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178B1 - 쌀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쌀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178B1
KR101721178B1 KR1020160093177A KR20160093177A KR101721178B1 KR 101721178 B1 KR101721178 B1 KR 101721178B1 KR 1020160093177 A KR1020160093177 A KR 1020160093177A KR 20160093177 A KR20160093177 A KR 20160093177A KR 101721178 B1 KR101721178 B1 KR 101721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unit
sorting
rice bran
unprocessed un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권수
Original Assignee
김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수 filed Critical 김권수
Priority to KR1020160093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쌀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쌀의 도정에 의해 분리된 미강을 공급하는 미강공급부; 상기 미강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미강에 일정 속도를 갖는 풍력을 가해 주어 중량이 무거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 선별부와 상기 이물질 선별부의 일측에 다수로 구획된 공간에서 미강을 반복적으로 투입하여 선별하는 미강 반복선별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미강선별부; 상기 이물질 선별부와 상기 미강반복선별부 각각의 하부에 선별된 미강이 저장되는 미강저장부; 상기 미강저장부에 저장된 미강을 상기 미강 반복선별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미강이송수단; 상기 미강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미강을 저장하도록 상기 미강 반복선별부의 상측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반복공급탱크;를 마련하여 도정된 미강을 반복선별부와 반복공급탱크 사이를 반복적으로 공급하여 선별하므로 미강의 선별 효율을 높이게 되고, 반복선별부와 반복공급탱크 사이에 설치된 이송부 및 분기컨베이어에 의해 미강을 다른 반복선별부로 자유로이 이동시켜 선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쌀눈 선별장치{Rice Bran Screening Device}
본 발명은 쌀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별하고자 하는 미강에 바람을 가해줌으로써, 중량에 의해 선별함은 물론 쌀눈의 선별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쌀눈의 선별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쌀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를 도정하여 백미를 얻는 과정에서 왕겨와 쌀겨가 부산물로 얻어지는데, 주로 왕겨는 연료나 축사의 깔개로 이용되며, 미강(쌀겨)은 사료나 기름추출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미강에 함유된 유지를 추출하여 현미유를 생산하여 부가 가치가 높은 양질의 식용기름을 생산하고 있는 세계적인 쌀 생산국가에서는 상당량의 현미유를 생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 쌀눈은 도정과정 중 미강에 섞여 사료 또는 유지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쌀눈에 함유된 비타민E를 포함한 각종 영양성분이 확인되면서 식품가공용 원료나 식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쌀의 주성분은 전분이 90% 이상이고, 미강은 지방 20%, 단백질 약 15%, 전분 약 16% 이나, 쌀눈은 지방이 21.6%,단백질 20.2%, 전분 2.4%로 단백질 함량이 높고, 비타민 함유량이 높아 좋은 식품원료로써 효용가치가 있으나, 미강에 섞여 있는 쌀눈은 미강의 산패에 의하여 품질 열화가 쉽게 일어나고 미강으로부터 쌀눈의 분리가 복잡하고 분리된 쌀눈에 왕겨가 섞여 상품화하기까지의 과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어려움에도 쌀눈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98-23071호 및 제1998-23072호와, 쌀겨 및 쌀눈으로부터 식품첨가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7-25422호와 같이 쌀눈을 이용하여 식용으로 하는 식품에 대한 연구는 계속 되고 있어 미강으로부터 쌀눈을 보다 쉽게 추출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091977호는 쌀겨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쌀겨를 원재료로 하여 24 내지 28 메시로 체가름하여 일부의 왕겨가 포함된 배아와 싸라기를 분리하고 순수한 미강과 미강 쌀가루가 혼재된 상태의 1차 분리혼합물을 얻는 1차 분리공정, 1차 분리혼합물을 35 내지 42 메시로 체가름하여 순수한미강과 쌀가루를 분리하는 2차 분리공정, 1차 분리공정에서 얻어진 왕겨가 포함된 배아와 싸라기를 풍력에 의하여 일부 왕겨는 제거하여 배아와 싸라기의 혼합물을 얻고 이를 열처리 하여 싸라기 배아를 얻는 배아 수득공정, 2차 분리공정에서 얻어진 순수한 미강을 열처리하여 순수 미강을 얻는 순수 미강 수득공정 및 2차분리공정에서 얻어진 미강 쌀가루는 물에 분산 정치시킨 다음 건져내어 건조시켜 미강 쌀가루를 수득하는 미강 쌀가루 수득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 의한 방법은 쌀눈(배아)을 수득하는 과정에서 미강의 산패 또는 변질로 인하여 품질이 낮은 쌀눈까지는 선별할 수 없어서 양질의 쌀눈을 선별해 내는데 한계가 있으며, 체가름 및 풍력에 의해서만 불순물을 걸러냄으로써 미처 걸러지지 않은 미세한 불순물이 다수 포함되어 쌀눈의 순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쌀눈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미강이 포집되는 원료 공급호퍼의 하부에 상기 미강을 이송하는 이송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말단에서 미강을 흡입하는 진공관이 구비되는 원료 공급부, 상기 진공관으로 흡입된 미강이 공급되어 각각 다른 메쉬의 진동체(sieve)를 통하여 불순물과 정제 미강으로 선별하는 원료 정선부를 구비한다.