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72B1 -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탈곡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72B1
KR0130872B1 KR1019940001064A KR19940001064A KR0130872B1 KR 0130872 B1 KR0130872 B1 KR 0130872B1 KR 1019940001064 A KR1019940001064 A KR 1019940001064A KR 19940001064 A KR19940001064 A KR 19940001064A KR 0130872 B1 KR0130872 B1 KR 0130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rocessing
straw
processing chamber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287A (ko
Inventor
다카오 아키야마
켄 마에다
겐지 히와사
켄이찌로오 디케우찌
나오쯔구 다나카
케이 구기미야
Original Assignee
호리에 유키지
이세키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리에 유키지, 이세키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리에 유키지
Priority to KR101994000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72B1/ko
Publication of KR950023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컴바인용에 주로 채용되는 탈곡장치에 있어서 급실 내에서 발생하는 이삭이 붙은 짚이나 짚조각 등의 짚부스러기를 급실 내의 급동과 처리실내의 처리동체와의 관련구성에 있어서 고능률 고정도로 신속처리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성) 바깥쪽에 볏짚을 끼워 반송하는 탈곡체인(8)에 따라 개구하는 급구(8a)에 대하여 하부쪽으로 회전하는 급동(22)을 축받이 내장한 급실(17)과, 이 급실(17)의 급구쪽과 반대쪽 상부 위치에 있어서 급실(17)에 연하여 설치된 상기 급동(22)과는 반대쪽으로 회전하는 처리동체(25)를 축받침하여 내장한 처리실(18)과를, 선별실(52) 내에 가설된 요동선별선반(51)의 윗쪽에 설치하고, 이 급실(17)과 처리실(18)과의 전후관계에서는, 처리실(18)의 시단쪽을 급실(17)의 시단위치와 대략 등일 혹은 그것보다도 뒤 위치로부터 형성시키며, 종단쪽을 급실(17)보다 뒷쪽으로 연설하고, 상기 급실(17)과 처리실(18)과를 소정 간격으로 막는 칸막이(21)의 부분을 제하고병열하는 전후방향전역에 걸쳐 개구언통(K)되게 하며, 급실의 뒷벽에서 급실(17)의 전후방향의 후단쪽부분에 있어서, 그 앞쪽부분에서는 처리실(18)로부터 이송되어온 짚부스러기를 급실내의 앞근처 방향으로 향하여 방출하는 나선상으로 설치한 방출체(31)를 처리동체 외주에 설치하고, 뒷쪽부분에서는 급동실 내의 급동(22)의 회전으로 끌어올려지는 짚부스러기를 처리실내로 취입하여 급실(17)보다 뒷쪽으로 그 짚부스러기를 이송하는 나선상의 이송체(33)를 설치하며, 이 처리실 후단쪽부분과 밑쪽의 선별실(52)을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Description

탈곡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장치를 장비한 컴바인 전체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주요부의 정단면도.
제4도는 주요부의 간략 평면도.
제5도는 처리동체 자체의 평면도.
제6도는 주요부의 사시도.
제7도는 주요부의 사시도.
제8도는 주요부의 사시도.
제9도는 주요부의 사시도.
제10도는 주요부의 사시도.
제11도는 주요부의 사시도.
제12도는 주요부의 측단면도.
제13도는 주요부의 배단면도.
제14도는 작용설명용의 간략 평면도.
제15도는 작용설명용의 간략 평면도.
제16도는 주요부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탈곡체인 8a : 급구(扱口)
17 : 급실(扱室) 18 : 처리실
21 : 칸막이 22 : 급동(扱胴)
25 : 처리동체 31 : 방출체(放出體)
33 : 이송체 51 : 요동선별선반
52 : 선별실 k : 연통부
본 발명은 컴바인용 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국 실개소 59-166628호 공보나 특개소 62-14723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급실(扱室)과 처리실을 서로 좌우 옆쪽으로 나란히 설치하여 급실 내에서 발생하는 탈곡립(脫穀粒)이 섞인 짚부스러기를 처리실 쪽으로 보내어 처리시켜 하부의 선별선반상으로 방출시키는 기술은 있었다.
