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517Y1 -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 Google Patents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517Y1
KR200427517Y1 KR2020060018474U KR20060018474U KR200427517Y1 KR 200427517 Y1 KR200427517 Y1 KR 200427517Y1 KR 2020060018474 U KR2020060018474 U KR 2020060018474U KR 20060018474 U KR20060018474 U KR 20060018474U KR 200427517 Y1 KR200427517 Y1 KR 200427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beans
chaff
soybean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완
Original Assignee
김상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완 filed Critical 김상완
Priority to KR2020060018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5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5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0Screens in the form of endless mov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콩 탈곡기에 의해 탈곡된 콩으로부터 쭉정이를 제거한 다음 크기별로 선별하는 이물질 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에 관한 것으로, 콩 탈곡기에 의해 탈곡된 콩으로부터 이물질(콩 대, 콩깍지, 돌, 모래, 반쪽 짜리 콩 등)이 포함된 상태에서 함께 투입하더라도 콩의 정선 전에 콩에 포함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어 호퍼(11)에 채워진 콩(2)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10)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1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콩이 공급관(12)을 통해 투입됨에 따라 채의 원리와 같이 흔들어 이송시키면서 콩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0)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물질 제거부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분배되어 이송됨에 따라 경사지게 설치된 복수 개의 이송벨트(34)에 의해 콩을 이송시키면서 쭉정이(3)를 제거하는 쭉정이 제거부(30)와, 상기 제 1 이송부의 일 측에 설치되고 쭉정이 제거부에서 쭉정이가 제거된 콩이 배출되어 중간 호퍼(31)에 담김에 따라 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 2 이송부(40)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일 측에 설치되어 제 2 이송부를 통해 콩이 이송됨에 따라 크기별로 선별하는 콩 선별부(50)로 구성된 것이다.
콩, 정선기, 이물질 제거, 쭉정이, 선별

Description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쭉정이 제거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이송벨트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이송벨트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이송벨트 및 배출 스크류의 구동원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이물질 제거부의 송출 측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도 8의 A - A선 단면도
도 10은 이물질 제거부와 쭉정이 제거부의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콩 선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조립상태 일부 사시도
도 13은 배출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의 종단면도로서,
도 14a는 개폐판이 열린 상태도
도 14b는 개폐판이 닫힌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10 : 제 1 이송부
11 : 호퍼 12 : 공급관
20 : 이물질 제거부 21 : 콩 배출관
23 : 턴버클 30 : 쭉정이 제거부
31 : 중간 호퍼 32 : 측판
34 : 이송벨트 35 : 선별판
36 : 스토퍼 37 : 배출 스크류
40 : 제 2 이송부 50 : 콩 선별부
54 : 망 55 : 회전체
60 : 배출관 61 : 개폐판
63 : 손잡이 65 : 마대걸이
본 고안은 콩 탈곡기에 의해 탈곡된 콩으로부터 쭉정이를 제거한 다음 크기별로 선별하는 콩 정선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콩 탈곡기에 의해 탈곡된 콩으로부터 이물질(콩 대, 콩깍지, 돌, 모래, 반쪽 짜리 콩 등)이 포함된 상태에서 함께 투입하더라도 콩의 정선 전에 콩에 포함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은 가을철에 밭으로부터 콩 대를 베어 건조시킨 다음 콩 탈곡기를 이용하거나, 수 작업으로 털어 수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잘 건조된 콩 대를 별도의 콩 탈곡기에 차례로 투입하면 콩 대로부터 콩이 자동으로 탈곡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데, 이와 같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콩은 그 크기가 각각 다르며 여러 종류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콩 탈곡기로부터 탈곡된 크기가 다르게 혼입된 콩은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크기별로 선별하여야 수매가를 높게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콩 탈곡기로부터 탈곡된 콩으로부터 이물질을 자동으로 걸러내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수 작업에 의해 탈곡된 콩으로부터 이물질을 일일이 골라내어야 되었으므로 많은 양의 콩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이물질을 걸러내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탈곡된 콩에는 쭉정이는 물론이고 크기가 작은 콩이 섞여져 있어 높은 수매가를 받을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콩 탈곡기로부터 탈곡된 콩을 이물질과 함께 투입하면 자동으로 콩에 포함된 여러 종류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콩에 포함된 쭉정이를 완전히 제거하면서 크기별로 선별하여 포대에 