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566B1 -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566B1
KR101247566B1 KR1020110110475A KR20110110475A KR101247566B1 KR 101247566 B1 KR101247566 B1 KR 101247566B1 KR 1020110110475 A KR1020110110475 A KR 1020110110475A KR 20110110475 A KR20110110475 A KR 20110110475A KR 101247566 B1 KR101247566 B1 KR 101247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products
bag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호
Original Assignee
송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호 filed Critical 송인호
Priority to KR102011011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관(15)으로 이송되는 도정 부산물을 선별하여 포대에 담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15)에 연결되는 호퍼(25)를 구비하는 본체(20); 상기 호퍼(25)에 진공압을 작용하여 도정 부산물을 수집하는 흡입부(30); 및 상기 호퍼(25)의 상측에 백필터(42)를 구비하여 분진의 배출을 차단하는 여과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곡물의 도정시 생성되는 부산물을 분류하여 포대에 담는 과정에서 분진의 누출을 억제하는 청결성과 함께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polished rice by-product}
본 발명은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곡물의 도정시 생성되는 부산물을 분류하여 포대에 담는 과정에서 분진의 누출을 억제하는 청결성과 함께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정미기, 정미선별기 및 색체선별기 등을 이용한 도정과정에서 파쇄된 소쇄립과 대쇄립은 물론 색미가 좋지 않은 착색립을 부산물로 선별하여 별도로 활용한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특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34123호의 "곡물 부산물 처리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9031호의 "도정공장 부산물의 위생처리장치" 등일 알려져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34123호는 로터리시후터, 진동선별기, 색채선별기로부터 배출되는 곡물 부산물을 수거하여 각각의 보조탱크에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보조탱크에 저장되는 곡물 부산물의 저장량에 따라 곡물 부산물을 배출부의 주탱크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곡물 부산물을 수집부의 수거포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로터리시후터, 진동선별기, 색채선별기의 곡물 부산물을 수집하도록 프레임 내부에 수거포대가 각각 장착되는 수집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곡물 부산물이 바닥으로 쏟아지지 않아 주변환경이 깨끗해지면서 수거포대를 확실하게 교체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9031호는 도정공장 내에서 부산물이 발생되는 장치와 각각 부산물유입배관으로 연결된 부산물포집통과; 저면에 게이트가 구비된 함체상 하우징의 내부공간 상부에 흡입수단이 구비된 부산물흡입기와; 상기 부산물포집통을 관통하여 부산물포집통의 바닥면 위에 일측단이 위치하고, 타측단이 상기 부산물흡입기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부산물흡입배관과; 상기 부산물포집통을 관통하여 부산물흡입배관의 일측단부에 연결되는 공기주입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부산물을 처리하기 위한 노동 강도를 감소하고, 분진이나 먼지 등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일정 시간 경과후 도정과 분류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내부에 집적되어 작동부의 소음과 과열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미세 분진이 외부로 누출되기 쉬워 작업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보인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의 도정시 생성되는 부산물을 분류하여 포대에 담는 과정에서 분진의 누출을 억제하는 청결성과 함께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입관으로 이송되는 도정 부산물을 선별하여 포대에 담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에 연결되는 호퍼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호퍼에 진공압을 작용하여 도정 부산물을 수집하는 흡입부; 및 상기 호퍼의 상측에 백필터를 구비하여 분진의 배출을 차단하는 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는 호퍼의 상측으로 공기를 흡인하도록 링블로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여과부는 백필터의 상측 공간에 주기적으로 고압 공기를 보내도록 공압탱크와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여과부는 타격관의 고압 작용시 흡입부의 흡입 유로를 차단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호퍼의 하단에 분기관을 지닌 전환부를 구비하며, 분기관은 차단판(54)에 의하여 유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곡물의 도정시 생성되는 부산물을 분류하여 포대에 담는 과정에서 분진의 누출을 억제하는 청결성과 함께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투입관(15)으로 이송되는 도정 부산물을 선별하여 포대에 담는 장치에 관련된다. 곡물의 도정시 생성되는 소쇄립, 대쇄립, 착색립 등의 부산물이 각각 소쇄선별기(11), 대쇄선별기(12), 착색립선별기(13)에서 선별되어 투입관(15)으로 이송된다. 투입관(15)의 하류단에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하여 소쇄립, 대쇄립, 착색립을 각각의 포대에 담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0)가 상기 투입관(15)에 연결되는 호퍼(25)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본체(20)의 호퍼(25)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개폐 가능한 구조이다. 호퍼(25)의 전체 높이에서 중간 위치에 투입관(15)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을 구비한다. 호퍼(25)의 개방면에는 후술하는 백필터(42)를 설치하기 위한 거치봉(27)(도 3 참조)이 구비된다.