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구비된 흡기구에서 타측에 구비된 배기구로 기류가 형성되는 선별실린더의 상부에 구비된 미강투입구로 상기 정제미강이 공급되며, 상기 공간부를 다수개로 분할하도록 설치되며 각각 다른 메쉬의 체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정제미강으로부터 불순물이 걸러진 준쌀눈을 선별하는 쌀눈 분리부를 구비한다.
상부에 구비된 준쌀눈투입구로 투입되는 상기 준쌀눈이 내부에 형성되는 암실에 도달하면 빛을 조사하여 상기 준쌀눈으로부터 불순물을 걸러내는 영상선별수단이 설치되어 정제쌀눈을 배출하는 색체 선별부 및 상기 색체 선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정제쌀눈을 이송하는 세척컨베이어와 상기 세척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압실린더에 압축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세척부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고순도 쌀눈 선별장치'가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고순도 쌀눈 선별장치는 호퍼로부터 미강을 공급받아 메쉬를 통과시켜 크기별로 선별하는 것으로, 구동원에 의해 요동되는 제1스크린부 및 상기 제1스크린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메쉬를 통과한 미강입자를 수거하는 제1미강수거부 및 상기 제1스크린부의 일측에 연결 구비되어 메쉬를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을 수거하는 제1이물수거부로 이루어진 제1선별기, 상기 제1선별기로부터 선별된 미강입자를 제1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받아 풍력에 의한 비중차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것으로 미강입자가 투입되는 비중챔버 및 이 비중챔버의일측에 설치되어 비중챔버의 내부에 풍력을 작용하는 송풍수단 및 풍력에 의해 낙하되는 미강입자를 수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미강수거부 및 이 제2미강수거부를 벗어난 위치에 떨어지는 낙하 이물질을 수거하는 제2이물수거부로 이루어진 제2선별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2선별기로부터 선별된 미강입자를 제2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받아 메쉬를 통과시켜 크기별로 선별하는 것으로, 구동원에 의해 요동되는 제2스크린부 및 이 제2스크린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메쉬를 통과한 미강입자를 수거하는 제3미강수거부 및 제2스크린부에 연결 구비되어 메쉬를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을 수거하는 제3이물수거부로 이루어진 제3선별기, 상기 제3선별기로부터 선별된 미강입자를 제3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받아 색채를 기준으로 선별하는 것으로, 공급된 미강입자의 착색여부를 감지하여 미강입자와 이물질을 선택 분리시키는 색채선별부 및 분리된미강입자를 수거하는 제4미강수거부 및 분리된 이물질을 수거하는 제4이물수거부(75)로 이루어진 제4선별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4선별기로부터 선별된 미강입자를 제4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받아 일측으로 이송하는 그물체의 스크린벨트 및 이 스크린벨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미강입자에 대해 고압 토출을 하는 에어토출부 및 스크린벨트의 상측에 위치되어 부상된 분진이물을 흡입 포집하는 제5이물수거부 및 상기 스크린벨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분진이물이 제거된 쌀눈을 수거하는 쌀눈수거부로 이루어지는 제5선별기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15594호(2013년 2월 14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48937호(2013년 4월 3일 공고)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원료 정선부에서 쌀눈을 1차 선별하고, 쌀눈 분리부에서 2차 선별한 다음 색채 선별부에서 쌀눈의 색채를 판별하여 미강을 분리하므로 장치가 대형화되고, 이로 인해 대형화된 선별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매우 크게 차지하게 되며, 카메라 등의 영상식별장치 등을 설치해야 되어 시설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별된 쌀눈을 원하는 횟수만큼 쌀눈의 선별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쌀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별된 쌀눈을 다른 선별공간으로 이동시켜 일시적으로 저장해 둘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서로 다른 위치에서 쌀눈의 선별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쌀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쌀의 도정에 의해 분리된 미강을 공급하는 미강공급부; 상기 미강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미강에 일정 속도를 갖는 풍력을 가해 주어 중량이 