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496B1 - 쌀눈 선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쌀눈 선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496B1
KR101881496B1 KR1020170048128A KR20170048128A KR101881496B1 KR 101881496 B1 KR101881496 B1 KR 101881496B1 KR 1020170048128 A KR1020170048128 A KR 1020170048128A KR 20170048128 A KR20170048128 A KR 20170048128A KR 101881496 B1 KR101881496 B1 KR 10188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ice bran
separator
filtrate
col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세기
Original Assignee
청원생명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원생명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filed Critical 청원생명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Priority to KR102017004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쌀겨에서 쌀눈만 신속하고 정밀하게 선별할 수 있는 쌀눈 선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적어도 하나의 지지롤러(17)로 회전 가능하게 받쳐져서 경사 배치되는 원통 스크린체(20)와, 그 중심축(21) 상단으로 배치되는 공급 호퍼(22)와 공급 컨베이어(23), 및 상기 원통 스크린체(20)의 내주로 부착 설치되는 리본 컨베이어(24)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 스크린체(20)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배출 컨베이어(26)로 이루어지고 쌀겨로부터 쌀눈, 싸라기, 돌 부스러기를 수거하여 1차 여과물로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와;
제1 투입 호퍼(40a)와 제1 투입구(43a) 사이로 제1 전자 피더(41a)가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1 투입구(43a)에서 제1 배출관(45a) 사이로 제1 망체(44a)가 비스듬히 연장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망체(44a)의 하측에는 제1 송풍기(46a)가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망체의 상방으로 분진을 부유시켜 제거하는 제1 부유관(42a)과, 상기 제1 배출관(45a)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2 투입 호퍼(40b)와 제2 투입구(43b) 사이로 제2 전자 피더(41b)가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2 투입구(43b)에서 제2 배출관(45b) 사이로 제2 망체(44b)가 비스듬히 연장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망체(44b)의 하측에는 제2 송풍기(46b)가 설치되어서 상기 제2 망체(44b)의 상방으로 쌀눈, 싸라기.작은 돌 부스러기를 부유시켜 2차 여과물로서 수거하는 제2 부유관(42b)으로 이루어진 더블 풍력선별기(4)와;
망 막힘 방지구(18)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한 스크린조립체(15)가 층층으로 배치되어서, 부피가 큰 이물과 쌀눈보다 작은 이물은 거르고 쌀눈은 통과시켜 1차 여과물로 선별하는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와; 한쪽 측면의 통풍구(24)를 통해 흡인되는 기류에 작은 입자의 쌀겨를 부유시켜 분진과 쌀눈, 싸라기, 돌 부스러기 등으로 분산되게 하여 쌀눈과 이에 근사한 크기의 이물을 2차 여과물로서 선별 수거하는 더블 풍력선별기(4)와;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서 승강하는 요철 스크린(60)의 상면으로 상기 2차 여과물을 공급하여 까불리면서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측에서 풍압을 가하여 분진이 부유 되도록 함으로써 분진과 이물이 제거된 3차 여과물로서 쌀눈을 정밀 선별하는 비중 차 선별기(6)와; 수거된 쌀눈 중에서 변질 된 쌀눈을 색상으로 선별 제거하여 4차 여과물로서 쌀눈만 선별 수거하는 통상의 색채선별기(8)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와 더블 풍력선별기(4), 비중 차 선별기(6) 및 색채선별기(8) 사이를 에어 컨베이어로 연통하여 쌀눈 선별 루트, 중량 이물 배출 루트, 경량 이물 배출루트로 한정되게 한 쌀눈 선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쌀눈 선별 시스템{Sorting system of embryo bud from rice bran}
본 발명은 현미에서 백미로 도정할 때 부산물로 나오는 쌀겨에서 쌀눈만 신속하고 효율 좋게 선별하여 수집하는 쌀눈 선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쌀겨는 현미를 정백미로 도정할 때 나오는 고운 속겨로서, 과피(果皮), 종피(種皮), 호분층(湖粉層), 쌀눈 등에서 유래하는 것이나, 수분, 단백질, 지방, 당질, 섬유소, 무기질, 비타민 B1, 비타민 E 등의 갖가지 영양소가 풍부하여 종래부터 폐기하지 않고 사료나 비료의 원료, 또는 식용유나 식품첨가물의 원료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는 물질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쌀겨에 있는 영양소가 대부분 쌀눈에 함유되어 있는 점에 착안하여 쌀눈만 선별 수거하여 상품화하고 있다.
