(411)이 생선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생선을 제1롤러(100) 등에 매우 정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탄성가압부(400) 일 측에는 고정판(420)에 맞닿아 탄성가압부(400)의 회전을 저지하는 가동스토퍼(520)가 설치될 수 있다. 가동스토퍼(520)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되며 탄성가압부(400)의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도면과 같이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 길이 조정이 가능한(신축 가능한) 구조를 이용하여 탄성가압부(400)의 초기 고정위치나 고정각도 등을 적절히 조정해 줄 수 있다. 가동스토퍼(520)를 이용한 조정을 통해 생선의 크기나 두께에 알맞은 적절한 초기위치로 탄성가압부(4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생선의 크기나 두께 등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그에 대응하는 적절한 이동공간을 확보하고 생선에 과도하지 않은 압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작동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제1모듈 측의 작동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생선(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롤러(100)와 접촉하며 일 방향으로 이송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롤러(100)가 배열된 수평방향으로 생선(A)이 이동하여 제1롤러(100) 사이의 제2롤러(200)로 진입된다. 제1롤러(100) 및 제2롤러(200)의 맞은편에는 복수 개의 탄성가압부(400)이 생선(A)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탄성적으로 움직이며 생선(A)을 지지한다. 따라서, 생선(A)은 이송 간에 제1롤러(100) 및 제2롤러(200) 등과 매우 정밀하게 밀착된다.
제2롤러(200)는 제1롤러(100)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선(A) 표면의 비늘(B)을 제거한다. 비늘(B) 외에 생선(A) 표면의 불순물들도 제2롤러(200)의 돌출부(211)와 접촉하며 함께 제거된다. 생선(A)은 탄성가압부(400)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제2롤러(200)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므로, 제2롤러(200)의 돌출부(211) 자체에는 탄성이 없더라도 탄성가압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력이 조정되어 생선(A)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탄성가압부(400)의 초기위치, 초기각도 등을 조절하여 생선(A)에 가해지는 압력 등을 적절히 조절해 줄 수 있다.
특히, 제2롤러(200)의 돌출부(2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롤러(200) 중앙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제2롤러(200)의 비틀림각이 증가되어 회전방향을 향해 넓어지는 V자 형태(즉, 제2롤러의 회전 방향에 대해 오목한 배열) 등으로 패턴화될 수 있다(도 5참조). 따라서 생선(A) 표면의 비늘을 각각의 돌출부(211)를 이용하여 제2롤러(200)의 바깥쪽에서 중앙 측으로 아 배출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비산을 막고 보다 청결하게 비늘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늘(B)이 1차적으로 제거된 생선(A)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제1롤러(100)를 따라 이동하며 제3롤러(300)에 진입된다. 제3롤러(300) 역시 제1롤러(100) 보다 고속 회전하며 생선(A)과 접촉한다. 제3롤러(300)는 격판(310)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비늘(B)이 제거된 생선(A) 표면을 다시 긁어내므로, 생선(A)의 비늘(B)과 그 밖의 불순물까지 매우 깨끗하게 제거 가능하다. 특히, 격판(310)은 전술한 오목부(도 6의 311참조)를 이용하여 생선(A) 표면과 넓게 접촉하면서 작은 비늘(B)이나 불순물까지 말끔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롤러(200)의 돌출부(211)는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생선(A) 표면의 비늘(B) 등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점 접촉하며 제거하고, 이를 다시 제3롤러(300)의 격판(310)을 이용하여 넓게 긁어낼 수 있으므로 이들의 복합작용으로 생선(A) 표면을 전체적으로 매우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선(A) 표면의 비늘(B) 등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과정은 도 2의 제1모듈(도 2의 20a참조)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 것이나, 이러한 과정은 제2모듈(도 2의 20b참조)을 통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진행된다. 다만, 제2모듈(20b)은 탄성가압부(400)과 그에 대응하는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의 위치가 바뀌어 생선(A)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서로 바뀌므로 제2모듈(20b)을 이용하여 생선(A)의 다른 표면에 형성된 비늘(B) 등 역시 동일한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생선비늘제거장치 전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러한 처리과정에 대해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 생선(A)은 챔버(11) 일단부의 투입구(11a)를 통해 투입되고, 먼저, 제1모듈(20a)을 통과하며 처리된다. 제1모듈(20a)을 통과한 생선(A)은 전술한 바와 같은 처리과정을 통해서, 제2롤러(200), 제3롤러(300) 등을 차례로 통과하며 하면에 위치한 비늘(B) 등이 깨끗이 제거된다. 제2롤러(200), 제3롤러(300) 등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설치하여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모듈(20a)을 통과한 생선(A)은 다시 제2모듈(20b)을 통과하며 다른 면이 처리된다. 즉, 제2모듈(20b)로 진입된 생선(A)은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 등이 상방에 위치한 제2모듈(20b) 내부를 하방의 탄성가압부(400)들의 탄성력에 의해 제1롤러(100), 제2롤러(200), 제3롤러(300)와 밀착하여 이동하며 상면에 위치한 비늘(B) 등이 깨끗이 제거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제2모듈(20b)을 통과하여 챔버(11)의 배출구(11b) 측으로 배출된 생선(A)은 양 면의 비늘(B) 등이 모두 깨끗이 제거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비늘제거장치(1)를 이용하여 생선(A)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며 표면의 비늘(B) 등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생선비늘제거장치 10: 하우징
11: 챔버 11a: 투입구
11b: 배출구 12: 프레임
20a: 제1모듈 20b: 제2모듈
21: 지지판 30: 제1구동부
31: 제1동력전달수단 31a: 구동기어
31b: 종동기어 40: 제2구동부
41: 제2동력전달수단 50: 제어부
100: 제1롤러 200: 제2롤러
210: 기어 211: 돌출부
212: 결합공 300: 제3롤러
310: 격판 311: 오목부
321: 고정판 400: 탄성가압부
410: 분할판 411: 경사면
420: 고정판 430: 힌지부
510: 탄성체 520: 가동스토퍼
600: 분사부
A: 생선 B: 비늘