무거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 선별부와 상기 이물질 선별부의 일측에 다수로 구획된 공간에서 미강을 반복적으로 투입하여 선별하는 미강 반복선별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미강선별부; 상기 이물질 선별부와 상기 미강반복선별부 각각의 하부에 선별된 미강이 저장되는 미강저장부; 상기 미강저장부에 저장된 미강을 상기 미강 반복선별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미강이송수단; 상기 미강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미강을 저장하도록 상기 미강 반복선별부의 상측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반복공급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선별부는 상기 이물질 선별부와 상기 미강 반복선별부가 일체로 설치되는 본체; 상기 미강공급부로부터 미강이 투입되도록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투입구; 상기 이물질 선별부에 투입된 미강이 상기 미강 반복선별부로 이동됨과 중량에 의해 이물질이 하강되도록 풍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날개;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강 반복선별부는 상기 이물질 선별부의일측에 설치되는 제1 메시에 의해 소정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제1 반복선별부; 상기 제1 반복선별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메시에 의해 소정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제2 반복선별부; 상기 제2 반복선별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메시에 의해 소정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제3 반복선별부; 상기 반복공급탱크에서 공급되는 미강이 상기 제1 내지 제3 반복선별부로 투입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반복선별부의 상단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경사투입구; 상기 제1 내지 제3 반복선별부에 선별 후 저장된 미강을 저장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반복선별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반복공급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강이송수단은 상기 제1 반복선별부와 상기 제1 반복공급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2 반복선별부와 상기 제2 반복공급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3 반복선별부와 상기 제3 반복공급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 공급되는 미강이 상기 제2 이송부 또는 상기 제3 이송부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1 분기컨베이어;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2 이송부에 공급되는 미강이 상기 제1 이송부 또는 상기 제3 이송부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2 분기컨베이어; 상기 제3 이송부는 상기 제3 이송부에 공급되는 미강이 상기 제1 이송부 또는 상기 제2 이송부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3 분기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에 의하면, 도정된 미강을 반복선별부와 반복공급탱크 사이를 반복적으로 공급하여 선별하므로 미강의 선별 효율을 높이게 되고, 반복선별부와 반복공급탱크 사이에 설치된 이송부 및 분기컨베이어에 의해 미강을 다른 반복선별부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선별된 미강을 필요에 따라 선별된 미강을 미강저장부로부터 곧바로 배출시킬 수 있고, 선별된 미강을 색체로 선별하는 색채선별부 또는 크기별로 선별하는 크기선별부에 의해 재차 선별함으로써 미강을 원하는 상태로 선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 미강선별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 색채감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 크기선별부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쌀의 도정에 의해 분리된 미강을 공급하는 미강공급부(10), 상기 미강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미강에 일정 속도를 갖는 풍력을 가해 주어 중량이 무거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 선별부(22)와 상기 이물질 선별부(22)의 일측에 다수로 구획된 공간에서 미강을 반복적으로 투입하여 선별하는 미강반복선별부(30)가 일체로 이루어진 미강선별부(20), 상기 이물질 선별부(22)와 상기 미강반복선별부(30) 각각의 하부에 선별된 미강이 저장되는 미강저장부(40), 상기 미강저장부(40)에 저장된 미강을 상기 미강반복선별부(30)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미강이송수단(50), 상기 미강이송수단(50)에 의해 이송된 미강을 저장하도록 상기 미강반복선별부(30)의 상측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반복공급탱크(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풍력을 이용하여 미강의 중량에 따라 미강 및 미강에 섞인 이물질을 분리시킨 다음 선별된 미강을 원하는 횟수만큼 재차 선별함으로써 미강의 선별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미곡처리장 등의 도정기에 의해 쌀을 도정하는 도중에 쌀눈 등이 포함된 미강으로부터 쌀눈(이하 '미강'을 포함한다)을 선별하는 것이다.