물론, 호퍼(25)의 하부를 개폐하는 것은 공지의 수단을 활용하며, 내부에 충진된 도정 부산물을 포대로 낙하시킨다. 도정 부산물의 충진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호퍼(25)에 중량센서(도시 생략) 등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퍼(25)에 진공압을 작용하여 도정 부산물을 수집하는 흡입부(30)가 설치된다. 흡입부(30)는 호퍼(25)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압을 유발함에 따라 투입관(15)을 통한 도정 부산물의 이송을 원활하게 한다.
이때, 상기 흡입부(30)는 호퍼(25)의 상측으로 공기를 흡인하도록 링블로워(35)를 구비한다. 링블로워(35)는 흡기관(31)과 배기관(32)에 의한 공기이동 유로 상에 설치된다. 흡기관(31)은 배기관(32)의 상측 공간과 링블로워(35)를 연결하고, 배기관(32)은 링블로워(35)에서 본체(20)의 외부로 유도된다. 배기관(32)의 외단부에 미세 분진을 여과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퍼(25)의 상측에 백필터(42)를 구비하여 분진의 배출을 차단하는 여과부(40)를 포함한다. 백필터(42)는 다수의 주머니(셀)를 연결하여 주름 형태로 표면적을 확대한 구조로서 호퍼(25)의 상측에 거치봉(27)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호퍼(25)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한다. 호퍼(25)의 하측공간에는 투입관(15)이 연통되고 상측공간에는 흡기관(31)이 연통된다. 이에 따라, 호퍼(25)의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하면서 백필터(42)를 거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여과부(40)는 백필터(42)의 상측 공간에 주기적으로 고압 공기를 보내도록 공압탱크(44)와 솔레노이드밸브(46)를 구비한다. 투입관(15)을 통하여 호퍼(25)에 도정 부산물이 적재되는 동안 필연적으로 분진이 발생하여 본체(20) 내의 주요 작동부는 물론 주변의 작업장까지 오염시킨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하면 호퍼(25) 내의 분진이 백필터(42)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청정한 공기만 흡기관(31)과 링블로워(35)를 통하여 배기관(32)으로 배출된다. 다만,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백필터(42)에 분진이 집적되므로 호퍼(25)의 상부공간에 타격관(48)을 개재하여 공압탱크(44)를 연결한다. 공압탱크(44)는 현장의 공압배관(도시 생략) 등에서 일정치 이상의 공압을 유지하며, 솔레노이드밸브(46)를 밸브를 개재하여 타격관(48)으로 고압의 공기를 보낸다. 이에 따라, 백필터(42)의 저면에 집적된 분진이 호퍼(25)의 하방으로 탈락되어 도정 부산물과 함께 포대에 담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여과부(40)는 타격관(48)의 고압 작용시 흡입부(30)의 흡입 유로를 차단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47)를 구비한다. 솔레노이드밸브(47)는 흡기관(31) 상에 설치되어 링블로워(35)에 의한 유로를 차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압탱크(44)를 개방하면 압력의 손실이 적어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도 백필터(42)의 분진을 탈락시킬 수 있다.
