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247B1 -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8247B1 KR101698247B1 KR1020140160370A KR20140160370A KR101698247B1 KR 101698247 B1 KR101698247 B1 KR 101698247B1 KR 1020140160370 A KR1020140160370 A KR 1020140160370A KR 20140160370 A KR20140160370 A KR 20140160370A KR 101698247 B1 KR101698247 B1 KR 1016982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ed
- seeds
- hot water
- grains
-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 B07B13/11—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involving travel of particles over surfaces which separate by centrifugal force or by relative friction between particles and such surfaces, e.g. helical sor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씨앗선별기에서 선별한 씨앗알곡을 연속적으로 온탕소독기에 적정량 공급하여 소독을 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씨앗 선별 및 소독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씨앗을 씨앗선별기에서 온탕소독기로 옮기는 노동력이 필요 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자로 사용할 알곡을 선별하는 씨앗선별기(100)와, 상기 씨앗선별기에서 선별한 알곡에 대하여 온탕소독을 행하는 온탕소독기(200)를 포함하는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씨앗선별기(100)에서 선별되어 배출구(35)를 통하여 배출되는 알곡씨앗들을 상기 온탕소독기(200)로 공급하는 전달수단(300), 그리고 상기 온탕소독기(200)에 씨앗투입통(210)과, 상기 씨앗투입통(210)으로의 씨앗투입량의 상한과 하한을 감지하는 센서(211)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211)가 씨앗투입량의 상한값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씨앗선별기(100) 및 전달수단(30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센서(211)가 씨앗투입량의 하한값을 감지한 경우에 작동이 중지되었던 씨앗선별기(100) 및 전달수단(300)을 다시 작동시키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자로 사용할 알곡을 선별하는 씨앗선별기(100)와, 상기 씨앗선별기에서 선별한 알곡에 대하여 온탕소독을 행하는 온탕소독기(200)를 포함하는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씨앗선별기(100)에서 선별되어 배출구(35)를 통하여 배출되는 알곡씨앗들을 상기 온탕소독기(200)로 공급하는 전달수단(300), 그리고 상기 온탕소독기(200)에 씨앗투입통(210)과, 상기 씨앗투입통(210)으로의 씨앗투입량의 상한과 하한을 감지하는 센서(211)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211)가 씨앗투입량의 상한값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씨앗선별기(100) 및 전달수단(30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센서(211)가 씨앗투입량의 하한값을 감지한 경우에 작동이 중지되었던 씨앗선별기(100) 및 전달수단(300)을 다시 작동시키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벼. 보리 등 종자로 사용할 알곡을 선별하는 씨앗선별기와 선별한 알곡씨앗에 대하여 온탕소독을 행하는 온탕소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씨앗선별기에서 선별한 씨앗알곡을 연속적으로 온탕소독기에 적정량 공급하여 소독을 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씨앗 선별 및 소독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씨앗을 씨앗선별기에서 온탕소독기로 옮기는 노동력이 필요 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볍씨, 보리씨 등 파종에 사용할 각종 종자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탈망, 선별, 소독, 발아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탈망(脫芒)은 수확하는 과정에서 미분리 되어 볍씨, 보리씨 등 각종 낟알에 붙어있는 까락 및 꼬투리 등을 제거하여 파종 시에 파종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작업으로서, 농촌에서 농사를 짓기 위하여 종자를 준비할 때 필연적으로 행하는 작업이다.
낟알에 붙어있는 까락 및 꼬투리는 탈망기의 회전날에 의한 마찰로 씨앗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까락은 가볍기 때문에 송풍기에 의하여 까락 배출구로 배출시키고 종자는 까락 배출구와는 별도로 구비된 종자 배출구로 배출된다.
