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141Y1 - 유채종자 조정선장치 - Google Patents
유채종자 조정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5141Y1 KR200455141Y1 KR2020080005226U KR20080005226U KR200455141Y1 KR 200455141 Y1 KR200455141 Y1 KR 200455141Y1 KR 2020080005226 U KR2020080005226 U KR 2020080005226U KR 20080005226 U KR20080005226 U KR 20080005226U KR 200455141 Y1 KR200455141 Y1 KR 2004551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peseed
- adjusting
- hull
- seed
- pi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1/00—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ize; 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crops other than cere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4—Arrangements for collecting or removing du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유채 더미에 섞여 있는 이물질들을 전자동으로 걸러내면서 유채종자를 효과적으로 정선할 수 있는 유채종자 조정선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는 유채 더미를 공급하기 공급부와, 유채 더미 중 유채줄기나 깍지와 같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조정선체와 잔류 유채 더미에서 유채종자를 걸러내기 위한 제2조정선체로 이루어지는 조정선부와, 정선된 유채종자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구비하여 유채종자를 전자동으로 정선한다. 특히, 복수의 조정선체는 상하로 배치되고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사이즈가 콤팩트하여 설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투입탱크와 공급호퍼에는 헤침로터가 조정선체에는 회전로터, 고정포크, 스크레이퍼 등이 마련됨으로써 유채 더미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들을 효율적으로 걸러낸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확 후 바로 반입되는 고수분 유채 더미 속에 섞여있는 유채줄기, 깍지, 곤충, 돌 등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걸러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유채 종자의 정선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채는 콤바인으로 수확 시 고수분 유채종자뿐만 아니라 각종 이물질도 함께 수확되기 때문에 유채종자를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유채 더미(유채종자, 유채줄기, 깍지, 돌, 흙 부스러기 등을 포함)로부터 먼저 고수분 유채를 골라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유채 더미에 섞여 있는 유채종자를 제외한 다른 이물질들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처리했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그에 따른 인건비 상승 등 비용 및 작업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콤바인으로 수확된 유채 더미는 톤백을 이용하여 이동되기 때문에 이를 조정선장치로 옮기기 위해서는 장비 및 많은 인력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채 더미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며 유채 더미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전자동으로 걸러내어 유채종자를 효과적으로 정선할 수 있는 유채종자 조정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는 유채 더미를 공급하기 공급부와, 유채 더미 중 유채줄기나 깍지와 같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조정선체와 잔류 유채 더미에서 유채종자를 걸러내기 위한 제2조정선체로 이루어지는 조정선부와, 정선된 유채종자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제1,2조정선체는 상하측으로 배치되며 경사도를 조절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제1조정선체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갖는 회전로터와 고정포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유채종자는 상기 제1,2조정선체의 구멍들을 통해 낙하하면서 걸러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제1조정선체는 철망 체인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제2정선체는 경사스크린을 구비하며, 철망 체인컨베이어의 메쉬 사이즈는 경사스크린의 통공보다 적어도 크며, 체인컨베이어에는 메쉬 구멍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떼어내기 위한 회전브러쉬가 마련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제2정선체는 경사스크린을 요동시키기 위한 쉐이크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경사스크린의 통공은 2.5~3.5mm이고, 경사도는 3~7°이며, 요동수는 350~390cpm 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상기 공급부는 지면 측의 투입탱크와 조정선부 상측의 공급호퍼를 각각 구비하고, 투입탱크와 공급호퍼 사이에는 사이드웰 컨베이어가 마련되어 유채종자를 경사 이송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상기 공급부는 호퍼부를 갖는 버킷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며, 상기 호퍼부에는 헤침로터가 마련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채 더미를 지면에서 상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이드웰 컨베이어와, 공급된 유채 더미 중 유채줄기나 깍지와 같은 이물질과 유채종자를 걸러내기 위한 조정선부와, 정선된 유채종자를 건조기로 배출하기 위한 버킷 엘리베이터를 구비하는 유채종자 조정선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상기 조정선부는 유채 더미 중 유채줄기나 깍지와 같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조정선체와 잔류 유채 더미에서 유채종자를 걸러내기 위한 제2조정선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상기 조정선부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레이퍼를 더 구비하며, 스크레이퍼는 조정선부의 상측에서 유채 더미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걷어내는 브러쉬를 포함한 다.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는 투입탱크와 사이드웰 컨베이어와 공급호퍼를 이용하여 유채 더미를 지면으로부터 조정선체의 상측으로 용이하게 이송하며, 유채 더미로부터 유채종자를 복수의 조정선체를 상하로 배치하여 걸러내기 때문에 장치의 사이즈가 콤팩트하여 설치 면적이 최소화된다. 또한 투입탱크와 공급호퍼에 헤침로터를 설치하고, 조정선체에 회전로터, 고정포크, 스크레이퍼 등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유채 더미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들을 효율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채종자 조정선장치는 유채 더미를 투입하기 위한 공급부(10)와, 유채 더미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고 유채종자를 정선하기 위한 조정선부(20)와, 정선된 유채종자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40)를 구비한다.
