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692A - 바지락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바지락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692A
KR20200049692A KR1020190138226A KR20190138226A KR20200049692A KR 20200049692 A KR20200049692 A KR 20200049692A KR 1020190138226 A KR1020190138226 A KR 1020190138226A KR 20190138226 A KR20190138226 A KR 20190138226A KR 20200049692 A KR20200049692 A KR 20200049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clams
tray
unit
transpor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중
김종욱
Original Assignee
(주)죽암엠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죽암엠앤씨 filed Critical (주)죽암엠앤씨
Publication of KR2020004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65Apparatus for grading or sorting using divergent conveyor bel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6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 B07C5/065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with multiple measuring appliances adjusted according to different standards, for example length or thickness, which detect the shape of an object so that if it conforms to the standard set by the measuring appliance, it is removed from the conveyor, e.g. by means of a number of differently calibrated open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지락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취된 바지락을 크기별로 자동 선별할 수 있는 바지락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는 채취된 대량의 바지락을 세척과 동시에 일정 크기의 양질만 손쉽게 선별하여 작업 능률도 향상시키고 농어촌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며, 선별 작업을 수회 반복을 하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크기에 따른 바지락을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는 바지락의 세척과정과 선별과정이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중간에 바지락을 선별기에 따라 이송할 필요없이 한자리에서 충분한 세척과 효율적인 선별이 이뤄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는 이물질 배출유닛을 통해 선별 과정 이전에 채취대상 바지락 이외의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선별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선별 작업이 불필요하고, 다단으로 구성된 선별유닛을 통해 바지락을 크기별로 자동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바지락 선별장치{Apparatus for sorting manila clam}
본 발명은 바지락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채취된 바지락을 크기별로 자동 선별할 수 있는 바지락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지락은 백합과의 조개로 국물을 내는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패류로 알려져 있는 바지락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 위하여 양식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어패류 중 하나이며, 이동하지 않고 머물러 사는 특성이 있어 양식이 비교적 쉬운 편에 속해 어민의 주 소득원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바지락은 수심 10미터 안팎의 얕은 바다에 살고, 주로 모래와 펄이 섞인 갯벌에 많이 분포하므로, 채취 직후의 바지락은 표면에 진흙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많이 부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채취한 바지락을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위해 손질하는 상품화 과정에서는 바지락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여타 농수산물과 마찬가지로 크기에 따라 판매단가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크기별로 분류하여 선별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종래 바지락 세척과 크기별 선별은 수작업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았으나, 다량으로 바지락 양식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기계를 활용한 세척과 선별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바지락을 비롯한 조개류의 세척기로는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 브러시 위에 조개를 투입하고 물을 뿌려서 세척하는 방식이 공개특허 제10-2012-0103179호 ‘조개세척기’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107455호(2016.09.19. 공개) ‘생조개 자동세척 및 크기별 선별장치’에는 회전하는 원통 속에서 고압의 물을 살수하여 바지락 등 조개류를 세척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상품화를 위한 과정으로서, 바지락 등 조개류를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장치로는, 다수의 타공홀을 가지는 원통형 분류통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타공홀을 통해 작은 조개들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등록특허 제10-1553976호(2015.09.17. 공고) ‘패류 종패 선별기’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591호(2012.12.14. 공개) ’꼬막 선별기 회전드럼‘에 개시된 꼬막 선별기는 타공홀이 구비된 원통 대신에 사각봉으로 구성된 원통을 이용하여 선별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공개특허 제10-2004-0027828호(2004.04.01. 공개) ‘선별기’에 개시된 것처럼 다단으로 구비된 다수의 선별판을 통해 크기별로 조개 등의 패각류를 선별할 수 있는 선별기도 볼 수 있다.