선별작업은 알곡과 까락, 꼬투리, 쭉정이, 미숙곡물 등을 분리하는 작업인데 소금물의 비중을 이용하는 염수선(鹽水選) 작업을 행하거나 타공이 형성된 선별통을 이용하여 알곡을 선별한다. 그런데 염수선 작업은 번거롭기 때문에 최근에는 선별통을 이용하여 알곡을 선별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선별한 알곡은 친환경 농사를 위하여 약 60℃ 정도의 물에 넣어 적절한 시간동안 담그는 온탕소독을 행하고, 온탕소독 후에 발아시켜 파종을 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탈망과 알곡선별을 하나의 기계에서 연속적으로 행하는데 종래에는 이 씨앗선별기에서 선별된 알곡씨앗들을 용기에 배출되게 한 후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직접 알곡씨앗들을 온탕소독기로 옮겨 투입하여야 했다. 따라서 작업자가 항상 장치 옆에서 작업과정을 지켜봐야 할 뿐만 아니라 직접 알곡을 옮기는 수고를 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씨앗선별기에서 선별한 알곡을 연속적으로 온탕소독기에 적정량 공급하여 소독을 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씨앗 선별 및 소독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노동력이 크게 줄어드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는 종자로 사용할 알곡을 선별하는 씨앗선별기와, 상기 씨앗선별기에서 선별한 알곡에 대하여 온탕소독을 행하는 온탕소독기를 포함하는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씨앗선별기에서 선별되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알곡을 상기 온탕소독기로 공급하는 전달수단, 상기 온탕소독기에 설치된 씨앗투입통과, 씨앗투입통으로의 씨앗투입량의 상한과 하한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가 씨앗투입량의 상한값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씨앗선별기 및 전달수단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센서가 씨앗투입량의 하한값을 감지한 경우에 작동이 중지되었던 씨앗선별기 및 전달수단을 다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는 또한 상기 전달수단은 씨앗선별기의 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씨앗들을 공기와 함께 토출하는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의 토출구와 상기 온탕소독기의 씨앗투입통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급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는 또한 상기 센서는 씨앗투입통 내부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리미트스위치와 씨앗투입통 내부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리미트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는 또한 탈망할 곡물들을 투입하는 탈망호퍼, 상기 탈망호퍼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곡물들이 유입되는 탈망통, 상기 탈망통 내부에 유입된 곡물에 대하여 탈망을 행하는 탈망회전자, 상기 탈망회전자에 의하여 까락과 꼬투리들이 분리된 후 이송되어 오는 곡물에 대하여 알곡을 선별하는 선별통, 그리고 상기 선별기구내에서 회전하여 이송곡물에 대하여 원심력을 가하는 선별회전자, 그리고 상기 탈망통을 거치지 않고 직접 선별할 곡물을 투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별통의 입구에 곡물이 유입되도록 되어 있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선별호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는 또한 상기 선별통은 선별할 곡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선별된 곡물이 유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스프링과, 선별할 곡물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재(線材)간격을 일정하게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는 씨앗선별기에서 선별한 알곡을 블로워를 포함하는 전달수단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온탕소독기에 적정량 공급하여 소독을 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씨앗 선별 및 소독시간이 절약되고 알곡씨앗들을 옮겨야 하는 노동력이 필요 없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에 사용된 씨앗선별기의 단면도,
도 3a는 도 2의 씨앗선별기의 탈망회전자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상기 탈망회전자가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4a는 도 2의 씨앗선별기의 선별회전자의 측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선별회전자의 정면도,
도 5a는 도 2의 씨앗선별기의 선별통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상기 선별통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에 사용된 온탕소독기의 단면도,
도 7은 도6의 온탕소독기의 구성부품인 온수통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의 전기 및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의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에 사용된 씨앗선별기의 단면도,
도 3a는 도 2의 씨앗선별기의 탈망회전자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상기 탈망회전자가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4a는 도 2의 씨앗선별기의 선별회전자의 측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선별회전자의 정면도,
도 5a는 도 2의 씨앗선별기의 선별통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상기 선별통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에 사용된 온탕소독기의 단면도,
도 7은 도6의 온탕소독기의 구성부품인 온수통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의 전기 및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의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는 종자로 사용할 알곡을 선별하는 씨앗선별기(100), 상기 씨앗선별기(100)에서 선별한 알곡에 대하여 온탕소독을 행하는 온탕소독기(200), 상기 씨앗선별기(100)에서 선별되어 배출구(35)를 통하여 배출되는 알곡을 상기 온탕소독기(200)로 공급하는 전달수단(300), 그리고 전기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되어 있다.