담길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 과, 상기 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어 호퍼에 채워진 콩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1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콩이 공급관을 통해 투입됨에 따라 채의 원리와 같이 흔들어 이송시키면서 콩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물질 제거부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분배되어 이송됨에 따라 경사지게 설치된 복수 개의 이송벨트에 의해 콩을 이송시키면서 쭉정이를 제거하는 쭉정이 제거부와, 상기 제 1 이송부의 일 측에 설치되고 쭉정이 제거부에서 쭉정이가 제거된 콩이 배출되어 중간 호퍼에 담김에 따라 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 2 이송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일 측에 설치되어 제 2 이송부를 통해 콩이 이송됨에 따라 크기별로 선별하는 콩 선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1)과, 콩(2)을 이송시키는 제 1, 2 이송부(10)(40), 콩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0), 이물질이 제거된 콩으로부터 쭉정이(3)를 제거하는 쭉정이 제거부(30), 그리고 정선된 콩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콩 선별부(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의 일 측에는 호퍼(11)에 채워진 콩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이송부의 일 측으로는 쭉정이 제거부(30)에서 쭉정이(3)가 제거된 콩(2)이 중간 호퍼(31)에 담김에 따라 이를 콩 선별부(5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 2 이송부(4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 1, 2 이송부(10)(40)는 2개의 풀리 사이에 벨트를 감고 벨트 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콩을 퍼 옮기는 버켓을 고정하여 모터의 구동으로 벨트가 이동함에 따라 버켓이 콩을 퍼 상부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곡물의 이송장치에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1)의 상부에는 제 1 이송부(10)를 통해 이송된 콩(2)이 공급관(12)을 통해 투입됨에 따라 채의 원리와 같이 흔들어 이송시키면서 콩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하부에는 이물질 제거부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콩이 이송됨에 따라 콩에 포함된 쭉정이(3)를 제거하는 쭉정이 제거부(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쭉정이 제거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이송벨트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이송벨트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로서, 상기 쭉정이 제거부(30)는 측판(32)에 형성된 토출공(32a)을 향해 X - Y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모터(33)의 구동에 따라 동시에 동일방향의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는 복수 개의 이송벨트(34)와, 상기 각 이송벨트의 하향 경사면 상에 설치되어 콩의 흐름을 제어하는 물결무늬의 선별판(35)과, 상기 각 이송벨트의 콩 인입부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콩의 상향 이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쭉정이(3)만을 통과시키는 스토퍼(36)와, 상기 이송벨트의 후단 직하방에 설치되어 이송벨트에 의해 제거된 쭉정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스크류(3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벨트(34)는 한 쌍의 측판(32)에 고정된 축(38)에 감싸져 있고 스토퍼(36)에는 콩(2)이 통과하는 절결부(36a)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 스크류(37)는 커버(39)에 의해 감싸져 있다.
그리고 이물질 제거부(20)의 토출 측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21a)에 의해 3개로 구획된 콩 배출관(21)이 설치되어 있고 측벽(32)에 형성된 콩 인입공(32b) 사이에는 플랙시블 재질의 호스(22)가 연결되어 있어 이물질 제거부(20)에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배출되는 콩이 콩 배출관(21)을 통해 3개로 분배되어 동일한 양의 콩(2)이 이송벨트(34)의 상면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36)는 정상적인 콩(2)이 이송벨트(34)의 이송에 따라 쭉정이(3)와 함께 상향 경사면으로 이송되려고 할 때, 콩의 이송을 억제하여 쭉정이(3)만이 이송되도록 하고 물결무늬의 선별판(35)은 이송벨트(34)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인해 둥그런 콩(2)이 토출공(32a) 측으로 빠르게 굴러가지 않도록 제어하여 보다 오랜 시간 이송벨트(34) 상에 머무르도록 하여 쭉정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토출공(32a)을 향해 X - Y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이송벨트(34)는 정선하고자 하는 콩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콩의 이송에 걸리는 시간이 각기 다르므로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과 측판(32)에 고정되어 모터(33)가 설치되는 브라켓(24) 사이에 턴버클(23)을 설 치하여 이송벨트(34)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1개의 모터(33)에 의해 3개의 이송벨트(34) 및 배출 스크류(37)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모터 축에 구동 스프라켓(4)이 고정되어 있고 각 축의 끝단에는 종동스프라켓(5)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스프라켓에는 체인(6)이 감겨져 있는데, 이 때 체인의 중간에는 체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들 스프라켓(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20)의 일 측에는 제 2 이송부(40)의 구동에 따라 플랙시블한 연결관(25)을 통해 콩(2)이 이송됨에 따라 크기별로 선별하는 콩 선별부(50)가 구비되어 있다.