종래 기술에서는 급실로부터 처리실로 공급된 탈곡립이 섞인 짚부스러기는 대략 처리실 내어서만 곡실알이떨어지지 않은 이삭이 붙은 짚이나 가지에 강하게 붙은 곡식알이 분리처리 됨과 동시에 곡실알은 처리실 하부의 그물 혹은 슬릿에서 선별선반 위에 탈락하여 선별된다,
그러나, 일단 처리실에 들어간 짚부스러기가 급실쪽으로 환원된다든지, 반대로 급실쪽에서 발생한 짚부스러기가 자유로 아무 위치에서나 처리실로 공급 혹은 취입된다고 하는 것이 극히 적고, 급실 내에서 발생하는 짚부스러기의 처리속도가 늦고 또한 처리능력이 나쁜 결점이 있어서, 결국 탈곡성능이 나쁜 평가밖에 받을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음의 기술적인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바깥쪽에 볏짚을 끼워 반송하는 탈곡체인(8)에 따라 개구하는 급구(扱口)(8a)에 대하여 하부쪽으로 회전하는 급동(扱胴)(22)을 축받이하여 내장한 급실(17)과, 이 급실(17)의 급구쪽과 반대쪽 상부위치에 있어서 급실(17)에 연하여 설치된 상기 급동(22)과는 반대쪽으로 회전하는 처리동체(25)를 축받이하여 내장한 처리실(18)과를, 선별실(52)내에 가설된 요동선별선반(51)의 윗쪽에 설치하고, 이 급실(17)과 처리실(18)과의 전후관계에서는, 처리실(18)의 시단(始端)쪽을 급실(17)의 시단위치와 대략 동일 혹은 그것보다 뒤 위치로부터 형성시키고 종단쪽을 급실(17)보다 뒷쪽으로 연설(延設)하며, 상기 급실(17)과 처리실(18)을 소정간격으로 막은 칸막이(21)의 부분을 체하고 병열(竝列)하는 전후방향 전역에 걸쳐 개구연통(K)시키며 급실의 뒷벽으로부터 급실(17)의 전후방향의 후단쪽부분에 있어서, 그 앞쪽부분에서는 처리실(18)에서 이송되어온 짚부스러기를 급실 내의 앞쪽에 치우친 방향으로 향하여 방출하는 나선선으로 설치한 방출체(31)를 처리동체 외주에 설치하고, 뒷쪽부분에서는 급동실 내의 급동(22)의 회전으로 끌어올려지는 짚부스러기를 처리실 내로 취입하여 급실(17)보다 후방쪽으로 그 짚부스러기를 이송하는 나선상의 이송체(33)를 설치하며, 이 처리실 후단쪽부와 하부의 선별실(52)을 연통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로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실 내에서 탈곡되어 탈립(脫粒)된 곡식알은 탈곡 망목으로부터 걸러 떨어져 하부의 선별요동선반상에 받쳐져 풍선(風選)되면서 더욱 밑쪽으로 탈락되어 제1곡립 이송나선에 의해 기체(機體)쪽으로 이송되고, 양곡장치(揚穀裝置)에 의해 위로 올려져 탈곡기의 기외(機外)로 꺼내어진다.
탈곡그물로부터 탈락되지 않는 탈곡립이 섞여 있는 짚부스러기 중 급동의 급치(扱齒)에 의해 밑쪽으로부터 피드체인과 반대쪽 상부로 휘젓는 짚부스러기는 처리실 내로 공급된다.