씨앗선별기(100)는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탈망할 곡물들을 투입하는 탈망호퍼(10), 상기 탈망호퍼(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된 곡물들이 유입되는 탈망통(25), 상기 탈망통 (25)내부에 유입된 곡물에 대하여 탈망을 행하는 탈망회전자(20), 상기 탈망회전자(20)에 의하여 까락과 꼬투리들이 분리된 후 이송되어 오는 곡물에 대하여 알곡을 선별하는 선별통(30), 그리고 상기 선별통(30)내에서 회전하여 이송곡물에 대하여 원심력을 가하는 선별회전자(40)를 포함한다.
탈망회전자(2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위에 곡물의 까락 및 꼬투리를 잘라내는 회전날(21)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탈망호퍼(10)의 유출구(11)와 선별통(30)을 연결하는 케이스(22)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날(21)은 곡물들을 앞으로 전진시킬 수 있도록 앞으로 경사져 있다. 케이스(22)의 하부에는 개폐문(22a)을 구성하여 내부에 먼지 등을 청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선별회전자(4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41) 주위에 가죽과 같이 유연한 날개(42)가 구성되어 있다. 날개(42)는 구동축(41)을 중심으로 뻗어 단면이 십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되어 있다. 상기 탈망회전자(20)는 선별회전자(40)와 함께 동일한 구동축(41)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41)의 회전은 후방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5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구동모터(50)의 회전력은 구동풀리(51), 벨트(52) 및 피동풀리(53)에 의하여 구동축(41)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미 탈망하였거나 콩, 팥과 같이 탈망할 필요가 없는 곡물을 탈망과정을 거치기 않고 직접 선별하기 위하여 상기 선별통(40)의 입구에 곡물이 유입되도록 되어 있는 유출구(16)가 형성되어 있는 선별호퍼(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망통(25)과 선별통(30) 사이에는 선별호퍼(15)로부터 곡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망호퍼(10) 및 선별호퍼(15)의 하단에는 곡물의 투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선별통(30)은 선별할 곡물이 유입되는 입구(30a)와 선별된 곡물이 유출되는 출구(30b)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된 하나의 코일스프링(31)과, 선별할 곡물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코일스프링(31)의 선재(線材)간격을 일정하게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선별통(30)의 코일스프링(31)은 단면이 원형인 선재(線材)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코일스프링(31)은 까락과 꼬투리, 쭉정이를 배출할 수 있는 선재간격을 갖는 제1코일부분(31a)과, 반쭉정이를 배출할 수 있는 선재간격을 갖는 제2코일부분(31b)을 갖는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31)의 선재간격을 다르게 하는 것은 이격수단에 형성된 선재(線材)가 삽입되는 홈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부분(31a)의 선재사이의 틈새와 제2코일부분(31b)의 선재사이의 틈새로 배출되지 않은 알곡은 출구(30b) 쪽으로 빠져 나간다.
또한 선별통(30)의 코일스프링(31)은 까락과 꼬투리, 쭉정이, 그리고 반쭉정이를 모두 배출할 수 있는 동일한 선재간격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까락과 꼬투리, 쭉정이, 그리고 반쭉정이 등은 모두 코일스프링(31)의 선재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배출되고 알곡은 출구(30b) 쪽으로 빠져 나간다.