상기 도정기에서 도정된 미강은미강공급부(10)에 공급되는데, 미강공급부(10)는 미강을 저장하는 탱크 또는 호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미강공급부(10)의 하측에는 미강선별부(20)가 설치된다. 상기 미강선별부(20)는 미강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미강을 선별한다. 상기 미강선별부(20)는 일정 크기를 갖는 본체(21)의 일측에 설치되는 이물질 선별부(22)와 상기 이물질 선별부(22)에서 선별된 미강을 반복적으로 순환시켜 선별하는 미강반복선별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1)의 일측에는미강에 포함된 돌 등의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 선별부(22)가 설치된다. 상기 이물질 선별부(22)는 본체(21)의 상면에 투입구(23)가 설치되고, 투입구(23)의 하부 일측에는 투입되는 미강에 풍력을 가해주는 회전날개(24)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날개(24)는 다수의 날개로 이루어지며, 본체(21)에는 회전날개(2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5)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날개(24)의 외면에는 회전날개(24)에 의해 발생되는 풍력이 미강반복선별부(30)로 공급되도록 날개 커버(26)가 고정된다. 상기 날개 커버(26)의 일부, 즉 미강반복선별부(30)와 대응되는 면에는 날개 커버(26)의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 회전날개(24)의 하부에는 이물질 등이 저장되는 이물질 저장부(27)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미강선별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강반복선별부(30)는 이물질 선별부(22)에서 공급된 미강을 선별하는 것으로, 상기 미강반복선별부(30)는 다수의 반복선별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강반복선별부(30)는 회전날개(24)와 인접하게 수직으로 제1 메시(31)가 설치되는 제1 반복선별부(32), 상기 제1 메시(3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수직으로 제2 메시(33)가 설치되는 제2 반복선별부(34), 상기 제2 메시(33)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수직으로 제3 메시(35)가 설치되는 제3 반복선별부(36)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1 내지 제3 반복선별부(32, 34, 36)에는 각각 경사투입구(37)가 설치되고, 경사투입구(37)의 상부에는 반복공급탱크(38)가 설치된다.
상기 반복공급탱크(38)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체(2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반복공급탱크(38)에 저장된 미강을 경사투입구(37)에 투입되도록 측면 등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반복공급탱크(38)는 제1 반복선별부(32)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 반복공급탱크(38a), 제2 반복선별부(34)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2 반복공급탱크(38b), 제3 반복선별부(36)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3 반복공급탱크(38c)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강반복선별부(30)는 반복공급탱크(38)에서 경사투입구(37)를 통해 투입되는 미강에 풍력을 가해줌으로써, 미강을 보다 양호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미강반복선별부(30)의 하부에는 각각 미강저장부(40)가 설치되며, 제1 반복선별부(32)의 하부에는 제1 미강저장부(41)가 설치되고, 제2 반복선별부(34)의 하부에는 제2 미강저장부(42)가 설치되며, 제3 반복선별부(36)의 하부에는 제3 미강저장부(43)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 미강이송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복공급탱크(38)와 미강저장부(40) 사이에는 미강이송수단(50)이 설치된다.
상기 제1 미강저장부(41)와 제1 반복공급탱크(38a) 사이에는 제1 이송부(5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미강저장부(42)와 제2 반복공급탱크(38b) 사이에는 제2 이송부(53)가 설치되며, 상기 제3 미강저장부(43)와 제3 반복공급탱크(38c) 사이에는 제3 이송부(55)가 설치된다.