공급부(10)는 조정선부(20)로 고수분 유채종자, 깍지, 유채줄기 외 수확 시 수집되는 각종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채 더미를 공급한다. 본 고안의 조정선장치는 유채 더미를 조정선부(20)의 상측으로 공급하여 하측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공급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유채 더미를 지면으 로부터 조정선부(20) 상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12)를 구비한다. 컨베이어(12)는 소립종인 유채종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송 중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이드웰 컨베이어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웰 컨베이어(12)는 도 2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2a)에 측벽(12b)으로 이루어진 공간을 설치하여 유채종자가 이송중 벨트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이드웰 컨베이어(12)의 시작단과 종단에는 각각 한 번에 많은 양의 유채 더미를 컨베이어(12)에 투입하고 이송된 유채 더미를 일정하게 조정선부(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투입 탱크(14)와 공급 호퍼(15)가 마련된다.
투입 탱크(14)는 톤백(대략 500kg)으로 유입되는 유채 더미를 컨베이어(12)에 일정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복수의 돌기를 랜덤하게 갖는 헤침로터(14a)를 구비하여 유채 더미를 헤치게 된다. 도 3의 참조부호 14b 및 14c는 개폐구 및 개폐핸들이다.
마찬가지로 공급 호퍼(15)도 컨베이어(12)를 통해 공급된 유채 더미를 더 잘게 헤침 및 파쇄하기 위한 헤침로터(15a)가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공급 호퍼(15)의 헤침로터(15a) 외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쳐진 유채 더미를 조정선부(20)로 공급하기 위한 개폐핸들(17) 및 개폐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조정선부(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채 더미 중 유채줄기나 깍지와 같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조정선체(21)와,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진 잔류 유채 더미에서 유채종자를 걸러내기 위한 제2조정선체(26)를 구비한다. 제1조정선체(21)와 제2조정선체(26)는 콤팩트한 사이즈를 위해 상하로 배치되며 약 3 ~ 7° 정도의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조정선체(21,26)의 경사도는 핸들(26a)을 돌려 조절할 수 있다.
제1조정선체(21)는 메쉬 사이즈(5mm)가 큰 철망 체인컨베이어(22)를 이용하여 유채 더미를 정선한다. 부피가 큰 유채줄기, 깍지 및 수확 시 함께 수거된 각종 이물질은 이 철망 체인컨베이어(22)에서 걸러지게 되며, 사이즈가 작은 잔류 유채 더미는 철망 체인컨베이어(22)의 메쉬 구멍을 통해 제2조정선체(26)로 낙하하게 된다. 무한궤도 회전을 하는 체인컨베이어(22)의 내측에는 롤러(22a)와 함께 회전브러쉬(23)가 설치되어 체인컨베이어(22)에 붙어 회전하는 검불 등의 유채 더미들을 떼어낸다. 떼어진 더미들은 측면의 더미배출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제1조정선체(21)는 이물질을 원활하게 거를 수 있도록 체인컨베이어(22) 경로 상에 회전로터(24)와 고정포크(25)를 구비한다. 회전로터(24)는 컨베이어(22)를 가로지르는 회전축에 복수의 걸림돌기를 랜덤하게 설치하여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걸러낸다. 걸림돌기에는 체인컨베이어(22)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유채종자가 잘 빠지도록 고무관을 끼운다. 고정포크(25)는 고정브라켓에 회전로터(24)와 마찬가지로 걸림돌기가 설치되어 유채 더미로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낸다. 고정포크(25)는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조정선체(26)는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진 잔류 유채 더미에서 유채종자를 걸러 배출구(29)로 이송한다. 제2조정선체(26)는 유채종자 사이즈(3mm) 정도 바람직하게는 2.5~3.5mm 사이의 메쉬 사이즈를 갖는 경사스크린(27)을 쉐이크유닛(30)을 이용하여 흔들어 유채종자를 정선한다. 경사스크린(27)은 타공정선 판(perforated plate)으로 제작되며, 쉐이크부재(30)는 구동모터(31)에 편심캠(32)을 벨트(33)로 연결하고, 편심캠(32)은 경사스크린(27)을 지지하는 플레이트(28)에 로드(34)로 연결하여 경사스크린(27)을 흔들도록 한다. 쉐이크유닛(30)의 동작 시 전체 조정선부(20)가 흔들리지 않도록 경사스크린(27) 및 플레이트(28)는 본체 프레임에 판스프링(28a)을 개재하여 지지된다. 쉐이크유닛(30)의 요동수는 350~390cpm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체 프레임의 일측면 예컨대, 플레이트(28)의 최상측 방향은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경사스크린(27)을 인출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배출부(40)는 최종 정선된 고수분 유채종자를 조정선부(20)의 하측에 마련되는 배출구(29)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데, 한 번에 일정량의 유채종자를 건조기(50)로 이송할 수 있는 버킷 엘리베이터(42)를 구비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를 상기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공급부(60)는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호퍼부(61)를 구비하는 버킷 엘리베이터(65)를 이용한다. 지면으로부터 조정선부(20)의 상측으로 유채 더미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호퍼부(61)에 유채 더미를 투입한 후 개폐핸들(62) 및 개폐구(63)를 통해 선별적으로 유채 더미를 조정선부(20)로 공급한다. 호퍼부(6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침로터(64)가 설치되어 있어서 큰 사이즈의 유채 더미를 헤치고 잘게 파쇄하여 조정선부(20')로 공급한다.