도시에는 생략하나, 본 발명의 상기 여과부(40)는 타격관(48)의 하류단에서 다수의 지점으로 분기하여 백필터(42)에 균일한 고압을 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타격관(48)의 하류단을 다수로 분기하면 백필터(42)에 대한 압력을 균일하게 하여 분진을 신속하게 탈락시키는데 유리하다.
도 4에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20)의 호퍼(25)의 하단에 분기관(52)을 지닌 전환부(50)를 구비하며, 분기관(52)은 차단판(54)에 의하여 유로가 선택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분기관(52)은 호퍼(25)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분기 위치에 차단판(54)과 솔레노이드기구(56)를 구비한다. 솔레노이드기구(56)는 솔레노이드와 링크를 포함하여 차단판(54)이 일측 분기관(52)만 개방하고 타측 분기관(52)을 폐쇄하도록 한다.
작동에 있어서, 도 1을 참조하면, 전환부(50)를 지니지 않는 본체(20)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포대를 하방향에 두고, 전환부(50)를 지니는 본체(20)를 사용하는 경우 2개의 포대를 하방향에 둔다. 어느 경우에나 소쇄선별기(11), 대쇄선별기(12), 착색립선별기(13)에서 보내오는 신호에 따라 링블로워(35)를 작동하여 도정 부산물을 호퍼(25)로 이송하고, 호퍼(25) 내의 도정 부산물과 분진이 호퍼(25)의 하단부 개방으로 포대에 담기며, 이 과정에서 백필터(42)에서 분진이 여과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고,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공압탱크(44)를 개방하여 백필터(42)에 집적된 분진을 탈락시킨다.
물론 현장의 사정에 따라서 본체(20)에 전환부(50)를 부착한다면 소쇄립 또는 대쇄립에 대응하여 원하는 포대에 넣는 제어를 요하지만 본체(20)의 설치공간을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1, 12, 13: 선별기 15: 투입관
20: 본체 25: 호퍼
27: 거치봉 30: 흡입부
31: 흡기관 32: 배기관
35: 링블로워 40: 여과부
42: 백필터 44: 공압탱크
46, 47: 솔레노이드밸브 48: 타격관
50: 전환부 52: 분기관
54: 차단판 56: 솔레노이드기구

Claims (5)

  1. 투입관(15)으로 이송되는 도정 부산물을 선별하여 포대에 담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15)에 연결되는 호퍼(25)를 구비하는 본체(20);
    상기 호퍼(25)에 진공압을 작용하여 도정 부산물을 수집하는 흡입부(30); 및
    상기 호퍼(25)의 상측에 백필터(42)를 구비하여 분진의 배출을 차단하는 여과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30)는 호퍼(25)의 상측으로 공기를 흡인하도록 링블로워(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40)는 백필터(42)의 상측 공간에 주기적으로 고압 공기를 보내도록 공압탱크(44)와 솔레노이드밸브(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40)는 타격관(48)의 고압 작용시 흡입부(30)의 흡입 유로를 차단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호퍼(25)의 하단에 분기관(52)을 지닌 전환부(50)를 구비하며, 분기관(52)은 차단판(54)에 의하여 유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KR1020110110475A 2011-10-27 2011-10-27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KR101247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475A KR101247566B1 (ko) 2011-10-27 2011-10-27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475A KR101247566B1 (ko) 2011-10-27 2011-10-27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566B1 true KR101247566B1 (ko) 2013-03-25

Family

ID=4818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475A KR101247566B1 (ko) 2011-10-27 2011-10-27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5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040A (ko) * 2017-09-13 2019-03-21 피그넷엔에스(주) 옥수수 내 유해물질 분리장치
KR20190090480A (ko) * 2018-01-25 2019-08-02 최보규 곡물 가공 부산물 재가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8790B1 (ko) * 2020-11-10 2021-02-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쌀눈 풍력 선별 장치
