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790B1 - 쌀눈 풍력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쌀눈 풍력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790B1
KR102218790B1 KR1020200149103A KR20200149103A KR102218790B1 KR 102218790 B1 KR102218790 B1 KR 102218790B1 KR 1020200149103 A KR1020200149103 A KR 1020200149103A KR 20200149103 A KR20200149103 A KR 20200149103A KR 102218790 B1 KR102218790 B1 KR 102218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nit
rice bran
along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용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Priority to KR1020200149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12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하여 미강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쌀눈 풍력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쌀의 도정에 의해 분리된 미강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미강에 일정 속도를 갖는 풍력을 가해 주어 중량이 무거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미강을 저장해 두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해 둔 미강을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용기로 분배시키는 분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쌀눈 풍력 선별 장치{EMBRYO BUD OF RICE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쌀눈 풍력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을 이용하여 미강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쌀눈 풍력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를 도정하여 백미를 얻는 과정에서 왕겨와 쌀겨가 부산물로 얻어지는데, 주로 왕겨는 연료나 축사의 깔개로 이용되며, 미강(쌀겨)은 사료나 기름추출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미강에 함유된 유지를 추출하여 현미유를 생산하여 부가 가치가 높은 양질의 식용기름을 생산하고 있는 세계적인 쌀 생산국가에서는 상당량의 현미유를 생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 쌀눈은 도정과정 중 미강에 섞여 사료 또는 유지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쌀눈에 함유된 비타민E를 포함한 각종 영양성분이 확인되면서 식품가공용 원료나 식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쌀의 주성분은 전분이 90% 이상이고, 미강은 지방 20%, 단백질 약 15%, 전분 약 16% 이나, 쌀눈은 지방이 21.6%,단백질 20.2%, 전분 2.4%로 단백질 함량이 높고, 비타민 함유량이 높아 좋은 식품원료로써 효용가치가 있으나, 미강에 섞여 있는 쌀눈은 미강의 산패에 의하여 품질 열화가 쉽게 일어나고 미강으로부터 쌀눈의 분리가 복잡하고 분리된 쌀눈에 왕겨가 섞여 상품화하기까지의 과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 의한 방법은 쌀눈(배아)을 수득하는 과정에서 미강의 산패 또는 변질로 인하여 품질이 낮은 쌀눈까지는 선별할 수 없어서 양질의 쌀눈을 선별해 내는데 한계가 있으며, 체가름 및 풍력에 의해서만 불순물을 걸러냄으로써 미처 걸러지지 않은 미세한 불순물이 다수 포함되어 쌀눈의 순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211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6901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풍력을 이용하여 미강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쌀눈 풍력 선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눈 풍력 선별 장치는, 쌀의 도정에 의해 분리된 미강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미강에 일정 속도를 갖는 풍력을 가해 주어 중량이 무거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미강을 저장해 두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해 둔 미강을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용기로 분배시키는 분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해 둔 미강을 전달받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을 따라 이송 중인 미강이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하측으로 낙하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저장 용기로 투입되도록 하는 분배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분배 출구의 하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둥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분배 출구로부터 상기 저장 용기로 낙하되는 미강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진 제거부는, 상기 분배 출구의 하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둥글게 연장 형성되며, 외부에 구비되는 음압 형성 장치에 의해 내부 공간에 음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나선형 레일; 및 상기 나선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나선형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나선형 레일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음압을 이용하여 미강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상기 나선형 레일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나선형 레일은,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점진적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둥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음압 형성 장치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는 동시에 음압에 의해 흡입된 분진이 이동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레일 본체; 상기 흡입 유닛의 하부가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본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본체의 상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 후 상기 레일 본체의 상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개구부; 상기 레일 본체의 일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홈; 상기 레일 본체의 다른 일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홈; 상기 제1 체결홈의 내측 수직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레일; 상기 제2 체결홈의 내측 수직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레일; 일단이 상기 레일 개구부의 일측 벽체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일 개구부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1 밀폐 체인; 및 일단이 상기 레일 개구부의 다른 일측 벽체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밀폐 체인의 타단과 맞물려 배치될 수 있도록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일 개구부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2 밀폐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 유닛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01
