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863Y1 -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 - Google Patents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863Y1
KR200335863Y1 KR20-2003-0028603U KR20030028603U KR200335863Y1 KR 200335863 Y1 KR200335863 Y1 KR 200335863Y1 KR 20030028603 U KR20030028603 U KR 20030028603U KR 200335863 Y1 KR200335863 Y1 KR 200335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rice bran
network
inner cylind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규
Original Assignee
한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8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8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8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의 선별망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선별망에 끼어 있는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미강 제거장치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곡물투입구로 투입되는 곡물을 다수의 수납홈이 형성되어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선별망에 의해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을 선별내통으로 선별 분리하고, 분리된 이물질은 배출스크류에 의해 배출되는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에 있어서, 선별내통과, 선별망의 사이에 선별망의 길이 방향으로 노즐배관이 마련되고, 노즐배관에 선별망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납홈을 향하여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것으로, 자중에 의해 선별망의 수납홈에서 이탈되지 못하는 미강 또는 먼지들이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수납홈에서 이탈됨으로써, 선별기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납홈 내에 엉겨붙어 수납홈의 막힘이 발생하여 곡물의 선별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원활한 선별을 위하여 선별망을 분리하여 작업자가 직접 선별망의 안쪽의 수납홈을 청소해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Chaff removal apparatus of thickness Grade}
본 고안은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의 선별망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선별망에 끼어 있는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미강 제거장치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의 선별공정은 곡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키고, 곡물의 크기를 균일하게 함으로서 상품의 가치를 높이고, 곡물의 식미와 저장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행된다.
특히, 벼를 가공하여 최종 백미의 크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쇄미선별기를 사용하는데 백미가 수평면상에서의 선회운동을 하는 다단의 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도중에 쇄미와 정립의 선별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쇄미선별기의 체 눈의 형상이 정사각형인 그물체로 되어 있어 백미의 폭을 선별인자로 하여 선별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합리적이지만, 완전립, 대쇄립, 소쇄립 간의 선별인자는 두께나 폭이 아니며 길이이게 때문에 쇄미 선별에는 길이를 선별인자로 하는 길이 선별이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길이를 선별인자로 하는 곡물선별기는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시판,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가 사용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10)는, 곡물이투입되는 투입호퍼(12)와, 투입호퍼(12)로 투입되는 곡물이 길이대로 선별되도록 수납홈(14)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선별망(13)과, 선별망(13)의 내측에 마련되어 선별망(13)에 의해 선별되는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낙하되어 투입되는 선별내통(15)과 상기 선별내통(15)에 투입된 이물질을 이송 및 배출시키는 이송스크류(26)가 마련된다.
이에, 투입호퍼(12)로 선별되지 않은 곡물이 투입되면 투입된 곡물들은 회전되는 선별망(13)에 의해 혼합되면서 선별망(13)에 형성된 수납홈(14)에 수납홈(14)의 깊이 또는 길이보다 작은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납되어 선별망(13)과 같이 회전되며, 선별망(13)이 회전됨에 따라 이물질이 수납된 수납홈(14)이 선별망(13)의 최상측에 위치하면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선별내통(15)으로 낙하하여 투입되며, 투입된 이물질들은 이송스크류(16)에 의해 배출되며,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곡물에 포함된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낸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곡물선별기는 회전되는 선별망의 수납홈에 삽입된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들은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것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납홈 내에 엉겨붙어 수납홈의 막힘이 발생하여 결국 곡물의 선별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원활한 선별을 위하여 선별망을 분리하여 작업자가 직접 선별망의 안쪽의 수납홈을 청소해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투입되는 곡물을 선별하는 선별망의 수납홈을 막고 있는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을 고압의 압축 공기를 볼어 넣어 수납홈에서 이물질을 이탈시킬 수 있는 미강 제거장치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미강제거장치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번체(선별기) 110 : 하우징
120 : 곡물 투입구 130 : 선별망
140 : 선별내통 150 : 배출스크류
160 : 회전모터 170 : 회전지지부
174 : 회전내통슬리브 180 : 미강제거장치