Claims (10)

  1. 외주부에 생선과 접촉하는 매끈한 접촉면을 포함하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롤러; 및
    상기 제1롤러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하여 상기 제1롤러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외주부에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로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제2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2롤러는 다수의 기어가 상기 제2롤러의 축을 따라 중첩하여 적층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어 둘레에 배치된 기어치로 형성되며, 상기 기어는 상기 제2롤러의 축상에 서로 다른 각도로 비틀려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가 서로 어긋나며 상기 제2롤러 외주부에 패턴화된 배열을 형성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롤러의 말단으로부터 중앙으로, 상기 제2롤러의 회전 방향에 대해 오목하게 배열된 생선비늘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치는 끝단부에 평면을 포함하며 상기 평면 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한 생선비늘제거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하여 상기 제1롤러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며,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격판을 포함하여 상기 격판으로 상기 생선과 접촉하는 제3롤러를 더 포함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은 상기 제3롤러의 축과 수직한 고정판의 사이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3롤러의 축 둘레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격판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은 끝단부에 상기 생선의 몸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만입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 상기 제2롤러, 및 상기 제3롤러는, 축이 단일 평면 상에 나란히 배치되되, 직경은 서로 다른 생선비늘제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선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제1롤러, 상기 제2롤러, 및 상기 제3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시키는 탄성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20170154110A 2017-11-17 2017-11-17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2000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10A KR102000760B1 (ko) 2017-11-17 2017-11-17 생선비늘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10A KR102000760B1 (ko) 2017-11-17 2017-11-17 생선비늘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801A KR20190056801A (ko) 2019-05-27
KR102000760B1 true KR102000760B1 (ko) 2019-07-16

Family

ID=6667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110A KR102000760B1 (ko) 2017-11-17 2017-11-17 생선비늘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2991B (zh) * 2021-12-06 2023-12-22 江苏诚益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菜市场多功能杀鱼设备
CN115530219B (zh) * 2022-10-20 2023-08-15 清远容海养殖科技有限公司 一种鱼鳞清除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819A (ja) * 1999-11-26 2001-08-07 Toa Koeki Kk ゼイゴ除去機とこれを用いた除去装置
KR100567243B1 (ko) * 2004-03-26 2006-04-03 이석래 생선비늘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4031A (en) * 1985-11-22 1986-11-25 Simnar, Inc. Descaler roll for fish scaling machine
KR100684567B1 (ko) * 2005-07-07 2007-02-22 김흥수 생선류 비늘제거장치
KR20120104731A (ko) 2011-03-14 2012-09-24 양희창 생선의 비늘 제거장치
KR20150004526U (ko) 2014-06-11 2015-12-21 김호현 생선 비늘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819A (ja) * 1999-11-26 2001-08-07 Toa Koeki Kk ゼイゴ除去機とこれを用いた除去装置
KR100567243B1 (ko) * 2004-03-26 2006-04-03 이석래 생선비늘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801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0871A (ko)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2000760B1 (ko) 생선비늘제거장치
US8720698B2 (en) Seafood grading apparatus
US7182588B2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 strip of dough
JP5171168B2 (ja) 農産物の清浄装置
CN108669206A (zh) 立式鱼鳞鱼腹一体机
EP2346756A1 (en) Cleaning-in-place system
KR100747148B1 (ko) 고추꼭지 제거기
KR100684567B1 (ko) 생선류 비늘제거장치
KR20100066257A (ko) 떡 절단장치
EP0225678B1 (en) Apparatus for treating printing plates with a liquid
CN204465917U (zh) 一种微波抑制系统
KR20150032047A (ko) 어류 필렛 머신
JP2010098952A (ja) 魚のぬめり取り装置
FI90492B (fi) Riivari
US1694263A (en) Cherry-pitting machine
JP6628973B2 (ja) 固液分離装置
US3864788A (en) Scallop spreading machine
KR200262299Y1 (ko) 풋고추를 슬라이스형으로 절단하는 장치
DK179089B1 (da) Rejepillemaskine
RU2819247C1 (ru) Очиститель корнеплодов от почвы
US4259063A (en) Apparatus for a heat treatment of products
CN110584154B (zh) 一种中药脱皮切割机
CN213040929U (zh) 用于固体带式干燥机的可调定量布料装置
US20240215589A1 (en) Cleaning device for extension 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