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477B1 - 전복 선별기 - Google Patents

전복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477B1
KR101525477B1 KR1020140054512A KR20140054512A KR101525477B1 KR 101525477 B1 KR101525477 B1 KR 101525477B1 KR 1020140054512 A KR1020140054512 A KR 1020140054512A KR 20140054512 A KR20140054512 A KR 20140054512A KR 101525477 B1 KR101525477 B1 KR 101525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plate
hole
main body
discrim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호현
Original Assignee
조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호현 filed Critical 조호현
Priority to KR102014005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전복 선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가 저장된 수조와 연통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 길이 방향에 배치되고 본체부의 내측으로 공급된 서로 다른 크기의 전복이 본체부의 하측을 향해 선별적으로 낙하되도록 개구된 다수개의 선별홀이 형성된 선별판; 및 상기 선별판의 선단부에 연결된 연결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선별판이 전, 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고 선별판으로 낙하된 전복이 세척수에 의해 선별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크기별로 선별홀을 통해 선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복 선별기{Ear shell transfer dvice}
본 발명은 전복을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전복을 원형 그대로 선별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복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과와 같은 과일 등은 그 중량에 따라 선별 분리하여 차별화된 가격으로 판매하여 왔으며, 이를 수작업으로 할 경우에는 인건비 및 선별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선별작업시의 오차로 인해 상거래상 신뢰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이를 해결키 위해 상품 분류를 자동적으로 선별하여 주는 기계가 고안되어 판매되고 있는 것을 보면, 구동모터의 동력을 받아 이송체인 및 선별접시가 회전되고 선별접시에 놓여진 상품의 중량에 따라 접힘동작을 함으로서 무게별 상품 분류작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선별기는 최초 이송체인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정하였더라도 작업과정에서 이완되어 회전되는 선별접시가 수평으로 위치하지 못해 선별오차응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발생하여 왔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65853호 (등록일: 2006년03월23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전복을 크기별로 손쉽게 선별하고, 선별 과정에서 표면에 흠집 및 파손이 발생되지 않아 상품성이 향상된 전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척수가 저장된 수조와 연통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 길이 방향에 배치되고 본체부의 내측으로 공급된 서로 다른 크기의 전복이 본체부의 하측을 향해 선별적으로 낙하되도록 개구된 다수개의 선별홀이 형성된 선별판; 및 상기 선별판의 선단부에 연결된 연결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선별판이 전, 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고 선별판으로 낙하된 전복이 세척수에 의해 선별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크기별로 선별홀을 통해 선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복 선별기는 상기 구동부와 인접한 선별판에 일정 구간을 가지고 개구된 제1 선별홀; 상기 선별판의 중앙 위치에 일정 구간을 가지고 개구된 제2 선별홀을 포함한다.
상기 전복 선별기는 상기 제1 내지 제2 선별홀의 직경을 각각 d1, d2, d3라 할 때 d1〈d2의 순서로 직경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판은 상기 구동부와 인접한 일측이 수면 아래에 위치되고 타측은 수면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상태로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복 선별기는 상기 구동부와 인접하여 위치되고 선별판을 수조의 내외측을 향해 반복 이동시키기 위해 선별판의 외부 일측에 위치된 제1 가이드부; 상기 선별판의 외부 타측에 위치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가이드부는 상기 선별판의 좌, 우 외측으로 절곡되고 하단에 구비된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롤러와 접촉된 상태로 선별판의 이동 구간에 해당되는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어 가이드 롤러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구동부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되어 선별판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복 선별기는 상기 선별판의 상부로 다수개의 전복이 자유 낙하되도록 반원 형태로 연장된 투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전복 선별기는 선별판의 선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선별판에서 낙하되지 않은 전복을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수조의 바닥면에서 상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전복을 크기 별로 정확하게 선별하고, 선별 과정에서 흠집이 최소한으로 발생되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복을 선별하기 위해 세척수의 유동 흐름을 이용하여 손쉽게 선별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다량의 전복을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복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복 선별기에 구비된 구동부와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복 선별기에 구비된 제1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복 선별기의 선별판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의 종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복 선별기의 종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복 선별기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복 선별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에에 의한 전복 선별기는 본체부(100)와, 다수개의 선별홀(210)이 형성된 선별판(200)과,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0)는 세척수가 저장된 수조(110)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에는 일정량의 세척수가 채워지는데, 상기 세척수는 전복의 선도 유지를 위해 서식 환경과 유사한 바닷물이 사용된다. 수조(110)는 도면에 도시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체부(100)는 수조(110)와 연통되고 직육면체의 통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후술할 선별판(200)이 본체부(100)의 내측 상면에 위치되어 구동부(400)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연결부재(300)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고 선별판(200)으로 낙하된 전복이 세척수에 의해 선별판(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크기별로 선별홀(210)을 통해 선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100)는 수조(110)에 채워진 세척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밸브는 평상시에는 오픈된 상태가 유지되며, 전복을 크기별로 분류할 경우에는 클로즈된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수조(110)의 바닥면에서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30)(도 6 참조)이 형성되어 선별이 완료된 전복이 담긴 트레이를 수조(110)에서 외측으로 인출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선별판(200)은 본체부(100)의 내측 길이 방향에 배치되고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공급된 서로 다른 크기의 전복이 본체부(100)의 하측을 향해 선별적으로 낙하되도록 서로 다른 크기로 개구된 다수개의 선별홀(210)을 포함한다.