종래의 세척기와 선별기는 세척기와 선별기가 별도로 구비되어, 세척 후에 다시 선별기로 이동하여 세척된 조개를 토입하여 선별해야 한다거나, 세척기와 선별기가 통합된 형태이지만, 구조상 세척이 충분히 이뤄지지 못한다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2-0103179호 공개특허 제10-2016-0107455호 등록특허 제10-15539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량의 바지락을 세척과 동시에 일정 크기의 양질만 손쉽게 선별하여 작업 능률도 향상시키고 농어촌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며, 선별 작업을 수회 반복을 하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크기에 따른 바지락을 선별할 수 있는 바지락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지락의 세척과정과 선별과정이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중간에 바지락을 선별기에 따라 이송할 필요없이 한자리에서 충분한 세척과 효율적인 선별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바지락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는 갯벌 상에서 주행 가능한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일 측에 설치되어 갯벌에서 채취된 바지락을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되어 갯벌 속의 바지락을 채취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전달하는 채취유닛과;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보다 큰 부피를 갖는 채취대상 바지락 이외의 이물질을 상기 이송컨베이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유닛과;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바지락을 전달받아 바지락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배출유닛은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재와, 상기 롤러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롤러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이물질에 간섭되어 이물질을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복수의 간섭돌기를 포함하는 회전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배출유닛은 상기 회전롤러부와 인접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부에 의해 상기 이송컨베이어 외부로 인출된 이물질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측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물질의 배출 경로를 안내하는 배출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돌기들은 채취대상 바지락보다 큰 이물질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채취대상 바지락의 길이 또는 폭보다 길거나 넓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이동대차상에 설치된 스프링부재 상에 설치되는 선별지지프레임과, 상기 선별지지프레임에 대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선별부와, 상기 선별지지프레임에 대해 상기 선별부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동지지부 및 상기 선별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부는 바지락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제1슬릿 내지 제2슬릿이 각각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선별트레이 내지 제2선별트레이를 포함하는 트레이부와, 상기 트레이부가 내장되는 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대차에 대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경사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조절부는 일 단이 상기 이동대차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프레임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는 주행 가능한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일 측에 설치되어 채취된 바지락을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바지락을 전달받아 바지락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이동대차 상에 설치되는 선별지지부와, 상기 선별지지부에 길이방향 양측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 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바지락을 전달받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트레이부와, 상기 선별트레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선별트레이부에서 선별된 바지락을 크기별로 서로 다른 위치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선별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트레이부는 상부가 개방되며, 서로 대향되는 양 측벽의 서로 다른 높이에 제1장착홈과 제2장착홈이 각각 형성된 트레이하우징과,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제1장착홈에 폭 방향 양단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바닥에는 바지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1선별구멍이 형성된 제1선별트레이와, 상기 제1선별트레이의 상부에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제2장착홈에 폭 방향 양단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선별트레이의 제1선별구멍을 통과한 바지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1선별구멍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선별구멍이 형성된 제2선별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배출부는 상기 제1선별트레이를 따라 상기 제1선별트레이의 길이방향 타 측으로 이송된 바지락을 상기 제1선별트레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배출슈트와, 상기 제2선별트레이를 따라 상기 제2선별트레이의 길이방향 타 측으로 이송된 바지락을 상기 제1배출슈트와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슈트와,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바닥을 따라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길이방향 타 측으로 이송된 바지락을 상기 제1배출슈트 및 상기 제2배출슈트와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선별유닛으로 바지락을 전달하는 일 측이 상기 선별트레이부의 길이방향 일 측에 대응되는 상부에 배치되고, 타 측이 상기 선별트레이부의 길이방향 타 측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선별유닛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보다 큰 부피를 갖는 바지락 이외의 이물질을 상기 이송컨베이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배출유닛은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와, 상기 롤러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롤러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이물질에 간섭되어 이물질을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복수의 간섭돌기를 포함하는 회전롤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는 채취된 대량의 바지락을 세척과 동시에 일정 크기의 양질만 손쉽게 선별하여 작업 능률도 향상시키고 농어촌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며, 선별 작업을 수회 반복을 하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크기에 따른 바지락을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는 바지락의 세척과정과 선별과정이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중간에 바지락을 선별기에 따라 이송할 필요없이 한자리에서 충분한 세척과 효율적인 선별이 이뤄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는 이물질 배출유닛을 통해 선별 과정 이전에 채취대상 바지락 이외의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선별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선별 작업이 불필요하고, 다단으로 구성된 선별유닛을 통해 바지락을 크기별로 자동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지락 선별장치의 이물질 배출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지락 선별장치의 이송컨베어어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지락 선별장치의 선별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의 진동발생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의 진동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의 진동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의 선별트레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의 선별트레이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의 이송컨베이어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1)는 이동대차(10)와, 이송컨베이어(20)와, 채취유닛(70)과, 이물질 배출유닛(90)과, 선별유닛(110)을 구비한다.
이동대차(10)는 갯벌 상에서 주행 가능하게 된 것으로서, 본체(11)와, 본체(11)가 갯벌 상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바퀴부(12)와, 주행바퀴부(12)를 구동시키는 주행구동부와, 이동대차(10)의 주행방향을 조작할 수 있게 본체(11)의 일 측에 설치되는 주행조작부를 구비한다. 주행바퀴부(12)는 무한궤도상으로 회전하는 캐터필러(caterpillar)가 적용된다.
이송컨베이어(20)는 이동대차(1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채취유닛(70)에 의해 갯벌에서 채취된 바지락을 이동대차(10)의 상부에 마련된 선별유닛(110)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부가 이동대차(10)의 상방에 위치하고, 하부는 갯벌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이동대차(10)에 지지된다.