상기 코일스프링(31)을 일정하게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으로서 코일스프링(31)의 선재의 일부분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반원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격편(離隔片)(32)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편(32)은 코일스프링(31)의 원주방향으로 3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편(32)과 코일스프링(31) 사이에는 용접이 되어 있는데 볼트체결과 같이 다른 수단으로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코일스프링(31)의 전방, 즉 출구(30b)에는 전면판(34)이 용접되어 있고 전면판(34)에는 배출구(35)가 구성되어 있으며, 코일스프링(31)의 후방, 즉 입구(30a)는 곡물이 유입되는 유입공간(17)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관(33)이 구성되어 있으며, 원통관(33)에는 선별호퍼(15)의 유출구(16)와 연계되는 유입공(33a)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관(33)과 전면판(34)과 이격편(32) 및 코일스프링(31)에 용접되어 결합되는데 다른 결합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선별회전자(40)의 회전방향과 코일스프링(31)이 감기면서 나아가는 방향이 동일하게 구성하여야 곡물의 이송이 원활하고 곡물들이 코일스프링의 선재를 따라 스파이럴 형태로 이송하면서 쉽게 선재사이의 틈새로 빠져 나갈 수 있다.
그리고 선별통(30)의 배출구(35)로부터 나오는 알곡에는 알곡보다 큰 크기의 줄기, 돌과 같은 이물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들 이물체들은 여과망(미도시)을 이용하여 걸러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통(30)의 주위에는 각 구간마다 격실(60)(61)이 구성되어 있으며 격실(60)(61)의 하부에는 각각 배출구(60a)(61a)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60a)(61a)의 하부에는 각각 용기를 배치하여 배출되는 것을 받는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탕소독기(200)는 물을 저장하는 소독용기(220), 상기 소독용기(220)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히터(230), 상기 소독용기(23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씨앗이 하강하는 동안에 소독을 실행하며 하부로 씨앗을 배출시키고, 온수가 순환하도록 물수면 부분에 물의 출입이 가능하나 씨앗은 빠져나가지 않는 크기의 다수의 통공(240a)들이 형성되어 있는 온수통(240), 상기 소독용기(220)의 가열된 물을 온수통 내부로 공급하는 물순환펌프(250); 그리고 상기 온수통(240)의 하단과 연결되어 씨앗을 일시 수납하는 큰 직경의 수납관(260), 소독용기(220)의 하부에서 상단으로 뻗어 상기 수납관의 씨앗들을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관(270), 에어펌프(280)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상기 이송관(270)의 입구로 분출하는 공기분출관(28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통(24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 씨앗유출구(241a)가 형성되어 있고 물수면 위까지 뻗는 높이를 가지며 상단이 개구되어 외기와 연통되어 있는 공기배출통(241), 상기 공기배출통(241)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씨앗의 유입을 방지하는 상부철망(242), 상기 공기배출통(241)의 아래에서 씨앗이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씨앗유출구(241a) 위의 공기배출통(24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철망(243), 그리고 상기 온수통(240)의 내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향으로 물을 분출하는 다수의 물분출구멍(24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순환펌프(250)의 물공급관(251)이 연결되어 있는 물분출호스(244)가 구성되어 있다.
상부철망(2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242a)에 의하여 공기배출통(241)에 고정되고, 하부철망(243)도 스냅링(미도시) 같은 수단에 의하여 공기배출통(241)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송관(27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되어 있으며 이송관(270)의 끝단에는 여과망(271)을 설치하여 씨앗은 씨앗용기(290)에 담겨지도록 하고 물은 다시 소독용기(220)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독용기(220)의 내부에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온도센서(231)와 가열히터(230)는 배선(232)을 통하여 외부의 컨트롤박스(235)와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박스(235)에는 전원스위치, 수동/자동 전환스위치, 물 온도설정수단, 설정 물온도표시창, 현재 물온도표시창, 소독온도표시창 등이 구비되어 있다.
