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828A - 선별기 - Google Patents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828A
KR20040027828A KR1020040016331A KR20040016331A KR20040027828A KR 20040027828 A KR20040027828 A KR 20040027828A KR 1020040016331 A KR1020040016331 A KR 1020040016331A KR 20040016331 A KR20040016331 A KR 20040016331A KR 20040027828 A KR20040027828 A KR 20040027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case
plate
sorted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102004001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7828A/ko
Publication of KR2004002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82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5Ventilation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진동수단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상호 층상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선별판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투입된 선별물품을 상기 선별판으로 낙하시키는 공급부와; 낙하한 상기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판들의 판면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선별구들이 타공되고, 이 선별구는 적어도 2개이상의 홈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안내구간과 상기 2개이상의 홈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된 안내구간은 상기 공급부의 반대방향의 끝단부에서 상기 홈들이 서로 연결되는 연통구간을 갖는 선별공군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구간과 연통구간은 하측의 선별판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선별되는 대상의 형태를 고려할 때, 마른굴, 전복, 조개등과 같이 그 크기별로 선별될 수 있는 선별물품을 효과적으로 선별함으로써 선별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별기{SOR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별되는 대상의 형태를 고려할 때, 마른굴,전복,조개등과 같이 그 크기별로 선별될 수 있는 선별물품을 효과적으로 선별함으로써 선별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선별기란, 품질,규격 등에 따라 대량생산된 부품이나 제품, 혹은 물품의 전체수량 검사를 하여 불량품을 골라내거나 같은 품질이나 종류, 혹은 크기를 갖는 것을 분류하여 선별하는 장치이다.
선별하고자 하는 종류에 따라 선별기는 다양한 종류를 가지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써, 곡물 선별기라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곡물 선별기는, 수확한 곡물 중에 포함된 미숙립, 피해립 등의 불완전립과, 지푸라기, 흙, 잔돌 잡초, 풀씨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계로써, 이물질의 크기, 모양, 비중 등이 서로 다른 점을 이용하여 선별한다.
이때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는 스크린선별기, 홈선별기, 기류선별기, 비중선별기, 자력선별기 등이 있는데, 스크린 선별기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스크린선별기는 철판 또는 플라스틱 판에 구멍을 뚫은 천공사로 만든 스크린을 여러 층 설치한 구조로, 스크린 구멍의 치수가 층별로 각각 다르며, 스크린이 요동한다.
이 요동하는 스크린 위를 곡물이 흘러내려 오면서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완전립, 불완전립 및 이물질로 분리된다.
그러나, 이처럼 스크린 타입을 이용한 선별기는 비단 곡물의 선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그 크기별로 선별될 수 있는 모든것(이하, 이를 "선별물품" 이라함)중 선별되는 대상의 형태를 고려할때 마른굴, 전복, 조개등과 같이 특별히 동전주화처럼 원형, 타원형, 혹은 장방형(長方形)등의 형상을 갖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선별물품의 경우 정밀한 선별을 하기가 어려우므로 선별구가 타공된 판상의 선별판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선별하거나, 선별장치 즉,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통망(圓筒罔)형태의 드럼스크린에 선별물품을 통과시켜서 크기별로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전자의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선별물품을 선별하므로서 선별능률이 저하되고 인건비및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후자의 경우 하나 이상의 대형 드럼스크린을 설치하여 선별을 행함으로서, 그 구조가 대형일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유지보수 및 제작비가 과다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장치는 그 구조상 선별작업시에 회전하는 드럼스크린에 의해 선별물품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일반 선별가공공장에서는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여 선별물품을 선별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진동수단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상호 층상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선별판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투입된 선별물품을 상기 선별판으로 낙하시키는 공급부와; 낙하한 상기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판들의 판면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선별구들이 타공되고, 이 선별구는 적어도 2개이상의 홈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안내구간과 상기 2개이상의 홈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된 안내구간은 상기 공급부의 반대방향의 끝단부에서 상기 홈들이 서로 연결되는 연통구간을 갖는 선별공군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구간과 연통구간은 하측의 선별판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기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도2의 횡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제2,제3,제4선별판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배면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선별판의 사시도.