"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절곡 부위와 다른 일측 절곡 부위의 사이 공간에 상기 레일 본체가 안착되어 상기 레일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유닛 본체; 상기 유닛 본체의 일측 절곡 부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구동 기어; 상기 유닛 본체가 상기 레일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켜 주는 기어 구동부; 상기 유닛 본체의 다른 일측 절곡 부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체결 기어; 상기 레일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유닛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개구부를 통과하고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본체를 따라 이동하는 체인 개폐부; 및 상기 유닛 본체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체인 개폐부의 하측까지 연통되어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음압에 의해 상기 유닛 본체의 외부의 분진을 흡입하여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는 분진 흡입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인 개폐부는, 상부 및 하부가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02
" 형태로 형성되는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03
” 형 바디; 상기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04
” 형 바디의 상부 절곡 부위와 상기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05
” 형 바디의 하부 절곡 부위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밀폐 체인과 상기 제2 밀폐 체인의 밀착 부위를 가르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좌우 폭이 넓어지는 칼날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후단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개폐 블레이드;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 공간의 일측의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06
” 형 바디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 블록; 및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 공간의 다른 일측의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07
” 형 바디의 하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지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풍력을 이용하여 미강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미강의 선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눈 풍력 선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분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진 제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나선형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흡입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흡입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체인 개폐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눈 풍력 선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눈 풍력 선별 장치(10)는, 공급부(100), 선별부(200), 저장부(300) 및 분배부(400)를 포함한다.
공급부(100)는, 쌀의 도정에 의해 분리된 미강(R)을 선별부(200)로 공급한다.
선별부(200)는,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미강(R)에 송풍기 등의 송풍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일정 속도를 갖는 풍력을 가해 주어 중량이 무거운 이물질을 선별한 뒤 저장부(300)로 전달한다.
즉, 선별부(200)는, 쌀을 도정하는 도중에 모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쌀눈 등이 포함된 미강으로부터 쌀눈(이하 '미강'을 포함한다)을 선별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선별부(200)는, 공급부(100)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자연 낙하되는 미강(R)으로 송풍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바람을 불어서 중량이 무거운 돌 등의 이물질은 하부에 설치된 별도로 설치되는 이물질 저장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 떨어지도록 하고, 미강(R)은 별도의 저장 공간으로 이동 후 저장부(300)로 전달될 수 있다.
저장부(300)는, 선별부(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선별부(200)에서 선별된 미강(R)을 저장해 두기 위한 저장 탱크로서, 저장된 미강(R)을 분배부(400)로 전달한다.
분배부(400)는, 저장부(300)에 저장해 둔 미강(R)을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용기(430)로 분배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눈 풍력 선별 장치(10)는, 풍력을 이용하여 미강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미강의 선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분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400)는, 공급관(4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 출구(420)를 포함한다.
공급관(410)은, 저장부(300)에 저장해 둔 미강(R)을 전달받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배 출구(420)를 통해 저장 용기(430)가 위치하고 있는 하측 방향으로 미강(R)을 낙하시킨다.
분배 출구(420)는, 공급관(410)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10cm 내지 60cm 등)을 두고 설치되며, 공급관(410)을 따라 이송 중인 미강(R)이 공급관(410)으로부터 하측으로 낙하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저장 용기(430)로 투입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 용기(430)는, 쌀자루 등으로 형성될 것이나, 미강(R)이 수용되기 위한 용기 형태로 형성되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등의 거치 수단(440)에 의해 공급관(410)의 하측에 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400)는, 선별이 완료된 미강(R)을 저장 또는 출하를 위해 일정한 양으로 저장 용기(430)에 담아 소분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 또는 운송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분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400a)는, 공급관(410), 분배 출구(420) 및 분진 제거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급관(410) 및 분배 출구(42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분진 제거부(500)는, 분배 출구(420)의 하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둥글게 연장 형성(즉, 전체 외형이 고깔과 같은 형상)되어 분배 출구(420)로부터 저장 용기(430)로 낙하되는 미강(R)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분진 제거부(500)는, 나선형 레일(5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 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선형 레일(510)은, 분배 출구(420)의 하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둥글게 연장 형성(즉, 전체 외형이 고깔과 같은 형상)되며, 외부에 구비되는 음압 형성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내부 공간에 음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나선형 레일(5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과 후단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흡입 유닛(520)이 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 유닛(520)은, 나선형 레일(510)에 연결 설치되어 나선형 레일(510)을 따라 이동하며, 나선형 레일(5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음압을 이용하여 미강(R)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나선형 레일(510)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400a)는, 미강(R)이 낙하함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 또는 쌀가루 등의 분진이 확산되는 것을 분진 제거부(500)를 이용하여 흡수 및 배출시킴으로써, 본 발명이 설치되는 시설의 공간에 먼지가 쌓이거나, 작업자가 분진을 흡입함에 따른 호흡기 질환 등의 발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나선형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나선형 레일(510)은, 레일 본체(511), 레일 개구부(512), 제1 체결홈(513), 제2 체결홈(514), 제1 레일(515), 제2 레일(516), 제1 밀폐 체인(517) 및 제2 밀폐 체인(518)을 포함한다.