물순환펌프(25)의 타측에는 물복귀관(252)이 연결되어 있는데 도 6의 온탕소독기(200)의 단면도에는 도면의 단순을 위하여 이를 도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도 6의 단면도에는 공기호스(282)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면의 단순을 위하여 에어펌프(280)와 연결하지 않고 절단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수단(300)은 씨앗선별기(100)의 배출구(35)로부터 배출되는 씨앗을 받아들여 씨앗들을 공기와 함께 토출하는 블로워(310)와, 상기 블로워(310)의 토출구(311)와 상기 온탕소독기(200)의 씨앗투입통(2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급호스(320)를 포함한다. 블로워(310)는 호퍼(330)를 통하여 유입하는 씨앗들을 공급호스(320)를 통하여 온탕소독기(200)의 씨앗투입통(210)까지 전달할 수 있는 바람을 공급한다. 전달수단(300)은 컨베이어와 같이 다른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상기 온탕소독기(200)의 씨앗투입통(201)에 설치되어 씨앗투입량의 상한과 하한을 감지하는 센서(210)가 씨앗투입량의 상한값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씨앗선별기(100) 및 전달수단(30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센서(210)가 씨앗투입량의 하한값을 감지한 경우에 작동이 중지되었던 씨앗선별기(100) 및 전달수단(300)을 다시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씨앗투입통(210)에 공급되는 씨앗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센서(211)는 예를 들어 씨앗투입통(210) 내부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리미트스위치(211a)와 씨앗투입통(2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리미트스위치(211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컨트롤박스(235) 내에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씨앗선별기(100)의 구동모터(50)를 작동시키면 그 회전력이 구동풀리(51), 벨트(52) 및 피동풀리(53)에 의하여 구동축(41)에 전달되어 탈망회전자(20)와 선별회전자(40)가 작동된다. 그 상태에서 종자로 사용할 벼, 보리 등의 곡물을 탈망호퍼(10)에 투입하면 곡물은 그 하부에 있는 유출구(11)를 통하여 케이스(22)로 유입되고 곡물은 회전하는 탈망회전자(20)의 회전날(21)에 부딪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이때 곡물에 붙어있는 까락이나 꼬투리가 절단되면서 탈망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곡물 및 까락과 꼬투리, 이물체 등은 모두 선별통(30)의 입구(30a)로 들어가는데, 선별통(30)의 내부에는 선별회전자(40)가 회전하고 있으므로 이송물체들은 원심력을 받아 선별통(30)의 내면쪽으로 이동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면서 선별통(30)의 선재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간다.
선별통(30)이 도 5a 및 도 5b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까락과 꼬투리, 쭉정이 등과 같이 크기가 작은 것들은 선별통(30)의 제1코일부분(31a)을 통하여 배출되고 반쭉정이 등은 제2코일부분(31b)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알곡은 출구(30b)쪽으로 이송되어 배출구(35)를 통하여 배출되어 전달수단(200)으로 공급된다. 알곡에는 줄기, 돌 등 알곡보다 큰 이물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여과망(미도시)을 통하여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미 탈망이 되었거나 콩, 팥과 같이 탈망할 필요가 없는 곡물은 탈망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선별호퍼(15)에 투입하여 선별한다, 선별호퍼(15)의 곡물들은 유출구(16) 및 유입공(33a)을 통하여 유입공간(17)으로 들어가고, 이어서 선별통(30)의 내부로 들어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선별된다.