이송컨베이어(20)는 연결부와, 제1사이드프레임(41) 및 제2사이드프레임(42), 보강프레임(43), 구동축(44) 및 종동축(45), 구동스프로킷(44a) 및 종동스프로킷(미도시), 제1이송스프로킷(46) 및 제2이송스프로킷(47), 체인부재(48), 이송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부는 이동대차(10)에 이송컨베이어(2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본체(11)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서포트 빔(31), 서포트 빔(31)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회동브라켓(32), 일 단이 회동브라켓(3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정 길이로 연장된 서포트 바(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사이드프레임(41) 및 제2사이드프레임(42)은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대차(10)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서포트 바(33)의 단부 내측에 일면이 각각 밀착되게 배치된다.
보강프레임(43)은 제1사이드프레임(41) 및 제2사이드프레임(42)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제1사이드프레임(41) 및 제2사이드프레임(42)을 보강하며, 단부가 서포트 바(33)에 고정된다. 이송컨베이어(20)는 서포트 바(33)에 보강프레임(43)이 연결되어 이동대차(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축(44) 및 종동축(45)은 각각 이동대차(10)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1사이드프레임(41)과 제2사이드프레임(42)의 상측과 이동대차(10)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스프로킷(44a) 및 종동스프로킷은 제1사이드프레임 및 제2사이드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된 구동축(44)과 종동축(45)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체인에 의해 서로 연결 및 연동하여 회전된다.
제1이송스프로킷(46) 및 제2이송스프로킷(47)은 제1사이드프레임 및 제2사이드프레임 내측의 구동축(44)과 종동축(45)의 양측 단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체인부재(48)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된다.
체인부재(48)는 제1이송스프로킷(46)과 제2이송스프로킷(47)에 무한궤도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부재(50)들이 결합된다. 체인부재(48)는 이송부재(50)의 폭에 따라 캐터필러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송부재(50)는 제1사이드프레임(41)과 제2사이드프레임(42)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체인부재(48)를 따라 체인부재(48)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유닛에서 채취되는 바지락을 이동대차(10)의 상측으로 이송시킨다.
이송부재(50)는 바닥판(51)과 수직판(53)을 구비하며, 바닥판(51)에 대해 수직판(53)이 직교하도록 결합되어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바닥판(51)과 수직판(53)에는 바지락의 크기보다 작은 장공 형상의 배수구멍들이 형성된다. 이송부재(50)는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체인부재에 고정되어 체인부재가 회전의 회전 경로를 따라 함께 이동된다.
한편, 이송컨베이어(20)는 이동대차(10)에 대해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60)를 더 구비한다.
경사조절부(60)는 회동브라켓(32)과 인접하는 본체(11)에 설치된 제1브라켓(61)과, 보강프레임(43)에 설치된 제2브라켓(62)과, 일 단이 제1브라켓(6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은 제2브라켓(6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압식 또는 유압식 액추에이터(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컨베이어(20)는 서포트 바(33)에 의해 상부가 이동대차(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63)를 동작시켜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채취유닛(70)은 이송컨베이어(2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이송컨베이어(20)에 설치되어 이동대차(10)를 따라 이동하면서 갯벌 속의 바지락을 채취하여 이송컨베이어(20)로 전달한다.
채취유닛(70)은 보강프레임(43)으로부터 연장된 연장프레임(71)과, 연장프레임(71)에 설치된 장착판(72)과, 장착판(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73)과, 회전축(73)의 회전에 의해 갯벌 속으로 진입 또는 인출되면서 갯벌 및 바지락을 채취하는 복수의 채취로드(74) 및 회전축(73)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채취로드(74)의 회전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채취로드(74)가 인입 및 인출되는 복수의 슬릿들이 형성된 커버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채취로드(74)에 의해 갯벌에서 채취되는 바지락은 채취로드(74)가 상방으로 회전되면서 이송컨베이어(20)로 전달된다.
채취유닛(70)의 전방 측에는 채취유닛(70)의 이동경로 상의 갯벌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80)가 더 구비된다. 가압부(80)는 연장프레임(71)에 설치되는 회전지지판(81)과, 회전지지판(81)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지지판(81)에는 가압롤러(8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홈(82)이 상하로 연장된다.
가압롤러(83)는 채취유닛(70)을 통해 바지락을 채취하기 직전에 채취유닛(70)이 지나갈 갯벌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갯벌 내부에 있는 바지락이 입을 닫도록 유도한다. 즉, 가압롤러(83)는 바지락의 입이 벌어진 상태로 채취시 채취로드(74)에 의해 바지락의 속살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가압롤러(83)는 설명한 바와 같이 단순히 갯벌을 누르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고, 이와 함께 진동을 제공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물질 배출유닛(90)은 이송컨베이어(20)의 보강프레임(43) 상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20)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보다 큰 부피를 갖는 채취대상 바지락 이외의 이물질을 이송컨베이어(20)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회전롤러부(91) 및 회전롤러부(9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회전롤러부(91)는 롤러부재(92)와 간섭돌기(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부재(92)는 보강프레임(43)에 설치된 필로블록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20)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일 측 단부에는 구동모터(96)와 연동을 위한 롤러스프로킷(93)이 구비된다.
