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655Y1 -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655Y1
KR200267655Y1 KR2020010039597U KR20010039597U KR200267655Y1 KR 200267655 Y1 KR200267655 Y1 KR 200267655Y1 KR 2020010039597 U KR2020010039597 U KR 2020010039597U KR 20010039597 U KR20010039597 U KR 20010039597U KR 200267655 Y1 KR200267655 Y1 KR 200267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rotating cylinder
discharge
length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to KR2020010039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655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의 길이차이를 이용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회전통체 내면의 수납홈에 잔류된 곡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곡물길이선별기(1)의 잔량배출장치의 구조는 곡물투입구(11) 하단에 위치한 하우징(26) 아랫단에 공기통로(23)를 형성하고, 압축공기분사장치를 구비하여 회전통체(15)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Apparatus of Discharging the Residual Grain in Length Grader}
본 고안은 곡물의 길이선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곡물의 길이선별후 곡물 및 이물질의 잔량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의 선별공정은 곡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키고, 곡물의 크기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상품가치를 높이고, 곡물의 식미와 저장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행된다. 특히 벼를 가공하여 최종 백미의 크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쇄미선별기를 사용하는데 백미가 수평면상에서의 선회운동을 하는 8단으로 된 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도중 쇄미와 정립의 선별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쇄미선별기의 체 눈의 형상이 정사각형인 그물체(Wire Mesh)로 되어 있어 백미의 폭을 선별인자로 하여 선별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합리적이지만 완전립, 대쇄립, 소쇄립 간의 선별인자는 두께나 폭이 아니며 길이이기 때문에 쇄미선별에는 길이를 선별인자로 하는 길이선별이 합리적이라 볼 수 있다.
상기 곡물의 길이선별에 관한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89963호(등록일자 2001.02.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통체 내면에 수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 내로의 수납여부에 따라 곡물을 크기별로 선별함으로써, 입자를 크기별로 분류하는 기능을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선별되는 작은입자의 곡물로부터 좁은 단면의 긴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한 곡물선별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곡물의 길이선별 완료시에 회전통제 내면의 수납홈 내에는 곡물 및 이물질이 잔류하게 되며, 곡물 및 이물질(미강, 먼지 등)을 제거하지 않으면 잔류 곡물의 수분으로 인하여 곡물, 미강 및 먼지 등과 함께 수납홈에 엉겨 붙어 수납홈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곡물길이선별기의 선별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작업자가 직접 회전통체를 분리하여 회전통체 안쪽 벽면의 수납홈을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곡물의 길이차이를 이용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회전통체(15) 안쪽 벽면의 수납홈(30)에 잔류된 곡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서는 곡물 선별완료시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회전통체(15) 안쪽 벽면의 수납홈(30)에 잔류된 곡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가 제시된다.
도 1은 의 곡물길이선별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A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 C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곡물길이선별기 10 투입호퍼
11 곡물투입구 12 모터
13 V형 집적통 14 이송스크류
15 회전통체 16 쇄립배출구