선별판(200)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구동부(400)와 인접한 위치에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선별홀(210)이 개구된다.
제1 선별홀(212)은 가장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전복을 분류하기 위해 구동부(400)와 인접한 위치에서 일정 구간에 다수개가 형성되고, 제2 선별홀(214)은 제1 선별홀(212)과 이웃하여 선별판(200)의 중앙에서부터 후단부까지 일정 구간을 가지고 다수개가 개구되며 제1 선별홀(212)에서 분류되지 않은 중간 크기의 전복이 수조(110)로 낙하시키기 위해 개구된다.
제1 내지 제2 선별홀(212, 214)을 통해 낙하된 전복은 선별판(200)의 하측에 각각 위치된 별도의 트레이(미도시)를 향해 낙하되는데, 상기 트레이는 제1 내지 제2 선별홀(212, 214)의 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개별적으로 분류된 다수개의 전복이 서로 간에 섞이지 않도록 보관된다.
또한 트레이는 수조(110)에 채워진 물속에 위치되므로 제1 내지 2 선별홀(212,214)을 통해 전복이 낙하될 경우 수조(110)에 채워진 물속으로 낙하되므로 전복 표면에 흠집 또는 상처가 발생되지 않고 바닷물로 채워진 수조에 보관되므로 서식 환경과 유사한 상태로 선별이 이루어져 선별도중 폐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선별판(200)은 내측 하부에 삼각 형태로 형성된 구분판을 포함하고, 구분판은 제1 선별홀(212)과 제2 선별홀(214)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선별홀(212)에서 낙하된 전복이 제2 선별홀(214)의 하측에 위치된 트레이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별판(200)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어 다량의 염분이 포함된 바다물로 인한 부식이 방지되며, 스테인리스 스틸을 제외한 다른 재질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전복 선별기는 제1 내지 제 선별홀(212,214)의 직경을 각각 d1, d2라 할 때 d1〈d2의 순서로 직경이 증가되는데. 각각의 직경은 특별히 특정 치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선별판(200)은 구동부(400)와 인접한 일측이 수면 아래에 위치되고 타측은 수면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상태로 위치되는데, 이와 같이 위치되는 이유는 최초 선별판(200)에 다량의 전복이 낙하된 상태에서 구동부(400)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선별판(200)이 왕복 이동되면서 세척수에 의해 선별판(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전복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이다.
전복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서는 선별판(200)의 선단부 중 일부분이 세척수에 잠긴 상태로 왕복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상태로 선별판(200)이 왕복 이동될 경우 세척수에 의해 생성된 유체의 흐름에 의해 선별판(200)의 상면에서 길이 방향을 다수개의 전복이 일정 길이만큼 이동되면서 선별홀(210)을 통해 각각의 크기별로 수조(110)를 향해 낙하된다.
세척수에 의한 유체의 흐름은 선별판(200)이 구동부(400)에서 발생된 구동력이 연결부재(300)에 전달될 경우 반복적으로 형성되는데, 구동부(400)에 마련된 모터가 1회전될 경우 선별판(200) 또한 연결부재(300)를 통해 전, 후 방향으로 한 번 이동된 주기를 갖고 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모터가 작동될 경우 선별판(200)은 전,후 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고, 상기 선별판(200)이 수조에 채워진 세척수를 전, 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유체의 흐름을 유발시켜 다량의 전복이 표면에 흠집없이 선별판(2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선별홀(212)과 제2 선별홀(214)을 통해서 다량의 전복이 수조(110)를 향해 낙하되어 독립적으로 선별되고, 제1,2 선별홀(210)에서 미 선별된 전복만 제3 선별홀(210) 또는 후술할 배출구()를 통해 별도의 트레이에 배출되어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과 전복 표면에 흠집없이 안전하게 선별할 수 있다.