간섭돌기(95)는 롤러부재(92)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고 롤러부재(92)와 함께 회전하면서 이송컨베이어(20)를 따라 이송되는 이물질에 간섭되어 이물질을 이송컨베이어(20)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간섭돌기(95)는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재로 형성하며, 채취대상 바지락보다 큰 이물질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채취대상 바지락의 길이 또는 폭보다 길거나 넓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는 구동모터(96)와, 구동모터(96)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96)의 회전력을 제1이송스프로킷(46)과 롤러스프로킷(93)에 각각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스프로킷(96a)과 제2동력전달스프로킷(96b) 및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재는 구동모터(96)의 회전력을 롤러부재(92)와 제1이송스프로킷(46)에 각각 전달하기 위한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물질 배출유닛(90)은 회전롤러부(91)와 인접하는 이송컨베이어(20)에 설치되어 회전롤러부(91)에 의해 이송컨베이어(20) 외부로 인출된 이물질이 이송컨베이어(20)의 측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물질의 배출 경로를 안내하는 배출가이드(100)를 더 구비한다.
배출가이드(100)는 양단이 각각 이송컨베이어(20)의 보강프레임(43)에 고정되는 고정판(101)과, 고정판(101)의 일 측에 경첩 또는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롤러부(91)의 하부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회전롤러부(91)에 의해 이송부재(50) 외부로 인출된 이물질이 이송컨베이어(20) 상으로 다시 떨어져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판(103)과, 고정판(101)의 타 측에 고정판(101)과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이송컨베이어(20)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유입방지판(103)을 통해 고정판(101)으로 인출 및 이송되는 이물질이 이송컨베이어(20)의 폭 방향 양측 방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판(10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입방지판(103)은 고정판(101)에 일 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타 단이 이송부재(50)들 사이로 진입되게 하방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었다가 이송부재(50)의 단부 측에 접촉되며, 이송부재(50)들이 상방으로 이동될시 이송부재(50)에 의해 상방으로 다시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회전롤러부(91)에 의해 이송부재(5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유입방지판(103)을 타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물질 배출유닛(90)은 회전롤러부(91)에 의해 이송컨베이어(20)로부터 인출되는 이물질을 이송컨베이어(20)의 양측 외부로 배출되게 안내함으로써 이물질이 이송컨베이어(2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별유닛(110)은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이동대차(10)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바지락을 전달받아 바지락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것으로서, 선별지지프레임(120)과, 선별부와, 유동지지부와, 진동발생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별지지프레임(120)은 본체(11)의 폭 방향 양측에 본체(1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21)과, 수평프레임(121)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연결프레임(122)과, 각 수평프레임(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수평프레임(121)과 직교하는 상방으로 결합된 제1수직프레임(123) 및 제2수직프레임(124)과, 제1수직프레임(123)과 제2수직프레임(124)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연결프레임(125)과, 제1수직프레임(123) 및 제2수직프레임(124)의 상단에 각각 제1수직프레임(123)과 제2수직프레임(124)에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제1받침프레임(127) 및 제2받침프레임(1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별지지프레임(120)은 후술하는 선별부를 내측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선별부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선별부를 이송컨베이어(20)와 대향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수직프레임(123)보다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제2수직프레임(124)이 더 길게 형성된다.
선별지지프레임(120)은 이동대차(10) 상의 네 지점에 마련된 스프링부재(15)에 수평프레임(121)이 안착되게 설치되어 스프링부재(15)에 의해 이동대차(10)에 대해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 스프링부재(15)는 후술하는 진동발생부(15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선별부 및 선별지지프레임(120)을 통해 본체(1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및 완충한다.
선별부는 이송컨베이어(20)의 상단 측으로 배출되는 바지락을 전달받아 바지락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것으로서, 일 측이 이송컨베이어(20)의 상단 측 하방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 측은 본체(11)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선별부는 선별지지프레임(120)의 내측에 설치되는 통체(131)와, 통체(131) 내측에 설치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체(131)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통체(131)는 후술하는 유동지지부에 의해 선별지지프레임(120)에 유동 또는 진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하는 진동발생부(15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바지락이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자동으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통체(13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제1선별트레이(133) 및 제2선별트레이(135)를 장착 및 고정시키기 위한 제1장착턱(133a)과 제2장착턱(135a)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선별부는 이송된 바지락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체(131) 내부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선별트레이(133) 내지 제2선별트레이(135)를 구비한다.
제1선별트레이(133) 내지 제2선별트레이(135)는 각각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로드(137)를 구비한다.
제1선별트레이(133)와 제2선별트레이(135)는 각각 가이드로드(137)가 설정된 제1간격과 설정된 제2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된 가이드로드(137)를 구비하는 제1선별트레이(133) 내지 제2선별트레이(135)는 각각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제1슬릿 내지 제2슬릿이 형성되며, 각 슬릿의 간격보다 보다 작은 크기의 바지락은 하방으로 낙하된다.
