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402A - 바지락 세척선별기 - Google Patents

바지락 세척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402A
KR20180068402A KR1020160170025A KR20160170025A KR20180068402A KR 20180068402 A KR20180068402 A KR 20180068402A KR 1020160170025 A KR1020160170025 A KR 1020160170025A KR 20160170025 A KR20160170025 A KR 20160170025A KR 20180068402 A KR20180068402 A KR 20180068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sorting
cleaning
cl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우
이영은
이승재
김은숙
문동해
Original Assignee
한승우
이승재
김은숙
이영은
문동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우, 이승재, 김은숙, 이영은, 문동해 filed Critical 한승우
Priority to KR102016017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402A/ko
Publication of KR2018006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1Cleaning operations on shellfish, e.g. evisceration, br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3/042Cleaning travelling work the loose articles or bulk material travelling gradually through a drum or other container, e.g. by helix or gravity

Abstract

본 발명은 바지락을 세척하고 선별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개방된 상부와, 좌우측면부와, 경사진 후면부와, 개폐가능한 전면부를 포함하고, 개방된 하부에 회전구동될 수 있는 다수의 브러쉬 롤러를 구비한 제1 세척부; 상기 전면부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를 통해 배출된 1차 세척된 바지락을 이송하는 연결이송부; 상기 연결이송부를 통해 상기 1차 세척된 바지락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투입된 바지락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중의 바지락을 세척시키는 제2 세척부와, 소정 크기 이하의 바지락을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선별부와, 낙하된 바지락을 이동시키는 하측이송부와, 낙하되지 않은 나머지 바지락을 배출시키는 선별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척선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지락 세척선별기{Apparatus for Cleaning and Sorting Manila Clam}
본 발명은 패각류의 세척과 선별에 사용될 수 있는 세척선별기로서, 그 중에서도 특히 바지락의 세척과 선별에 사용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바지락은 진판새목 백합과의 연체동물로, 국물을 내는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패류로 알려져 있는 바지락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 위하여 양식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어패류 중 하나이며, 이동하지 않고 한 곳에 머물러 사는 특성이 있어 양식이 비교적 쉬운 편에 속해 어민의 주 소득원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바지락은 수심 10미터 안팎의 얕은 바다에 살고, 주로 모래와 펄이 섞인 갯벌에 많이 분포하므로, 채취 직후의 바지락은 표면에 진흙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많이 부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채취한 바지락을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해 손질하는 상품화 과정에서는 바지락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여타 농수산물과 마찬가지로 크기에 따라 판매단가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크기별로 분류하여 선별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종래 바지락 세척과 크기별 선별은 수작업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았으나, 다량으로 바지락 양식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기계를 활용한 세척과 선별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바지락을 비롯한 조개류의 세척기로는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브러쉬 위에 조개를 투입하고 물을 뿌려서 세척하는 방식이 공개특허 제10-2012-0103179호 ‘조개세척기’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107455호(2016.09.19. 공개) ‘생조개 자동세척 및 크기별 선별장치’에는 회전하는 원통 속에서 고압의 물을 살수하여 바지락 등 조개류를 세척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상품화를 위한 과정으로서, 바지락 등 조개류를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장치로는, 다수의 타공홀을 가지는 원통형 분류통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타공홀을 통해 작은 조개들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등록특허 제10-1553976호(2015.09.17. 공고) ‘패류 종패 선별기’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591호(2012.12.14. 공개) ’꼬막 선별기 회전드럼‘에 개시된 꼬막 선별기는 타공홀이 구비된 원통 대신에 사각봉으로 구성된 원통을 이용하여 선별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공개특허 제10-2004-0027828호(2004.04.01. 공개) ‘선별기’에 개시된 것처럼 다단으로 구비된 다수의 선별판을 통해 크기별로 조개 등의 패각류를 선별할 수 있는 선별기도 볼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세척기와 선별기는 세척기와 선별기가 별도로 구비되어, 세척 후에 다시 선별기로 이동하여 세척된 조개를 토입하여 선별해야 한다거나, 세척기와 선별기가 통합된 형태이지만, 구조상 세척이 충분히 이뤄지지 못한다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2-0103179호(2012.09.19. 공개) ‘조개세척기’ 공개특허 제10-2016-0107455호(2016.09.19. 공개) ‘생조개 자동세척 및 크기별 선별장치’ 등록특허 제10-1553976호(2015.09.17. 공고) ‘패류 종패 선별기’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591호(2012.12.14. 공개) ‘꼬막 선별기 회전드럼’ 공개특허 제10-2004-0027828호(2004.04.01. 