이때 급실 내의 시단쪽에서 발생하는 짚부스러기는 처리동체 시단쪽 외주에 설치한 후방추력(後方推力)을 가진 취입나선에 의해 처리실 내에 신속하게 취입되며 그 후에 처리동체의 전후중간부분에 심어설치한 처리치(處理齒)와 처리실 내에 설치한 짚부스러기 절단칼 및 처리실의 일부를 형성하는 처리망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처리된다. 이 때 급실과 처리실은 서로 대략 자유로운 연통구(連通口)를 공용하고 있기 때문에 급실 내의 짚부스러기가 처리실로 들어간다든지 반대로 처리실 내에서 처리된 짚부스러기나 곡식알이 다시 급실로 투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지만, 현실적으로는 처리동체의 직경에 대하여 급동의 직경이 매우 크게 되기 때문에 연통구에서의 짚부스러기의 방척각도(方擲角度)가 완만한 급동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짚부스러기가 처리실쪽에 주로 취입되는 상태에서 탈곡망(脫穀網) 및 처리망으로부터 아직 탈락하지 않은 탈곡립 및 짚부스러기가 뒷쪽으로 이송되어간다. 즉, 급동과 처리동체와는 역전(逆轉)하고 있으며, 그 급실과 처리실이 서로 자유로운 개방 연통상태에 있기 때문에 급실내에서 발생되는 짚부스러기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8자모양을 그리며 주로 처리실 내에 투입되며, 처리된 곡식알의 일부는 반대로 급실내로 환원되면서 뭉치 모양의 짚부스러기가 풀리면서 처리된다. 그리고 급실후단 부분에 있어서 급실 전장(全長)의 약 1/3정도로 된 그 앞쪽부분으로 되면, 일단, 처리실 내의 짚부스러기는 급실 내에 대략 전량 배출된다. 즉 처리동체의 외주에 설치된 나선상의 방출체에 의해 처리실 내의 짚부스러기가 지금까지의 후방이송과는 반대로 전방쪽으로 밀어붙이는 형태로 급실로 환원되며, 급실 내에서는 짚부스러기 및 볏짚이 후방쪽으로 이송되면서 탈곡처리되기 때문에, 이 처리실로부터 환원된 짚부스러기는 서로 충돌하면서 처리동체에 대하여 매우 지름이 큰 급동에 의해 급실 내에 상부쪽으로부터 취입되어 탈곡처리되면서 뒷쪽으로 이송되고, 상기 처리동체에 설치한 나선상의 방출체의 대응위치를 통과하여 그 뒷쪽에 도달하며, 이어서 이번에는 급실 종단쪽에서는 다시 처리동체의 외주에 설치한 배진물(排塵物)을 이송하는 나선상의 이송체로 처리실 내로 급실내의 짚부스러기를 취입하며, 처리실에서 처리하여 급실보다 뒷쪽으로 연장한 부분으로 하부의 선별 선반상으로 처리후의 짚부스러기를 방출한다.
이 탈곡장치의 주요부 작용을 간단히 기술하면 급실과 처리실이 전후방에 걸쳐 대략 전역에서 연통개구되어 있고, 급동과 처리동체가 서로 역전하여 정면에서 보아 8자모양을 그리는 탈곡처리물의 이동경로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급실내에서 발생하는 짚부스러기가 처리실쪽으로 자유로이 투입되어 탈곡, 짚부스러기가처리되며, 또한 급실의 후방부에서는 처리실 내에 취입되어 있는 짚부스러기 등이 처리동체의 나선상으로 구성한 방출체에 의해 처리실 내의 짚부스러기가 후방이송과는 반대로 전방쪽으로 밀어붙여지는 추력(椎力)에 의해 급실 내의 전방방향으로 방척상태로 되돌려지며, 이 되돌려진 짚부스러기는 급실 내에서 급동의 회전으로 후방쪽으로 이송되면서 탈곡처리된다. 이 부분에 있어서의 짚부스러기의 동태를 평면에서 보면, 급실 내에 있어서 대략 혹은 아라비아 숫자의 8자가 흐트러진 것과 같이 이동하면서 탈곡처리되어 급실후단부와 처리실 연장부로부터 하부의 선별선반 위에 처리후의 짚부스러기가 방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탈곡된 곡식알이 선별실 내로 탈락하는 능력 및 짚부스러기의 처리속도와 그 능력이 종래 장치에 비교하여 한층 향상되었으며, 특히 급실 후방부분에 있어서 처리실로부터 급실로 환원되는 곡식알이 섞인 짚부스러기가 대략 혹은 아라비아 숫자의 8자모양을 그리면서 처리되기 때문에 고능률로 탈곡, 짚부스러기를 처리할 수 있어서 컴바인용의 탈곡장치로서 최적의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의 컴바인용 탈곡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한 전체측면도와 전체평면도로부터 컴바인의 구성을 설명한다. 원동기가 탑재된 자주차체(1)에는 그 좌우 하부쪽에 무단대(無端帶)가 구동륜과 종동륜 및 전륜(轉輪)과의 사이에 감겨진 주행체(走行體)(2)가 장비(裝備)되어 있다.