쌀겨로부터 쌀눈만 선별 수거하는 방법은, 진동선별, 비중 차를 이용한 선별, 스크린선별이 응용되고 있고, 이로부터 선별된 쌀눈은 최종적으로 색채선별을 통해 변질 되지 않은 쌀눈만 회수하는 방식으로 실시하고 있다.
다음 특허문헌 1 및 2는 진동 분리로 쌀겨로부터 준 쌀눈을 회수하고, 풍력으로 쌀겨를 불어 이송시켜 수직으로 배치된 거름벽을 통과하는 쌀눈만 수거하고 다시 색채선별, 세척, 살균처리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쌀눈 선별장치 및 방법을 각각 개시하고 있다.
또, 다음 특허문헌 3은 1차 스크린 선별 - 비중 차 선별 - 2차 스크린 선별 - 색채선별 - 분진 세척의 순서로 행하여 쌀눈을 얻는 고순도 쌀눈 선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쌀겨는 정미소에서 부산물로 얻어질 때 통상은 왕겨, 돌 부스러기, 검불, 지푸라기, 기타 작은 나무 조각 등의 이물질이 상당량 혼입된 채로 수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술한 특허문헌 1 ~ 3에 개시된 장치와 방법은 정미소에서 주의를 기울여 큰 이물이 포함되지 않게 선별한 쌀겨를 원료로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겠지만, 통상의 쌀겨를 원료로 투입하면 혼입된 이물에 의해 장치 작동이 지장을 받아 선별 결과가 좋지 않게 나타난다.
즉, 진동선별은 스크린에 진동을 가하면서 쌀겨에서 크기가 작은 이물을 통과시키고 쌀눈은 걸러내어 선별하는 것이므로, 검불, 지푸라기와 같이 가볍고 부피가 큰 이물이 혼입된 쌀겨를 선별하면, 쌀눈과 함께 섞인 채로 걸러지지 않고 한쪽으로 모여있게 되어 선별작용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다.
또, 스크린 선별은 쌀겨에 혼입된 검불, 지푸라기. 싸라기, 쌀눈 등이 망 구멍에 끼워지는 현상이 빈번하여 여과 효율이 좋지 않다.
비중 차 선별은 측방으로 바람을 공급하면서 상방에서 쌀겨를 낙하시켰을 때 쌀눈과 이물이 바람을 타고 부유하게 되는 거리의 차이로 선별하는 방식으로서 검불, 지푸라기 등이 완전히 제거된 쌀겨에서 쌀눈을 정밀하게 선별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쌀겨의 공급량에 맞춰 풍압을 잘 조절해야만 소기의 정밀 선별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쌀겨를 로터리 시프터-풍력 선별기-비중 차 선별기 순으로 이동시켜 쌀눈만 선별하고, 얻어진 쌀눈을 최종적으로 색채 선별하여 산패 변질 된 쌀눈이 제거된 정품의 쌀눈만 수거하는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249957호, 한국 등록특허 제1271020호, 한국 등록특허 제1248937호,
본 발명의 목적은 검불, 지푸라기 등이 혼입되어 있는 쌀겨 속에서 쌀눈만 신속하고 정밀하게 선별하는 과정을 전자동으로 수행하는 쌀눈 선별 시스템으로서, 상이한 몇 가지 매커니즘에 쌀겨를 반복적으로 경유시켜서 쌀눈 선별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킨 쌀눈 선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
더블 풍력선별기; 한쪽으로 기울여 배치된 요철스크린으로 쌀겨를 까불리면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방으로 바람을 일으켜 분진을 부유시켜서 상기 요철스크린에 까불려 부유하지 않는 작은 이물이 쌀눈, 돌 부스러기, 싸라기로 구분하여 수거하는 비중 차 선별기; 및 수거되는 쌀눈 중에서 변질 되어 색상이 변한 쌀눈을 탈락시켜 제거하는 통상의 색채선별기; 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와 더블 풍력선별기, 비중 차 선별기 및 색채선별기 사이를 연통시키는 에어 컨베이어에 의해 쌀눈 선별 루트, 중량 이물 배출 루트, 경량 이물 배출루트로 각각 구분되는 구성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한 쌀눈 선별 시스템은, 선별 초기에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의 회전 원통 내부에서 리본 컨베이어에 의해 추진되는 쌀겨가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스크린에 여과되어 부피가 큰 이물은 남고 쌀눈과 그보다 작은 이물은 스크린을 통과하여 1차 선별물로 다음의 더블 풍력선별기로 보내지고, 더블 풍력선별기의 에서 바람으로 부유시켜서 분진과 쌀눈, 싸라기, 돌 부스러기로 분산되면서 