도 11은 콩 선별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조립상태 일부 사시도이며 도 13은 배출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콩 선별부(50)는 프레임(1)에 고정된 함체(51)와, 상기 함체에 설치된 축(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5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둘레면에는 점진적으로 구멍(54a)(54b)이 커지는 망(54)이 고정된 회전체(55)와,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콩을 이송시키는 나선상의 스크류편(56)과, 상기 회전체에 크기가 차이가 나게 형성된 구멍의 경계면에 고정된 플랜지(57)와, 상기 함체에 플랜지와 밀착되게 고정되어 함체(51)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58)과, 상기 함체의 저면에 일 측으로 경사지게 고정된 바닥판(59)과, 상기 격벽으로 구획된 각 공간과 통하여지게 함체에 고정되어 선별된 콩이 배출되는 복수 개의 배출관(60)과, 상기 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판(61)과, 상기 개폐판을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회전체(55)의 길이(L)는 함체(51)의 내부 길이(L')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망(54)에 형성된 구멍(54b)을 통과하지 않은 가장 큰 콩이 회전체(55)가 위치되지 않는 부위에 도달하도록 하여 이를 최종 배출관(60)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개폐판(61)을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은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판(61) 상에 나사가 형성된 고정봉(61a)이 고정되어 있고 각 배출관(60)에는 90˚를 유지하는 안내공(6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내공을 통해 손잡이(63)를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봉(61a)에 나사 결합된 손잡이(63)를 풀면 고정봉(61a)이 안내공(64)을 따라 90˚범위 내에서 회동하므로 윈하는 위치에서 개폐판(6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콩(2)을 정선하는 과정에서 마대에 콩이 가득 채워져 마대를 교체할 경우에 개폐판(61)으로 배출관(60)을 폐쇄하여 정선된 콩(2)이 배출관을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배출관(60)의 외측으로 마대걸이(65)가 고정되어 있고 배출관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프레임(1)에는 마대가 얹혀지는 안착판(66)이 고정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7)은 이물질 제거부에서 걸러진 콩 대가 배출되는 콩 대 배출관이고, (68)은 측판(32)에 형성된 인입공(32b)에 고정되어 플랙시블한 호스(22)가 연결되는 연결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지의 콩 탈곡기에서 탈곡되어 각종 이물질(콩 대, 콩깍지, 모래, 자갈 등)이 섞인 콩(2)을 제 1 이송기(10)의 일 측에 위치된 호퍼(11) 내에 넣고 호퍼의 개폐판(도시는 생략함)을 열면 호퍼(11) 내의 콩이 이물질과 함께 자중에 의해 제 1 이송기(10)의 내부로 투입되므로 정선되지 않은 콩이 버켓에 의해 차례로 상승하여 공급관(12)을 통해 이물질 제거부(2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정선되지 않은 콩이 차례로 이물질 제거부(20) 측으로 공급되면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지지체(26)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 축에 링크(도시는 생략함)로 연결되어 있어 일정 범위 내에서 흔들리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는 흡입 팬이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콩에 포함된 가벼운 이물질(콩깍지, 먼지 등)이 흡입 팬의 구동으로 송출구(2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모래 등은 하부에 형성된 타공망(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콩에 포함된 가벼운 이물질 및 모래 등이 제거된 상태로 지지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콩은 배출망(28)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는 반면, 길이가 긴 콩 대 및 크기가 큰돌은 배출망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배출망을 통해 콩 대 배출관(67)으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망을 통과하여 걸름망(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이송된 콩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 낙하되어 콩 배출관(21)으로 유입되면 상기 콩 배출관은 격벽(21a)에 의해 3개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각 콩 배출관(21)과 쭉정이 제거부(30)를 구성하는 측판(32)에 형성된 인입부(32b)에는 연결관(68)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 기 구획된 콩 배출관(21)과 연결관(68)은 플랙시블한 재질의 호스(22)로 연결되어 있어 동일한 양의 콩이 측판(32)에 형성된 인입공(32b)을 통해 각 이송벨트(34)의 상면으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콩에 포함된 이물질이 이물질 제거부(20)에서 제거된 상태로 이송벨트(34)의 상면으로 공급되면 이물질 제거부에서 제거되지 않은 쭉정이(3) 및 조그만 돌이 제거된다.