이 자주차체(自走車體)(1)의 우측 앞부분에는 운전조종틀(3)과 조종스텝(4) 및 조종좌석(5)이 설치되어있다. 또 이 조종좌석(5)의 좌측에는 각종의 조종레버류를 설치한 조작레버 취부틀(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동기는 조종좌석(5)의 밑쪽부분에 탑재되어 있다.
7은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는 탈곡장치로서, 자주차체(1)의 좌우중앙부의 왼쪽에 탑재되며, 급동축이 전후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급구(8a)가 왼쪽에, 그 바깥쪽에 탈곡체인(8)이 전후방향으로 감겨진 형태로 탑재되며, 탈곡볏짚의 공급구는 앞쪽이며, 뒷쪽으로 배진(排塵) 및 탈곡이 끝난 짚이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탈곡장치(7)의 오른쪽에는 탈곡선별된 벼를 수용하는 곡물 탱크(grain tank)(9)가 탑재되어 있다.
10은 커터장치로서, 탈곡장치(7)의 뒷쪽에 장착되어 있다.
11은 베어내는 반송장치로서, 기체틀(11a)에 볏짚분초체(볏짚分草體)(12), 인기체(引起體)(13), 베어내기용 바리캉(14) 및 베어낸 볏짚을 옆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자세변경시키면서 이송하는 방송체인(15)등을 장비하고 있으며 이 기체를 (11a)의 후방기단부(後方基端部)를 상기 자주차체(1)에 옆방향의 축심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취부하고, 그 기체틀(11a)과 차체(1)에 옆방향의 축심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취부하며, 그 기체틀(11a)과 차체(1)쪽과의 사이에 유압실린더장치(16)를 개재시켜 베어내는 반송장치(11)가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어내는 반송장치(11)로 베어낸 볏짚이 후방윗쪽으로 반송되어 상기 탈곡체인(8)으로 그 볏짚을 이어받아 이삭끝쪽이 탈곡장치(7)의 공급구를 통해 급실 내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탈곡장치(7)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3도에 도시한 정단면도에 있어서, 정면에서 보아 상자모양을 한 탈곡기틀(7a)의 상부쪽에 급실(17)과 처리실(18)이 인접상태로 배설되고, 이 양 실의 밑쪽부분에는 각각 탈곡망(19)과 처리망(20)이 원호상으로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급실(17)과 처리실(18)과는 그 인접부분에 있어서 연통(K)되며, 그 연통부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각소(各所)에 칸막이(2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구부분은 기호 (가)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구분되어 있다. 또 처리실(18)은 그 시단부가 급실(17)보다 뒷쪽에서 시작하며, 그 후단부도 급실(17)의 후단위치보다도 더욱 뒷쪽으로 뻗어 있다. 22는 급동으로서, 외주에 급치(扱齒)(23)가 심어설치되어 있고, 급실(17)내에서 급동축(2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받침되어 있다. 25는 처리동체로서, 외주부에 나선체와 처리치 및 처리봉이 취부되며, 처리실(18)내에 처리동체축(2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이 처리동체(25) 자체를 제5도에 도시하였는데, 이것을 설명하면 동체의 외주면의 시단부쪽에는 동체의 화살표(나)방향의 회전을 받아서 짚부스러기를 급실(17)로부터 취입함과 동시에 뒷부분쪽인 화살표(다)로 그 짚부스러기를 이송시키는 나선상의 이송체(27)가 취부되어 있다. 이 나선상 이송체(27)로 이어지는 부분에는, 마찬가지로 짚부스러기를 급실(17)로부터 취입함과 동시에 뒷쪽으로 그 짚부스러기를 이송시키는 처리치(28)가 설치됨과 동시에 짚부스러기를 급실(17)로부터 긁어올려 취입하는 처리봉(29)이 취부판(30)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이어 이송되어 오는 짚부스러기를 받아 이번에는 반대의 방향 바깥쪽인 화살표(라)로 짚부스러기를 튀어나오게 하는 나선상의 방출체(31)를 설치하고, 이 방출체(31)의 후단부를 비틀어짐이 없는 수직상의 링 플렌지체(32)로 구성하여 짚부스러기의 뒷쪽으로의 이동을 저지시키며, 또한, 이 링 플렌지체(32)에 계속하여 전술한 시단부쪽에 형성시킨 것과 같은 짚부스러기를 취입하여 뒷쪽으로 나선상의 이송체(33)를 설치하며 그 뒤에 처리치(28)가 취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처리동체(25)가 제4도에 도시한 처리실(18)내에 축설될 때 상기 링 플렌지체(32) 부분이 처리실 칸막이 벽(34)의 부분에 합치하며, 이 칸막이 벽(34)에는 전술한 링 플렌지체(32)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35)이 뚫여 있다. 또 처리실(18)의 내주부에는 상기 처리치(28)와 교차하는 고정처리판(36) 및 절단칼(37)이 고착되어 있다.