도 6a는 도 5a의 선별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6b는 도 5a의 선별구를 도시한 또다른 정면도.
도 6c는 도 6a의 다른 실시예.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의 작동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한 사시도.
도8은 도7에 의해 선별물품이 선별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선별기는, 케이스(2)와, 이 케이스(2)의 일측단 상측에 설치되어 선별물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4)와,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4)에서 공급되는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부(6)와, 상기 케이스(2)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6)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모터(M)와, 상기 선별부(6)에서 선별된 선별물품을 배출하기위한 슈트부(8)와, 상기 케이스(2)가 바닥면에 지지되고 진동모터(M)의 진동이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한 지지부(10)를 포함한다.상기 케이스(2)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의 금속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바(12)에 의해 결합되며, 내측 상부에는 상기 선별부(6)를 케이스(2) 내측에서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14)가 적어도 4개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바(12)는 상기 케이스(2)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내측에 일정한 공간부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2)의 상측및 하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케이스(2)에 용접되거나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그 재질로는 원형상의 금속파이프등, 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14)는 피고정체 즉, 선별부(6)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는 일반인에게 잘 알려지고 상기와 같이 피고정체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클램프(14)를 이용하여 선별부(6)를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및 도면에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용이하게 실현하고 만족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급부(4)는 상기 케이스(2)의 일측단 상측에 설치되어 선별물품이 순차적으로 상기 선별부(6)에 공급되도록 한 것으로서, 내측에 공간부(4a)를 구비한 통상의 호퍼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부(4) 즉, 호퍼는 지지프레임(32)의 일측단에서 지지바(16)에 의해 선별물품이 선별부(6)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자세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4)의 배출구(4b)를 통해 배출되는 선별물품이 선별부(6)에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의 일측단 즉, 상기 공급부(4)의 배출구(4b)에 대응하여 공급판(18)이 설치되는데, 이 공급판(18)은 상기 케이스(2)의 일측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더욱 연장된 형태로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공급부(4)의 배출구(4b)가 위치하게 되어 선별물품을 더욱 원활하게 선별부(6)에 공급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급부(4)는 호퍼로 이루어지고 이 호퍼를 통해 선별물품이 상기 공급판(18)에 공급되는 것을 일예로하여 도면에 도시 및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급판(18)과 연계되는 별도의 이송콘베이어(미도시)를 바닥면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선별물품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공급부(4)의 구조는 다양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는 상기 공급부(4)에서 공급되는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부(6)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별부(6)가 공급부(4)로부터 공급되는 선별물품을 다섯가지 크기로 선별하는 것을 일예로 하여 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선별부(6)는,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선별물품을 선별하기 위한 제 1선별판(20a)과, 이 제 1선별판(20a)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 1선별판을 통과하여 낙하한 선별물품을 선별하기위한 제 2선별판(20b)과, 이 제 2선별판(20b)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 2선별판을 통과하여 낙하한 선별물품을 선별하기위한 제 3선별판(20c)과, 이 제 3선별판(20c)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 3선별판을 통과하여 낙하한 선별물품을 선별하기위한 제 4선별판(20d)과, 제 4선별판(20d)의 하측에 설치되어 선별물품의 미세한 조각및 가루 등을 배출하기 위한 제5선별판(20e)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선별판(20a), 2선별판(20b),제 3선별판(20c),제 4선별판(20d),제5선별판(20e)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부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보강프레임(22)이 결합되며, 배면부에는 이 선별판들의 길이방향에 직교하여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24)들이 결합된다.
상기 보강프레임(22)은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 적치되는 선별판들의 간격을 유지하고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별판들의 배면부에 결합되는 보강리브(24)의 높이(h1)는 상기 보강프레임(22)의 높이(h2)를 기준으로 할때 50%이하로 유지되고, 상기 보강리브(24)의 길이(W1)는 상기 보강프레임(22)의 폭길이(W2)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a, 도 5b참조).