공개) ‘선별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는, 세척과정과 선별과정이 통합되어 중간에 바지락을 이송할 필요없이 한 자리에서 충분한 세척과 선별이 이뤄질 수 있는 바지락 세척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단계에 걸친 세척이 이뤄짐으로써 바지락이 충분히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을 세척하고 선별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는, 개방된 상부와, 좌우측면부와, 경사진 후면부와, 개폐가능한 전면부를 포함하고, 개방된 하부에 회전구동될 수 있는 다수의 브러쉬 롤러를 구비한 제1 세척부; 상기 전면부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를 통해 배출된 1차 세척된 바지락을 이송하는 연결이송부; 상기 연결이송부를 통해 상기 1차 세척된 바지락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투입된 바지락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중의 바지락을 세척시키는 제2 세척부와, 소정 크기 이하의 바지락을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선별부와, 낙하된 바지락을 이동시키는 하측이송부와, 낙하되지 않은 나머지 바지락을 배출시키는 선별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척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세척부의 상기 다수의 브러쉬 롤러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바지락을 상기 전면부로 이송시키는 방향인 정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인 역방향 중에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제1 세척부의 내측 상부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선별부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구비된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세척선별부 내측에 나사산 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리브이고, 상기 제2 세척부는, 상기 세척선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세척선별부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고, 하측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된 물분사노즐을 일정 간격으로 구비한 파이프이며, 상기 투입구 및 선별배출부 외측에서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별부는 상기 다수의 관통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이송부는 상기 제1 세척부의 전면부로부터 상기 세척선별부의 투입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된 경사면이고, 상기 하측이송부는 상기 선별부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선별배출부의 좌우 중 일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된 경사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선별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배열된 두 개의 원통형 몸체를 포함하고, 두 개의 원통형 몸체 중에서 투입구를 포함하는 투입구 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이 선별배출부를 포함하는 선별배출부 몸체에 형성된 관통홀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별배출부에서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일정 간격을 두고 둘 이상 구비된 안정구동휠과, 원주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원주홈을 상기 안정구동휠과 동일 개수만큼 구비하고, 상기 선별배출부의 하부 좌우측에서 상기 안정구동휠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세척선별부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일정 간격을 두고 둘 이상 구비된 몸체휠과, 원주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원주홈을 상기 몸체휠과 동일 개수만큼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의 하부 좌우측에서 상기 몸체휠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구비된 구동부휠;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휠 중 하나는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어 구동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구동부휠을 선별배출부의 좌우측 중 동일측에 위치한 상기 보조휠과 연결시켜서, 상기 동일측 보조휠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동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지락 세척선별기에 의하면, 바지락이 2단계에 걸쳐 세척되므로, 바지락에 충분히 세척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지락 선별공정과 2차 세척공정이 하나로 통합되어 1차 세척공정 직후에 배치됨으로써, 바지락이 충분히 세척되는 동시에 바지락의 선별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제1 세척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측면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투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일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구동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선별배출부 부근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식별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세척부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측면투시도이고, 도 4는 투시사시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일실시예의 내부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는, 바지락 등 패류를 세척하고 선별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 세척부(100)와, 2차 세척부(230)를 포함하는 세척선별부(200)와, 상기 제1 세척부(100) 및 세척선별부(200) 사이에 배치된 연결이송부(19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세척부(100)는 개방된 상부(110)와, 좌우측면 벽체를 형성하는 좌우측면부(120)와, 후면 백체를 형성하는 경사진 후면부(130)와, 전면 벽체를 형성하는 동시에 개폐가능한 전면부(140)를 포함한다.