제6도는 탈곡망(19)과 처리망(20)을 생략한 탈곡장치의 기체를 구조의 일부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며, 탈곡장치(7)의 기체틀 앞쪽에는 급실(17)에 볏짚을 공급하는 볏짚공급구(38)가 구멍뚫여 있으며 뒷쪽벽에는 볏짚배출구(39)가 뚫여 있다. 40은 급실(17)의 앞벽과 뒷벽을 연결하는 보강틀로서, 급실(17)의 좌우쪽 상부에 종설(縱設)되어 있다. 이 제6도와 제7도에 도시한 케이싱(41)은 처리동체(25)를 전동하는 구동축(42)과 처리동체축(43)을 연결하는 이음부재(44)를 내장하고있으며, 기체를(7a)의 앞쪽 외벽면에 취부한 베벨기어 내장의 전동케이스(45)로부터 기체틀의 케이싱(41) 내에 상기 구동축(42)이 돌출되어 있다. 46은 입력풀리를 나타낸다. 급동축(24)의 전동(傳動)은 제8도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기체틀 앞쪽외벽에 베벨기어 내장의 급동 전동 케이스(47)를 취부하여 그 우단쪽에 설치한 입력풀리(48)로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49는 급실 내에 설치한 급동(22)의 급치(23)에 교차하는 절단칼이다.
제10도 및 제11도는 급실(17) 및 처리실(18)의 뒷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급실뒷벽의 볏짚배출구(39)의 밑쪽 외벽에는 뒷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50)가 원호면내에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또 급실(17)에서 뒷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처리동체(25)의 밑쪽에는 짚부스러기를 받아서 급동쪽 근처의 밑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50a)가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3도 및 제12도에 개시된 급실(17)과 처리실(18)과의 하측부분에 구성된 선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51은 요동선별선반으로서, 앞쪽부분에서는 우측이 좌측보다 높게 경사져 있으며, 앞쪽을 제외한 부분은 좌우방향으로는 대략 수평상태로 선별실(52)내에 설치되며, 선별선반(51)의 기단쪽인 앞쪽이면부를 롤러(53)를 개재하여 레일(54)로 전후이동자유로이 지지하며, 선단쪽을 편심회전체(55)에 연동시켜 그 선별선반(51)이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선별선반자체의 구성은 앞쪽부분에서는 곡식알을 받는 판면상에 측면에서보아 톱날모양을 한 제1이송랙(56)을 설치하고, 전후중간부에서는 판면을 밑쪽 전방으로 향하게하여 경사지게 한 후에 수평상으로 구부려 그 윗쪽에 곡식알 및 작은 짚부스러기가 탈락할 수 있는 블라인드 형태의 제2이송랙(57)을 설치하며, 또한 상기 판면 후단부에는 선별망(58)을 뒷쪽으로 팽팽하게 설치하며, 윗쪽의 제2이송랙(57)의 후단 쪽으로부터는 윗쪽을 톱날모양으로 형성한 판을 좌우에 소정간격으로 다수 나란히 한 제3이송랙(59)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요동선별선반(51)의 밑쪽에는 앞쪽으로부터 풍구케이스(60)내에 축가설한 압풍(壓風)풍구(61), 제1 곡립이송나선(62), 제2 곡립 이송나선(63)을 횡설하여 끼우는 제1, 제2나선통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설하고 있다. 66은 제2 곡립을 상기 요동선별선반(51)의 시단쪽 상면으로 환원시키는 환원나선류통이며, 그 배출구(67)를 상기 좌우에 경사진 선별선반(51)의 경사 상면쪽에 설치하여 환원된 짚부스러기가 섞인 제2 곡립이 경사진 왼쪽으로 미끄러 떨어지면서 전후요동작용을 받아서 신속하게 선반상면에 분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68은 횡단류흡인기(橫斷流吸引機)로서, 열풍팬 이라고도 부르며, 좌우전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기외로 배출하는 것이다.