낙하하는 것을 구분 수거하고, 다시 비중 차 선별기에서 쌀눈과 싸라기, 돌 부스러기를 요철 스크린으로 까불리면서 이동시켜 나타나는 이동거리의 차이로 쌀눈, 싸라기, 돌 부스러기로 구분 수거하되, 목적물로 되는 쌀눈은 쌀눈 선별 루트를 통하여 수집하고, 검불, 지푸라기처럼 부피가 큰 이물이나, 돌 부스러기처럼 무거운 이물은 중량 이물 배출 루트로 회수하여 폐기시키는 한편, 집진기를 경유하여 수거되는 쌀가루, 호분층 등의 분진은 경량 이물 배출루트를 통해 수거하여 사료, 비료의 원료로 재활용하게 한 것이며, 모든 공정 사이의 이송이 에어 컨베이어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 것이므로 쌀눈 선별효율을 대폭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한 쌀눈 선별 시스템은, 쌀겨에서 부피가 큰 이물, 그리고 쌀눈보다 작은 이물의 선별을 2회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이후 공정으로 반송되는 쌀겨는 쌀눈과 싸라기로 한정되어 더한층 신속하고 정밀하게 쌀눈의 선별이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쌀눈 선별 시스템은, 선별 초기에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의 격납실 내부에서 스크린조립체가 스위블 작동하여 쌀겨에 혼입된 이물 중 부피가 큰 이물과 쌀눈보다 작은 이물을 제거하여 남게 되는 쌀눈과 싸라기를 다음의 쌀겨선별기에서 바람으로 부유시켜서 분진과 쌀눈, 싸라기, 돌 부스러기 등으로 분산되는 것을, 다수 연속으로 겹쳐지게 배열된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을 통해 분진만 흡인 수거하고 쌀눈을 포함한 싸라기, 작은 돌 부스러기 등은 낙하 수거하고, 다음의 비중 차 선별기에서 쌀눈과 싸라기, 돌 부스러기를 요철 스크린으로 까불리면서 이동시켜 나타나는 이동거리의 차이로 쌀눈, 싸라기, 돌 부스러기 등으로 구분 수거하되, 목적물로 되는 쌀눈은 쌀눈 선별 루트를 통하여 수집하고, 검불, 지푸라기처럼 부피가 큰 이물이거나, 돌 부스러기처럼 무거운 이물은 중량 이물 배출 루트로 회수하여 폐기시키는 한편, 집진기를 경유하여 수거되는 쌀가루, 호분층 등의 분진은 경량 이물 배출루트를 통해 수거하여 사료나 비료의 원료로 재활용하게 한 것이며, 모든 공정 사이의 이송이 에어 컨베이어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 것이므로 쌀눈 선별효율을 대폭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한 쌀눈 선별 시스템은, 연속 배열된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을 선별하고자 하는 쌀겨 및 쌀눈의 입도 분포에 맞춰 조정할 수 있어서 쌀눈의 선별 회수율을 높여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쌀눈 선별 시스템의 개요도.
도 2는 도 1의 사이클론 내부에서 쌀겨의 분진이 제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더블 풍력선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비중 차 선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비중 차 선별기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
도 7은 비중 차 선별기에서 쌀눈이 선별되는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로서,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와 더블 풍력선별기(4), 비중 차 선별기(6), 그리고 색채선별기(8)를 갖추고 있다.
상기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에서 더블 풍력선별기(4)와 비중 차 선별기(6), 그리고 색채선별기(8)로 이어지는 경로는 에어 컨베이어로 연통 되어 있어서 쌀겨는 기류를 타고 각 공정으로 이동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면에서, 실선 화살표 라인은 쌀겨에서 쌀눈을 수집하는 쌀눈 선별 루트(A)의 에어 컨베이어를 나타내고, 점선 화살표 라인은 쌀겨가 반송되는 도중에 걸러지는 비교적 부피가 큰 이물을 배출하기 위한 중량 이물 배출 루트(B)의 에어 컨베이어를, 그리고 1점 쇄선라인은 쌀겨의 반송 중에 걸러지는 작은 입자의 이물을 배출하기 위한 경량 이물 배출루트(C)의 에어 컨베이어를 나타내고 있다.