전면부(140)는 바지락을 세척할 때에는 폐쇄되고, 세척된 바지락을 후술하는 연결이송부(199)로 배출할 때에는 개방된다. 전면부(140)는 제1 세척부(100)의 내측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제1 세척부(100)의 외측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세척중인 바지락이 전면부(140)를 강제로 개방하고 배출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전면부(140)는 제1 세척부(100)의 내측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면부(140)의 개폐동작은 제1 세척부(10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된 개폐레버(180)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폐레버(180)는 전면부(140)의 가장자리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전면부(140) 부근의 상부(110) 가장자리 일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전면부(140)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나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스위치(도시되지 않음) 조작으로써 전면부(140)의 개폐가 가능할 것이다.
제1 세척부(100)는 또한, 개방된 하부에 구비되며 롤러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구동될 수 있는 다수의 브러쉬 롤러(150)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브러쉬 롤러(150)는 4개가 구비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상기 브러쉬 롤러(150)는 세척중인 바지락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질은 하측으로 낙하하되 바지락은 낙하하지 않도록, 제1 세척부(100)의 개방된 하부를 거의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브러쉬 롤러(150)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지락을 세척할 때에는 바지락을 상기 전면부(140)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고(이 방향을 ‘정방향’이라 함) 또는 그 반대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바지락 세척시, 바지락이 충분히 세척될 수 있도록, 브러쉬 롤러(150)를 정방향과 역방향 회전을 혼합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브러쉬 롤러(150)의 양방향 교차작동은 수동으로 브러쉬 롤러(150)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켜서 할 수도 있고, PLC(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에 의해 미리 결정된 방향별 작동시간과 작동순서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세척부(100)의 외부 일측에 방향전환레버(170)가 구비되어 있다. 방향전환레버는, 정방향-정지-역방향의 세 위치 사이에서 전환가능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별도의 전원스위치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는 정방향-역방향의 두 위치간에만 전환되도록 작동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브러쉬 롤러(150)는 양방향 작동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브러쉬 롤러(150)는 모두 수평으로 또는 수평에 가까운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브러쉬 롤러(150)가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면, 경사를 거스르는 방향으로 브러쉬 롤러(150)를 작동시키는 때에, 중력의 영향으로 바지락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어 세척효과가 미미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1 세척부(100)는 물을 따로 분사하지 않고 브러쉬 롤러(150)의 회전력만으로 바지락을 세척하는 건식세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물분사부(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구비하여 바지락에 물을 분사하면서 동시에 브러쉬 롤러(150)에 의한 세척을 수행하는 습식세척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세척부(100)에서 바지락의 1차 세척이 완료된 때에는 전면부(140)를 개방하여 세척이 완료된 바지락을 배출한다. 전면부(140)를 통하여 배출된 바지락은 전면부(140) 외측에 구비된 연결이송부(199)를 통하여 후술하는 세척선별부(200)로 이송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이송부(199)는 제1 세척부(100)의 전면부(140)로부터 후술하는 세척선별부(200)의 투입구(21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된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면부(140)를 통해 배출된 1차 세척된 바지락은 브러쉬 롤러(150)가 바지락을 밀어내는 힘과 경사면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상기 투입구(210)를 향해 이송되게 된다. 이와 달리 연결이송부(199)는 컨베이어벨트(도시되지 않음) 등의 능동적인 이송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세척선별부(200)는 투입구(210), 이송부(220), 제2 세척부(230), 선별부(240), 하측이송부(250) 및 선별배출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세척선별부(200)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201)로 형성되고(도 5 참조), 일측에 구비된 구동부(290)에 의하여 회전구동될 수 있다.