182 : 노즐배관 184 : 분사노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미강 제거장치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는, 곡물투입구로 투입되는 곡물을 다수의 수납홈이 형성되어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선별망에 의해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을 선별내통으로 선별 분리하고, 분리된 이물질은 배출스크류에 의해 배출되는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선별내통과, 상기 선별망의 사이에 상기 선별망의 길이 방향으로 노즐배관이 마련되고, 상기 노즐배관에 상기 선별망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수납홈을 향하여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스크류의 회전축에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별내통이 고정 결합되는 선별내통슬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선별내통슬리브의 외측에 상기 선별내통슬리브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별망이 고정 결합되는 선별망회전부가 마련되며, 상기 선별내통슬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선별내통슬리브의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선별내통슬리브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웜기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선별내통슬리브를 길이방향으로관통하여 상기 노즐배관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배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미강 제거장치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미강제거장치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는, 본체(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선단에 마련되어 선별되지 않은 곡물(1)이 투입되는 곡물투입구(120)와, 상기 곡물투입구(120)를 통하여 투입되는 곡물(1)에서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2)이 선별되어 이동되는 원통형상의 선별망(130)과, 상기 선별망(130)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선별망(130)에 의해 선별되는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2)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선별내통(140)과, 상기 선별내통(140)의 내측하부에 마련되어 수납되는 이물질(2)들을 이송 및 배출시키는 배출스크류(150)가 마련되고, 본체(100)의 일측에는 별도의 동력전달장치(162)에 의해 상기 선별망(130)및 배출스크류(15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60)가 마련되며, 본체(100)의 타측에는 상기 선별망(130) 및 상기 선별내통(140)을 각각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170)가 마련되며, 상기 선별망(130)과, 상기 선별내통(140)의 사이에는 상기 선별망(13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선별망(130)의 내측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선별망(130)에 정체되어 있는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2)을 제거하는 미강제거장치(18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곡물투입구(120)는 원활한 곡물의 투입을 위하여 곡물의 투입경로를 형성하는 투입호퍼(124)가 마련되며, 투입되는 곡물(1)이 상기 선별망(130)의 내측으로 이송되도록 하우징(110)과 연통되는 경사로(126)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망(130)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배출스크류(150)의 회전축(152)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스크류(15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배출스크류(150)가 같이 회전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선별망(130)의 내측면에는 투입된 곡물(1)과 섞여있는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2)들이 상기 선별망(130)이 회전될 때 유입되어 상기 선별망(13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다수의 'U'자형 삽입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별내통(140)은, 단면이 'V'자형으로 상기 배출스크류(150)의 상기 회전축(15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개방된 상측으로 낙하되는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2)들은 상기 배출스크류(150)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상기 선별망(130) 및 상기 배출스크류(150)는 본체(100)의 일측에마련된 회전모터(160)와 상기 회전모터(16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162)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선별내통(140)은 상기 선별망(130) 및 상기 배출스크류(150)의 상관없이 상기 배출스크류(150)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지지부(170)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부(170)를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배출스크류(150)의 상기 회전축(152)은 상기 본체(100)에 고정된 회전축베어링(17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152)의 외측에 상기 회전축(15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별내통(140)이 고정 결합되는 선별내통슬리브(174)가 마련되고, 상기 선별내통슬리브(174)의 외측에는 상기 선별내통슬리브(17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별망(130)이 고정 결합되는 선별망회전부(178)가 마련되며, 상기 선별내통슬리브(174)의 일측에는 상기 선별내통슬리브(174)의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선별내통슬리브(174)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웜기어부(176)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미강제거장치(180)는 상기 선별내통(140)의 상측에 상기 선별망(130)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선별망(130)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수납홈(142)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84)이 마련된 노즐배관(182)이 마련되고, 상기 노즐배관(182)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지지부(170)의 상기 선별내통슬리브(174)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기공급배관(186)이 마련되며, 상기 공기공급배관(186)의 개폐하는 밸브(188) 및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미도시)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미강 제거장치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곡물투입구(120)에 마련된 상기 투입호퍼(124)를 통하여 선별되지 않은 곡물(1)을 투입하면, 투입되는 곡물(1)은 상기 곡물투입구(120)에 형성된 상기 경사로(126)를 통하여 상기 선별망(130)의 내측으로 투입된다.