정미공정에서 얻어지는 미선별 쌀겨는 전용 컨베이어(10)를 통해 공급되는데, 상기 미선별 쌀겨는 전용 컨베이어(10)에서 사이클론(12)을 경유하여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로 일정량씩 연속 공급된다.
상기 사이클론(12)은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 외에, 더블 풍력선별기(4), 비중 차 선별기(6), 색채선별기(8)의 투입구에도 비치하여 쌀겨의 이송 중에도 분진을 흡인 제거하게 되어 있고, 또한 요소마다 배치되는 흡기발생용 휀(14)의 전단에도 각각 비치하면 분리 수집되는 이물에서 이송 중에 쌀가루, 호분층 등의 재활용 분진과 돌 부스러기, 검불, 지푸라기 등의 폐기물로 다시 구분 수집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에서 초기에 분리되는 이물은 지푸라기, 목편, 비교적 큰 돌 부스러기 등의 폐기물이므로 직결된 이물수거 컨베이어(16)를 통해 수집하게 되어 있고, 상기 이물수거 컨베이어(16)는 중량 이물 배출 루트(B)에 연통 되어서 폐기되는 이물을 이송하게 되어 있다.
요소마다 배치되는 흡기발생용 휀(14)은 쌀눈 선별 루트(A), 중량 이물 배출 루트(B), 경량 이물 배출루트(C)의 내부에 기류가 생성되게 하여 에어 컨베이어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며, 최종 출구 측으로 비치되는 흡기발생용 휀(14)에는 집진기(18)가 연통되어서 분진을 수거하게 되어 있다.
한편, 쌀눈 선별루트(A)의 도중에는 적당한 위치마다 히터 수단(20)을 설치할 수도 있다.
히터 수단(20)은 쌀눈 선별루트(A)의 내부를 통과하는 쌀눈을 가열 건조 시킴으로써 이후의 선별과정에서 잘 분산되어 쉽게 선별되는 이점과, 최종 수거되는 쌀눈이 건조 상태로 회수됨에 따라 잠시 보관하여도 변질이 생기지 않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히터 수단(20)은, 바람직하게는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와 더블 풍력선별기(4) 사이, 그리고 더블 풍력선별기(4)와 비중 차 선별기(6) 사이, 및 비중 차 선별기(6)와 색채선별기(8) 사이로 배치하면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이클론(12)은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 쌀겨 투입구(120)를 갖추고 있어서, 쌀겨는 여기를 통해 공급되어서 하측의 배출구(121)를 향해 낙하하게 된다.
한편, 사이클론(12)의 내부에서는 흡기발생용 휀(14)의 영향을 받아 상측의 흡인관(122)으로 이어지는 흡인 기류가 작용하여, 가루, 먼지, 호분, 잡티 등의 가벼운 입자는 부유하여 중심부로 모이면서 경량 이물 배출루트(C)를 따라 제거됨과 동시에, 쌀눈을 포함한 싸라기, 돌 부스러기, 모래 등의 비교적 무거운 입자와, 검불, 지푸라기, 왕겨 등의 부피가 큰 이물은 부상하지 않고 와류를 타면서 상기 배출구(121)로 낙하하여 이후의 공정으로 인도된다.
상기 흡인관(122)의 하단은 쌀겨 투입구(120)보다 낮게 연장하여 내부에서 와류가 생성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쌀눈의 선별은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의 상측으로 쌀눈, 싸라기, 모래, 돌 부스러기, 검불, 지푸라기, 왕겨 등이 혼합된 쌀겨가 공급되면서 시작된다.
쌀겨의 선별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는 도 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배치되는 원통 스크린체(20)의 중심축(21) 상단에 공급 호퍼(22)와 공급 컨베이어(23)가 설치되고, 상기 원통 스크린체(20)의 내주에는 리본 컨베이어(24)가 부착되어서 상기 공급 호퍼(22)로 투입되는 쌀겨를 중심축(21) 하단의 이물 배출구(25)로 이송시키게 한 구조로 된 것이며, 상기 원통 스크린체(20)의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롤러(17)가 설치되어서 회전 구동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받쳐주게 되어 있다.
