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161Y1 -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161Y1
KR200387161Y1 KR20-2005-0006915U KR20050006915U KR200387161Y1 KR 200387161 Y1 KR200387161 Y1 KR 200387161Y1 KR 20050006915 U KR20050006915 U KR 20050006915U KR 200387161 Y1 KR200387161 Y1 KR 200387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own rice
sorting
brown
rice hu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수
Original Assignee
이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수 filed Critical 이춘수
Priority to KR20-2005-0006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1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농가 가정용 도정기의 현미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도정기로서 현미 도정을 하고저할때 왕겨 탈피가 되지 않은 뉘와 깜부기, 짚프라기 이물질등을 선별제거 할수 잇는 선별장치를 좁은 공간에 할수가 없어 현미 도정을 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을 갖었다.
본 고안은 소형 가정용 도정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현미를 신속하게 선별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즉 본 고안은 투입되는 벼를 고속회전 충압충격에 의해 왕겨와 현미로 탈피하도록하는 탈피실과 상기 탈피실에서 탈피된 왕겨 와 현미가 이송되면 흡입팬에 의해 왕겨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현미는 공급호퍼로 보내주는 분리실과 공급호퍼에서 투입되는 현미를 회전시켜 현미는 수거통으로 보내고 탈피가 이루어지지 못한 벼(뉘)와 깜부기, 짚프라기, 이물질등은 외부로 배출시켜 다시 뉘는 제도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POLISH RICE BY POUNDING MACHINE}
본 고안은 농가 가정용 도정기의 벼 껍질 제거 및 현미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식 탈피실에서 현미와 왕겨를 1차적으로 탈피시키고 탈피된 현미와 왕겨를 분리실로 보내어 왕겨는 흡입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현미는 현미선별기로 보내어 현미는 선별하고 뉘와 깜부기, 짚프라기, 이물질등은 외부로 배출하여 뉘는 제도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정용 현미 선별장치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동체 내부에 완전한 정미 능력을 갖추어 가정에서 손쉽게 사용할수 있도록하여, 일단 나락(벼)을 투입하면 현미팬과 선별장치를 통해 왕겨를 제거하고 또 다시 회전식 걸름망을 통해 현미에 섞여 있는 뉘와 쇳조각 그리고 나무조각 짚프라기등의 이물질등을 분리시켜 깨끗한 현미를 배출시키는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고 규모를 소형화시켜 사용과 보관이 손쉬우면서 농민들이 매우 저렴하게 구입 사용할 수 있어 농가 부담을 줄일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깨끗한 현미만을 선별하기 위한 장치로는 산업 도정용으로 큰기계와 독립된 기계만 있었고, 가정용 도정기로는 선별장치가 된것이 전혀 없어 농가에서 현미가 필요하여 가정용 도정기로 현미를 도정하면 현미에 섞여 나오는 뉘를 선별 할 수가 없어 가정에 도정기를 두고도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가며 도정공장에서 해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종래의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에서 야기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탈곡된 벼를 순차적으로 적재공급하여 공급된 벼를 왕겨와 현미로 탈피하고 분리하며, 분리된 현미를 선별실에서 뉘와 탈피안된 벼와 이물질등을 분리하여 현미는 수거통으로 배출하고 탈피안된 벼는 다시 호퍼로 투입하여 탈피될 수 있도록 한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선별장치는 투입되는 벼를 고속회전에 의해 왕겨와 현미로 탈피하도록하는 탈피실과, 상기 탈피실에서 탈피된 왕겨와 현미가 이송되면 흡입팬에 의해 왕겨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현미는 공급호퍼로 보내주는 분리실과, 공급호퍼에서 투입되는 현미를 회전시켜 현미는 수거통으로 보내고 탈피가 이루어지지못한 벼는 배출부로 배출하여 호퍼로 이송시켜주는 선별실로 구성된 특징으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첨부 도면 도 1내지 도 4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고안의 선별장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선별장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현미선별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현미선별통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확대도이다.