상기한 보강리브(24)의 구조는 상기 선별판들의 내구성을 더욱 증대시킴과 동시에 이들 선별판들이 원활하게 적치되고 이들을 통과하는 선별물품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선별판(20a), 2선별판(20b),제 3선별판(20c),제 4선별판(20d)들의 표면에는 선별물품을 선별하기위한 선별구(26a, 26b, 26c, 26d)들이 폭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타공되어 길이 방향으로 2열이상이 배열된다.
상기 선별구(26a, 26b, 26c, 26d)들은 레이저 컷팅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상기 선별판들의 표면에 타공되고 이 선별구들은 적어도 2개이상의 홈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안내구간과 상기 2개이상의 홈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된 안내구간은 상기 공급부의 반대방향의 끝단부에서 상기 홈들이 서로 연결되는 연통구간을 갖는 선별공군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구간(d1)과 연통구간(d2)의 길이및 안내구간과 연통구간 선별구의 폭(W1, W2, W3)은 하측의 선별판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다(도 6a 및 도 6b 참조).
또한, 상기 선별구(26a, 26b, 26c, 26d)들의 안내구간(d1)은 상기 연통구간(d2)으로 연장되면서 과다한 크기의 선별물품들이 하측의 선별판으로 선별되지 않은채 낙하 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통구간의 양쪽 끝단부위(c1, c2)는각을 주므로서 상기 안내구간(d1)의 폭(W1)은 점진적으로 상기 연통구간(d2)에 이르기까지 과다하게 더욱 커지는 부분이 없도록 고안 되었으며, 결국 도 6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W1, W2, W3의 폭의 치수는 동일하게 제작한다.
상기 선별구(26a, 26b, 26c, 26d)가 상기의 형상을 갖춤으로서 선별되는 대상의 형태를 고려할때 마른굴, 전복, 조개등과 같이 특별히 동전주화처럼 원형, 타원형, 혹은 장방형(長方形)등의 형상을 갖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선별물품의 경우에도 정밀한 선별이 가능해 질 수있는 바람직한 구조가 되는것이다.
그리고,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제5선별판(20e)은 선별물품에 섞여있거나, 선별물품의 선별시 발생되는 미세한 조각및 가루 등이 낙하되므로서, 선별물품에 섞이지 않고 별도로 분리될 수 있도록 원형상의 선별구(26e)가일정한 배열을 유지하며 다수개가 타공된다.
상기 선별구(26a, 26b, 26c, 26d)들은 각각 해당하는 선별물품의 선별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데 즉, 상기 제 1선별판(20a), 2선별판(20b),제 3선별판(20c),제 4선별판(20d)의 순으로 점차 작게 형성되어 선별물품을 각각 선별하게 되며, 상기 제5선별판(20e)의 선별구(26e)는 미세조각및 가루를 배출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선별구(26a, 26b, 26c, 26d)들의 형상이 도 6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안내구간(d1)을 따라 2개의 홈이 연장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 및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내구간(d1)는 다수개라 될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선별구의 형상및 모양 그리고 배열은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5선별판(20e)의 선별구(26e)가 원형상으로 타공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선별판(20a), 2선별판(20b),제 3선별판(20c),제 4선별판(20d)들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형상 및 모양 그리고 배열은 다양하게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선별판(20a, 20b, 20c, 20d, 20e)들의 일측 선단부 표면에는 선별구들이 타공되지 않는 무타공영역(E)이 형성된다.