17 완전립배출구 18 각도조절핸들
20 콤퓨레샤 21 개폐장치
22 연결니플 23 공기통로
24 공기배관 25 배관용파이프
26 하우징 27 공기분사구
28 에어필터 30 수납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곡물길이선별기(1)의 잔량배출장치의 구조는 곡물투입구(11) 하단에 위치한 하우징(26) 아랫단에 공기통로(23)를 형성하고, 압축공기분사장치를 구비하여 회전통체(15)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의 곡물길이선별기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B-B선 단면도로서, 투입호퍼(10)로부터 곡물이 투입되는 곡물투입구(11)와 곡물투입구(11) 하단에 위치한 하우징(26) 내면을 통하여 곡물이 유입되어 하우징(26)과 연통된 회전통체(15) 내로 곡물이 투입되도록 구성되며, 모터(12)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통체(15)는 완전립배출구(17)의 길이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고 원통 형상으로 좌우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회전통체(15) 내부에는 곡물의 쇄립(길이가 작은 곡물)이 유입되는 V형 집적통(13)이 설치되고, V형 집적통(13) 내부에는 모터(12)와 연결되어 곡물의 쇄립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14)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물이 투입되는 반대측에는 회전통체(15)로부터 곡물의 완전립(길이가 긴 곡물)이 배출되는 완전립배출구(17)가 회전통체(15) 끝단에 설치되며, V형 집적통(13) 끝단에는 쇄립배출구(16)가 설치된다. 또한, V형 집적통(13)의 끝단과 완전립배출구(17) 및 쇄립배출구(16) 상단에는 선별되는 곡물길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V형 집적통(13)의 각도조절핸들(18)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A 부분확대도로서, 곡물투입구(11) 하단에 위치한 하우징(26)의 아랫단에는 압축공기가 분사될 수 있는 공기통로(23)가 회전통체(15)의 개방된 좌측면까지 하향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져 있으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통로(23) 유입단에는 연결닛플(22)을 하우징(26) 외면에 설치하고, 연결닛플(22) 유입단에는 콤퓨레샤(20) 및 공기배관(24)을 통하여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분사 여부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장치(21)와 콤퓨레샤(20)에서 발생된 압축공기 속의 수분와 유분을 제거하는 에어필터(28)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연결닛플(22)의 반대측 끝단에는 공기통로(23)를 통하여 배관용파이프(25)가 회전통체(15) 내로 유입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배관용파이프(25)의 끝단에는 슬롯형상의 복수개 분사구를 가지는 공기분사구(27)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C 부분확대도로서, 상기 회전통체(15) 안쪽 벽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수납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통체(15)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통체(15)에 유입된 곡물 중 상기 수납홈(30)보다 작은 길이의 곡물은 수납홈(30)에 담겨져 회전통체(15)의 상부까지 이송된 후, V형 집적통(13)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수납홈(30)의 형상은 곡물이 실린 체 상측으로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오목한 타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상기 투입호퍼(10) 및 곡물투입구(11)와 곡물투입구(11) 하단에 위치한 하우징(26) 내면을 통하여 곡물이 유입되어 하우징(26)과 연통된 회전통체(15) 내로 곡물이 투입되면 경사진 체 회전되는 회전통체(15)에 의하여 서서히 완전립배출구(17)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회전통체(15) 안쪽 벽면에는 일정한 모양의 수납홈(30)이 형성되어져 있어 길이가 짧은 작은 곡물은 수납홈(30) 속에 완전히 들어가기 때문에 회전통체(15)가 어느 정도 회전한 후에 V형 집적통(13)으로 떨어지며, 길이가 긴 곡물은 수납홈(30) 속에 완전히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회전통체(15)가 회전하는 도중에 일찍 낙하하여회전통체(15) 내로 다시 떨어진다. V형 집적통(13)에 수거되는 작은 길이의 곡물은 이송스크류(14)에 의해 쇄립배출구(16)로 배출되며, 회전통체(15) 내에 남아 있는 길이가 긴 곡물은 경사지게 설치된 회전통체(15)를 따라 완전립배출구(17) 쪽으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또한 선별되는 곡물길이의 크기는 회전통체(15)의 회전속도 및 크기, 수납홈(30)의 모양 및 크기, V형 집적통(13)의 좌우방향 기울기 등에 영향을 받는다.