즉 본고안은 크게 벼를 투입적재하는 호퍼와, 호퍼에서 투입된 벼를 왕겨와 현미로 고속회전하여 탈피하는 탈피실과, 탈피된 왕겨와 현미를 서로 분리하는 분리실과, 분리된 현미를 선별실로 공급하는 공급호퍼와, 공급호퍼에서 공급된 현미를 뉘와 깜부기, 짚프라기등 이물질을 선별배출하는 선별실과, 현미를 수거하는 수거통과 깜부기, 이물질과 탈피되지 않은 벼를 배출하는 배출부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호퍼(2)는 상광하협으로 구성되어 그 하단이 투입구(11)로 향하게 이루어지고, 투입구(11)는 일측이 개구되어 탈피실(10)의 일측으로 향하게 이루어져 벼를 투입하게 이루어지며, 탈피실(10)은 중앙부에 회전체(12)가 내장되고, 이 회전체(12)의 중심으로 회전축(14)이 연장되어 끼워져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4)의 끝단부는 종동풀리(15)가 결합되며 벨트(16)에 의해 모터(M)의 구동풀리(17)에 연결되어 회전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탈피실(10)의 상단 일측은 개구되어 배출부(13)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분리실(10)은 상단에 흡입팬(21)을 형성하여 왕겨를 흡입 배출하며, 하단은 개구되어 배출구(22)와 연통하며, 배출구(22) 끝단은 공급호퍼(23)로 연통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호퍼(23)의 끝단은 개구되어 선별실(30)의 내부로 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선별실(30)은 다각형상으로 선별통(31)을 구비하고, 선별통(31)내부에 다수의 지지목(37)을 연결하며, 중앙으로 지지목(37)을 통과하게 회전축(38)을 삽입하여 이 회전축(38)의 일측은 베어링(39)을 삽입하여 연장편(40)에 고정하고, 타측은 보조편(42)을 끼워 상판(1a)에 결합된 스프링(41)과 체결되게 이루어진다.
이때, 연장편(40)에 고정된 부위로 공급호퍼(23)의 끝단이 위치하며, 공급호퍼(23)로 부터 투입되는 현미가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선별통(31)의 일측에 보조판(36)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선별통(31)은 각 면마다 삽입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2)에는 "Y" 자형의 통공(34)이 형성된 각각의 선별판(33)이 탈부착되게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선별통(31) 내부에는 "ㄱ" 자형 이송부재(35)가 길이방향으로 각 모서리부에 구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회전축(38)과 회전축(44a)의 끝단은 편심캠(47a),(47b)이 결합되어지며, 동력을 전달되면 선별통(31)은 편심캠(47a),(47b)에 일측을 중심으로 상,하로 진동하면서 회전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선별부(30) 상단에는 선별통(31)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는 솔(52)이 결합되고 일측은 힌지(51)에 의해 결합된 링크(50)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전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통의 일측 하단에는 선별통(31)이 진동하면서 일측으로 옮겨지는 깜부기, 이물질, 또는 탈피되지 않은 벼가 배출되는 배출가이드(45)가 구성된다.
그리고 선별통(31)하단에는 선별판(33)의 통공(34)을 통과한 현미를 수거하는 수거통(46)이 구비되어진다.
미설명부호 60은 감속기어이고, 61은 감속기어축에 결합된 풀리이며, 62는 감속기어 풀리와 구동풀리(44)를 연결시켜 회전시키는 벨트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별장치의 작용 및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2)에 탈곡한 벼를 적재투입하면 투입된 벼는 투입구(11)로 투입되어 탈피실(10)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탈피실(10)로 투입된 벼는 고속회전되는 회전체(12)에 의해 회전되면서 탈피실(10)의 내벽과 부닫치는 강도에 의해 왕겨가 탈피되어지며, 탈피된 왕겨와 현미는 회전력에 의해 배출부(13)를 빠져나가 분리실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왕겨와 현미는 분리실(20)에서 왕겨는 흡입팬(21)에 의해 흡입되어 외부로 나가게 되고, 중량이 나가는 현미는 하단으로 떨어져 배출구(22)를 통해 공급호퍼(23)로 유입되어진다.
공급호퍼(23)로 유입된 현미는 선별실(30)의 선별통(31)으로 공급되어 회전하면서 현미와 깜부기 그리고 이물질, 또는 탈피되지 않은 벼가 선별되어진다.
선별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3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통(31)이 진동되게 회전하는 상태에서 현미가 유입되면 현미는 선별판(33)의 통공(34)을 통해 수거통(46)으로 떨어지게 되고, 현미와 같이 유입된 깜부기, 이물질, 또는 탈피되지 않은 벼는 진동에 의해 배출가이드(45) 쪽으로 향하게 된다.
한편, 통공(34)은 상광하협의 "Y"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현미가 통과될 정도의 크기로 되어있기때문에 현미가 "Y"자형 통공(34)을 통해 쉽게 유입되어 통과할 수 있는 것이고, 깜부기나, 이물질 또는 탈피되지 않은 벼는 현미보다 부피가커서 "Y"자형 통공(34)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이때 통공(34)에 걸려진 탈피되지 않은 벼가 끼워지면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통(31)이 회전하면서, 상부에 힌지(51)로 결합되어진 솔(52)에 의해 밀려 통공(34)에서 빠지게 되어 떨어진다.