상기 무타공영역(E)은 상기 선별판(20a, 20b, 20c, 20d, 20e)들을 통해 일방향 즉, 배출측(O)으로 이동하는 선별물품이 이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상기 선별판(20a, 20b, 20c, 20d, 20e)들은 상기 케이스(2)의 하측 고정바(12)에 순차적으로 적치된 후 클램프(1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한 선별부(6)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된 선별물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슈트부(8)가 상기 선별부(6)의 배출측에서 케이스(2)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슈트부(8)는 상기 케이스(2) 내측에서 수평으로 배치되어 적치되는 제 1선별판(20a), 제 2선별판(20b),제 3선별판(20c),제 4선별판(20d),제5선별판(20e)에 대응하여 이들이 선별한 선별물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즉, 제1슈트(S1), 제2슈트(S2), 제3슈트(S3), 제4슈트(S4), 제5슈트(S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슈트부(8)의 재질은 판상의 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절곡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슈트(S1), 제2슈트(S2), 제3슈트(S3), 제4슈트(S4), 제5슈트(S5)의 배출측 선단부는 각기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선별된 선별물품을 원활하게 수거하는데 바람직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케이스(2)의 양측면에는 상기 선별부(6)에 진동을 전달하여 선별물품을 선별하기 위한 진동모터(M)가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 의한 진동모터는 상기 선별부(6)의 길이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이에 따른 관성에 의해 선별물품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별되는 것을 일예로 한다.
상기한 진동모터(M)는 전기의 인가여부에 따라 내측에 설치된 언밸런스 웨이트(UNBALANCE WEIGHT)가 회전하여 이 웨이트의 회전에 의해 자체 진동이 발생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인 진동발생장치 등에 널리 사용 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진동모터(M)의 진동발생방향은 상기 언밸런스 웨이트(U)의 셋팅에 의해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5a에서와 같이 공급측(I)보다 배출측(O)으로 관성력이 더욱 발생될 수 있도록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선별판(20a, 20b, 20c, 20d, 20e)에 공급되는 선별물품이 관성에의해 공급측(I)에서 배출측(O)으로 이동하는데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케이스(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브라켓트(28)에 일측단이 결합되는 완충부재(30)와, 이 완충부재(30)의 타측단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2)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2)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완충부재(30)는 일정한 탄성계수를 갖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외측에는 이물질 또는 인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완충부재(30)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커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2)은 통상의 사각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하측에는 로울러캐스터(34)가 설치되고, 이 로울러캐스터(34)는 일시적으로 록키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레버(36)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지지부(10)는 상기케이스(2)를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함과 아울러 진동모터(M)에서 발생된 발생된 진동을 원활하게 선별부(6)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32)에는 로울러캐스터(34)가 설치된어 이동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이에따라,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별물품의 선별장치의 바람직한 작동실시예를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지지부(10)의 지지프레임(32)에 설치된 로울러캐스터(34)의 브레이크레버(36)를 작동하여 록킹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지지부(10)가 바닥면에 고정되면 상기 케이스(2)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지지바(12)의 상측에 제5선별판(20e)을 배치한 후, 이 제5선별판(20e)의 상측에 제 4선별판(20d),제 3선별판(20c), 제2선별판(20b), 제 1선별판(20a) 을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케이스(2)의 하측 지지바(12)에 순차적으로 적치되는 제5선별판(20e), 제 4선별판(20d), 제 3선별판(20c), 제2선별판(20b), 제 1선별판(20a)은 각각의 보강프레임(22)들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별판(20a, 20b, 20c, 20d, 20e)들의 적치가 완료되면, 이들이 적치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2)의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 