다음에 위 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도의 컴바인에 있어서, 베어내는 반송장치(11)를 유압실린더장치(16)에 의해 하강시켜 자동으로 동작하면서 들판의 벼를 베어내면서 탈곡작업을 한다.
즉 세워심어져 있는 벼를 분초체(分草體)(12)로 분할하면서 인기체(引起體)(13)에 의해 쓰러진 벼를 일으켜세워 바리캉(14)으로 벼의 뿌리부분을 베어내고, 그후 베어낸 볏짚을 반송체인(15)으로 후방 윗쪽으로 이송시키면서 이삭끝쪽이 오른쪽으로 향하여 옆으로 쓰러뜨린 상태로 자세를 변경시키고, 그 후 탈곡장치(7)의 탈곡체인(8)에 그 뿌리쪽을 받아넘겨 뒷쪽으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베어내어 이송된 볏짚은 그 이삭끝쪽이 탈곡기의 급실(17)에 공급구(38)를 통해 공급되어 탈곡체인(8)에 의해 그대로 급실 내 뒷쪽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급동(22)의 회전 및 처리동체(25)의 회전을 받아 탈곡 및 짚부스러기의 처리가 급실(17)과 처리실(18)내에서 행하여진다.
즉, 볏짚은 급동(22)의 밑쪽에서 급치(23)와 탈곡망(19)에 의해 이삭끝 곡식알이 탈곡되어 탈곡망(19)의 밑쪽으로 탈락된다. 또 급치(23)의 작용으로 절단된 짚이나 이삭끝부분이 짚부스러기로 되어 급동(22)의 회전에 따라 급실내를 선회한다. 이 때 처리동체(25)가 급동(22)과 반대쪽으로인 윗쪽으로 향하여 회전하고 있으며, 이 처리동체(25)의 둘레면에 고착된 나선상 이송체(27), 처리치(28)및 처리봉(29)등의 회전작용으로 급실(17)과 처리실(18)간의 연통(K)부로부터 처리실(18)내로 취입되며, 처리망(20), 절단칼(37)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짚부스러기가 가느다랗게 절단되면서 흐트러져 처리되고, 이 짚부스러기 내에 박혀 있는 곡식알이 짚부스러기 내로부터 개방되어 밑쪽의 처리망(20)을 통해 탈락한다. 더욱 이 처리동체(25)의 회전으로 처리실(18)내를 선회하는 짚부스러기의 대부분은 처리실 내에 갇혀 그 처리실 내에서 뒷쪽으로 이송되면서 처리되나, 일부의 것은 다시 상기 연통(K)으로부터 급실(17)내로 급치(23)에 의해 끌러 들어가 급실(17)내에서 더욱 탈곡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작용의 상태를 제13도의 정단면도, 제14도 및 제15도의 평면도 중에서 짚부스러기(A)의 이동 화살표 도면에 의해 개시하면, 제13도에서는 옆으로 뉘어진 8자모양으로 짚부스러기가 선회이동되고, 이 상태에서 제14도 또는 제15도와 같이 조금씩 뒷쪽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되지만, 짚부스러기는 주로 제14도와 같이 처리실내로 투입되며, 제15도와 같이 처리실(18)로부터 급실(17)로 환원되는 방향(마)의 것은 적다. 그것은 급동(22)의 직경과 처리동체(25)의 직경의 차에 의한 회전외주의 접선방향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제14도에서 이급실 내의 짚부스러기가 처리실 내로 투입되는 경우 연통(K)부의 최초와 제2번째와의 개구부(나)로부터 투입되어 그 대부분의 것이 처리실(18)내에서 처리되면서 뒷쪽으로 이송된다. 즉, 이 두개의 개구(나)로부터는 자유로이 처리실(18)내로 짚부스러기가 투입되어 제3번째의 개구(나)가 되면 방출체(31)의 작용으로 급실(17)내의 앞쪽 방향으로 향하여 환원되는 것으로 된다.