투입구(210)는 제1 세척부(100)를 통해 1차 세척된 바지락이 상기 연결이송부(199)를 거쳐 세척선별부(200)로 투입되는 곳이다. 상기 연결이송부(199)로부터 상기 투입구(210)로 투입되는 바지락이 투입구(210) 내로 투입되지 못하고 세척선별부(200) 외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이송부(199)는 상기 투입구(210) 내측으로 다소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송부(220)는 투입구(210)를 통해 투입된 바지락을 후술하는 선별배출부(260)까지 이송시키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송부(220)는 세척선별부(200) 내측에 나사산 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리브(rib)이다. 나사산 형상의 리브는 세척선별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원통형 몸체(201) 내로 투입된 바지락을 선별배출부(260)를 향하여 이송시키게 된다. 즉, 바지락은 세척선별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세척선별부(200)의 원통형 몸체(201)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선별배출부(260)를 향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송부(220)에 의해 투입구(210)로부터 선별배출부(260)를 향해 이송중인 바지락을 세척하기 위한 제2 세척부(230)가 상기 원통형 몸체(201)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세척부(230)는, 세척선별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척선별부(20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파이프이다. 파이프에는 하측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물분사노즐(233)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하측에 위치한 바지락을 세척하게 된다.
사실 세척선별부(200) 내에서의 바지락 세척은 제2 세척부(230)에 의해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즉, 세척선별부(200)가 회전하면 바지락이 원통형 몸체(201)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내주면에 부딪히거나 마찰되거나 또는 바지락들끼리 부딪히거나 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바지락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이 바지락 표면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는 제1 세척부(100)에서의 건식세척과 유사하다.
여기에 제2 세척부(230)의 물분사노즐(233)로부터 물을 분사하게 되면, 바지락 표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이 씻겨져서 원통형 몸체(201) 외부로 배출되거나, 바지락 표면에 느슨하게 붙어 있던 이물질이 제거되어 원통형 몸체(201)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하게 될 것이다. 이는 제1 세척부(100)에서의 습식세척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세척선별부(200)에서는 바지락에 대하여 건식세척과 습식세척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2 세척부(230)를 구성하는 파이프는 상기 투입구(210) 및 선별배출부(260) 외측에서 각각 양단이 지지되어 제2 세척부(230)가 상기 원통형 몸체(201)나 이송부(220) 등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제2 세척부(230)의 일단부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밀폐된다.
세척선별부(200)의 원통형 몸체(201)에는 소정 크기 이하의 바지락을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선별부(240)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선별부(240)는 상기 원통형 몸체(20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이다. 관통홀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지락 세척선별기는 바지락 외의 다른 패류 또는 패각류의 세척과 선별에도 활용될 수 있으므로, 주로 사용하고자 하는 패류의 종류에 따라서 원형이나 타원형 중에 선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원형이나 타원형이 아닌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선별부(240)에서 하측으로 낙하된 소정 크기 이하의 바지락은 선별부(240)의 하측, 즉 상기 원통형 몸체(201)의 하측에 위치된 하측이송부(250)로 낙하하게 된다. 하측이송부(250)는 낙하하는 바지락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다량의 바지락을 연속적으로 선별하기 위해서는 하측이송부(250)는 상기 선별배출부(200)의 좌우 중 일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이송부(250)의 경사면 하측에는 낙하하는 바지락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도시되지 않음)가 비치될 수 있고, 이러한 용기는 바지락이 다 찬 경우에 쉽게 빈 용기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선별부(240)를 통해 낙하하지 않은 나머지 바지락, 즉 일정 크기 이상의 바지락은 세척선별부(200)에서 투입구(210)의 반대측에 위치된 선별배출부(260)를 통해 배출된다. 선별배출부(260)는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배출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배출부(263)의 하측에는 경사배출부(263)를 통해 배출되는 바지락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선별부(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배열된 두 개의 원통형 몸체(20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원통형 몸체(201) 중에서 투입구를 포함하는 투입구 몸체(201a)에 형성된 관통홀을 선별배출부를 포함하는 선별배출부 몸체(201b)에 형성된 관통홀보다 더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바지락이 투입구 몸체(201a)를 통과하는 동안에 투입구 몸체(201a)에 형성된 관통홀보다 작은 사이즈의 바지락은 하측이송부(250)로 낙하하게 되고, 그보다 큰 사이즈의 바지락은 계속하여 선별배출부 몸체(201b)로 이송된다.