이러한 미강이송수단(50), 즉 제1 이송부(51), 제2 이송부(53) 및 제3 이송부(55)는 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미강이송수단(50)은 선별된 미강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상기 미강이송수단(50)의 제1 이송부(51)에는 이송되는 미강을 제2 이송부(53) 또는 제3 이송부(55)로 이송시킬 수 있는 제1 분기컨베이어(52)가 설치된다.
또 제2 이송부(53)에는 이송되는 미강을 제1 이송부(51) 또는 제3 이송부(55)로 이송시킬 수 있는 제2 분기컨베이어(54)가 설치되고, 제3 이송부(55)에는 이송되는 미강을 제1 이송부(51) 또는 제2 이송부(53)로 이송시킬 수 있는 제3 분기컨베이어(56)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에는 미강의 색채에 따라 미강을 선별할 수 있는 색채선별부(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강선별부(20)의 미강반복선별부(30)에서 선별된 미강을 색채선별부(60)에 투입하게 되고, 상기 색채선별부(60)에서는 미강의 색상에 따라 미강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색채선별부(60)는 미강을 저장하는 제1 공급탱크(61)와 제2 공급탱크(6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공급탱크(61)와 제2 공급탱크(62) 사이에는 제1 공급탱크(61)의 미강을 이송시키는 흡입관(63)이 설치된다.
이들 제1 공급탱크(61)와 제2 공급탱크(62)는 미강을 저장하고 있다가 감별부(64)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다량의 미강을 저장하여 공급하고자 할 때 제1 공급탱크(61)와 제2 공급탱크(62)를 설치하게 되고, 소량의 미강을저장하여 공급하고자 할 때 2개의 공급탱크(61, 62) 중 어느 하나의 공급탱크(61, 62)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2 공급탱크(62)의 하부에는 미강의 색채를 선별하는 감별부(64)가 설치되며, 상기 감별부(64)에는 미강의 색채를 감지하는 카메라 등이 설치되고, 감별부(64) 및 카메라를 구동하는 제어부(65)가 설치된다.
상기 감별부(64)에서는 미강을 색채에 따라 선별하며, 감별부(64)에서 색채에 의해 선별된 미강은 불량, 정상적인 쌀눈, 썩은 쌀눈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쌀눈 등으로 선별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 크기선별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미강의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크기선별부(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크기선별부(70)는 다수의 메시(71, 72, 73)를 수직 방향으로 다수 적층되게 설치하여 미강의 크기(또는 입자)별로 선별한다. 이러한 크기선별부(70)는 입경이 큰 미강을 선별하기 위한 제1 메시(71)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메시(71)의 하측에는 중간 크기의 입경을 갖는 미강을 선별하기 위한 제2 메시(72)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메시(72)의 하측에는 가장 작은 크기의 입경을 갖는 미강을 선별하기 위한 제3 메시(73)가 설치된다.
아울러 이들 제1 메시(71) 내지 제3 메시(73)는 일측에 설치된 진동모터(74)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진동을 가해주어 미강을 크기별로 선별하게 된다.
상기 제1 메시(71) 내지 제3 메서(73)의 일측에는 각각의 메시(71, 72, 73)에서 선별된 미강을 저장하는 저장탱크(75)가 설치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의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눈 선별장치는 미강공급부(10)에 미강을 투입하게 되고, 투입된 미강은 본체(21)의 일측에 설치된 이물질 선별부(22)로 투입된다.
상기 이물질 선별부(22)에 설치된 회전날개(24)는 구동모터(2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날개(24)는 회전되면서 풍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투입구(23)로 투입된 미강은 자연 낙하하면서 회전날개(24)의 풍력에 의해 미강을 제1 반복선별부(32)로 보내게 되고, 중량이 무거운 돌 등의 이물질은 하부에 설치된 이물질저장부(27)로 떨어지게 된다.
즉, 미강에 포함된 중량물은 풍력에 의해 제1 메시(31) 쪽으로 이동되지 않고서 중량에 의해 이물질저장부(27)로 떨어지게 되고, 중량이 가벼운 미강은 제1 메시(31)를 통과하여 제1 반복선별부(32)로 이동된다.
아울러 제1 반복선별부(32)로 이동된 미강은 회전날개(24)의 풍력에 의해 제2 메시(33)를 통과하여 제2 반복선별부(34)로 이동된다.