상기 작용으로 곡물의 길이선별이 완료되면 회전통체(15) 안쪽 벽면의 수납홈(30)에는 소량의 잔류곡물 및 이물질이 남아있게 되므로, 곡물의 길이선별 완료시에는 콤퓨레셔(20)에서 압축된 공기를 개폐장치(21)로 조작하여 회전통체(15) 내부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압축공기 속의 수분 및 유분이 회전통체(15)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필터(28)를 장착하여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공기의 방향은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지도록 분사되며, 분사되는 도중에는 회전통체(15)는 계속해서 회전되도록 하며, 압축공기는 복수개의 슬롯형상의 분사구를 가진 공기분사구(27)에 의해 회전통체(15)의 하부 수납홈(30)으로 분사되어 완전립배출구(17) 방향으로 곡물을 쓸어 내리게 되어 잔류곡물 및 이물질이 없도록 수초 내지 수분 동안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잔량배출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잔량배출이 완료되면 곡물길이선별기(1)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압축공기 분사를 정지되도록 하여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곡물의 길이선별 완료시 회전통제 안쪽 벽면의 수납홈내에 곡물 및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 줌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회전통체를 분리하여 회전통체내의 수납홈을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수납홈의 막힘현상이 없어 곡물길이선별기의 선별성능이 더욱 향상되고 잔류되는 곡물이 없어 곡물의 수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곡물이 투입되는 곡물투입구(11)와 곡물배출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좌우측벽면이 개방되어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회전통체(15)와 상기 회전통체(15) 안쪽 벽면에 곡물을 수납하는 오목한 타원형상의 수납홈(30)과 상기 회전통체(15) 내부에 작은 길이의 곡물을 수용할 수 있는 V형 집적통(13)과 상기 V형 집적통(13) 내부에 작은 길이의 곡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14)와 상기 V형 집적통(13)의 배출 끝단에 설치된 쇄립배출구(16)와 상기 회전통체(15)의 배출 끝단에 설치된 완전립배출구(17)로 구성된 곡물길이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곡물투입구(11) 하단에 위치한 하우징(26)의 아랫단에 상기 회전통체(15)의 개방된 좌측면까지 하향방향으로 경사지게 공기통로(23)를 형성하고, 공기통로(23) 유입단에는 연결닛플(22)을 하우징(26)에 고정설치하고, 연결닛플(22) 유입단에는 압축공기 개폐장치(21) 및 에어필터(28)가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연결닛플(22)의 반대측 끝단에는 배관용파이프(25)를 연결하여 공기통로(23)를 통하여 회전통체(15) 내로 유입되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도록 하고, 배관용파이프(25)의 끝단에는 복수개의 분사구를 가지는 공기분사구(27)를 장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
KR2020010039597U 2001-12-12 2001-12-12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 KR200267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597U KR200267655Y1 (ko) 2001-12-12 2001-12-12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597U KR200267655Y1 (ko) 2001-12-12 2001-12-12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655Y1 true KR200267655Y1 (ko) 2002-03-12

Family

ID=7311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597U KR200267655Y1 (ko) 2001-12-12 2001-12-12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6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120B1 (ko) * 2002-06-17 2005-05-31 최종진 원통형곡물선별기의 곡물투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120B1 (ko) * 2002-06-17 2005-05-31 최종진 원통형곡물선별기의 곡물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8973B1 (en) Drum type refining or washing apparatus
JPH06281430A (ja) 粉粒体の精製、分級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616525B1 (ko) 분진흡입장치가 구성된 씨앗 탈망 및 알곡선별기
CN107999164A (zh) 一种碾米设备
KR200267655Y1 (ko)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
KR101676167B1 (ko)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JPS6333884B2 (ko)
CN217303499U (zh) 一种大米加工用通风烘干装置
CN110918444A (zh) 一种谷物过筛去石机
RU2643727C1 (ru)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KR20080004954A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8155176A (ja) 精米機
KR200335863Y1 (ko)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
JPS6314605Y2 (ko)
CN216936438U (zh) 排料装置及梯流分选设备
KR200209572Y1 (ko) 곡물 조선기
JP3380796B2 (ja) 処理胴付き脱穀機
KR200170215Y1 (ko) 도정기용 석발장치
CN218835145U (zh) 一种建筑施工用筛沙装置
FR2613636A3 (fr) Moulin a marteaux
JP3427042B2 (ja) 処理胴付き脱穀機
JP2008055279A (ja) 揺動選別式籾摺装置の残粒除去
KR20220085907A (ko)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CN116493260A (zh) 一种谷物分选装置
JPS61159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