선별배출부 몸체(201b)를 통과하는 동안에 선별배출부 몸체(201b)에 형성된 관통홀보다 작은 사이즈의 바지락이 다시 하측이송부(250)로 낙하하게 된다. 투입구 몸체(201a) 하측의 하측이송부(250)와 선별배출부 몸체(201b) 하측의 하측이송부(250)는 상호 분리된 별도의 부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투입구 몸체(201a) 통과시에 1차 선별된 제일 작은 사이즈 그룹의 바지락과, 선별배출부 몸체(201b) 통과시에 2차 선별된 중간 사이즈 그룹의 바지락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별배출부 몸체(201b) 통과시에도 낙하하지 않은 제일 큰 사이즈 그룹의 바지락은 선별배출부(260)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의 바지락 세척선별기에 의해서 바지락을 3가지 사이즈 그룹으로 선별할 수 있다. 세척선별부(200)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배열된 세 개의 원통형 몸체(201)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바지락을 4가지 사이즈 그룹으로 선별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제1 세척부(100)는 제1 지지프레임(300) 위에 올려져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300)은 다수의 제1 이동바퀴(310)를 하단부에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제1 세척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세척선별부(200) 역시 제2 지지프레임(400) 위에 올려져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400)에는 다수의 제2 이동바퀴(410)가 하단부에 구비되어, 세척선별부(200)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세척선별부(200)의 원통형 몸체(201)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400) 위에 올려지는 반면, 하측이송부(250)는 제2 지지프레임(400) 내측으로 위치하게 될 것이며, 따라서 하측이송부(2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지지프레임(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세척부(100)와 세척선별부(200)는 각각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 바지락과 같이 1차 세척과 2차 세척이 필요하지 아니하고 한 번의 세척만으로도 충분한 패각류의 세척과 선별에 본 발명의 세척선별기를 활용할 경우에는 세척선별부(200)만을 분리하여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지지프레임(400)의 상부 일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부(290)에 연결된 구동부휠(283)과, 선택적으로 구동부(290)에 연결될 수 있는 보조휠(273)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구동에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구동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선별배출부 부근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세척선별부(200)의 원통형 몸체(20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원형 고리모양의 몸체휠(281)이 투입구(210)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몸체휠(281)은 일정 간격을 두고 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프레임(400)의 상부, 즉 상기 투입구(210)의 하부 좌우측에는 한 쌍의 구동부휠(28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부휠(283)은 원주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원주홈(283a)을 상기 몸체휠(281)과 동일 개수만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휠(281)이 상기 한 쌍의 구동부휠(283)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지지프레임(400) 위에 세척선별부(200)가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구동부휠(283) 중 하나는 구동부(290)와 결합되어 구동부(29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구동부(290)로는 전기모터, 유압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부(290)의 회전출력축이 한 쌍의 구동부휠(283) 중 하나와 결합되어 구동부휠(283)을 회전시키고, 구동부휠(283)이 회전함에 따라 구동부휠(283)과 맞물려 있는 몸체휠(281) 및 다른 하나의 구동부휠(283)도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세척선별부(200)가 회전하게 된다.
