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215Y1 - 도정기용 석발장치 - Google Patents

도정기용 석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215Y1
KR200170215Y1 KR2019990016677U KR19990016677U KR200170215Y1 KR 200170215 Y1 KR200170215 Y1 KR 200170215Y1 KR 2019990016677 U KR2019990016677 U KR 2019990016677U KR 19990016677 U KR19990016677 U KR 19990016677U KR 200170215 Y1 KR200170215 Y1 KR 200170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uide plate
grain
grain guid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문규
Original Assignee
조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규 filed Critical 조문규
Priority to KR2019990016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2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Abstract

(1)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도정기용 석발장치에 관한 분야.
(2) 고안의 목적
석발효율을 높이고, 곡물의 종류에 따라 석발장치를 선택사용 할 수 있음.
(3) 고안의 구성
현미장치(2)와 정미장치(4), 그리고 석발장치(4)로 구성된 통상의 도정기에 있어서, 석발장치(4)의 경사진 요동망(41) 프레임(42)의 상면에 브라켓트(43)를 설치고정하여 이곳에 방향전환이 가능한 곡물안내판(44)을 유설하되, 석발시에 곡물안내판(44)의 우측끝단부가 경사진 요동망(41)의 상측 1/3지점에 위치케하고, 쌀을 제외한 기타곡물을 배출시에는 곡물안내판(44)의 기울기가 반대로 되면서 요동망(41)으로 곡물이 공급되지 아니하고, 최종배출구(45)로 바로 배출되게끔 구성함.
(4) 고안의 효과
석발시 효율을 높이고 쌀뿐만 아니라 기타곡물의 도정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