연결부재(300)는 구동부(400)에 설치된 편심캠에 연결되는데, 이와 같이 연결되는 이유는 선별판(200)을 전, 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는 회전력을 반복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구동부(400)는 통상의 모터가 사용되며 세척수의 유입으로 인한 합선 및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별도의 보호커버(미도시)에 의해 안전하게 보호된다.
전복 선별기는 구동부(400)와 인접하여 위치되고 선별판(200)을 수조(110)의 내외측을 향해 반복 이동시키기 위해 선별판(200)의 외부 일측에 위치된 제1 가이드부(510)와, 선별판(200)의 외부 타측에 위치된 제2 가이드부(520)를 포함한다.
제1,2 가이드부(510,520)는 선별판(200)의 좌, 우 외측으로 절곡되고 하단에 구비된 가이드 롤러(530)와, 상기 가이드 롤러(530)와 접촉된 상태로 선별판(200)의 이동 구간에 해당되는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어 가이드 롤러(53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540)를 포함한다.
가이드 롤러(530)는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이 홈이 형성되어 가이드 부재(540)의 상면과 구름 접촉되므로 선별판(200)이 장시간 왕복 이동되는 경우에도 진동 및 소음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 롤러(530)는 플라스틱 또는 고물로 이루어지므로 선별판(200)에 전달되는 진동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1 가이드부(510)는 선별판(200)의 외측 선단부에 위치되고, 제2 가이드부(520)는 선별판(200)의 후단부 외측에 위치된다.
전복 선별기는 선별판(200)의 상부로 다수개의 전복이 자유 낙하되도록 반원 형태로 연장된 투입구(10)를 포함하고, 투입구(10)를 통해 다량의 전복과 일부의 세척수가 동시에 공급된다. 투입구(10)는 다수개의 전복이 외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가지고 이루어짐으로써 선별판(200)으로 전복이 안정적으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한다.
전복 선별기는 선별판(200)의 선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선별판(200)에서 낙하되지 않은 전복을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20)를 포함한다.
배출구(20)는 출구 부분이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되어 일정량의 전복이 안정적으로 낙하되도록 가이드 한다.
첨부된 도 1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전복 선별기는 선별판(200)에 다수개의 전복이 위치된 상태에서 구동부(400)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연결부재(300)에 전달되고, 상기 연결부재(300)에 의해 선별판(200)이 전, 후 방향을 향해 왕복 이동되는데, 이 경우 세척수가 전복을 선별판(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유체 흐름을 발생시켜 크기별로 제1 선별홀(212)과 제2 선별홀(214)로 낙하된다.
전복은 선별판(200)에서 모두 분리되지 못할 경우 배출구(20)를 통해 별도의 트레이로 분류되며 이와 같이 선별되는 도중에 외측에 흠집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선별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투입구
100 : 본체부
110 : 수조
200 : 선별판
210 : 선별홀
212, 214 : 제1,2 선별홀
300 : 연결부재
400 : 구동부
510, 520 : 제1,2 가이드부

Claims (10)

  1. 세척수가 저장된 수조와 연통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 길이 방향에 배치되고 본체부의 내측으로 공급된 서로 다른 크기의 전복이 본체부의 하측을 향해 선별적으로 낙하되도록 개구된 다수개의 선별홀들이 형성된 선별판; 및
    상기 선별판의 선단부에 연결된 연결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에서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선별판이 전, 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고, 상기 선별판의 일측으로 낙하된 전복이 세척수에 의해 상기 선별판의 타측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크기별로 상기 선별홀들을 통해 선별되고,
    상기 선별홀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제1선별홀과, 제2선별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에는, 상기 제1선별홀을 통해 낙하된 전복이 담겨지는 트레이와, 상기 제2선별홀을 통해 낙하된 전복이 담겨지는 트레이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선별판에는 상기 제1선별홀과 상기 제2선별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선별홀에서 낙하된 전복이 상기 제2선별홀의 하측에 위치된 트레이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분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별판 중, 상기 구동부와 인접한 상기 일측이 수면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타측은 수면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 선별기는,
    상기 구동부와 인접한 선별판에 일정 구간을 가지고 개구된 상기 제1 선별홀;
    상기 선별판의 중앙 위치에 일정 구간을 가지고 개구된 상기 제2 선별홀을 포함하는 전복 선별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 선별기는,
    상기 제1 내지 제2 선별홀의 직경을 각각 d1, d2라 할 때 d1〈d2의 순서로 직경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 선별기는,
    상기 구동부와 인접하여 위치되고 선별판을 수조의 내외측을 향해 반복 이동시키기 위해 선별판의 외부 일측에 위치된 제1 가이드부;
    상기 선별판의 외부 타측에 위치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전복 선별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가이드부는,
    상기 선별판의 좌, 우 외측으로 절곡되고 하단에 구비된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롤러와 접촉된 상태로 선별판의 이동 구간에 해당되는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어 가이드 롤러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전복 선별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구동부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되어 선별판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선별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 선별기는,
    상기 선별판의 상부로 다수개의 전복이 자유 낙하되도록 반원 형태로 연장된 투입구를 포함하는 전복 선별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 선별기는,
    선별판의 선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선별판에서 낙하되지 않은 전복을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전복 선별기.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수조의 바닥면에서 상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전복 선별기.