세척선별부(2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부휠(283)과 몸체휠(281)을 구비하는 것에 더하여, 선별배출부(260) 측에도 원통형 몸체(201)를 지지하는 지지구조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따라, 세척선별부(200)의 원통형 몸체(20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원형 고리모양의 안정구동휠(271)이 선별배출부(260) 외측에 또한 구비된다. 안정구동휠(271)도 일정 간격을 두고 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프레임(400)의 상부에서 상기 선별배출부(260)의 하부 좌우측에는 한 쌍의 보조휠(27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보조휠(273)은 원주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원주홈(273a)을 상기 안정구동휠(271)과 동일 개수만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정구동휠(271)이 상기 한 쌍의 보조휠(273)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지지프레임(400) 위에 세척선별부(200)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구동부(290)가 구동부휠(283)을 회전시키게 되면 몸체휠(281)이 회전하면서 세척선별부(200)의 원통형 몸체(201)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선별배출부(260) 측에 위치한 안정구동휠(271)도 회전하게 되며, 안정구동휠(271)과 맞물린 한 쌍의 보조휠(273) 역시 따라서 회전하면서 안정구동휠(27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보조휠(273)은 상기 세척선별부(20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보조휠(273)은 고리모양의 돌출부인 안정구동휠(271)과 원주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원주홈(273a)이 맞물림으로써, 상기 세척선별부(200)가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한 쌍의 보조휠(273) 중 하나는 상기 구동부(290)에 결합된 구동부휠(283)과 연결구동축(295)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290)와 결합되는 구동부휠(283)을 연결구동축(295)을 통해 선별배출부(260)의 좌우측 중 동일측에 위치한 상기 보조휠(273)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동일측 보조휠이 상기 구동부(290)에 의해 직접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몸체휠(281)과 안정구동휠(271)은 세척선별부(200)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각각 투입구(210)와 선별배출부(260)를 통해 세척선별부(200)의 동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진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강철이나 강철계 합금 등의 금속제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구동부휠(283)과 보조휠(273)은 상기 몸체휠(281)이나 안정구동휠(271)과 동일하게 금속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진동을 제어하고 억제하는 제진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수 플라스틱이나 압축고무 등의 고강도 탄성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구동부휠(283), 특히 구동부(290)와 축결합되는 구동부휠(283)은 원주홈(283a)를 형성하지 않고 단순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탄성소재라는 소재 특성상 몸체휠(281)과의 마찰력이 금속제 소재일 때보다 증가되므로, 구동부휠(283)에 굳이 원주홈(283a)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세척선별부(200)의 회전구동에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세척선별부(200)가 투입구 몸체(201a)와 선별배출부 몸체(201b)의 두 개의 원통형 몸체(201)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투입구 몸체(201a)와 선별배출부 몸체(201b)의 연결부위에 상기 안정구동휠(271) 및 보조휠(273)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기다란 원통형 몸체(201)를 과도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원통형 몸체(201)가 셋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과도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통형 몸체(201)가 둘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어지지 않는 경우라도 그 길이가 길어서 과도한 처짐이 염려되는 때에는 상기와 같이 안정구동휠(271) 및 보조휠(273)을 추가로 구비하여 원통형 몸체(2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세척선별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하기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제1 세척부 110 : 상부
120 : 좌우측면부 130 : 후면부
140 : 전면부 150 : 브러쉬 롤러
199 : 연결이송부
200 : 세척선별부 210 : 투입구
220 : 이송부 230 : 제2 세척부
240 : 선별부 250 : 하측이송부
260 : 선별배출부 271 : 안정구동휠
273 : 보조휠 281 : 몸체휠
283 : 구동부휠 290 : 구동부
295 : 연결구동축
300 : 제1 지지프레임 310 제1 이동바퀴
400 : 제2 지지프레임 410 제2 이동바퀴

Claims (8)

  1. 바지락을 세척하고 선별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에 있어서,
    개방된 상부(110)와, 좌우측면부(120)와, 경사진 후면부(130)와, 개폐가능한 전면부(140)를 포함하고, 개방된 하부에 회전구동될 수 있는 다수의 브러쉬 롤러(150)를 구비한 제1 세척부(100);