상측에 설치된 클램프(14)를 작동하여 상기 제 1선별판(20a)을 가압함으로서,선별부(6)의 셋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진동모터(M)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 진동모터(M)의 진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10) 이외의 부분 즉, 케이스(2), 선별부(6), 슈트부(8), 공급판(18) 등이 자체 진동을 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10)의 완충부재(30)에 의해 진동이 더욱 원활하게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태에서 공급부(4) 즉, 호퍼의 공간부(4a)에 선별을 위한 선별물품을 공급하게 되면, 이 호퍼에 공급된 선별물품이 배출구(4b)를 통한다음 진동에 의해 공급판(18)을 통해 선별부(6)의 제 1선별판(20a)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진동모터(M)는 상기 선별부(6)의 길이방향 즉, 공급측(I)및 배출측(O)으로 각각 관성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관성력은 공급측(I)보다 배출측(O)으로 더 크게 작용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모터(M)의 언밸런스 웨이트(U)를 셋팅함으로서, 선별물품이 순차적으로 공급측(I)에서 배출측(O)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 1선별판(20a)의 상측에 올려진 선별물품은 관성력에 의해 배출측(O)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선별판(20a)의 선별구(26a)에 의해 선별구(26a)보다 큰 선별물품은 선별구(26a)를 통과하지 못하고 관성에 의해 계속 배출측(O)으로 이동하여 슈트부(8)의 제1슈트(S1)를 통해 배출되며, 선별구(26a)보다 작은 선별물품은 선별구(26a)를 통과해서 제 2선별판(20b)에 낙하 하게되고, 이 제 2선별판(20b)에 낙하된 나머지 선별물품은 또다시 제 2선별판(20b)의 배출측(O)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선별판(20b)의 선별구(26b)에 의해 선별구(26b)보다 큰 선별물품은 선별구(26b)를 통과하지 못하고 관성에 의해 계속 배출측(O)으로 이동하여 슈트부(8)의 제2슈트(S2)를 통해 배출되며, 선별구(26b)보다 작은 선별물품은 선별구(26b)를 통과해서 제 3선별판(20c)에 낙하 하게 되는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3선별판(20c),제 4선별판(20d), 제 5선별판(20e)은 상기의 과정과 동일하게 선별물품을 선별한후 크기별로 분류된채로 제3슈트(S3), 제4슈트(S4), 제5슈트(S5)를 통하여 각각 배출되는데 이 슈트들의 낙하지점에 별도의 수집통(미도시)을 설치하여 수거하면 된다.
선별물품에 애초에 섞여있거나, 상기의 선별시 진동및 충격 등에 의해 발생한 미세조각 및 가루 등은 제5선별판(20e)을 통과하여 바닥에 낙하되는데 이는 바닥에 별도의 수집통(미도시)을 통해 수집하여 또 다른 용도로 활용하거나, 폐기처분하면 된다.
싱기의 실시예에서는 선별물품을 5가지 크기로 선별하는것을 일이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선별이 요구되는 선별물품의 종류나 크기에따라 이에 대응하는 선별구가 구비된 선별판 및 슈트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서, 더욱 다양한 종류나 크기별로 선별물품을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되는 대상의 형태를 고려할 때, 마른굴, 전복, 조개등과 같이 특별히 동전주화처럼 원형, 타원형, 혹은 장방형(長方形)등의 형상을 갖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선별물품 이어서 정밀한 선별을 하기가 어려운 선별물품을 효과적으로 선별함으로서 선별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선별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는 진동모터의 진동에 의해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더욱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으며, 연속적인 선별작업이 가능하여 선별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작업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진동수단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상호 층상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선별판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어 투입된 선별물품을 상기 선별판으로 낙하시키는 공급부와; 낙하한 상기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판들의 판면에 각각 관통형성된 선별구(26a, 26b, 26c, 26d)들이 타공되고, 이 선별구는 적어도 2개이상의 홈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안내구간(d1)과, 상기 2개이상의 홈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된 안내구간은 상기 공급부의 반대방향의 끝단부에서 상기 홈들이 서로 연결되는 연통구간(d2)을 갖는 선별공군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구간과 연통구간은 하측의 선별판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선별구(26a, 26b, 26c, 26d)들의 상기 연통구간(d2)은 양쪽 끝단부위(c1, c2)에 각을 주어 상기 안내구간(d1)의 폭(W1)은 점진적으로 상기 연통구간(d2)에 이르기까지 과다하게 더욱 커지는 부분이 없도록 하므로서,
    그 크기별로 선별될 수 있는 모든것 중 선별되는 대상의 형태를 고려할때 마른굴, 전복, 조개등과 같이 원형, 타원형, 혹은 장방형(長方形)등의 형상을 갖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선별물품을 선별 하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별기.