또한 제2 반복선별부(34)로 이동된 미강은 회전날개(24)의 풍력에 의해 제3 메시(35)를 통과하여 제3 반복선별부(36)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미강은 제1 메시(31)를 통과하여 제1 반복선별부(32)로 이동되고, 제2 메시(33)를 통과하여 제2 반복선별부(34)로 이동되며, 제3 메시(35)를 통과하여 제3 반복선별부(36)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아울러 제2 메시(33)는 제1 메시(31)에 비하여 보다 작은 입경을 갖는 미강이 통과되도록 제1 메시(31)의 입경보다 작은 입경으로 이루어지며, 제3 메시(35)는 제2 메시(33)의 입경보다 작은 입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메시(31), 제2 메시(33) 및 제3 메시(35)의 입경은 제1 메시(31) >제2 메시(33) > 제3 메시(35)의 순으로 형성되며, 미강은 회전날개(24)의 풍력에 의해 제1 메시(31), 제2 메시(33), 제3 메시(3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2 메시(33)를 통과하지 못한 미강은제1 미강저장부(41)에 저장되고, 제3 메시(35)를 통과하지 못한 미강은 제2 미강저장부(42)에 저장되며, 제3 메시(35)를 통과한 미강은 제3 미강저장부(43)에 저장된다.
상기 제1 미강저장부(41)에 저장된 미강은 제1 이송부(51)에 의해 제1 반복공급탱크(28a)로 이송되고, 제2 미강저장부(42)에 저장된 미강은 제2 이송부(53)에 의해 제2 반복공급탱크(28b)로 이송되며, 제3 미강저장부(43)에 저장된 미강은 제3 이송부(55)에 의해 제3 반복공급탱크(28c)로 이송된다.
상기 제1 반복공급탱크(28a)에 이송된 미강은제1 반복선별부(32)에 공급되며, 미강은 경사투입구(37)를 통해 제1 반복선별부(32)에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된 미강은 회전날개(24)의 풍력에 의해 보다 작은 입경을 갖는 미강이 제2 메시(33)을 통과하여 제2 반복선별부(34)로 이동된다.
또 제2 반복공급탱크(38b)에 이송된 미강은 제2 반복선별부(34)에 공급되며, 미강은경사투입구(37)를 통해 제2 반복선별부(34)에 공급된다. 상기 제2 반복선별부(34)에 공급된 미강은 풍력에 의해 보다 작은 입경을 갖는 미강이 제3 메시(35)를 통과하여 제3 반복선별부(36)로 이동된다.
즉, 미강은 제1 반복공급탱크(38a)와 제1 반복선별부(32) 사이에 설치된 제1 이송부(51)를 통해 반복적으로 순환되면서 미강을 선별하게 되며, 제2 반복공급탱크(38b)와 제2 반복선별부(34) 사이에 설치된 제2 이송부(53)를 통해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미강을 선별하게 된다.
한편 미강은 제1 이송부(51)를 따라 이송되다가 제2 이송부(53)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제1 반복선별부(32)에서 선별된 미강은 제1 이송부(51)로 공급되고, 제1 이송부(51)에 설치된 제1 분기컨베이어(52)가 구동됨에 따라 미강은 제2 이송부(53)로 이송된다.
즉, 제1 반복선별부(32)에서 선별된 미강은 제2 반복선별부(34)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달리 제1 반복선별부(32)에서 선별된 미강은 제3 반복선별부(36)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 제2 반복선별부(34)에서 선별된 미강은 제2 이송부(53)로 공급되고, 제2 이송부(53)에 설치된 제2 분기컨베이어(54)가 구동됨에 따라 미강은 제1 이송부(51) 또는 제3 이송부(55)로 이송된다.
즉, 제2 반복선별부(34)에서 선별된 미강은 제1 반복선별부(32)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달리 제2 반복선별부(34)에서 선별된 미강은 제3 반복선별부(36)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제3 반복선별부(36)에서 선별된 미강은 제3 이송부(55)로 공급되고, 제3 이송부(55)에 설치된 제3 분기컨베이어(56)가 구동됨에 따라 미강은 제1 이송부(51) 또는 제2 이송부(53)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미강반복선별부(30)에서 선별된 미강은 미강저장부(40)에 저장되며, 미강저장부(40)에 저장된 미강은 미강이송수단(50)에 의해 반복공급탱크(38)로 이동되어 다시 미강반복선별부(30)로 재투입되어 선별하게 된다.