    상기 전면부(140)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140)를 통해 배출된 1차 세척된 바지락을 이송하는 연결이송부(199);
    상기 연결이송부(199)를 통해 상기 1차 세척된 바지락이 투입되는 투입구(210)와, 투입된 바지락을 이송시키는 이송부(220)와, 이송중의 바지락을 세척시키는 제2 세척부(230)와, 소정 크기 이하의 바지락을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선별부(240)와, 낙하된 바지락을 이동시키는 하측이송부(250)와, 낙하되지 않은 나머지 바지락을 배출시키는 선별배출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척선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부(100)의 상기 다수의 브러쉬 롤러(150)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바지락을 상기 전면부(140)로 이송시키는 방향인 정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인 역방향 중에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전면부(140)는 상기 제1 세척부(100)의 내측 상부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선별부(200)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201)로 형성되고, 일측에 구비된 구동부(290)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며,
    상기 이송부(220)는 상기 세척선별부(200) 내측에 나사산 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리브이고,
    상기 제2 세척부(230)는, 상기 세척선별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세척선별부(20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고, 하측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된 물분사노즐(233)을 일정 간격으로 구비한 파이프이며, 상기 투입구 및 선별배출부 외측에서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별부(240)는 상기 다수의 관통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이송부(199)는 상기 제1 세척부(100)의 전면부(140)로부터 상기 세척선별부(200)의 투입구(21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된 경사면이고,
    상기 하측이송부(250)는 상기 선별부(240)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선별배출부(200)의 좌우 중 일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된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선별부(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배열된 두 개의 원통형 몸체(201)를 포함하고,
    두 개의 원통형 몸체 중에서 투입구를 포함하는 투입구 몸체(201a)에 형성된 관통홀이 선별배출부를 포함하는 선별배출부 몸체(201b)에 형성된 관통홀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배출부(260)에서 상기 원통형 몸체(20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일정 간격을 두고 둘 이상 구비된 안정구동휠(271)과,
    원주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원주홈(273a)을 상기 안정구동휠(271)과 동일 개수만큼 구비하고, 상기 선별배출부(260)의 하부 좌우측에서 상기 안정구동휠(271)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세척선별부(20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휠(27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210)에서 상기 원통형 몸체(20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일정 간격을 두고 둘 이상 구비된 몸체휠(281)과,
    원주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원주홈(283a)을 상기 몸체휠(281)과 동일 개수만큼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210)의 하부 좌우측에서 상기 몸체휠(281)과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구비된 구동부휠(283);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휠 중 하나는 상기 구동부(290)와 결합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90)와 결합되는 구동부휠(283)을 선별배출부(260)의 좌우측 중 동일측에 위치한 상기 보조휠(273)과 연결시켜서, 상기 동일측 보조휠이 상기 구동부(29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동축(29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세척선별기.
KR1020160170025A 2016-12-14 2016-12-14 바지락 세척선별기 KR20180068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025A KR20180068402A (ko) 2016-12-14 2016-12-14 바지락 세척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025A KR20180068402A (ko) 2016-12-14 2016-12-14 바지락 세척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402A true KR20180068402A (ko) 2018-06-22

Family

ID=6276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025A KR20180068402A (ko) 2016-12-14 2016-12-14 바지락 세척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40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963A (zh) * 2018-09-11 2018-12-18 浙江海洋大学 一种鲍鱼清洗机
