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954A -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954A
KR20080004954A KR1020060063932A KR20060063932A KR20080004954A KR 20080004954 A KR20080004954 A KR 20080004954A KR 1020060063932 A KR1020060063932 A KR 1020060063932A KR 20060063932 A KR20060063932 A KR 20060063932A KR 20080004954 A KR20080004954 A KR 2008000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beans
discharge
selector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074B1 (ko
Inventor
김상완
Original Assignee
김상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완 filed Critical 김상완
Priority to KR1020060063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074B1/ko
Publication of KR2008000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4Arrangements for collecting or removing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 탈곡기에 의해 탈곡된 콩으로부터 이물질(콩 대, 콩깍지, 돌, 모래, 반쪽 짜리 콩 등)을 자동으로 선별하는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콩 탈곡기로부터 탈곡된 콩을 크기별로 정선하기 전, 또는 정선기 측으로 투입하는 전 단계에서 콩에 포함된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양질의 콩만을 크기별로 정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측판(1)과, 상기 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콩(2)이 투입되는 흔들림 수단(3)과, 상기 흔들림 수단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투입된 콩에 포함된 콩깍지(2a)를 제거하는 흡입수단(4)과, 상기 흔들림 수단에 설치되며 콩(2)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18a)이 형성되어 콩에 포함된 콩 대(2b) 및 돌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망(18)과, 상기 배출망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반쪽 짜리 콩(2)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기다란 구멍(19a)을 갖는 걸름망(19)으로 구성된 것이다.
콩 정선기, 이물질 제거, 흔들림 수단, 흡입수단

Description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omitted}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배출망의 평면도
도 5는 걸름망의 평면도
도 6은 측판 사이에 가이드부재가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지지체에 배출망이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벽 3 : 흔들림 수단
4 : 흡입수단 5 : 지지체
6 : 레버 9 : 캠
10 : 링크 14 : 흡입 팬
17 : 가이드부재 18 : 배출망
19 : 걸름망 21 : 타공망
본 발명은 콩 탈곡기에 의해 탈곡된 콩으로부터 이물질(콩 대, 콩깎지, 돌, 모래, 반쪽 짜리 콩 등)을 자동으로 선별하는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콩 정선기의 입구 측에 설치하여 콩 탈곡기로부터 탈곡된 양질의 콩만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은 가을철에 밭으로부터 콩 대를 베어 건조시킨 다음 콩 탈곡기를 이용하거나, 수 작업으로 털어 수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잘 건조된 콩 대를 별도의 콩 탈곡기에 차례로 투입하면 콩 대로부터 콩이 자동으로 탈곡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데, 이와 같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콩에는 여러 종류의 이물질이 포함된다.
즉, 콩 대로부터 콩을 터는 과정에서 잘려진 콩 대 및 콩깍지는 물론이고 콩 대의 뿌리에 묻어 있던 모래 및 돌이 포함되며, 콩 대를 터는 과정에서 콩이 깨져 나뉘어진 반쪽 짜리 콩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콩 탈곡기로부터 탈곡된 콩에는 여러 종류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그대로 출하하지 못하고 반드시 콩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크기별로 선별하여야 수매가를 높게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콩 탈곡기로부터 탈곡된 콩으로부터 이물질을 자동으로 걸러내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수 작업에 의해 탈곡된 콩으로부터 이 물질을 일일이 골라내어야 되었으므로 많은 양의 콩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이물질을 걸러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탈곡된 콩에 포함된 콩 대 및 콩깍지 등 외부에서 식별되는 이물질만을 대충 제거하여 출하하므로 높은 수매가를 받을 수 없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탈곡하는 과정에서 풍압에 의해 미세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낸다고 하더라도 무게가 무거운 돌이나, 모래 등은 제거되지 않음은 물론 콩을 탈곡하는 과정에서 타격에 의해 콩이 2개로 분리되는 반쪽 짜리 콩의 제거는 거의 불가능하므로 콩을 수매하는 과정에서 등급을 높게 받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콩 탈곡기로부터 탈곡된 콩을 크기별로 정선하기 전, 또는 정선기 측으로 투입하는 전단계에서 콩에 포함된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양질의 콩만을 크기별로 