선별부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바지락을 순차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제1슬릿보다 제2슬릿의 간격이 더 좁게 형성된다.
채취유닛(70)에 의해 채취되어 이송컨베이어(20)를 통해 선별부로 전달된 바지락은 제1선별트레이(133)를 따라 이동하며 제1슬릿보다 작은 크기의 바지락은 제2선별트레이(135)로 떨어진다. 그리고 제1슬릿보다 큰 크기의 바지락은 제1선별트레이(133)의 종단 측으로 이동되어 통체(131)의 단부에 마련된 제1배출슈트(13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1선별트레이(133) 측에서 제2선별트레이(135)로 떨어진 바지락은 제2선별트레이(135)를 따라 이동하며 제2슬릿보다 작은 크기의 바지락은 제3선별트레이로 떨어진다. 그리고 제2슬릿보다 큰 크기의 바지락은 제2선별트레이(135)의 종단 측으로 이동되어 통체(131)의 단부에 마련된 제2배출슈트(13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선별트레이(135)에서 통체(131)의 바닥으로 떨어진 바지락은 통체(131)를 따라 통체(131)의 종단 측으로 이동되어 통체(131)의 단부에 마련된 제3배출슈트(131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유동지지부는 선별지지프레임(120)에 대해 선별부를 전후 방향으로 유동 또는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받침프레임(127) 및 제2받침프레임(128) 상에 각각 설치되는 제1필로블록(141)과, 제1받침프레임(127) 및 제2받침프레임(128)에 대응되는 통체(131)의 가장자리 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2필로블록(142)과, 제1필로블록(141)에 일 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필로블록(142)에 타 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재(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동지지부는 선별지지프레임(120)에 대해 선별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진동발생부(15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선별부에 전달될 때 선별부가 선별지지프레임(120)에 대해 상하 전후 방향으로 유동 또는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진동발생부(150)는 선별부로 이송된 바지락이 선별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선별부에 진동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동대차(10)의 본체(11)에 고정설치된 진동모터(151)와, 진동모터(15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52)와, 샤프트(152)에 결합되는 편심베어링(153)과, 편심베어링(153)을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싱(154)과, 케이싱(154)의 외주면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통체(131)의 바닥에 연결되는 진동링크(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동발생부(150)는 진동모터(151)의 구동축(44)에 구비된 구동풀리와 샤프트(152)에 구비된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부재를 통해 진동모터(151)의 회전력을 샤프트(152)에 전달하며, 샤프트(152)가 회전될 때 편심베어링(153)이 케이싱(154)을 진동시켜 케이싱(154)으로부터 진동링크(155)를 통해 통체(131)로 진동을 전달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는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에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부와, 선별부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부 및 상기 제1분사부와 상기 제2분사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세척유닛을 구비한다.
제1분사부는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바지락에 물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이송컨베어이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부재를 향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노즐이 마련된 제1분사배관을 구비한다.
제2분사부는 선별부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에 물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선별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선별부를 향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노즐이 마련된 제2분사배관을 구비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는 이동대차(200)와, 이송컨베이어(300)와, 선별유닛(400)을 구비한다.
이동대차(200)는 프레임부(210)와, 프레임부(210)의 하부에 이동을 위한 바퀴(220)가 설치된다. 프레임부(210)의 선단 측에는 화물차나 트랙터 등과 같은 견인수단을 통해 이동대차(200)를 견인할 수 있도록 견인수단과의 연결을 위한 견인용 커넥터(23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견인용 커넥터(230)가 구비된 이동대차(200)의 선단 측 상부에는 이송컨베이어(300) 및 선별유닛(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넬(250)이 설치되어 있다.
이송컨베이어(300)는 이동대차(200)에 설치되어 채취된 바지락을 이동대차(200)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이동대차(200) 및 선별유닛(4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 측이 이동대차(200)의 상부를 향하고, 타 측은 이동대차(200)의 후미 측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송컨베이어(300)는 이동대차(200)의 프레임부(210)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1컨베이어지지프레임(301) 및 제2컨베이어지지프레임(302)에 길이방향 일 측과 타 측이 각각 고정된다. 제1컨베이어지지프레임(301)이 제2컨베이어지지프레임(302)은 이송컨베이어(30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제1컨베이어지지프레임(301)이 제2컨베이어지지프레임(302)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송컨베이어(300)는 제1사이드프레임(310) 및 제2사이드프레임(320), 이송구동모터(330), 구동축, 구동스프로킷(340), 제1이송축(350) 및 제2이송축(360), 연동스프로킷(370), 체인부재(380), 이송벨트(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사이드프레임(310) 및 제2사이드프레임(320)은 일정 폭을 갖도록 서로 이격되게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송구동모터(330)는 이동대차(200) 측을 향하는 제1사이드프레임(310) 및 제2사이드프레임(320)의 길이방향 일 측 상부에 고정된다. 구동축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스프로킷(340)은 구동축에 결합되어 이송벨트(390)를 무한궤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이송축(350) 및 제2이송축(360)에 동력을 전달한다.