레일 본체(511)은,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점진적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둥글게 연장 형성되며, 음압 형성 장치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는 동시에 음압에 의해 흡입된 분진이 이동하기 위한 내부 공간(511S)을 형성한다.
레일 개구부(512)는, 흡입 유닛(520)의 하부, 즉 체인 개폐부(525)가 레일 본체(511)의 내부 공간(511S)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레일 본체(5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 본체(511)의 상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 후 레일 본체(511)의 상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체결홈(513)은, 후술하는 구동 기어(5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레일 본체(511)의 일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체결홈(514)은, 후술하는 체결 기어(524)가 안착될 수 있도록 레일 본체(511)의 다른 일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레일(515)은, 구동 기어(522)가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체결홈(513)의 내측 수직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2 레일(516)은, 체결 기어(524)가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체결홈(514)의 내측 수직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1 밀폐 체인(517)은, 일단이 레일 개구부(512)의 일측 벽체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레일 개구부(512)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며, 흡입 유닛(520)의 체인 개폐부(525)가 이동함에 따라 차례로 회동된 후 흡입 유닛(520)이 지나가면 탄성력에 의해 회동 전 위치로 복귀하여 레일 개구부(512)를 밀폐시킨다.
제2 밀폐 체인(518)은, 일단이 레일 개구부(512)의 다른 일측 벽체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제1 밀폐 체인(517)의 타단과 맞물려 배치될 수 있도록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레일 개구부(512)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며, 흡입 유닛(520)의 체인 개폐부(525)가 이동함에 따라 차례로 회동된 후 흡입 유닛(520)이 지나가면 탄성력에 의해 회동 전 위치로 복귀하여 레일 개구부(512)를 밀폐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나선형 레일(510)은, 흡입 유닛(520)이 안착되어 이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레일 본체(511)의 내부 공간(511S)에 형성되는 음압이 레일 개구부(5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레일 개구부(512)를 따라 설치되는 제1 밀폐 체인(517)과 제2 밀폐 체인(518)에 의해 밀폐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흡입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흡입 유닛(520)는, 유닛 본체(521), 구동 기어(522), 기어 구동부(523), 체결 기어(524), 체인 개폐부(525) 및 분진 흡입 라인(526)을 포함한다.
유닛 본체(521)는, 일측(521a) 및 다른 일측(521b)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08
"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절곡 부위(521a)와 다른 일측 절곡 부위(521b)의 사이 공간에 레일 본체(511)가 안착되어 레일 본체(51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구동 기어(522)는, 유닛 본체(521)의 일측 절곡 부위(521a)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레일(515)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기어 구동부(523)에 의해 회전되어 유닛 본체(521)가 나선형 레일(51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기어 구동부(523)는, 별도로 구비된 구동 버튼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요청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유닛 본체(521)가 레일 본체(51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 기어(522)를 회전시켜 준다.
체결 기어(524)는, 유닛 본체(521)의 다른 일측 절곡 부위(521b)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2 레일(516)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체인 개폐부(525)는, 레일 개구부(512)와 대향하는 유닛 본체(521)의 하부에 설치되어 레일 개구부(512)를 통과하고 레일 본체(51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레일 본체(511)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 밀폐 체인(517) 및 제2 밀폐 체인(518)을 차례로 개폐시킨다.