코일스프링(31)의 선재간격이 다른 선별통(30)으로 교환하면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립종의 볍씨를 선별할 수 있도록 선별통(30)의 제1코일부분(31a)의 선재간격을 2.05mm, 제2코일부분(31b)의 선재간격을 2.10mm로 한 것과, 중립종의 볍씨를 선별할 수 있도록 제1코일부분(31a)의 선재간격을 2.10mm, 제2코일부분(31b)의 선재간격을 2.15mm로 한 것과, 대립종의 볍씨를 선별할 수 있도록 제1코일부분(31a)의 선재간격을 2.15mm, 제2코일부분(31b)의 선재간격을 2.20mm로 한 것을 구비하여 놓고 처리하고자 하는 볍씨의 종류에 따라 3개의 선별통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콩, 팥, 깨를 선별하는데 적당한 선별통을 구비하여 놓았다가 필요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선별통(30)이 표면이 굴곡 되고 매끄러운 코일스프링(31)의 선재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곡물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곡물들이 선별되는 과정에서 상처를 입지 않는다. 또한 곡물들이 선별회전자(40)의 작동에 의하여 스파이럴(spiral) 형태로 회전하면서 이송되고 코일스프링의 선재표면이 매끄럽고 선재사이의 틈새가 연속적이기 때문에 곡물들이 쉽게 선재틈새를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곡물선별효율이 증가된다. 선별통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다.
씨앗선별기(100)에서 배출된 씨앗들은 전달수단(300)의 호퍼(330)로 공급되고 이어서 블로워(310)의 작용에 의하여 공급호스(320)를 통하여 온탕소독기(200)의 씨앗투입통(210)으로 공급된다.
한편, 온탕소독기(200)는 컨트롤박스(235)에 미리 물의 온도(예를 들어 60℃~65℃)를 설정하여 놓고 가열히터(230)를 작동하여 소독용기(220) 내의 물을 가열한다. 컨트롤박스(235)의 제어부(400)는 도 9와 같이 온도센서(231)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물의 온도를 감지하면서 가열히터(230)를 제어하여 물의 온도를 60℃~65℃로 가열한다. 물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로 가열되면 물순환펌프(250) 및 에어펌프(280)를 작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씨앗투입통(210)의 씨앗들이 온수통(240) 상부에 조금씩 떨어져 온수에 가라앉으면서 소독되기 시작한다. 공기배출통(241)의 상부에는 상부철망(24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배출통(241) 내부에는 씨앗이 들어가지 않는다.
물순환펌프(250)의 작동에 의하여 물복귀관(252)을 통하여 소독용기(220)의 온수를 흡입하고 물공급관(251) 및 물분출호스(244)를 통하여 온수통(240) 내부에 온수를 공급한다. 온수는 온수통(240)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면서 씨앗들을 분산시키고 씨앗들을 소독한다. 상승된 온수는 온수통(240)의 수면부분에 있는 통공(240a)을 통하여 온수통(240)을 빠져 나온다. 따라서 소독용기(220) 내부의 온수온도는 균일하게 된다.
온수통(240) 내부에서 하강하는 씨앗들은 공기배출통(241)의 하부에 있는 씨앗유출구(241a)를 통하여 하부의 수납관(260)으로 들어간다. 에어펌프(280)로부터 공기 분출관(281)을 통하여 공기가 분출되어 나옴에 따라 씨앗이 수납관(260)의 내부에서 이송관(270)을 따라 물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 씨앗이 이송관(270)의 상단까지 상승하면 상단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하측의 여과망(271)으로 떨어진 씨앗과 물 중에서 물은 다시 소독용기(220) 내로 떨어지고 씨앗은 여과망(271)의 하측에 있는 씨앗용기(290)내로 떨어져서 거기에 일시 수납되게 된다.