상기 공급 호퍼(22)로 투입되는 쌀겨는 공급 컨베이어(23)를 타고 원통 스크린체(20)의 내부로 이송되고, 여기에서는 회전 구동되고 있는 상기 원통 스크린체(20)의 경사 배치와 리본 컨베이어(24)의 회전에 의한 추진력을 받아 이물 배출구(25)를 향해 이송되면서 입자가 작은 쌀눈, 싸라기, 모래, 돌 부스러기는 원통 스크린체(20)를 통과하여 1차 여과물로 수거되고, 입자가 큰 돌 부스러기, 검불, 지푸라기, 왕겨, 목편 등은 큰 이물질로 걸러져서 이물 배출구(25)를 통해 상기 이물수거 컨베이어(16)로 보내어져 폐기물로 수집된다.
한편, 원통 스크린체(20)를 통과한 1차 여과물은 그 하측에 마련된 배출 컨베이어(26)를 타고 이동하여 1차 여과물 배출구(27)를 통해 배출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원토 회전형 세퍼레이터(2)가 채용되고 있지만, 조악한 품질의 쌀겨가 공급되는 경우에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는 쌍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쌀겨는 2회의 여과를 통해 티끌, 검불, 지푸라기가 혼입되지 않은 1차 여과물로 정선된다.
상기 1차 여과물은 쌀눈과 그 크기가 비슷하거나 더 작은 돌 부스러기, 모래, 싸라기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1차 여과물 배출구(27)를 통해 배출되면 다음의 더블 풍력선별기(4)로 급송된다.
또한, 1차 여과물은 도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더블 풍력선별기(4)로 공급되기 직전에 사이클론(12)을 경유하여 분진과 미강이 분리 제거되는 과정을 거친 다음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더블 풍력선별기(4)는 도 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클론(12)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제1 투입 호퍼(40a)에 제1 전자 피더(41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1 전자 피더(41a)는 제1 부유관(42a)의 측방으로 열어놓은 제1 투입구(43a)로 1차 여과물을 분산 공급한다.
또, 상기 제1 부유관(42a)의 내측에는 제1 망체(44a)가 제1 투입구(43a)로부터 하측의 제1 배출관(45a)에 이르도록 비스듬히 연장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망체(44a)의 하측에는 제1 송풍기(46a)가 바람을 일으켜서 제1 부유관(42a)을 향하여 급송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구조와 동일하게 제1 배출관(45a)에 연속하여 그 하측으로 제2 전자피더(41b)가 설치된 제2 투입 호퍼(40b)를 배치하고, 상기 제2 전자 피더(41b)는 제2 부유관(42b)의 외측으로 열린 제2 투입구(43b)로 1차 여과물을 연속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 제2 부유관(42b)의 내부에도 제2 망체(44b)를 상기 제2 투입구(43b)에서 하측의 제2 배출관(45b)으로 연장 설치하는 한편, 상기 제2 부유관(42b)으로 바람을 급송하는 제2 송풍기(46b)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더블 풍력선별기(4)에서, 제1 부유관(42a)의 내부에서는 제1 송풍기(46a)의 풍압 작용으로 분진과 가벼운 티끌 등이 날리면서 외부로 빠져나가 경량 이물 배출루트(C)를 따라 수집되고, 쌀눈과 돌 부스러기 등의 비교적 무게를 가진 물질은 제1 망체(44a)를 통과하고 제2 투입 호퍼(40b)로 공급되며, 여기에서는 제2 송풍기(46b)에서 공급되는 풍압 작용으로 쌀눈, 싸라기 등의 비중이 작은 물질은 날리면서 외부로 빠져나가 다음의 비중 선별기(6)로 이송되고, 돌 부스러기, 모래와 같이 비중이 커서 날지 않는 물질은 제2 망체(44b)를 타고 내려가서 제2 배출관(45b)을 통해 제거된 다음 상술한 중량 이물 배출 루트(B)를 따라 이동하여 폐기됨으로써 상기 1차 여과물은 2차 여과물로 정밀 선별되어서 이후의 비중 차 선별기(6)로 보내진다.
또, 경량 이물 배출통로(C)와 중량 이물 배출통로(B)를 통해 나오는 이물은 도중에 각각 사이클론(12)을 재차 경유시켜 다시 한번 분진을 분리한 다음 집진기(18)로 보내고, 돌 부스러기, 싸라기 등은 이물수거 컨베이어(16)로 보내도록 선별할 수 있어서 재활용 가능한 싸라기의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얻는다.