조정선부(20')에는 도 10과 같이 유채 더미로부터 이물질을 걷어내기 위한 스크레이퍼(70)가 더 구비된다. 스크레이퍼(70)는 컨베이어(21')의 상측 양단에 설치된 체인(71)에 컨베이어(21')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그리고 컨베이어(21')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브러쉬(72)를 회전시켜 유채 더미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다. 브러쉬(7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도 6의 참조부호 73은 구동모터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조정선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채종자 조정선장치의 조정선부에 마련되는 스크레이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60..공급부 12..사이드웰 컨베이어
14..투입탱크 15..공급호퍼
14a,15a,64..헤침로터 20..조정선부
21,26..제1,2조정선체 22..철망 체인컨베이어
24..회전로터 25..고정포크
27..경사스크린 30..쉐이크유닛
32..편심캠 40..배출부(버킷 엘리베이터)
50..건조기
Claims (12)
- 유채 더미를 지면에서 상향 경사 이송하기 위해 지면 측에 마련되는 투입탱크, 조정선부 상측에 마련되는 공급호퍼, 투입탱크와 공급호퍼 사이에 마련되는 사이드웰 컨베이어와,공급된 유채 더미 중 유채줄기나 깍지와 같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조정선체와, 제1조정선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잔류 유채 더미에서 유채종자를 걸러내기 위한 제2조정선체로 이루어지는 조정선부와,정선된 유채종자를 건조기로 배출하기 위한 버킷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되,상기 제1조정선체는 철망 체인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정선체는 경사스크린과 경사스크린을 요동시키기 위한 쉐이크유닛을 구비하며,상기 철망 체인컨베이어의 메쉬 사이즈는 상기 경사스크린의 통공보다 적어도 크며, 체인컨베이어에는 구멍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떼어내기 위한 회전브러쉬가 마련되며, 상기 경사스크린의 통공은 2.5~3.5mm이고, 경사도는 3~7°이며, 요동수는 350~390cp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채종자 조정선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2조정선체는 경사도를 조절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채종자 조정선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조정선체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갖는 회전로터와 고정포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채종자 조정선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5226U KR200455141Y1 (ko) | 2008-04-21 | 2008-04-21 | 유채종자 조정선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5226U KR200455141Y1 (ko) | 2008-04-21 | 2008-04-21 | 유채종자 조정선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0834U KR20090010834U (ko) | 2009-10-26 |
KR200455141Y1 true KR200455141Y1 (ko) | 2011-08-24 |
Family
ID=4153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5226U KR200455141Y1 (ko) | 2008-04-21 | 2008-04-21 | 유채종자 조정선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5141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21618A (zh) * | 2013-06-17 | 2014-12-24 | 太仓世诚贸易有限公司 | 一种新型的油菜籽脱粒装置 |
-
2008
- 2008-04-21 KR KR2020080005226U patent/KR2004551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0834U (ko) | 2009-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6897704A (zh) | 联合收割机 | |
CN207756493U (zh) | 一种大豆种植用种子精选设备 | |
JP2009261348A (ja) | 野菜収穫機 | |
JP6837393B2 (ja) | 収穫機 | |
JP6035162B2 (ja) | コンバイン | |
KR200455141Y1 (ko) | 유채종자 조정선장치 | |
JP4569203B2 (ja) | 脱穀機 | |
JP2010226989A (ja) | コンバインの脱穀構造 | |
KR101676167B1 (ko) |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 |
KR100639976B1 (ko) | 콩 탈곡기 | |
KR200427517Y1 (ko) |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 |
JP2008237134A (ja) | 脱穀装置 | |
KR101057043B1 (ko) | 농작물 세척 선별기 | |
KR100558362B1 (ko) | 곡물 탈곡장치 | |
JP5081193B2 (ja) | コンバインにおけるチャフシーブ構造 | |
KR20160037750A (ko) | 자탈형 콤바인 | |
KR100854166B1 (ko) | 탈곡 장치 및 탈곡 장치의 수망 | |
CN114532080B (zh) | 烟草种子脱粒装置 | |
CN217726261U (zh) | 一种粮食筛选用风选设备 | |
JP4413187B2 (ja) | 脱穀装置の選別構造 | |
JP4764053B2 (ja) | 軸流型脱穀装置 | |
JP2003304727A (ja) | 脱穀機の二番処理装置 | |
JP4628289B2 (ja) | コンバインの二番還元縦コンベア | |
JP3578837B2 (ja) | コンバインの枝梗処理装置 | |
JP5707747B2 (ja) | 脱穀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