KR1020040016331A 2004-03-11 2004-03-11 선별기 KR20040027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331A KR20040027828A (ko) 2004-03-11 2004-03-11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331A KR20040027828A (ko) 2004-03-11 2004-03-11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828A true KR20040027828A (ko) 2004-04-01

Family

ID=3733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331A KR20040027828A (ko) 2004-03-11 2004-03-11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782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06B1 (ko) * 2004-11-18 2006-12-06 (주) 라이스산업 곡물선별기
KR101525477B1 (ko) * 2014-05-08 2015-06-03 조호현 전복 선별기
WO2016190603A1 (ko) * 2015-05-24 2016-12-01 김윤호 센서 컨베이어가 생략된 전자 중량선별기
KR20180068402A (ko) 2016-12-14 2018-06-22 한승우 바지락 세척선별기
KR102007781B1 (ko) * 2018-08-06 2019-08-06 조호현 가리비 선별기
CN115254623A (zh) * 2022-07-27 2022-11-01 哈尔滨工业大学重庆研究院 一种用于筛选竹笋粗细与长短的装置
KR102619694B1 (ko) * 2023-06-21 2024-01-02 최맹열 바렐 및 초음파를 이용한 피가공품 표면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가공품 표면처리방법
KR20240003173A (ko) 2022-06-30 2024-01-08 유에이치피 주식회사 진동 조절이 가능한 바지락 선별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306B1 (ko) * 2004-11-18 2006-12-06 (주) 라이스산업 곡물선별기
KR101525477B1 (ko) * 2014-05-08 2015-06-03 조호현 전복 선별기
WO2016190603A1 (ko) * 2015-05-24 2016-12-01 김윤호 센서 컨베이어가 생략된 전자 중량선별기
KR20180068402A (ko) 2016-12-14 2018-06-22 한승우 바지락 세척선별기
KR102007781B1 (ko) * 2018-08-06 2019-08-06 조호현 가리비 선별기
KR20240003173A (ko) 2022-06-30 2024-01-08 유에이치피 주식회사 진동 조절이 가능한 바지락 선별장치
CN115254623A (zh) * 2022-07-27 2022-11-01 哈尔滨工业大学重庆研究院 一种用于筛选竹笋粗细与长短的装置
CN115254623B (zh) * 2022-07-27 2023-08-08 哈尔滨工业大学重庆研究院 一种用于筛选竹笋粗细与长短的装置
KR102619694B1 (ko) * 2023-06-21 2024-01-02 최맹열 바렐 및 초음파를 이용한 피가공품 표면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가공품 표면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104B1 (ko) 곡물 선별 장치
JP4601236B2 (ja) 穀物の選別システム
US20100012556A1 (en) Rotating screen material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KR20130057565A (ko) 크기별 조개선별장치
AU2007351238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orting mineral
JPS61501687A (ja) ふるい装置
CN209476806U (zh) 新型矿石筛分装置
RU21623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сеивания зер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050028732A (ko) 선별기
KR20040027828A (ko) 선별기
KR101786946B1 (ko)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JP4716502B2 (ja) 振動式エアー選別機
KR101372912B1 (ko) 알루미늄 그래뉼 입도 및 정전선별장치
CN209901694U (zh) 一种振动分级筛
KR200344818Y1 (ko) 쇄석 선별장치
KR20200117801A (ko) 선별공에 박힌 멸치를 과도한 진동으로 제거하는 멸치선별장치
KR100455514B1 (ko) 선별기
CN115193697A (zh) 大豆筛选用自动筛分装置及方法
KR200257477Y1 (ko) 건멸치의 선별장치
KR20030024761A (ko) 건멸치에 포함 되어있는 건새우의 선별장치
KR100387666B1 (ko) 건멸치의 선별장치
CN210045577U (zh) 一种固体垃圾分拣机装置
KR200468274Y1 (ko)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KR100756341B1 (ko) 트롬멜장치
KR100485612B1 (ko) 진동방식 마늘쪽 선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