한편 미강이송수단(50)의 분기컨베이어(52, 54, 56)에 의해 미강은 인접한 다른 미강반복선별부(30)로 이동되어 선별하게 된다.
이렇게 선별이 완료된 미강은 다시 색채선별부(60)에 공급하게 되고, 색채선별부(60)에 공급된 미강은 제1 공급탱크(61) 또는 제2 공급탱크(62)에서 감별부(64)에 투입되고, 투입된 미강은미강의 색채에 따라 양호한 쌀눈, 불량 등으로 선별된다.
또한 색채선별이 완료된 미강은크기선별부(70)에 투입되며, 투입된 미강은 진동모터(74)에 의해 흔들리는 제1 메시(71), 제2 메시(72) 및 제3 메시(73)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되고, 선별된 미강은 저장탱크(75)에 저장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미강공급부 20: 미강선별부
21: 본체 22: 이물질선별부
23: 투입구 24: 회전날개
25: 구동모터 26: 날개커버
27: 이물질저장부 30: 미강반복선별부
31: 제1 메시 32: 제1 반복선별부
33: 제2 메시 34: 제2 반복선별부
35: 제3 메시 36: 제3 반복선별부
37: 경사투입구 38: 반복공급탱크
40: 미강저장부 41: 제1 미강저장부
42: 제2 미강저장부 43: 제3 미강저장부
50: 미강이송수단 51: 제1 이송부
52: 제1 분기컨베이어 53: 제2 이송부
54: 제2 분기컨베이어 55: 제3 이송부
56: 제3 분기컨베이어 60: 색채선별부
61: 제1 공급탱크 62: 제2 공급탱크
63: 흡입관 64: 감별부
65: 제어부 66: 저장탱크
70: 크기선별부 71: 제1 메시
72: 제2 메시 73: 제3 메시
74: 진동모터 75: 저장탱크

Claims (5)

  1. 쌀의 도정에 의해 분리된 미강을 공급하는 미강공급부;
    상기 미강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미강에 일정 속도를 갖는 풍력을 가해 주어 중량이 무거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 선별부와 상기 이물질 선별부의 일측에 다수로 구획된 공간에서 미강을 반복적으로 투입하여 선별하는 미강반복선별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미강선별부;
    상기 이물질 선별부와 상기 미강반복선별부 각각의 하부에 선별된 미강이 저장되는 미강저장부;
    상기 미강저장부에 저장된 미강을 상기 미강 반복선별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미강이송수단;
    상기 미강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미강을 저장하도록 상기 미강 반복선별부의 상측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반복공급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미강 반복선별부는 상기 이물질 선별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메시에 의해 소정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제1 반복선별부;
    상기 제1 반복선별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메시에 의해 소정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제2 반복선별부;
    상기 제2 반복선별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메시에 의해 소정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제3 반복선별부;
    상기 반복공급탱크에서 공급되는 미강이 상기 제1 내지 제3 반복선별부로 투입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반복선별부의 상단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경사투입구;
    상기 제1 내지 제3 반복선별부에 선별 후 저장된 미강을 저장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반복선별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반복공급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선별부는 상기 이물질 선별부와 상기 미강 반복선별부가 일체로 설치되는 본체;
    상기 미강공급부로부터 미강이 투입되도록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투입구;
    상기 이물질 선별부에 투입된 미강이 상기 미강 반복선별부로 이동됨과 중량에 의해 이물질이 하강되도록 풍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날개;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선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이송수단은 상기 제1 반복선별부와 상기 제1 반복공급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2 반복선별부와 상기 제2 반복공급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3 반복선별부와 상기 제3 반복공급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선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 공급되는 미강이 상기 제2 이송부 또는 상기 제3 이송부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1 분기컨베이어;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2 이송부에 공급되는 미강이 상기 제1 이송부 또는 상기 제3 이송부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2 분기컨베이어;
    상기 제3 이송부는 상기 제3 이송부에 공급되는 미강이 상기 제1 이송부 또는 상기 제2 이송부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제3 분기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선별장치.