2차 여과물을 선별하는 비중 차 선별기(6)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계단상으로 절곡 된 표면을 갖추고 한쪽 변의 끝 부분이 종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요철 스크린(60)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요철 스크린(60)은 밑면의 귀퉁이 양쪽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로드(61)가 캠(62)의 표면을 타고 간섭되어 승강하는 작용에 의해 한쪽이 승강 요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더블 풍력선별기(4)에서 보내지는 2차 여과물은 상측 커버(63)의 낮은 지역으로 마련된 낙하 투입구(64)를 통해 상기 요철 스크린(60)의 낮은 쪽 상면으로 공급된다.
또, 상기 요철 스크린(60)의 하측에는 풍차(65)가 비치되어서 상방으로 바람을 불어줌에 따라, 2차 여과물이 요철 스크린(60)의 상면에서 튕겨 분산될 때 쌀눈에서 떨어지는 분진은 바람을 타고 상측 커버(63)의 높은 쪽에 마련된 분진 배출구(66)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상기 요철 스크린(60)의 양측은 도 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바아(67)를 통해 기대로 연결됨과 동시에 스프링(68)으로 현가 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로드(61)에 의한 요동은 일정높이를 유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요철 스크린(60)에 의한 까불림은 쌀겨 전체에 일정한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요철 스크린(60)에서 낮은 쪽 변에는 차례로 미분 수거통로(69), 중복 수거통로(70), 쌀눈 수거통로(71), 이물 수거통로(7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통로(69)(70)(71)(72) 사이는 각각 기울기 조정 가능한 조절판(73)으로 구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요철스크린(60)은 도 6에 상세히 묘사되어 있듯이, 장변의 전방을 높이고 후방은 낮추어 놓는 장축경사(a-a)와, 단변 좌측을 높이고 우측은 낮추어 놓는 단축경사(b-b)를 포함하는 종횡 경사로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2차 여과물은 요철 스크린(60)의 상면에서 까불려 위로 튕겨 오르면서 쌀눈, 싸라기, 돌 부스러기 등과 이들의 표면에 남아있는 분진이 분리된다.
이렇게 표면의 분진이 떨어져 나간 쌀눈, 싸라기, 돌 부스러기는 까불려지면서 장축경사(a-a)를 따라 일정거리 전진하여 낙하하고, 표면으로 떨어지는 순간에는 단축경사(b-b)를 타고 조금씩 흘러내리면서 차츰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에서, 비중이 가벼운 쌀눈, 싸라기, 미강분 등은 도 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멀리 이동하지 못하고 비중이 무거운 돌 부스러기는 멀리 이동하게 되므로 쌀눈과 싸리기 및 돌 부스러기의 선별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하측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으로 분진은 부유하면서 상측의 분진 배출구(66)를 통해 집진기(18)로 보내지는 한편, 경사 배치된 요철 스크린(60)의 상면에서 미강분, 작은 싸라기나 상품 가치가 없는 작은 쌀눈과 같이 가벼운 이물은 까불려도 멀리 가지 못하고 단축경사를 타고 흘러내려 미분 수거통로(69)를 통해 수집되고, 이보다 무거운 쌀눈은 좀더 멀리 이동하여 단축경사를 따라 흘러내리므로 쌀눈 수거통로(71)를 통해 3차 여과물로서 수집되며, 가장 무거운 돌 부스러기, 크기가 큰 싸라기는 더 멀리 이동하여 단축경사를 따라 흘러내림에 따라 이물 수거통로(72)를 통해 수집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비중 차 선별기(6)에서, 미분 수거통로(69), 중복 수거통로(70), 쌀눈 수거통로(71), 이물 수거통로(72) 사이를 구획하는 조절판(73)을 기울기 조절 가능하게 배치하면, 가벼운 이물, 쌀눈, 싸라기, 돌 부스러기의 구분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중복 수거통로(70)를 통해 수집되는 가벼운 이물이 포함된 쌀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비중 차 선별기(6)의 낙하 투입구(64)로 피드백시켜서 3차 여과물로 재선별하면 쌀눈의 회수율을 높일수 있다.
비중 차 선별기(6)를 거쳐 선별된 3차 여과물은 최종적으로 색채선별기(8)로 보내진다.