즉, 처리실(18)내로 그 앞쪽부분에서 투입된 짚부스러기(A)는 급실(17)의 뒤쪽 가까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처리동체(25)에 설치한 방출체(31)에 의해 제14도의 도시하는 것과 같이, 뒷쪽으로 이송되고 있는 상태로부터 반대의 앞쪽 급실쪽인 화살표(라)방향으로 당해 짚부스러기(A)를 급실 내로 방출한다. 그리고, 다시 급실(17)내로 보내어진 짚부스러기는 본래의 뒤쪽으로 이송되면서 탈곡처리되어 급실후단쪽 하부의 배출구(39)를 통해 하부의 요동선별선반(51)상으로 낙하배출된다. 한편 처리실(18)쪽으로 선회이송되는 짚부스러기는 나선상의 이송체(33)에 의해 처리실(18)내에서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처리되어 요동선별선반(51)상에 개방하는 처리실 배출구를 통해 밑쪽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탈곡중에 발생하는 짚부스러기(A)는 기본적으로는 대부분의 것이 급실(17)로부터 처리실(18)내로, 급실후방부를 제외한 앞쪽부분에서, 투입되어 대량의 짚부스러기(A)가 신속 처리되며 일부의 것이 다시 처리실(18)내에서 급실(17)로 환원되어 탈곡처리된다. 이 때문에 고능률로 분산, 재단, 탈곡등의 처리가 행하여지며, 그후 급실(17)의 종단쪽에 도달하면, 처리동체(25)에 설치한 방출체(31)에 의해 전방 급실쪽인 화살표(라)방향으로 방출되어 마치 대략 자 모양으로 이동하여 급실(17)내에서 상기 방출체(31)의 대응부를 통과하여 뒷쪽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부분에 있어서도 정확하고 확실하게 짚부스러기 처리가 행하여짐과 동시에 처리 후의 짚부스러기는 급실후단의 배출구(39)및 처리동체 연장의 밑쪽으로부터 분산하여 밑쪽의 요동선별선반(51)상에 배출되어 선별이 행하여진다.
요동선별선반(51)상에 상기와 같이 하여 낙하, 방출된 곡식알 및 처리가 끝난 잘린 볏짚이나 짚부스러기는 그 전후 요동작용을 받아 뒷쪽으로 이송된다. 곡식알과 작은 짚부스러기는 제2이송랙(57)의 간격을 통해 탈락하여 선별망(58)에 의해 짚부스러기와 곡립으로 분리되며, 곡식알은 하부의 제1 나선통(64)에 받쳐져 제1 곡립이송 나선(62)에 의해 기체 오른쪽으로 이송되며, 양곡통내(揚穀筒內)에서 나선으로 위로 올려져 곡물탱크(9)내로 방출된다. 작은 짚부스러기는 선별망(58)을 통해 새지 않고 뒷쪽의 풍구(61)에 의한 선별풍(選別風)으로 날려져 가벼운 것은 그대로 기외로 배출된다. 곡식알이 붙어 있는 벼가지의 짚부스러기는 요동작용을 받아 제2 나선통(65)내에 낙하하여 그 제2 곡립이송 나선에 의해 기체 오른쪽으로 이송된다.
제2이송랙(57)의 간격을 통해 새지 않은 짚부스러기는 그대로 분산되면서 후방쪽으로 이송되어 풍구(61)에 의한 선별풍으로 불어 올리면서 작은 짚부스러기와 선별되어 작은 것은 밑쪽으로 떨어져 상술의 선별을 받는다. 큰 것은 제3이송랙(59)상에 도달하고, 여기서 약간 작은 것은 낙하하여 제2 나선통(65)내로 공급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큰 선별을 받은 짚부스러기는 제3이송랙(59)의 후단으로부터 기외로 방출된다.
제2 나선통(65)에 받쳐진, 제2 곡립과 가지에 굳게 붙은 곡립 및 짚부스러기는 제2 곡립 이송나선(63)에 의해 기체 오른쪽으로 이송되어 양곡통(揚穀筒)(66)의 나선으로 전방 상부쪽으로 이송되어 요동선별선반(51)의 사단쪽으로 환원되어 재차 선별된다.