또한, 현미가 유입되면서 미쳐 통공(34)으로 빠져 나가지 못한 현미는 선별통(31)의 이송부재(35)에 걸려 회전되며 상단부로 이송되어 일정각도에 위치하면 현미가 아래로 떨어져 통공(34)으로 유입되어 떨어지며,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동작되는 작업에 의해 현미는 수거통(46) 수거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별통(31)이 진동을 가지면 회전되어 현미는 선별판(33)의 통공(34)을 통해 원활히 수거할 수 있는 장점과 깜부기, 이물질, 또는 탈피되지 않은 벼는 배출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이를 다시 호퍼(1)로 유입시켜 재도정 함으로서 완전한 현비선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별판(33)의 통공(34)에 끼워진 탈피되지 않은 벼등을 솔(52)로 밀어 빠지게 함으로서 통공(34)이 막히는 일 없이 현미가 잘 유입되게 하여 신속하게 현미를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선별장치는 탈피실에서 신속하게 탈피하고 분리실에서 현미와 왕겨를 분리하고 선별실에서 현미와 같이 유입된 깜부기, 이물질, 또는 탈피되지않은 벼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현미를 수거함과 동시에 탈피되진 않은 벼를 배출하여 호퍼에 재투입하여 탈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완전한 현미를 수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선별판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현미의 대, 중, 소 종류에 따라 구애받지 않고 현미를 수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등 여러가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선별장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선별장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현미선별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현미선별통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확대도,
도 5는 캠에 의해 선별통이 상하로 떨리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6은 브러쉬에의해 선별통에 끼워진 벼(뉘)가 탈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호퍼
10:탈피실 20:분리실
21:흡입팬 22:배출구
23:공급호퍼 30:선별실
31:선별통 32:삽입부
33:선별판 34:통공
35:이송부재 36:보조판
37:지지목 38:회전축
41:스프링 50:링크
51:힌지 52:솔
M:모터

Claims (5)

  1. 벼를 투입적재하는 호퍼(2), 상기 호퍼에서 투입된 벼를 고속회전시켜 왕겨와 현미를 분리시키는 탈피실(10), 탈피실(10)에서 왕겨와 현미를 서로 분리배출하는 분리실(20), 현미를 수거하는 수거통(46)로 이루어진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피실(10)하단에 구비되며 분리실(20)의 배출구(22) 및 공급호퍼(23)와 연통되는 다각형상으로 선별통(31)을 구비하고, 선별통(31)내부에 다수의 지지목(37)을 연결하며, 중앙으로 지지목(37)을 통과하게 회전축(38)을 삽입하고 이 회전축(38)의 일측은 베어링(39)을 삽입하여 연장편(40)에 고정하고, 타측은 보조편(42)을 끼워 상판(1a)에 결합된 스프링(41)과 체결되어 일정각으로 유동되는 선별실(30)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선별통(31)은 각 면마다 삽입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2)에는 "Y" 자형의 통공(34)이 형성된 선별판(33)을 탈부착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통(31)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ㄱ"자형 이송부재(35)가 각 모서리부에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축(38)과 회전축(44a) 각각에는 편심캠(47a),(47b)이 결합되어 선별통(31)이 진동하며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통(31) 상부에는 일측은 힌지(51)에 의해 본체(1)에 결합되고, 일측은 솔(52)이 구비된 링크(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KR20-2005-0006915U 2005-03-15 2005-03-15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KR200387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915U KR200387161Y1 (ko) 2005-03-15 2005-03-15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915U KR200387161Y1 (ko) 2005-03-15 2005-03-15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161Y1 true KR200387161Y1 (ko) 2005-06-17

Family

ID=4368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915U KR200387161Y1 (ko) 2005-03-15 2005-03-15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1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714B1 (ko) 2013-07-05 2014-01-24 정지현 씨앗자동염수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714B1 (ko) 2013-07-05 2014-01-24 정지현 씨앗자동염수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710B1 (ko) 현미 가공장치
CN109007873A (zh) 一种基于多通道分级式油茶鲜果脱壳清选一体机
KR101616525B1 (ko) 분진흡입장치가 구성된 씨앗 탈망 및 알곡선별기
KR20190091610A (ko) 콩나물 세척장치
KR102134519B1 (ko) 검불 분리 및 선별이 가능한 과실 수확장치
KR101648829B1 (ko)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KR200457188Y1 (ko) 콩 선별장치
KR200387161Y1 (ko)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CN111358013B (zh) 一种油茶生产用油茶籽与果壳分离设备
CN218743041U (zh) 一种大米加工用色选机
KR20070006083A (ko) 곡물 선별기
CN214077843U (zh) 一种高效除杂种子筛选装置
CN111789265B (zh) 一种搓筒式花生去壳装置及去壳方法
KR20080004954A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3819753U (zh) 葵花脱壳系统
CN211482872U (zh) 一种食品加工用土豆清洗装置
CN209058064U (zh) 一种基于多通道分级式油茶鲜果脱壳清选一体机
KR100558362B1 (ko) 곡물 탈곡장치
CN208627517U (zh) 一种海棠果种子筛选装置以及海棠果种子处理系统
KR200404178Y1 (ko) 콩 탈곡기
CN217512036U (zh) 一种棉花种子分拣装置
KR20050111550A (ko) 음식물쓰레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7021281A (ja) 種籾選別装置
CN214676653U (zh) 一种用于玉米脱粒的玉米粒剥离装置
KR950005470Y1 (ko) 왕겨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