제1이송축(350) 및 제2이송축(360)은 각각 제1사이드프레임(310)과 제2사이드프레임(3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사이드프레임(310)과 제2사이드프레임(32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연동스프로킷(370)은 제1이송축(350)에 설치되어 체인부재(380)를 통해 구동스프로킷(340)과 연결되며, 이송구동모터(33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송벨트(390)는 제1사이드프레임(310) 및 제2사이드프레임(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제1이송축(350) 및 제2이송축(360)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는 바지락을 이동대차(200) 상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돌출된 돌기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고,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송컨베이어(300)는 선별유닛(4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선별유닛(400)으로 바지락을 전달하는 일 측이 선별트레이부(420)의 길이방향 일 측에 대응되는 상부에 배치되고, 타 측이 선별트레이부(420)의 길이방향 타 측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선별유닛(400)은 이송컨베이어(300)에 의해 이동대차(200)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바지락을 전달받아 바지락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것으로서, 선별지지부(410)와, 선별트레이부(420)와, 진동발생부(430)와, 선별배출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별지지부(410)는 제1선별지지프레임(411) 및 제2선별지지프레임(412), 제1회동지지브라켓(413) 및 제2회동지지브라켓(414), 복수의 현수부재(415), 제3회동지지브라켓(416) 및 제4회동지지브라켓(4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선별지지프레임(411) 및 제2선별지지프레임(412)은 선별트레이부(42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제1선별지지프레임(411)이 제2선별지지프레임(412)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선별지지프레임(411) 및 제2선별지지프레임(412)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다.
제1선별지지프레임(411)은 이동대차(200)의 선단 측에 이동대차(2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2선별지지프레임(412)은 이동대차(200)의 후단 측에 이동대차(20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회동지지브라켓(413) 및 제2회동지지브라켓(414)은 각각 제1선별지지프레임(411) 및 제2선별지지프레임(412)의 상단에 설치되며, 한 쌍의 제1회동지지브라켓(413) 사이에는 제1회동지지샤프트가 설치되고, 한 쌍의 제2회동지지브라켓(414) 사이에는 제2회동지지샤프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회동지지샤프트와 제2회동지지샤프트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각각 선별트레이부(420)와 연결 및 선별트레이부(420)를 현수시킬 수 있도록 현수부재(415)가 설치된다.
제3회동지지브라켓(416)과 제4회동지지브라켓(417)은 선별트레이부(42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고, 제3회동지지브라켓(416)들 사이에는 제3회동지지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4회동지지브라켓(417)들 사이에는 제4회동지지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회동지지샤프트와 제4회동지지샤프트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각각 선별트레이부(420)와 연결 및 선별트레이부(420)를 현수시킬 수 있도록 제1회동지지샤프트와 제2회동지지샤프트에 설치된 현수부재(415)가 연결된다.
선별지지부(410)는 진동발생부(430)에 의해 선별트레이부(420)에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선별트레이부(420)가 선별트레이부(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또는 진동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선별트레이부(420)는 상기 선별지지부(410)에 길이방향 양측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 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300)로부터 바지락을 전달받아 크기별로 선별 및 배출시킨다.
선별트레이부(420)는 트레이하우징(421)과, 제1선별트레이(422)와, 제2선별트레이(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레이하우징(421)은 이동대차(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다.
트레이하우징(421)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바닥부(421A) 및 바닥부(421A)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양 측벽(421B)을 가지며, 서로 대향되는 양 측벽(421B)의 서로 다른 높이에는 제1장착홈(421C)과 제2장착홈(421D)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대차(200)의 후단 측에 대응되는 길이방향 일 측이 개방된다.
트레이하우징(421)의 측벽(421B)에 형성된 제1장착홈(421C)과 제2장착홈(421D)은 제1선별트레이(422)와 제2선별트레이(423)를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측벽(421B)의 일부를 측벽(421B) 외측으로 인입시켜 홈을 형성한 구조를 가진다.
트레이하우징(421)과, 상기 트레이하우징(421)의 제1장착홈(421C)에 폭 방향 양단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바닥에는 바지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1선별구멍이 형성된 제1선별트레이(422)와, 상기 제1선별트레이(422)의 상부에 상기 트레이하우징(421)의 제2장착홈(421D)에 폭 방향 양단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선별트레이(422)의 제1선별구멍을 통과한 바지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1선별구멍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선별구멍이 형성된 제2선별트레이(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발생부(430)는 선별트레이부(420) 상으로 전달된 바지락이 선별트레이부(4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선별트레이부(420)에 진동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동대차(200)의 프레임부(210)에 고정설치된 진동모터(431)와, 진동모터(43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프레임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동샤프트(432)와, 진동샤프트(432)에 결합되는 편심베어링과, 편심베어링을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싱(433)과, 케이싱(433)의 외주면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선별트레이부(420)의 트레이하우징(421) 하부에 연결되는 진동링크(4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동발생부(430)는 진동모터(431)의 구동축에 구비된 구동풀리와 진동샤프트(432)에 구비된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부재를 통해 진동모터(431)의 회전력을 진동샤프트(432)에 전달하며, 진동샤프트(432)가 회전될 때 편심베어링이 케이싱(433)을 진동시켜 케이싱(433)으로부터 진동링크(434)를 통해 선별트레이부(420)로 진동을 전달한다.