KR1020140054512A 2014-05-08 2014-05-08 전복 선별기 KR101525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512A KR101525477B1 (ko) 2014-05-08 2014-05-08 전복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512A KR101525477B1 (ko) 2014-05-08 2014-05-08 전복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477B1 true KR101525477B1 (ko) 2015-06-03

Family

ID=5350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512A KR101525477B1 (ko) 2014-05-08 2014-05-08 전복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4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712B1 (ko) 2017-04-14 2018-07-20 (주)참코청하 전복 선별기용 전복 개별 공급장치
KR20200028752A (ko) 2018-09-07 2020-03-17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전복 선별 장치
CN111014166A (zh) * 2019-12-18 2020-04-17 姜秀芳 一种高效矿石加工自动化流水线
CN113787010A (zh) * 2021-09-13 2021-12-14 江苏创源电子有限公司 一种接料装置及分选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454A (ja) * 1993-04-14 1994-10-25 Noboru Amano 貝類選別装置
KR20040027828A (ko) * 2004-03-11 2004-04-01 김윤호 선별기
KR20080079856A (ko) * 2007-02-28 2008-09-02 김정렬 와류를 이용한 잔존 패각 분리기
JP2013226504A (ja) * 2012-04-25 2013-11-07 Era Kikai Kogyo Kk 養殖貝の自動選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454A (ja) * 1993-04-14 1994-10-25 Noboru Amano 貝類選別装置
KR20040027828A (ko) * 2004-03-11 2004-04-01 김윤호 선별기
KR20080079856A (ko) * 2007-02-28 2008-09-02 김정렬 와류를 이용한 잔존 패각 분리기
JP2013226504A (ja) * 2012-04-25 2013-11-07 Era Kikai Kogyo Kk 養殖貝の自動選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712B1 (ko) 2017-04-14 2018-07-20 (주)참코청하 전복 선별기용 전복 개별 공급장치
KR20200028752A (ko) 2018-09-07 2020-03-17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전복 선별 장치
CN111014166A (zh) * 2019-12-18 2020-04-17 姜秀芳 一种高效矿石加工自动化流水线
CN113787010A (zh) * 2021-09-13 2021-12-14 江苏创源电子有限公司 一种接料装置及分选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477B1 (ko) 전복 선별기
EP2602029B1 (de) Bestecksortiermaschine
AU2013328326B2 (en) Improved apparatus for emptying containers of horticultural products
KR20180068402A (ko) 바지락 세척선별기
US104568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meat and/or produce
KR101683382B1 (ko) 귀뚜라미용 선별기구
SE432187B (sv) Anordning for rengoring av gronsaker
JP2018130709A (ja) 洗米装置
KR101698247B1 (ko)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JP6142694B2 (ja) 籾摺選別機の吸塵装置
JP7115285B2 (ja) 籾摺選別機
JP2009233528A (ja) 穀粒選別機の小米取出装置
CN208572765U (zh) 联合收割机
KR101570850B1 (ko) 씨앗 탈망 및 알곡선별기
KR200427517Y1 (ko) 이물질제거수단이 구비된 콩 정선기
JP2020103197A (ja) 脱穀装置
JP6720953B2 (ja) 籾摺選別機
TWI484904B (zh) Rice husking separator
JP6137372B2 (ja) 籾摺選別機
JP2006158925A (ja) 硬貨自動分別携帯用小銭入れ
US917240A (en) Corn-grader.
JP5776827B2 (ja) 籾摺選別機
JP6647896B2 (ja) コンバイン
JP2016131960A (ja) 小魚選別装置
JP2006320830A (ja) 選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