즉, 축(38)에 감겨져 모터(33)의 구동에 따라 일 방향(이송벨트의 경사진 상측)으로 회전하는 이송벨트(34)의 상면으로 콩이 유입되면 콩은 이송벨트에 얹혀져 상면으로 이송되려고 하지만 콩은 둥그런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하방으로 굴러 떨어지게 되고, 둥그렇지 않은 쭉정이(3)만이 이송벨트(34)에 얹혀져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쭉정이(3)가 이송벨트(34)의 이송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콩이 붙어 함께 이송될 우려가 있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5a와 같이 콩 인입부에 근접되게 절결부(36a)를 갖는 스토퍼(36)가 설치되어 있어 정상적인 콩의 배출을 억제하므로 쭉정이만이 스토퍼(36)의 절결부(36a)를 통과하여 배출 스크류(37) 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정상적인 콩(2)은 이송벨트(36)가 X - Y축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 토출공(32a)측으로 빠르게 굴러가려고 하지만, 각 이송벨트(34)의 하향 경사면 끝단에는 도 5b와 같이 물결무늬를 갖는 선별판(35)이 설치되어 있어 둥그런 콩이 하방으로 빠르게 굴러가지 않고 선별판(35)의 굴곡면에 의해 토출공 측으로의 하향 이 동이 최대한 억제되므로 콩에 포함된 쭉정이(3)를 보다 정확히 걸러내게 된다.
상기 이송벨트(34)에 얹혀져 이송벨트(34)의 후단으로 이송된 쭉정이(3)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떨어진 다음 배출 스크류(37)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선별판(35)을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쭉정이(3)가 제거된 양질의 콩(2)은 반대편 측판(32)에 형성된 토출공(32a)을 통해 배출되어 제 2 이송기(40)의 일 측에 설치된 중간 호퍼(31)에 담기게 되므로 제 2 이송기(40) 및 연결관(25)을 통해 콩 선별기(5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 2 이송기(40)의 구동으로 양질의 콩이 콩 선별기(5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과정에서는 모터(53)의 구동으로 회전체(55)가 회전하고 있으며 각 배출관(60)의 양측으로 노출된 마대걸이(65)에는 마대(도시는 생략함)가 걸려 있는데, 상기 마대의 하단은 안착판(66)에 얹혀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양질의 콩이 회전체(55)의 내부로 공급되면 회전체에 고정된 망(54)의 구멍(54a)(54b)을 통해 크기가 작은 콩부터 빠져 나오고, 직경이 큰 콩은 다음 구멍이 위치된 곳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공의 직경에 따라 구멍을 통과한 콩이 배출관(60)을 통해 차례로 배출되어 마대에 담기게 된다.
한편, 마대걸이(65)에 걸려져 있던 마대에 정선된 콩이 가득 채워져 마대를 바꾸어주어야 할 경우에는 도 14a와 같이 배출관(60)의 통로가 개방되게 위치되어 있던 개폐판(61)의 위치를 가변시켜야 된다.
즉, 도 14a와 같이 배출관(60)을 개방하고 있던 개폐판(61)을 도 14b와 같이 회동시켜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봉(61a)에 나사 결합되어 있던 손잡이(63)를 푼 다음 안내공(64)을 따라 손잡이(63)를 이동시켜 배출관(60)을 폐쇄한 후 풀었던 손잡이(63)를 조이면 콩이 선별되어 배출관(60)으로 배출되더라도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대의 교체 후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고정봉(61a)에 나사 결합된 손잡이(63)를 푼 다음 개폐판(61)을 초기 상태로 환원시킨 후 손잡이를 조여주므로써 개폐판(61)에 의해 도 14b와 같이 이동이 억제되어 있던 콩(2)이 마대에 담기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콩 탈곡기에서 탈곡된 콩을 호퍼에 채워 넣기만 하면 콩에 포함된 이물질이 자동으로 제거되어 크기별로 선별된 다음 마대에 담기게 되므로 인력이 모자라는 농촌에서 콩의 선별에 따른 작업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탈곡된 콩에서 이물질과 쭉정이를 완전히 제거하여 크기별로 선별하게 되므로 수확된 콩의 품질 향상에 따른 부가가치를 증대시키게 된다.
셋째, 별도의 이물질 제거기 및 콩 선별기를 각각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기의 구입에 따른 부담을 덜어줄 수 있게 된다.