Description

도정기용 석발장치{A GRIT SELECTION DEVICE}
본 고안은 도정기용 석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석발장치에 경사지게 설치된 요동망체 상부에 곡물안내판을 설치하되, 상기 곡물 안내판의 방향조절이 가능하게끔 설치함으로써, 쌀과 같이 석발이 필요할 경우와 조, 수수, 율무등등과 같이 석발이 필요치 않은 잡곡의 경우를 구분하여 곡물안내판의 방향을 전환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정미장치를 통하여 석발장치의 경사진 요동망 위로 쌀이 공급될때, 경사진 요동망의 상측 1/3지점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석발 또한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끔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도정기에는 통상 벼의 껍질을 벗겨주는 현미장치와, 현미장치를 통하여 가공된 현미를 정미하는 정미장치, 그리고 상기 정미장치를 통하여 가공된 쌀에서 돌이나 쌀보다 비중이 큰 이물질 등을 골라내는 석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도정기에서 문제점으로 작용하는 부분을 도 4를 참조하여 짚어보면,
먼저 정미장치를 통하여 나오는 쌀이 석발장치의 경사진 요동망(4) 위로 떨어질때, 정미장치의 구조상 요동망(41)의 하측 1/3지점으로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요동망체위로 쌀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쌀보다 중량이 많이 나가는 돌이나 이물질은 요동망의 상측으로 이송 배출되기까지의 시간이 매우 길게 소요되고, 쌀은 요동망 하측으로 이송배출되기까지의 시간이 매우 짧게 소요되며 이 과정에서 석발후 배출되는 쌀에 돌이나 이물질의 배출도 간혹 이루어져 석발에 따른 효과를 반감시켰던 것이다.
한편 조, 수수, 율무와 같은 잡곡들은 석발하지 않고 바로 배출시켜야 하는데, 석발장치가 설치된 도정기의 경우로는 위와 같은 잡곡들을 바로 배출시킬 수 없었고 따라서, 상기 쌀을 제외한 잡곡들의 도정은 석발장치가 일체로 설치된 도정기로서 도정하기는 곤란하였던 것이며, 더불어 정미한 쌀 표면의 가공상태가 원하는 정도로 도정되지 못하였을 경우는 재 공급시켜 정미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는 구태여 석발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히려 석발장치가 설치된 도정기로는 쌀 및 잡곡들의 도정효율을 높일 수 없는 폐단도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인출된 것으로 특히, 현미장치와 정미장치가 설치된 도정기의 하측에 석발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곡물안내판이 석발장치의 요동망으로 방향을 설정하였을 경우에 곡물 안내판의 선단이 경사진 요동망의 상측부 1/3지점에 위치케 하여 곡물의 공급시 석발의 효과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곡물안내판을 요동망 하측의 배출구방향으로 방향조절을 하면 조, 수수, 율무 등과 같은 곡물을 석발장치를 통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정기내에 설치된 정미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쌀이 석발장치로 공급될때 상기 곡물 안내판의 작용에 의해 경사진 요동망의 상측 1/3지점으로 쌀이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쌀이 요동망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시간이 길게 소요되면서 쌀보다 비중이 큰 돌이나 이물질의 배출시간은 짧게 소요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석발효과를 기대할수 있도록 하려는데도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위치를 나타낸 도정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석발장치에 대한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는 종래 석발장치에 대한 요부단면도
도1 ∼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벼의 껍질을 벗겨줌과 동시에 왕겨와 현미를 분리 배출시켜주도록 된 현미장치(2)와,
상기 현미장치(2)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미를 가공하여 백미화시켜주고, 여기서 다시 쌀과 껍질, 왕겨, 뉘 등을 선별하여주는 정미장치(3),
그리고 상기 정미장치(3) 하부에 설치되어 정미기로부터 배출되는 쌀에서 쌀보다 비중이 높은 돌이나 이물질등을 골라내는 석발장치(4)로 구성된 통상의 도정기(1)에 있어서,
정미장치(3) 하부에 설치되는 석발장치(4)의 경사진 요동망(41) 프레임(42) 상면에 브라켓트(43)를 설치고정하여, 상기 브라켓트(43)에 ''형으로 절곡된 곡물안내판(44)을 유설하되, 상기 곡물안내판(44)은 힌지부분(45)을 중심으로 좌단부를 하강시키면 정미장치(3)에서 배출구(31)를 통하여 배출되는 쌀(또는 조, 수수, 율무등등과 같은 곡물도 해당됨)이 경사진 요동망(41) 위로 떨어지지 않고 곡물안내판(44)을 통하여(경사진 요동망위로 떨어지지 아니하고) 바로 최종배출구(45)로 배출되게 되고,
곡물 안내판(44)의 우단부를 하강시키면, 상기 곡물안내판의 우측 끝단부분이 경사진 요동망(41)의 상측 1/3지점에 위치하여, 정미장치(3)의 배출구(31)를 통하여 배출되는 쌀이 곡물안내판(44)을 거쳐 요동망(4)의 상측 1/3지점으로 떨어지게 하며, 이에 따라 요동망(41)이 좌.우 왕복 요동함과 동시에 요동망(41) 좌측하부에 설치된 송풍기(5)로부터 바람이 공급되게 되었을 때, 쌀은 요동망(41) 하측으로 점차적으로 이송하여 최종배출구(45)로 배출되고, 돌이나 쌀보다 비중이 큰 이물질은 요동망(41) 상측으로 이송되어 배출구(46)로 이송 배출되게 된다.
미설명 부호 6은 배출구 개폐기, 61은 개폐기 핸들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현미장치(2)와 정미장치(3), 그리고 석발장치(4)가 순차적으로 설치된 도정기(1)에 있어서,
석발장치(4)의 경사진 요동망(41)의 프레임(42) 상면에 브라켓트(43)를 설치고정하여, 이곳에 곡물안내판(44)을 유설함으로써, 상기 곡물안내판(44)의 우측단부를 하강시켰을 때, 곡물안내판(44)의 우측끝단이 요동망(41)의 상측에서부터 1/3지점에 위치하게 되어, 정미장치(3)를 통하여 배출되는 쌀이 상기 곡물안내판(44)에 의하여 요동망(41)의 상측 1/3지점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요동망(41)의 왕복요동과 요동망 저면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쌀은 점차하부로 이송되어 최종배출구로 배출되고, 돌이나 쌀보다 비중이 높은 이물질등은 요동망(41) 상측으로 점차 이송되어 배출구(46)로 배출되게 된다.
또 이과정에서 석발효과가 극대화되는데, 이는 정미장치(3)를 통하여 배출되는 쌀이 경사진 요동망(41)의 상측 1/3지점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최종 배출구(45)로 쌀이 이송되기 까지의 시간이 그 만큼 더 소요되는데다가, 이 과정에서 쌀 표면에 묻어있는 각종 먼지나 뉘등의 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질수 있게 되고, 또 돌이나 비중이 제법나가는 이물질은 이송거리가 종래보다 크게 짧아져서, 그만큼 더 석발효율을 높일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도정기(1)을 이용하여 쌀 이외의 곡물, 즉 조, 수수, 율무등등과 같은 곡물을 정미한후, 배출시킬 경우는 석발할 필요가 없는데, 이경우에는 곡물안내판(44)을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조절하면, 곡물이 요동망(41)으로 공급되지 아니하고, 곡물안내판(44)을 통하여 최종배출구(45)로 바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석발장치(4)의 상부에 방향조절이 가능한 곡물 안내판을 설치하여, 정미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쌀에서 돌이나 쌀보다 비중이 큰 이물질등을 선별해내고자 할 경우에는 곡물안내판의 우측단부가 석발장치의 요동망 상측 1/3지점에 위치케 하여 석발시 효율을 극대화시켜주고, 조나 수수, 또는 율무등과 같은 곡물을 정미장치로부터 정미시킨후 배출시킬때는 곡물안내판을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기울게 끔 조절하여 사용하면 최종배출구로 바로 배출되게 됨으로써, 쌀을 비롯한 각종 곡물의 도정도 원활하게 할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벼의 껍질을 벗겨줌과 동시에 왕겨와 현미를 분리배출시켜 주도록 된 현미장치(2)와,
    상기 현미장치(2)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미를 가공하여 백미화시켜주는 정미장치(3), 그리고 상기 정미장치(3) 하부에 설치되어 정미기로부터 배출되는 쌀에서 돌등을 골라 선별시켜주는 석발장치(4)로 구성된 통상의 도정기(1)에 있어서, 정미장치(3) 하부에 설치되는 석발장치(4)의 경사진 요동망(41) 프레임(42)의 상면에 브라켓트(43)를 설치고정하여, 상기 브라켓트(43)에 ''형으로 절곡되고, 방향전환이 가능한 곡물안내판(44)을 유설하되, 석발시에는 곡물안내판(44)의 우측끝단부가 경사진 요동망(41)의 상측 1/3지점에 위치케 하고, 쌀을 제외한 기타곡물을 배출시에는 곡물안내판(44)의 기울기가 반대로 되면서 요동망(41)으로 곡물이 공급되지 아니하고 최종배출구(45)로 바로 배출되게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정기용 석발장치.
KR2019990016677U 1999-08-13 1999-08-13 도정기용 석발장치 KR200170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677U KR200170215Y1 (ko) 1999-08-13 1999-08-13 도정기용 석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677U KR200170215Y1 (ko) 1999-08-13 1999-08-13 도정기용 석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215Y1 true KR200170215Y1 (ko) 2000-02-15