KR102526331B1 (ko) * 2022-08-31 2023-04-26 유재춘 전지전극용 스크랩 회수장치
KR102530395B1 (ko) * 2022-08-31 2023-05-08 유재춘 전지전극용 더블 싸이클론식 스크랩 회수장치
KR102632521B1 (ko) * 2023-10-05 2024-02-02 조인형 활성탄 흡입 및 집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123B1 (ko) 2007-09-21 2008-06-02 김재덕 곡물 부산물 처리방법 및 장치
KR20090005532A (ko) * 2007-07-09 2009-01-14 김동성 소형 즉석 도정기용 집진장치
JP2009190019A (ja) 2008-02-16 2009-08-27 Shinroku Nishiyama バグフィルター型小型脱臭集塵装置
KR20100039031A (ko) * 2008-10-07 2010-04-15 송인호 도정공장 부산물의 위생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532A (ko) * 2007-07-09 2009-01-14 김동성 소형 즉석 도정기용 집진장치
KR100834123B1 (ko) 2007-09-21 2008-06-02 김재덕 곡물 부산물 처리방법 및 장치
JP2009190019A (ja) 2008-02-16 2009-08-27 Shinroku Nishiyama バグフィルター型小型脱臭集塵装置
KR20100039031A (ko) * 2008-10-07 2010-04-15 송인호 도정공장 부산물의 위생처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040A (ko) * 2017-09-13 2019-03-21 피그넷엔에스(주) 옥수수 내 유해물질 분리장치
KR102004610B1 (ko) 2017-09-13 2019-07-26 피그넷엔에스(주) 옥수수 내 유해물질 분리장치
KR20190090480A (ko) * 2018-01-25 2019-08-02 최보규 곡물 가공 부산물 재가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3540B1 (ko) * 2018-01-25 2020-02-05 최보규 곡물 가공 부산물 재가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8790B1 (ko) * 2020-11-10 2021-02-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천미가 쌀눈 풍력 선별 장치
KR102526331B1 (ko) * 2022-08-31 2023-04-26 유재춘 전지전극용 스크랩 회수장치
KR102530395B1 (ko) * 2022-08-31 2023-05-08 유재춘 전지전극용 더블 싸이클론식 스크랩 회수장치
KR102632521B1 (ko) * 2023-10-05 2024-02-02 조인형 활성탄 흡입 및 집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566B1 (ko)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KR102172370B1 (ko) 과립 재료의 공압 운송 시스템 및 해당 시스템의 제어 방법
EP0274783B1 (en) Abrasive blasting apparatus
ES2921555T3 (es) Proceso de limpieza en seco de bandejas de fabricación aditiva
US4372713A (en) Bulk material receiver
US7608123B2 (en) Vacuum cleaner
CN206104078U (zh) 一种机器人制样用研磨机
KR101833674B1 (ko) 집진기
CN103406188B (zh) 全自动破碎研磨一体机
KR101792457B1 (ko) 건식 여과재 제거 장치
JP2011246246A (ja) 穀粒分離装置および穀粒空気搬送装置ならびに穀粒空気搬送方法
CA1332750C (en) Product pump system
KR20170093619A (ko)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U2012101907A6 (en) Particle collection apparatus
CN204955193U (zh) 物料除尘装置
KR101808383B1 (ko) 분진처리장치
KR102095745B1 (ko) 재생플라스틱 펠릿 선별장치
CN109277352A (zh) 一种大批量清洗轴承套的清洗装置
US7744683B2 (en) Transparent filterable dust bag with support container for vacuum cleaner
CN210585322U (zh) 一种无尘粉碎工作站
KR20170028526A (ko) 반도체 공장 배기덕트로부터 분진 포집, 이송 및 배출 시스템
CN104757150A (zh) 一种茶叶干燥、提香、杀菌除尘一体装置
JP3749680B2 (ja) 洗米装置
AU20082023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ank notes
WO20051181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emptying and cleaning a filter arrangement for collection of 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