그런데 씨앗이 물과 함께 이송관(270)을 따라 상승하다가 종종 이송관(270)을 막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에 압축공기가 역류하여 온수통(240) 내부로 들어간다. 그러나 온수통(240) 내부에는 공기배출통(24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역류되는 압축공기는 공기배출통(2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온수통(240) 내부에서 온수에 가라앉는 씨앗들에는 역류하는 강한 압축공기가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씨앗들의 하강 작용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는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씨앗투입통(210)의 상부 리미트스위치(211a)의 높이까지 씨앗들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부 리미트스위치(211a)는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보내고 제어부(400)는 씨앗선별기(100)의 모타(50) 및 블로워(310)의 작동을 중지시켜 씨앗투입통(210)에 씨앗공급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온탕소독기(200)가 계속 작동하여 씨앗투입통(210)의 씨앗이 하부 리미트스위치(211b)의 높이까지 낮아지면 하부 리미트스위치(211b)는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보내고 제어부(400)는 모타(50) 및 블로워(310)를 작동시켜 씨앗선별기(100)에서 씨앗을 온탕소독기(200)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는 씨앗선별기(100)에서 선별한 씨앗들을 블로워(310)를 포함하는 전달수단(300)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온탕소독기(200)에 공급하여 소독을 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씨앗 선별 및 소독시간이 절약되고 씨앗들을 씨앗선별기(100)에서 온탕소독기(200)로 옮기는 노동력이 필요 없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씨앗선별기
10: 탈망호퍼 11: 유출구
15: 선별호퍼 16: 유출구
17: 유입공간
20: 탈망회전자 21: 회전날
22: 케이스 22a: 개폐문
25: 탈망통
30: 선별통 30a: 입구
30b: 출구 31: 코일스프링
31a: 제1코일부분 31b: 제2코일부분
32: 이격편 33: 원통관
33a: 유입공 34: 전면판
35: 배출구
40: 선별회전자 41: 구동축
42: 날개 50: 구동모터
51: 구동풀리 52: 벨트
53: 피동풀리 60, 61: 격실
60a, 61a: 배출구
200: 온탕소독기
210: 씨앗투입통 211: 센서
211a: 상부 리미트스위치 211b: 하부 리미트스위치
220: 소독용기 230: 가열히터
231: 온도센서 232: 배선
235: 컨트롤박스 240: 온수통
240a: 통공 241: 공기배출통
241a: 씨앗유출구 242: 상부철망
243: 하부철망 244: 물분출호스
244a: 물분출공 250: 물순환펌프
251: 물공급관 252: 물복귀관
260: 수납관 270: 이송관
271: 여과망 280: 에어펌프
281: 공기배출관 282: 공기호스
290: 씨앗용기
300: 전달수단 310: 블로워
311: 토출구 320: 공급호스
330: 호퍼
400: 제어부
10: 탈망호퍼 11: 유출구
15: 선별호퍼 16: 유출구
17: 유입공간
20: 탈망회전자 21: 회전날
22: 케이스 22a: 개폐문
25: 탈망통
30: 선별통 30a: 입구
30b: 출구 31: 코일스프링
31a: 제1코일부분 31b: 제2코일부분
32: 이격편 33: 원통관
33a: 유입공 34: 전면판
35: 배출구
40: 선별회전자 41: 구동축
42: 날개 50: 구동모터
51: 구동풀리 52: 벨트
53: 피동풀리 60, 61: 격실
60a, 61a: 배출구
200: 온탕소독기
210: 씨앗투입통 211: 센서
211a: 상부 리미트스위치 211b: 하부 리미트스위치
220: 소독용기 230: 가열히터
231: 온도센서 232: 배선
235: 컨트롤박스 240: 온수통
240a: 통공 241: 공기배출통
241a: 씨앗유출구 242: 상부철망
243: 하부철망 244: 물분출호스
244a: 물분출공 250: 물순환펌프
251: 물공급관 252: 물복귀관
260: 수납관 270: 이송관
271: 여과망 280: 에어펌프
281: 공기배출관 282: 공기호스
290: 씨앗용기
300: 전달수단 310: 블로워
311: 토출구 320: 공급호스
330: 호퍼
400: 제어부
Claims (5)
- 종자로 사용할 알곡을 선별하는 씨앗선별기(100)와, 상기 씨앗선별기에서 선별한 알곡에 대하여 온탕소독을 행하는 온탕소독기(200)를 포함하는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씨앗선별기(100)에서 선별되어 배출구(35)를 통하여 배출되는 알곡씨앗들을 상기 온탕소독기(200)로 공급하는 전달수단(300), 그리고