분진 흡입 라인(526)은, 유닛 본체(521)의 상측으로부터 체인 개폐부(525)의 하측까지 연통되어 레일 본체(51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음압에 의해 유닛 본체(521)의 외부 분진을 흡입하여 레일 본체(511)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흡입 유닛(520)는, 나선형 레일(5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나선형 레일(510)에 의해 형성되는 음압에 의해 분진을 흡입한 뒤 나선형 레일(510)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구동 제어에 의해 분진이 가장 많이 발생되고 있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분진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흡입 유닛(520)는, 단수 개로 제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520a, 520b, 520c)가 연결 링크(530a, 530b)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나선형 레일(510)을 따라 이동하면서 보다 많은 면적의 분진 제거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체인 개폐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체인 개폐부(525)는,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09
” 형 바디(5251), 개폐 블레이드(5252), 제1 지지 블록(5253) 및 제2 지지 블록(5254)을 포함한다.
Figure 112020119886650-pat00010
” 형 바디(5251)는, 레일 개구부(512)에 안착될 수 있도록 좌우 폭이 레일 개구부(512)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너비로 형성되며, 상부(5251a) 및 하부(525b)가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11
" 형태로 형성된다.
개폐 블레이드(5252)은,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12
” 형 바디(5251)의 상부 절곡 부위(5251a)와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13
” 형 바디(5251)의 하부 절곡 부위(5251b) 사이에 형성되되, 제1 밀폐 체인(517)과 제2 밀폐 체인(518)의 밀착 부위를 가르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좌우 폭이 넓어지는 칼날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후단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제1 지지 블록(5253)은, 레일 본체(511)의 내부 공간의 일측의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14
” 형 바디(525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다.
제2 지지 블록(5254)은, 레일 본체(511)의 내부 공간의 다른 일측의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
Figure 112020119886650-pat00015
” 형 바디(5251)의 하부 다른 일측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체인 개폐부(525)는, 제1 밀폐 체인(517)과 제2 밀폐 체인(518)에 의해 밀폐되어 있는 레일 개구부(512)를 따라 제1 밀폐 체인(517)과 제2 밀폐 체인(518)을 차례로 개방시키면서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흡입 유닛(520)이 나선형 레일(510)에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나선형 레일(510)에 의해 형성되는 음압이 외부 공기가 레일 개구부(512)를 통해 나선형 레일(5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쌀눈 풍력 선별 장치
100: 공급부
200: 선별부
300: 저장부
400: 분배부
500: 분진 제거부

Claims (2)

  1. 쌀의 도정에 의해 분리된 미강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미강에 일정 속도를 갖는 풍력을 가해 주어 중량이 무거운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미강을 저장해 두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해 둔 미강을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용기로 분배시키는 분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해 둔 미강을 전달받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을 따라 이송 중인 미강이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하측으로 낙하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저장 용기로 투입되도록 하는 분배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부는,
    상기 분배 출구의 하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둥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분배 출구로부터 상기 저장 용기로 낙하되는 미강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 제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진 제거부는,
    상기 분배 출구의 하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둥글게 연장 형성되며, 외부에 구비되는 음압 형성 장치에 의해 내부 공간에 음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나선형 레일; 및
    상기 나선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나선형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나선형 레일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음압을 이용하여 미강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상기 나선형 레일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형 레일은,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점진적으로 지름이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둥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음압 형성 장치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는 동시에 음압에 의해 흡입된 분진이 이동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레일 본체;
    상기 흡입 유닛의 하부가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본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본체의 상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 후 상기 레일 본체의 상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개구부;
    상기 레일 본체의 일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홈;
    상기 레일 본체의 다른 일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홈;
    상기 제1 체결홈의 내측 수직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레일;
    상기 제2 체결홈의 내측 수직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레일;
    일단이 상기 레일 개구부의 일측 벽체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일 개구부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1 밀폐 체인; 및
    일단이 상기 레일 개구부의 다른 일측 벽체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밀폐 체인의 타단과 맞물려 배치될 수 있도록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일 개구부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2 밀폐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유닛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1009933595-pat00016
    "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절곡 부위와 다른 일측 절곡 부위의 사이 공간에 상기 레일 본체가 안착되어 상기 레일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유닛 본체;
    상기 유닛 본체의 일측 절곡 부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구동 기어;
    상기 유닛 본체가 상기 레일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켜 주는 기어 구동부;
    상기 유닛 본체의 다른 일측 절곡 부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체결 기어;
    상기 레일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유닛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개구부를 통과하고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본체를 따라 이동하는 체인 개폐부; 및
    상기 유닛 본체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체인 개폐부의 하측까지 연통되어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음압에 의해 상기 유닛 본체의 외부의 분진을 흡입하여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하는 분진 흡입 라인;을 포함하는, 쌀눈 풍력 선별 장치.