KR1020160093177A 2016-07-22 2016-07-22 쌀눈 선별장치 KR101721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177A KR101721178B1 (ko) 2016-07-22 2016-07-22 쌀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177A KR101721178B1 (ko) 2016-07-22 2016-07-22 쌀눈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178B1 true KR101721178B1 (ko) 2017-04-10

Family

ID=5858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177A KR101721178B1 (ko) 2016-07-22 2016-07-22 쌀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1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5931A (zh) * 2018-05-24 2018-11-23 益阳市福华米业有限公司 一种多效自动化米糠分离装置
KR102005776B1 (ko) * 2018-11-09 2019-07-31 (주)대성앤텍 인라인 농산물 가공 시스템
KR102039383B1 (ko) * 2018-11-08 2019-11-01 백두대간영농조합법인 연속식 농산물 가공 방법
KR102218790B1 (ko) * 2020-11-10 2021-02-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쌀눈 풍력 선별 장치
CN112619743A (zh) * 2020-12-18 2021-04-09 寿县雨旺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糠粉再生利用的综合大米抛光机及糠粉分离方法
KR20210152691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미래이앤지 현미 분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594A (ko) 2011-08-04 2013-02-14 경기도 쌀눈 선별장치
KR101248937B1 (ko) 2012-11-28 2013-04-03 한규수 고순도 쌀눈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5594A (ko) 2011-08-04 2013-02-14 경기도 쌀눈 선별장치
KR101248937B1 (ko) 2012-11-28 2013-04-03 한규수 고순도 쌀눈 선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5931A (zh) * 2018-05-24 2018-11-23 益阳市福华米业有限公司 一种多效自动化米糠分离装置
KR102039383B1 (ko) * 2018-11-08 2019-11-01 백두대간영농조합법인 연속식 농산물 가공 방법
KR102005776B1 (ko) * 2018-11-09 2019-07-31 (주)대성앤텍 인라인 농산물 가공 시스템
KR20210152691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미래이앤지 현미 분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43199B1 (ko) 2020-06-09 2021-12-27 주식회사미래이앤지 현미 분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18790B1 (ko) * 2020-11-10 2021-02-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쌀눈 풍력 선별 장치
CN112619743A (zh) * 2020-12-18 2021-04-09 寿县雨旺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糠粉再生利用的综合大米抛光机及糠粉分离方法
CN112619743B (zh) * 2020-12-18 2022-07-19 寿县雨旺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糠粉再生利用的综合大米抛光机及糠粉分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178B1 (ko) 쌀눈 선별장치
JP3197017U (ja) 穀物用選別機
KR101446970B1 (ko) 곡물 선별기
KR101881496B1 (ko) 쌀눈 선별 시스템
KR101748815B1 (ko) 쌀눈 선별장치
KR101249957B1 (ko) 쌀눈 선별장치
KR20190009064A (ko) 쌀눈 분리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쌀눈 분리 방법
KR101670988B1 (ko) 석발 기능이 구비된 벼 정선기
CN208032773U (zh) 稻壳分级加工装置
KR200457188Y1 (ko) 콩 선별장치
JP2637894B2 (ja) 穀物粉の製造プラント
KR101763187B1 (ko) 쌀눈 선별 시스템
CN104923330B (zh) 全麦粉加工装置及全麦粉加工工艺
KR101676167B1 (ko)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JP4580400B2 (ja) 胚芽分離回収装置
KR100532854B1 (ko) 콩 정선장치
CN213819753U (zh) 葵花脱壳系统
WO2006011199A1 (ja) 穀物選別装置
CN115193706A (zh) 风选装置、磨筛装置、方法和喷吹式处理二次铝灰的方法
JP2003200066A (ja) 穀物調製装置
CN114308614A (zh) 一种油茶果的分级剥壳清选装置
KR101110381B1 (ko) 벼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7301438A (ja) 粗選機の排出口切替装置
CN213966753U (zh) 一种大米精加工生产线
CN114259066B (zh) 一种高效规模化的油茶果脱壳烘干加工生产线及其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