색채선별기(8)는 낙하 공급되는 쌀눈의 변색 여부를 이미지센서로 체크 하여 송출되는 전자신호에 의해 에어 건이 스위칭 온-오프 되면서, 변색 된 쌀눈만 장치 밖으로 제거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색채 선별의 정확도와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쌍으로 병설하여, 1차와 2차로 연속 선별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의 색채선별기(8)는 이미 널리 활용되고 있는 공지 기술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그 작용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별시스템은 쌀겨에서 쌀눈의 선별을 행함에 있어, 스크린과 풍력, 그리고 비중 차 및 색채선별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얻는 것이므로 정밀도 높은 선별을 고효율로 할 수 있는 특징을 갖춘 것이다.
2: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
20: 원통 스크린체 21: 중심축
22: 공급 호퍼 23: 공급 컨베이어
24: 리본 컨베이어 25: 이물 배출구
26: 지지 롤러 27: 배출 컨베이어
28: 1차 여과물 배출구
4: 더블 풍력선별기
40a: 제1 투입 호퍼 41a: 제1 전자 피더
42a: 제1 부유관 43a: 제1 투입구
44a: 제1 망체 45a: 제1 배출관
46a: 제 송풍기 40b: 제2 투입 호퍼
41b: 제2 전자 피더 42b: 제2 부유관
43b: 제2 투입구 44b: 제2 망체
45b: 제2 배출관 46b: 제2 송풍기
6: 비중 차 선별기
60: 요철 스크린 61: 로드
62: 캠 63: 상측 커버
64: 낙하 투입구 65: 풍차
66: 분진 배출구 67: 지지바아
68: 스프링수단 69: 미분 수거통로
70: 중복 수거통로 71: 쌀눈 수거통로
72: 이물 수거통로
8: 색채선별기 10: 전용 컨베이어
12: 사이클론
120: 쌀겨 무입구 121: 배출구
122: 흡인관
14: 흡기발생용 휀 16: 이물수거 컨베이어
18: 집진기 20: 히터수단
A: 쌀눈 배출통로 B: 중량 이물 배출통로
C: 경량 이물 배출루트

Claims (3)

  1. 적어도 하나의 지지롤러(17)로 회전 가능하게 받쳐져서 경사 배치되는 원통 스크린체(20)와, 그 중심축(21) 상단으로 배치되는 공급 호퍼(22)와 공급 컨베이어(23), 및 상기 원통 스크린체(20)의 내주로 부착 설치되는 리본 컨베이어(24)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 스크린체(20)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배출 컨베이어(26)로 이루어지고 쌀겨로부터 쌀눈, 싸라기, 돌 부스러기를 수거하여 1차 여과물로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와;
    제1 투입 호퍼(40a)와 제1 투입구(43a) 사이로 제1 전자 피더(41a)가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1 투입구(43a)에서 제1 배출관(45a) 사이로 제1 망체(44a)가 비스듬히 연장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망체(44a)의 하측에는 제1 송풍기(46a)가 설치되어서 상기 제1 망체의 상방으로 분진을 부유시켜 제거하는 제1 부유관(42a)과, 상기 제1 배출관(45a)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2 투입 호퍼(40b)와 제2 투입구(43b) 사이로 제2 전자 피더(41b)가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2 투입구(43b)에서 제2 배출관(45b) 사이로 제2 망체(44b)가 비스듬히 연장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망체(44b)의 하측에는 제2 송풍기(46b)가 설치되어서 상기 제2 망체(44b)의 상방으로 쌀눈, 싸라기.작은 돌 부스러기를 부유시켜 2차 여과물로서 수거하는 제2 부유관(42b)으로 이루어진 더블 풍력선별기(4)와;
    장변의 전방이 높고 후방은 낮은 장축경사와 단변의 좌측이 높고 우측은 낮은 단축경사로 배치된 요철스크린(60)으로 상기 2차 여과물을 까불리면서 이동시킴과 아울러 하측에 비치된 풍차(65)로 풍압을 가하여 상방으로 부유하는 분진은 수거하고, 상기 요철 스크린(60)의 상면에서 까불려지는 쌀눈, 돌 부스러기, 싸라기가 장축경사를 따라 이동하는 거리 차이로 선별되면서 단축경사를 따라 흘러내려 수거되는 쌀눈을 3차 여과물로서 수거하여 통상의 색채선별기(8)로 이송하는 비중 차 선별기(6); 를 포함한 구성으로 된 쌀눈 선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회전형 세퍼레이터(2)는 쌍으로 연속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선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 차 선별기(6)의 요철 스크린(60) 한쪽으로 마련되는 미분 수거통로(69), 중복 수거통로(70), 쌀눈 수거통로(71), 이물 수거통로(72) 사이가 기울기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절판(73)에 의해 격리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선별 시스템.