정선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콩이 투입되는 흔들림 수단과, 상기 흔들림 수단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투입된 콩에 포함된 콩깍지를 제거하는 흡입수단과, 상기 흔들림 수단에 설치되며 콩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콩에 포함된 콩 대 및 돌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망과, 상기 배출망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반쪽 짜리 콩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기다란 구멍을 갖는 걸름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측판(1) 사이에 이물질이 포함된 콩(2)이 투입됨에 따라 채를 치듯이 흔들어 주는 흔들림 수단(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흔들림 수단의 입구 측에는 콩에 포함된 콩깍지(2a) 및 미세한 먼지 등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수단(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흔들림 수단(3)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측벽(1) 사이에 흔들림 가능하게 지지체(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는 4개의 레버(6) 일단이 보울트 및 너트 등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의 다른 일단은 측벽(1)에 보울트 및 너트 등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의 하부에 구동원인 모터(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축(8)에는 캠(9)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캠의 일단에 고정된 링크(10)는 지지체(5)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7)의 구동으로 축(8)이 회전함에 따라 측벽(1)에 레버(6)로 지지된 지지체(5)가 일정 범위 내에서 좌, 우로 요동치며 흔들리게 된다.
상기 흔들림 수단(3)의 입구 측에 작업자가 정선할 일정량의 콩(2)을 지속적으로 투입하여도 되지만, 콩 정선의 자동화를 위해 이송수단(도시는 생략함)의 배출관(11)으로 배출되는 콩이 흔들림 수단(3)에 자동적으로 투입되도록 호퍼(12)를 설치하여 상기 호퍼가 측벽(12) 사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흔들림 수단(3)으로 투입된 콩(2)으로부터 콩깍지(2a) 등의 가벼운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입수단(4)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일 측의 측벽(1)에 흡입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의 외측으로는 흡입 팬(1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15)과 송출관(16)으로 감싸져 있으며 상기 측벽(1) 사이에는 도 6과 같이 가이드부재(17)가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17)의 일단(흡입구와 고정되는 반대편)은 폐쇄되어 있고 다른 일단은 흡입구(13)와 통하여지도록 개구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재(17)의 단면적은 흡입구(13) 측으로 갈수록 크게 설정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흡입 팬(14)이 일 측의 측벽(1)에 설치되어 있어 흡입 팬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흡입 압력이 가이드부재(17)의 내부에서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흔들림 수단(3)을 구성하는 지지체(5)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콩(2)은 통과하고 콩에 포함된 콩 대(2b) 또는 크기가 큰 돌(2c) 등의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무수히 많은 구멍(18a)을 갖는 배출망(1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망의 직하방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쪽 짜리 콩(2d)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기다란 구멍(19a)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걸름망(19)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배출망(18) 및 걸름망(19)은 필요에 따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콩(2)을 정선하기 전에 콩의 종류 및 지역에 따라 콩의 크기(직경)가 다르므로 정선할 콩의 크기에 따라 알맞는 배출망(18) 및 걸름망(19)으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흔들림 수단(3)의 입구 측은 폐쇄판(20)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흡입수단(4)을 구성하는 가이드부재(17)의 직하방에는 타공망(21)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타공망의 하부에는 배출구(22a)를 갖는 배출 가이드관(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7)의 직하방에 타공망(21)을 설치하는 이유는 이물질이 포함된 콩이 흔들림 수단(3)의 흔들림에 의해 이송될 때, 콩(2)에 포함된 가벼운 이물질이 흡입수단(4)에 의해 제거되는 과정에서 콩에 포함된 모래 또는 매우 작은 돌 등이 자중에 의해 타공망(21)을 통과하여 가이드관(22)의 배출구(22a)로 배출되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흔들림 수단(3)은 콩(2)의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9)이 설치된 축(8)에 대형 풀리(24a)가 고정되어 있고 흡입 팬(14)과 고정되는 축(23) 및 모터 축(7a)에는 소형 풀리(24b)(24c)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풀리에는 1개의 벨트(25)가 걸려 있다.