CN110200055A (zh) * 2019-07-05 2019-09-06 柳州乐豆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螺狮清洗筛选装置
CN110252724A (zh) * 2019-07-29 2019-09-20 林美丽 一种水产品清洗筛分装置
KR102207748B1 (ko) * 2020-10-26 2021-01-26 박용진 등에 유충과 분변토를 자동으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
KR20210014905A (ko) *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젓갈용 해산물 선별장치
KR102385621B1 (ko) 2021-05-10 2022-04-15 주식회사 가화바이오 김사상체 잠입용 굴패각 이물질 제거 및 세척장치
KR20220076110A (ko) * 2020-11-30 2022-06-08 의 태 박 오브젝트의 필터링 기능이 구비된 선택적 이물 타케팅 세척 시스템
CN114680161A (zh) * 2022-04-22 2022-07-01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渔获物样品便携式分拣装置
CN116171912A (zh) * 2023-02-21 2023-05-30 江苏海洋大学 一种青蛤稚贝清洗、分档装置
KR102578005B1 (ko) * 2023-02-16 2023-09-13 박진희 패각을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828A (ko) 2004-03-11 2004-04-01 김윤호 선별기
KR20120103179A (ko) 2011-03-10 2012-09-19 이정호 조개세척기
KR20120008591U (ko) 2011-06-06 2012-12-14 김정명 꼬막 선별기 회전드럼
KR101553976B1 (ko) 2015-02-26 2015-09-17 대한민국 패류 종패 선별기
KR20160107455A (ko)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제토이앤씨 생조개 자동세척 및 크기별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828A (ko) 2004-03-11 2004-04-01 김윤호 선별기
KR20120103179A (ko) 2011-03-10 2012-09-19 이정호 조개세척기
KR20120008591U (ko) 2011-06-06 2012-12-14 김정명 꼬막 선별기 회전드럼
KR101553976B1 (ko) 2015-02-26 2015-09-17 대한민국 패류 종패 선별기
KR20160107455A (ko)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제토이앤씨 생조개 자동세척 및 크기별 선별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963A (zh) * 2018-09-11 2018-12-18 浙江海洋大学 一种鲍鱼清洗机
CN109006963B (zh) * 2018-09-11 2021-06-22 浙江海洋大学 一种鲍鱼清洗机
CN110200055A (zh) * 2019-07-05 2019-09-06 柳州乐豆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螺狮清洗筛选装置
CN110252724B (zh) * 2019-07-29 2020-10-13 林美丽 一种水产品清洗筛分装置
CN110252724A (zh) * 2019-07-29 2019-09-20 林美丽 一种水产品清洗筛分装置
KR20210014905A (ko) *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젓갈용 해산물 선별장치
KR102207748B1 (ko) * 2020-10-26 2021-01-26 박용진 등에 유충과 분변토를 자동으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
KR20220076110A (ko) * 2020-11-30 2022-06-08 의 태 박 오브젝트의 필터링 기능이 구비된 선택적 이물 타케팅 세척 시스템
KR102385621B1 (ko) 2021-05-10 2022-04-15 주식회사 가화바이오 김사상체 잠입용 굴패각 이물질 제거 및 세척장치
CN114680161A (zh) * 2022-04-22 2022-07-01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渔获物样品便携式分拣装置
KR102578005B1 (ko) * 2023-02-16 2023-09-13 박진희 패각을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CN116171912A (zh) * 2023-02-21 2023-05-30 江苏海洋大学 一种青蛤稚贝清洗、分档装置
CN116171912B (zh) * 2023-02-21 2023-08-18 江苏海洋大学 一种青蛤稚贝清洗、分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8402A (ko) 바지락 세척선별기
JP3168587U (ja) 袋詰めゴミ処理装置
KR101928542B1 (ko) 홍합의 세척, 분리 및 선별장치
KR101545165B1 (ko)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CN206150132U (zh) 一种喂料器
KR100712360B1 (ko) 진동선별기용 스크린 클린장치
US4538327A (en) Separating and cleaning device for shellfish
CN109042825B (zh) 一种贻贝加工系统
US201601433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produce
KR20140018061A (ko) 곡물세척장치
CN109042822B (zh) 一种贻贝加工方法
CN205628163U (zh) 一种防筛网堵塞的球磨设备
CN207821031U (zh) 一种智能辣椒干洗机
CN109006964B (zh) 揉搓装置
KR101676167B1 (ko)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CN108935618B (zh) 开口张开装置
KR20200049692A (ko) 바지락 선별장치
CN108782725B (zh) 去毛装置
CN210203149U (zh) 一种用于蚬类的处理装置的筛拣输送机构
EP2011407A2 (en) Refining method and refining device for separating unnecessary matters from articles
CN207857325U (zh) 螺旋分级筛选机
KR200427517Y1 (ko)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CN104996557A (zh) 坚果灭菌筛选方法及其生产系统
CA2684270A1 (en) Particle separator and system for sorting particles of matter from a mixture
KR101728226B1 (ko) 팥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