KR1020170048128A 2017-04-13 2017-04-13 쌀눈 선별 시스템 KR10188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128A KR101881496B1 (ko) 2017-04-13 2017-04-13 쌀눈 선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128A KR101881496B1 (ko) 2017-04-13 2017-04-13 쌀눈 선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496B1 true KR101881496B1 (ko) 2018-08-24

Family

ID=6345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128A KR101881496B1 (ko) 2017-04-13 2017-04-13 쌀눈 선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49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4002A (zh) * 2019-01-07 2019-03-12 山东泓盛智能科技有限公司 粮食杂质智能检验仪
CN110523459A (zh) * 2019-08-21 2019-12-03 湖北江山粮油贸易有限公司 一种精米加工系统中的糠粉分离器
CN111112039A (zh) * 2019-12-27 2020-05-08 杨丁周 一种农业加工用上料装置
CN112808575A (zh) * 2021-02-24 2021-05-18 李小红 一种建筑工地用细沙筛选设备
CN113426658A (zh) * 2021-06-01 2021-09-24 巢湖美维食品有限公司 一种菜叶加工前预处理风选装置
KR20220033914A (ko) * 2020-09-10 2022-03-1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별곡 쌀눈 추출장치
CN115780264A (zh) * 2022-12-06 2023-03-14 广东省现代农业装备研究所 一种水稻加工过程中的米糠分离设备及分离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892B1 (ko) 2013-03-05 2013-11-13 한규수 고순도 쌀눈 선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892B1 (ko) 2013-03-05 2013-11-13 한규수 고순도 쌀눈 선별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4002A (zh) * 2019-01-07 2019-03-12 山东泓盛智能科技有限公司 粮食杂质智能检验仪
CN109454002B (zh) * 2019-01-07 2023-08-15 山东泓盛智能科技有限公司 粮食杂质智能检验仪
CN110523459A (zh) * 2019-08-21 2019-12-03 湖北江山粮油贸易有限公司 一种精米加工系统中的糠粉分离器
CN111112039A (zh) * 2019-12-27 2020-05-08 杨丁周 一种农业加工用上料装置
KR20220033914A (ko) * 2020-09-10 2022-03-1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별곡 쌀눈 추출장치
KR102411798B1 (ko) 2020-09-10 2022-06-22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별곡 쌀눈 추출장치
CN112808575A (zh) * 2021-02-24 2021-05-18 李小红 一种建筑工地用细沙筛选设备
CN113426658A (zh) * 2021-06-01 2021-09-24 巢湖美维食品有限公司 一种菜叶加工前预处理风选装置
CN115780264A (zh) * 2022-12-06 2023-03-14 广东省现代农业装备研究所 一种水稻加工过程中的米糠分离设备及分离方法
CN115780264B (zh) * 2022-12-06 2023-08-08 广东省现代农业装备研究所 一种水稻加工过程中的米糠分离设备及分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96B1 (ko) 쌀눈 선별 시스템
US5733592A (en) Method for cleaning and sorting bulk material
CN101056717B (zh) 用于分离颗粒物料的装置
US5699724A (en) Cleaning and sorting bulk material
KR101670988B1 (ko) 석발 기능이 구비된 벼 정선기
KR101577749B1 (ko) 거름망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고순도 미강 선별장치
JP2018118185A (ja) 粗選別機
JP2949022B2 (ja) 脱穀装置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KR101748815B1 (ko) 쌀눈 선별장치
KR101763187B1 (ko) 쌀눈 선별 시스템
JP4580400B2 (ja) 胚芽分離回収装置
CN217303499U (zh) 一种大米加工用通风烘干装置
RU2448783C1 (ru) Пневмосепаратор с поворотными барьерами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зерна и других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восходящим воздушным потоком
CN111248453A (zh) 葵花籽脱壳机
JP6237851B2 (ja) 穀粒分配供給装置および粗選ボックス
JPH10244227A (ja) カントリーエレベータ等の粗選機
RU240562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злаков
CN107199130A (zh) 一种粮食双比重精选筛
JP2007020419A (ja) 脱穀装置の選別構造
CA2478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seeds
CN107838033A (zh) 一种智能环保风力谷物精选机
CN216362660U (zh) 麦仁壳皮去除一体式装置
CN208642998U (zh) 比重筛
JP7322935B2 (ja) 収穫機
JP3738372B2 (ja) 穀類の異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