따라서 모터(7)가 구동함에 따라 캠(9)이 설치된 축(8)은 비교적 서서히 회전하는 반면, 흡입 팬(14)이 고정된 축(23)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흡입수단(4)의 구동원인 모터(7)에 전원을 인가하면 각 풀리(24a)(24b)(24c)에 1개의 벨트(25)가 감겨져 있어 각 축(8)(23)이 동일방향으로 회 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캠(9)에 링크(10)로 연결된 지지체(5)는 측벽(1)에 레버(6)로 힌지 결합되어 있어 일정 범위 내에서 좌, 우로 요동운동을 하게 되고, 흡입구(13)의 외측으로 하우징(15)에 감싸지게 설치된 흡입 팬(14)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가이드부재(17)의 저면에 흡입력 발생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지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물질이 포함된 콩(2)이 지지체(5)의 입구 측으로 공급되면 지지체(5)가 지속적으로 흔들리고 있어 콩은 도 3의 좌측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물질이 포함된 콩(2)이 지지체(5)의 상부로 투입되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재(17)의 하부에는 흡입 팬(14)의 구동에 따라 흡입압력이 걸려 있어 콩깍지(2a) 및 가벼운 먼지 등이 가이드부재(17) - 측판에 형성된 송풍구(13) - 하우징(15)을 통해 송출관(16)으로 배출되고, 콩에 포함된 모래 및 크기가 작은 돌은 가이드부재(17)의 하부에 설치된 타공망(21)을 통해 하부로 자유 낙하되어 배출 가이드관(22)의 배출구(2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콩(2)에 포함된 콩깍지(2a) 및 모래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나면 계속되는 지지체(5)의 흔들림으로 콩(2) 및 콩 대(2b) 등은 배출망(18)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콩(2) 및 콩 대(2b) 그리고 크기가 큰 돌(2c)이 배출망(18)에 도달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콩(2)은 배출망(18)에 형성된 구멍(18a)을 통과하여 걸름망(19)으로 떨어지게 되지만, 길이가 비교적 긴 콩 대(2b) 및 크기가 큰 돌 (2c) 등은 구멍(18a)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배출판(26)을 통해 콩 대 배출관(27)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콩(2)에 포함된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고 순수한 콩만이 걸름망(19)의 상면으로 떨어지면 상기 걸름망(19)에는 콩의 이송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기다란 구멍(19a)이 형성되어 있어 콩(2)이 걸름망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다란 구멍(19a)을 통해 반쪽 짜리 콩(2d)이 배출되어 하방으로 자유 낙하하게 되고, 양질의 콩만이 걸름망(19)의 끝단에 설치된 콩 배출관(28)을 통해 배출되어 정선기(도시는 생략함)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체가 모터의 구동으로 흔들리는 과정에서 흔들림 수단으로 이물질이 포함된 콩이 투입되면 1차적으로 콩깍지와 같은 가벼운 이물질 및 모래 등이 제거된 다음 배출망에 의해 콩 대 및 크기가 큰돌이 제거되고, 배출망을 통과한 콩으로부터 걸름망을 통해 반쪽 짜리 콩을 제거하므로 순수한 콩만을 정선기 측으로 공급하여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콩의 품질을 인정받을 수 있어 수매 시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콩 정선기의 타입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정선기든지 입구 측에 설치하기만 하면 콩을 크기별로 선별하기 전에 콩에 포함된 모든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그 사용범위가 매우 넓다.