선별배출부(440)는 제1배출슈트(441), 제2배출슈트(442), 제3배출슈트(443)를 포함한다.
제1배출슈트(441)는 제1선별트레이(422)의 길이방향 타 측으로 이송된 바지락을 제1선별트레이(422)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제1선별트레이(422)의 단부 측에 설치되고, 제1선별트레이(422)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배출슈트(442)는 제2선별트레이(423)를 따라 제2선별트레이(423)의 길이방향 타 측으로 이송된 바지락을 제1배출슈트(441)와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제2선별트레이(423)의 단부 측에 설치되고, 제2선별트레이(423)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배출슈트(443)는 트레이하우징(421)의 바닥을 따라 트레이하우징(421)의 길이방향 타 측으로 이송된 바지락을 제1배출슈트(441) 및 제2배출슈트(442)와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트레이하우징(421)의 단부에 설치되고, 제1배출슈트(441)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는 이송컨베이어(300)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300)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보다 큰 부피를 갖는 바지락 이외의 이물질을 이송컨베이어(300)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물질 배출유닛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에서 설명한 이물질 배출유닛과 동일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물질 배출유닛은 이송컨베이어(300) 상에 이송컨베이어(300)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와, 롤러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고 롤러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이송컨베이어(300)를 따라 이송되는 이물질에 간섭되어 이물질을 이송컨베이어(300)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복수의 간섭돌기를 포함하는 회전롤러부를 구비한다.
이물질 배출유닛은 이송컨베이어(300)의 보강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300)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보다 큰 부피를 갖는 채취대상 바지락 이외의 이물질을 이송컨베이어(300)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회전롤러부 및 회전롤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회전롤러부는 롤러부재와 간섭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부재는 선별프레임부(210)의 제1사이드프레임(310) 및 제2사이드프레임(320) 상에 각각 설치된 필로블록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300)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일 측 단부에는 모터와 연동을 위한 롤러스프로킷이 구비된다.
간섭돌기는 롤러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고 롤러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이송컨베이어(300)를 따라 이송되는 이물질에 간섭되어 이물질을 이송컨베이어(300)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간섭돌기는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재로 형성하며, 채취대상 바지락보다 큰 이물질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채취대상 바지락의 길이 또는 폭보다 길거나 넓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는 이송벨트(390)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송컨베에이어상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동력전달스프로킷과, 롤러부재의 일 측 단부에 구비된 롤러스프로킷과, 동력전달스프로킷과 롤러스프로킷을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롤러스프로킷으로 전달하는 체인부재(3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물질 배출유닛은 회전롤러부와 인접하는 이송컨베이어(300)에 설치되어 회전롤러부에 의해 이송컨베이어(300) 외부로 인출된 이물질이 이송컨베이어(300)의 측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물질의 배출 경로를 안내하는 배출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임물질 배출유닛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바지락 선별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구조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바지락 선별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이동대차
11 : 본체
12 : 주행바퀴부
20 : 이송컨베이어
31 : 서포트 빔
32 : 회동브라켓
33 : 서포트 바
41 : 제1사이드프레임
42 : 제2사이드프레임
43 : 보강프레임
44 : 구동축
45 : 종동축
46 : 제1이송스프로킷
47 : 제2이송스프로킷
48 : 체인부재
50 : 이송부재
51 : 바닥판
53 : 수직판
60 : 경사조절부
61 : 제1브라켓
62 : 제2브라켓
63 : 액추에이터
70 : 채취유닛
71 : 연장프레임
72 : 장착판
73 : 회전축
74 : 채취로드
80 : 가압부
81 : 회전지지판
82 : 높이조절홈
83 : 가압롤러
90 : 이물질 배출유닛
91 : 회전롤러부
92 : 롤러부재
93 : 롤러스프로킷
95 : 간섭돌기
96 : 구동모터
100 : 배출가이드
101 : 고정판
103 : 유입방지판
105 : 경사판
110 : 선별유닛
120 : 선별지지프레임
150 : 진동발생부

Claims (6)

  1. 주행 가능한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일 측에 설치되어 갯벌에서 채취된 바지락을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되어 갯벌 속의 바지락을 채취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전달하는 채취유닛과;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보다 큰 부피를 갖는 채취대상 바지락 이외의 이물질을 상기 이송컨베이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유닛과;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바지락을 전달받아 바지락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선별장치.