넷째, 이물질 제거기에서 제거된 콩을 별도의 콩 선별기 측으로 운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의 편리성이 제공된다.

Claims (5)

  1.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어 호퍼에 채워진 콩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1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콩이 공급관을 통해 투입됨에 따라 채의 원리와 같이 흔들어 이송시키면서 콩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물질 제거부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분배되어 이송됨에 따라 경사지게 설치된 복수 개의 이송벨트에 의해 콩을 이송시키면서 쭉정이를 제거하는 쭉정이 제거부와, 상기 제 1 이송부의 일 측에 설치되고 쭉정이 제거부에서 쭉정이가 제거된 콩이 배출되어 중간 호퍼에 담김에 따라 이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 2 이송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일 측에 설치되어 제 2 이송부를 통해 콩이 이송됨에 따라 크기별로 선별하는 콩 선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쭉정이 제거부는 측판에 형성된 토출공을 향해 X - Y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동시에 동일방향의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는 복수 개의 이송벨트와, 상기 각 이송벨트의 하향 경사면 상에 설치되어 콩의 흐름을 제어하는 물결무늬의 선별판과, 상기 각 이송벨트의 콩 인입부에 설치되어 콩의 상향 이동을 억제하는 스토퍼와, 상기 이송벨트의 후단 직하방에 설치되어 제거된 쭉정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스크류로 구성하고 이물질 제거부의 토출 측에는 구획된 콩 배출관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콩 배출관과 측벽에 형성된 콩 인입부 사이에는 플랙시블 재질의 호스를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측벽 사이에는 턴버클을 설치하여 이송벨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콩 선별부는 프레임에 고정된 함체와, 상기 함체에 설치된 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둘레면에는 점진적으로 구멍이 커지는 망이 고정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콩을 이송시키는 나선상의 스크류편과, 상기 회전체에 크기가 차이가 나게 형성된 구멍의 경계면에 고정된 플랜지와, 상기 함체에 플랜지와 밀착되게 고정되어 함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함체의 저면에 일 측으로 경사지게 고정된 바닥판과, 상기 격벽으로 구획된 각 공간과 통하여지게 함체에 고정되어 선별된 콩이 배출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외측으로 마대걸이를 고정하고 배출관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프레임에는 마대가 얹혀지는 안착판을 고정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KR2020060018474U 2006-07-07 2006-07-07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KR200427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474U KR200427517Y1 (ko) 2006-07-07 2006-07-07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474U KR200427517Y1 (ko) 2006-07-07 2006-07-07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517Y1 true KR200427517Y1 (ko) 2006-09-27

Family

ID=4177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474U KR200427517Y1 (ko) 2006-07-07 2006-07-07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5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062B1 (ko) * 2013-08-27 2015-07-24 주식회사 이천종합농기계 콩 선별장치
KR200495393Y1 (ko) * 2021-05-06 2022-05-12 허재승 일체형 탈곡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062B1 (ko) * 2013-08-27 2015-07-24 주식회사 이천종합농기계 콩 선별장치
KR200495393Y1 (ko) * 2021-05-06 2022-05-12 허재승 일체형 탈곡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5684B2 (ja) 粗選別装置
KR20180068402A (ko) 바지락 세척선별기
KR200457188Y1 (ko) 콩 선별장치
JP5941825B2 (ja) 脱穀装置
KR200427517Y1 (ko)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JP6324011B2 (ja) コンバイン
JP2015065882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KR101676167B1 (ko)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KR100804074B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JP6129041B2 (ja) コンバイン
JP4145443B2 (ja) イクラ選別洗浄機
KR200427299Y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15065884A (ja) コンバイン
KR200455141Y1 (ko) 유채종자 조정선장치
JP2002262645A (ja) 脱穀機の脱穀用側板
JP4863170B2 (ja) 縦型穀粒選別機の糠取装置
KR200417398Y1 (ko) 콩 탈곡기의 콩 송풍 이송장치
JP7013169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揚送コンベア装置
CN102106220A (zh) 脱粒装置
KR200335863Y1 (ko)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
JP2003304727A (ja) 脱穀機の二番処理装置
WO2005020665A1 (ja) コンバイン
KR100670755B1 (ko) 콩 탈곡기의 콩 송풍 이송장치
JP2900925B2 (ja) 脱穀装置
FR2513091A1 (fr) Machine pour l'egrappage, l'effeuillage et le lavage des ol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