이후, 투입되는 곡물(1)들은 회전되는 상기 선별망(130)에 의해 혼합되면서 곡물(1)과, 곡물(1)에 섞여있는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2)들이 상기 선별망(130)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수납홈(132)에 유입되면서 상기 선별망(1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 선별망(130)이 회전됨에 따라 이동되는 곡물(1) 및 이물질(2)들 중에 상기 수납홈(132)에 완전히 유입되지 않은 곡물(완전립)들은 자중에 의해 먼저 이탈되어 다시 상기 선별망(130)의 하부로 낙하되며, 상기 수납홈(132)에 완전히 유입된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2)들은 상기 선별망(130)과 같이 회전되며, 이물질(2)이 유입된 상기 수납홈(132)이 회전되는 상기 선별망(130)의 최상측에 위치할 경우 자중에 의해 미물질(2)들이 이탈되어 상기 선별내통(140)으로 낙하되어 상기 배출스크류(150)에 의해 이송 및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선별망(130)의 최상측에 위치한 상기 수납홈(132)들 중에 자중에 의해 낙하하지 못하는 미강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2)들은 상기 선별내통(140)의 상부에 마련된 상기 노즐배관(182)의 분사노즐(184)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수납홈(132)에서 이탈되어 상기 선별내통(140)으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자중에 의해 상기 선별망(130)의 상기 수납홈(132)에서 이탈되지 못하는 미강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2)들이 상기 분사노즐(184)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수납홈(132)에서 이탈됨으로써 선별기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2)이 수납홈(132) 내에 엉겨붙어 상기 수납홈(132)의 막힘이 발생하여 곡물(1)의 선별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원활한 선별을 위하여 선별망(130)을 분리하여 작업자가 직접 선별망(130)의 안쪽의 수납홈(132)을 청소해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강 제거장치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에 따르면, 자중에 의해 상기 선별망의 상기 수납홈에서 이탈되지 못하는 미강 또는 먼지들이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수납홈에서 이탈됨으로써, 선별기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납홈 내에 엉겨붙어 상기 수납홈의 막힘이 발생하여 곡물의 선별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원활한 선별을 위하여선별망을 분리하여 작업자가 직접 선별망의 안쪽의 수납홈을 청소해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곡물투입구로 투입되는 곡물을 다수의 수납홈이 형성되어 회전되는 원통형상의 선별망에 의해 미강, 먼지 등의 이물질을 선별내통으로 선별 분리하고, 분리된 이물질은 배출스크류에 의해 배출되는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선별내통과, 상기 선별망의 사이에 상기 선별망의 길이 방향으로 노즐배관이 마련되고, 상기 노즐배관에 상기 선별망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수납홈을 향하여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스크류의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별내통이 고정 결합되는 선별내통슬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선별내통슬리브의 외측에 상기 선별내통슬리브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별망이 고정 결합되는 선별망회전부가 마련되며, 상기 선별내통슬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선별내통슬리브의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선별내통슬리브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웜기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선별내통슬리브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노즐배관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배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
KR20-2003-0028603U 2003-09-05 2003-09-05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 KR200335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03U KR200335863Y1 (ko) 2003-09-05 2003-09-05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603U KR200335863Y1 (ko) 2003-09-05 2003-09-05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863Y1 true KR200335863Y1 (ko) 2003-12-11

Family

ID=4942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603U KR200335863Y1 (ko) 2003-09-05 2003-09-05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8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8342B1 (en) Cereal grain sorting system and roll sorting machine
KR101721178B1 (ko) 쌀눈 선별장치
US50001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tobacco from imperfect cigarettes
KR200457188Y1 (ko) 콩 선별장치
KR20090014046A (ko) 곡물 선별기
US49018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wood chips
KR200335863Y1 (ko)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
KR101676167B1 (ko)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CN107824425A (zh) 乌龙茶自动检梗机
KR100870493B1 (ko) 선별 대상물의 다단계 분리장치
KR200427517Y1 (ko)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JPS6314605Y2 (ko)
JP2007301438A (ja) 粗選機の排出口切替装置
KR101539062B1 (ko) 콩 선별장치
KR200267655Y1 (ko)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
CN112568450A (zh) 一种分选剥壳设备
JPH07213267A (ja) なめこ茸の茎切り機における被切断なめこ茸の選別方法と選別装置
KR102393611B1 (ko) 씨선별분리장치
CN220975545U (zh) 多级分选螺旋输送装置
CN217726261U (zh) 一种粮食筛选用风选设备
KR0130872B1 (ko) 탈곡 장치
KR200387161Y1 (ko)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JP2004314221A (ja) バレル研磨装置
KR20220085907A (ko)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JP2003023846A (ja) 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