  2. 삭제
KR1020200149103A 2020-11-10 2020-11-10 쌀눈 풍력 선별 장치 KR102218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103A KR102218790B1 (ko) 2020-11-10 2020-11-10 쌀눈 풍력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103A KR102218790B1 (ko) 2020-11-10 2020-11-10 쌀눈 풍력 선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790B1 true KR102218790B1 (ko) 2021-02-22

Family

ID=7468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103A KR102218790B1 (ko) 2020-11-10 2020-11-10 쌀눈 풍력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79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7401U (ko) * 1987-03-18 1988-09-28
KR101247566B1 (ko) * 2011-10-27 2013-03-25 송인호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KR101248937B1 (ko) * 2012-11-28 2013-04-03 한규수 고순도 쌀눈 선별장치
KR101721178B1 (ko) * 2016-07-22 2017-04-10 김권수 쌀눈 선별장치
KR101748815B1 (ko) * 2016-07-22 2017-06-19 김권수 쌀눈 선별장치
KR101969012B1 (ko) 2017-05-31 2019-04-16 한국식품연구원 쌀눈의 정밀 선별이 가능한 쌀눈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2062111B1 (ko) 2019-11-29 2020-02-11 민용기 쌀눈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7401U (ko) * 1987-03-18 1988-09-28
KR101247566B1 (ko) * 2011-10-27 2013-03-25 송인호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KR101248937B1 (ko) * 2012-11-28 2013-04-03 한규수 고순도 쌀눈 선별장치
KR101721178B1 (ko) * 2016-07-22 2017-04-10 김권수 쌀눈 선별장치
KR101748815B1 (ko) * 2016-07-22 2017-06-19 김권수 쌀눈 선별장치
KR101969012B1 (ko) 2017-05-31 2019-04-16 한국식품연구원 쌀눈의 정밀 선별이 가능한 쌀눈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2062111B1 (ko) 2019-11-29 2020-02-11 민용기 쌀눈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2630B1 (en) Residue separating feed system for biomass
KR101670988B1 (ko) 석발 기능이 구비된 벼 정선기
CN107048447B (zh) 一种毛豆剥壳装置
KR102218790B1 (ko) 쌀눈 풍력 선별 장치
CN105900583B (zh) 适于林间作业的撒肥施肥装置
JP5910699B2 (ja) 脱穀装置
US2076523A (en) Harvester-thresher
JP5148558B2 (ja) 茶枝葉の移送装置並びにこれを具えた茶刈装置
CN107624677A (zh) 用于鸡喂养的旋转式撒料器及其配套喂料盘
CN108741173A (zh) 一种毛豆自动剥壳生产线
CN208449854U (zh) 一种用于油茶籽加工的筛分装置
CN205336918U (zh) 玉米双向脱粒机
CN205731987U (zh) 多通道多层振动清理机
CN205270128U (zh) 元宝枫种子风选机
CN112369193B (zh) 一种用于食用向日葵的收割脱粒的方法
CN208972663U (zh) 一种烟草烟叶片形控制装置
CN208357230U (zh) 一种移动清理中心设备
CN201726677U (zh) 一种紧凑型履带联合收割机
CN208643295U (zh) 一种中药饮片气动分选装置
CN109277157A (zh) 一种食用菌栽培基质回收分离装置
CN204074521U (zh) 一种谷物清选机
CN204842222U (zh) 一种药物风选机
NO202302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body parts of aquatic invertebrates
CN104303720B (zh) 干湿两用花生摘果机
CN2473874Y (zh) 联合收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