풍구(61)의 선별풍과 후방상위의 각 위치에 설치한 횡단류흡인기(68)에 의해 기내에서 발생한 먼지와 티끌 및 가는 짚부스러기는 이 선별풍으로 기외로 배출된다. 또 긴 짚의 경우도 이 횡단류 흡인기(68)의 긁어내는 작용에 의해 기외로 방출된다.
곡물탱크(9)에 쌓인 곡립은 배출나선에 의해 들판 등에서 노상의 트럭 적재함에 배출되어 실리게된다.

Claims (1)

  1. 바깥쪽에 볏짚을 협지하여 반송하는 탈곡체인(8)에 연하여 개구(開口)하는 급구(8a)에 대하여 하부쪽으로 회전하는 급동(22)을 축받이 내장한 급실(17)과, 이 급실(17)의 급구쪽과 반대쪽 상부 위치에 있어서 급실(17)에 연하여 설치된 상기 급동(22)과는 반대쪽으로 회전하는 처리동체(25)를 축받침하여 내장한 처리실(18)과를, 선별실(52)내에 가설된 요동선별선반(51)의 상부에 설치하고, 이 급실(17)과 처리실(18)과의 전후관계에서는, 처리실(18)의 시단쪽(始端쪽)을 급실(17)의 시단위치와 대략 동일 혹은 그것보다 뒤 위치로부터 형성시키며, 종단쪽을 급실(17)보다 뒷쪽으로 연설하고, 상기 급실(17)과 처리실(18)과를 소정간격으로 막는 칸막이(21)의 부분을 제하고 병열하는 전후방향전역에 걸쳐 개구연통(開口蓮筒)(K)되게하며, 급실의 뒷벽으로부터 급실(17)의 전후방향의 후단쪽 부분에 있어서, 그 앞쪽부분에 있어서는 처리실(18)로부터 이송되어온 짚부스러기를 금실 내의 앞쪽에 치우친 방향으로 향하게 방출하는 나선상으로 설치한 방출체(31)를 처리동체 외주에 설치하며, 뒷쪽부분에서는 급동실 내의 급동(22)의 회전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짚부스러기를 처리실 내에 취입하여 급실(17)보다도 뒷쪽으로 그 짚부스러기를 이송하는 나선상의 이송체(33)를 설치하며, 이 처리실 후단쪽부와 하부의 선별실(52)을 연통 시킨 것을 특징을 하는 탈곡장치.
KR1019940001064A 1994-01-20 1994-01-20 탈곡 장치 KR0130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1064A KR0130872B1 (ko) 1994-01-20 1994-01-20 탈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1064A KR0130872B1 (ko) 1994-01-20 1994-01-20 탈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287A KR950023287A (ko) 1995-08-18
KR0130872B1 true KR0130872B1 (ko) 1998-04-20

Family

ID=1937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064A KR0130872B1 (ko) 1994-01-20 1994-01-20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287A (ko)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0927A (ko) 콤바인
JP2017051168A (ja) コンバイン
JP2008237107A (ja) 脱穀装置
KR0130872B1 (ko) 탈곡 장치
KR20020091757A (ko) 콤바인의 선별장치 및 그 2번처리기구
KR101035203B1 (ko) 콤바인
JP2009027978A (ja) 脱穀装置
JP4590612B2 (ja)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3846886B2 (ja) 脱穀装置
JP2005304426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穀機駆動装置
JP5769600B2 (ja) 揺動選別装置
JP4116417B2 (ja) コンバインなどの脱穀選別装置における選別部構造
JP2005095073A (ja) 脱穀部の風選装置
JPH07194236A (ja) 脱穀装置
JP2007104956A (ja) 脱穀装置
JP3854861B2 (ja) 脱穀装置
JP4157779B2 (ja) コンバイン
JP3381346B2 (ja) 脱穀装置
JP5266973B2 (ja) 脱穀装置
JP3596020B2 (ja) 脱穀装置
JP4009695B2 (ja) コンバイン
JP4581457B2 (ja) 脱穀装置
JP5204012B2 (ja) コンバイン
JP2010246411A (ja) コンバイン
JPH11103653A (ja) 汎用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