Family

ID=1958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677U KR200170215Y1 (ko) 1999-08-13 1999-08-13 도정기용 석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2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90B1 (ko) 2011-02-16 2013-03-18 황영복 도정장치용 쌀겨 흡입유도판
KR101670988B1 (ko) 2015-10-02 2016-11-16 (주) 성산기업 석발 기능이 구비된 벼 정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90B1 (ko) 2011-02-16 2013-03-18 황영복 도정장치용 쌀겨 흡입유도판
KR101670988B1 (ko) 2015-10-02 2016-11-16 (주) 성산기업 석발 기능이 구비된 벼 정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8703B2 (ko)
CN103447177A (zh) 高效环保型圆筒初清筛及清选方法
KR200170215Y1 (ko) 도정기용 석발장치
CN110252447A (zh) 一种胚芽米加工系统及方法
JP2003200066A (ja) 穀物調製装置
JP3491647B2 (ja) 石抜選別機
WO1990001377A1 (en) Rotary air cleaner and separator
CN210304565U (zh) 一种玉米选种用二次筛分机
CN220371611U (zh) 一种稻谷去石机
KR102458453B1 (ko) 석발기가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JP2528409B2 (ja) 縦型穀類選別機
JPH09168743A (ja) 籾摺精米装置
JPH09168744A (ja) 籾摺精米装置
KR200267655Y1 (ko) 곡물길이선별기의 잔량배출장치
JPH09168745A (ja) 籾摺精米装置
JPH0655141A (ja) 揺動選別装置型籾摺選別機の分配樋
CN2396011Y (zh) 清选筛式振动输送机
JP2521484B2 (ja) 籾米の脱ぷ方法及びその装置
JPH044855Y2 (ko)
JP3427042B2 (ja) 処理胴付き脱穀機
JPH0966264A (ja) 米穀粒群中の異物選別方法
JPS61209077A (ja) 円筒選別籾摺機における米選装置
JPH01155976A (ja) 穀粒選別装置の搬送清掃装置
JPS62191084A (ja) 円筒選別籾摺機の受樋
JPH0747330A (ja) 揺動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