  2. 주행 가능한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일 측에 설치되어 채취된 바지락을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바지락을 전달받아 바지락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이동대차 상에 설치되는 선별지지부와,
    상기 선별지지부에 길이방향 양측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 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바지락을 전달받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트레이부와,
    상기 선별트레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선별트레이부에서 선별된 바지락을 크기별로 서로 다른 위치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선별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트레이부는
    상부가 개방되며, 서로 대향되는 양 측벽의 서로 다른 높이에 제1장착홈과 제2장착홈이 각각 형성된 트레이하우징과,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제1장착홈에 폭 방향 양단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바닥에는 바지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1선별구멍이 형성된 제1선별트레이와,
    상기 제1선별트레이의 상부에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제2장착홈에 폭 방향 양단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선별트레이의 제1선별구멍을 통과한 바지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1선별구멍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선별구멍이 형성된 제2선별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선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배출부는
    상기 제1선별트레이를 따라 상기 제1선별트레이의 길이방향 타 측으로 이송된 바지락을 상기 제1선별트레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배출슈트와,
    상기 제2선별트레이를 따라 상기 제2선별트레이의 길이방향 타 측으로 이송된 바지락을 상기 제1배출슈트와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슈트와,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바닥을 따라 상기 트레이하우징의 길이방향 타 측으로 이송된 바지락을 상기 제1배출슈트 및 상기 제2배출슈트와 다른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선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선별유닛으로 바지락을 전달하는 일 측이 상기 선별트레이부의 길이방향 일 측에 대응되는 상부에 배치되고, 타 측이 상기 선별트레이부의 길이방향 타 측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선별유닛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선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보다 큰 부피를 갖는 바지락 이외의 이물질을 상기 이송컨베이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배출유닛은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바지락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와, 상기 롤러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롤러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이물질에 간섭되어 이물질을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복수의 간섭돌기를 포함하는 회전롤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락 선별장치.

KR1020190138226A 2018-10-31 2019-10-31 바지락 선별장치 KR20200049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817 2018-10-31
KR20180131817 2018-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692A true KR20200049692A (ko) 2020-05-08

Family

ID=7067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226A KR20200049692A (ko) 2018-10-31 2019-10-31 바지락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96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1090A (zh) * 2020-12-12 2021-03-12 长乐清大正华机械制造有限公司 沙滩贝蛤采收机
KR20230151834A (ko) 2022-04-26 2023-11-02 박병곤 조개류 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조개류 채취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179A (ko) 2011-03-10 2012-09-19 이정호 조개세척기
KR101553976B1 (ko) 2015-02-26 2015-09-17 대한민국 패류 종패 선별기
KR20160107455A (ko)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제토이앤씨 생조개 자동세척 및 크기별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179A (ko) 2011-03-10 2012-09-19 이정호 조개세척기
KR101553976B1 (ko) 2015-02-26 2015-09-17 대한민국 패류 종패 선별기
KR20160107455A (ko)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제토이앤씨 생조개 자동세척 및 크기별 선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1090A (zh) * 2020-12-12 2021-03-12 长乐清大正华机械制造有限公司 沙滩贝蛤采收机
CN112471090B (zh) * 2020-12-12 2023-10-13 长乐清大正华机械制造有限公司 沙滩贝蛤采收机
KR20230151834A (ko) 2022-04-26 2023-11-02 박병곤 조개류 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조개류 채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369987U (zh) 一种虾分级机
US20100012556A1 (en) Rotating screen material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KR20200049692A (ko) 바지락 선별장치
CN106391444A (zh) 通用式农作物种子清洗、分级筛选设备及其使用方法
KR101942553B1 (ko) 패류 채취장치
JPH08117689A (ja) 振動ふるい機のふるい清掃装置
CN113426665A (zh) 一种颗粒活性炭造粒定型后分级筛分装置
CN208863165U (zh) 自走式油莎豆收获机
CN207756458U (zh) 带出料淌板的网带平回筛
CA2128420C (en) Sod handling
KR200348078Y1 (ko) 골재 선별장치
CN213727727U (zh) 一种水产品用筛分装置
CA2478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seeds
KR200335947Y1 (ko) 과실선별기
US7156236B2 (en) Machine for removing articles deposited on the ground
CN207170250U (zh) 一种斗提式谷物精选机
US510768A (en) Machine for cleaning grain
US3556224A (en) Beach cleaning apparatus
EP0480074A1 (en) Beach cleaning machine
CN201702103U (zh) 一种网带初清筛
US20100186677A1 (en) Poultry manure skimmer
CN219052052U (zh) 一种水产饲料原料用筛分装置
CN213960667U (zh) 一种液压驱动深耕破碎式捡拾机
CN211538493U (zh) 一种大豆分级筛选的农业机械设备
JP3054675B1 (ja) 岩石分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