Claims (5)

  1.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콩이 투입되는 흔들림 수단과, 상기 흔들림 수단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투입된 콩에 포함된 콩깍지를 제거하는 흡입수단과, 상기 흔들림 수단에 설치되며 콩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콩에 포함된 콩 대 및 돌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망과, 상기 배출망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반쪽 짜리 콩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기다란 구멍을 갖는 걸름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수단은 측벽 사이에 흔들림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일단이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측벽에 힌지 결합된 4개의 레버와, 상기 측벽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원인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축에 고정된 캠과, 상기 캠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체에 힌지 결합된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은 일 측의 측벽에 형성된 흡입구의 외측으로 흡입 팬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흡입 팬을 하우징과 송출관으로 감싸고, 상기 측벽 사이에는 가이드부재로 감싸 고정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이 흡입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단면적이 흡입구 측으로 갈수록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수단의 입구 측에 타공망을 고정하고 상기 타공망의 하부에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 가이드관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060063932A 2006-07-07 2006-07-07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0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932A KR100804074B1 (ko) 2006-07-07 2006-07-07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932A KR100804074B1 (ko) 2006-07-07 2006-07-07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476U Division KR200427299Y1 (ko) 2006-07-07 2006-07-07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54A true KR20080004954A (ko) 2008-01-10
KR100804074B1 KR100804074B1 (ko) 2008-02-18

Family

ID=3921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932A KR100804074B1 (ko) 2006-07-07 2006-07-07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0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48421A1 (en) * 2019-08-15 2021-02-18 Manoel Henrique Da Silva Grain Separation Automation and Processing Equipment and Possible Materials of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Same; Application of Process and Use of Equipment
CN113196958A (zh) * 2021-04-28 2021-08-03 石河子大学 一种油莎豆脱前除沙装置
CN114985260A (zh) * 2022-05-19 2022-09-02 西安必康制药集团有限公司 一种中药生产用除杂清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447B1 (ko) 2019-02-27 2021-01-27 배근혁 곡류의 연속적 정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905Y1 (ko) * 1996-01-19 1998-11-16 정상진 정미기 부설용 석발기
KR100532854B1 (ko) * 2003-12-13 2005-12-06 김유환 콩 정선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48421A1 (en) * 2019-08-15 2021-02-18 Manoel Henrique Da Silva Grain Separation Automation and Processing Equipment and Possible Materials of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Same; Application of Process and Use of Equipment
US11650189B2 (en) * 2019-08-15 2023-05-16 Manoel Henrique Da Silva Grain separation automation and processing equipment and possible materials of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same; application of process and use of equipment
CN113196958A (zh) * 2021-04-28 2021-08-03 石河子大学 一种油莎豆脱前除沙装置
CN114985260A (zh) * 2022-05-19 2022-09-02 西安必康制药集团有限公司 一种中药生产用除杂清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074B1 (ko) 2008-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7017U (ja) 穀物用選別機
JPH09267076A (ja) 粗選石抜装置
KR100804074B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09007873A (zh) 一种基于多通道分级式油茶鲜果脱壳清选一体机
KR200457188Y1 (ko) 콩 선별장치
KR102134519B1 (ko) 검불 분리 및 선별이 가능한 과실 수확장치
KR200427299Y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532854B1 (ko) 콩 정선장치
JPH11244788A (ja) 廃棄物選別装置
KR102571634B1 (ko) 땅콩 탈곡장치
KR200344538Y1 (ko) 콩 정선이 가능한 콩 탈곡기
KR101676167B1 (ko)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KR100558362B1 (ko) 곡물 탈곡장치
KR102421445B1 (ko) 2차 선별장치를 구비한 배출부가 적용된 콤바인
KR20100043381A (ko) 콩 선별 시스템
JP3927328B2 (ja) 籾摺選別装置
KR200453178Y1 (ko) 곡물선별기
KR200396349Y1 (ko) 콩 탈곡기에 있어서 커버 작동장치
KR200356983Y1 (ko) 왕겨 선별기
CN217512036U (zh) 一种棉花种子分拣装置
KR200427517Y1 (ko)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KR0182368B1 (ko) 시험용 곡물 재탈곡 정선기
JP4234560B2 (ja) 米麦調製出荷設備に使用される仕上風選装置
KR101110381B1 (ko) 벼의 이물질 제거장치
US2298497A (en) Nut shel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