상기 온탕소독기(200)에 설치된 씨앗투입통(210)과, 상기 씨앗투입통(210)으로의 씨앗투입량의 상한과 하한을 감지하는 센서(211)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211)가 씨앗투입량의 상한값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씨앗선별기(100) 및 전달수단(30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센서(211)가 씨앗투입량의 하한값을 감지한 경우에 작동이 중지되었던 씨앗선별기(100) 및 전달수단(300)을 다시 작동시키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씨앗선별기(100)는 탈망할 곡물들을 투입하는 탈망호퍼(10), 상기 탈망호퍼(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된 곡물들이 유입되는 탈망통(25), 상기 탈망통(25) 내부에 유입된 곡물에 대하여 탈망을 행하는 탈망회전자(20), 상기 탈망회전자(20)에 의하여 까락과 꼬투리들이 분리된 후 이송되어 오는 곡물에 대하여 알곡을 선별하는 선별통(30), 상기 선별통(30)내에서 회전하여 이송곡물에 대하여 원심력을 가하는 선별회전자(40), 그리고 상기 탈망통(25)을 거치지 않고 직접 선별할 곡물을 투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별통(30)의 입구에 곡물이 유입되도록 되어 있는 유출구(16)가 형성되어 있는 선별호퍼(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별통(30)은 선별할 곡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선별된 곡물이 유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스프링과, 선별할 곡물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재(線材)간격을 일정하게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300)은 씨앗선별기(100)의 배출구(35)로부터 유입되는 씨앗들을 공기와 함께 토출하는 블로워(310)와, 상기 블로워(310)의 토출구(311)와 상기 온탕소독기(200)의 씨앗투입통(2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급호스(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211)는 씨앗투입통(210) 내부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리미트스위치(211a)와 씨앗투입통(2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리미트스위치(211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0370A KR101698247B1 (ko) | 2014-11-17 | 2014-11-17 |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0370A KR101698247B1 (ko) | 2014-11-17 | 2014-11-17 |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8637A KR20160058637A (ko) | 2016-05-25 |
KR101698247B1 true KR101698247B1 (ko) | 2017-01-19 |
Family
ID=5611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0370A KR101698247B1 (ko) | 2014-11-17 | 2014-11-17 |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824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40822B (zh) * | 2018-07-04 | 2021-05-28 | 绍兴纤逸纺织科技有限公司 | 一种葵花种子筛选拌药装置 |
CN111699780B (zh) * | 2020-06-23 | 2022-03-11 | 安徽永民种业有限责任公司 | 一种剔除变质颗粒的小麦选种设备 |
CN115007437B (zh) * | 2022-06-29 | 2023-08-29 | 河北鼎科农业科技有限公司 | 一种农用沉浸式种子分选设备 |
CN117110550B (zh) * | 2023-08-29 | 2024-02-06 | 广东良田农林科技有限公司 | 一种林业种子含水量检测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62798A (ja) * | 2005-03-24 | 2006-10-05 | Iseki & Co Ltd | 粉粒体吐出機 |
JP3920273B2 (ja) * | 2004-02-27 | 2007-05-30 | 株式会社タイガーカワシマ | 種籾選別装置 |
JP2008005800A (ja) * | 2006-06-30 | 2008-01-17 | Iseki & Co Ltd | 種籾消毒乾燥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6211U (ja) * | 1991-11-25 | 1993-06-22 | 株式会社クボタ | 種籾用脱水装置 |
-
2014
- 2014-11-17 KR KR1020140160370A patent/KR1016982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20273B2 (ja) * | 2004-02-27 | 2007-05-30 | 株式会社タイガーカワシマ | 種籾選別装置 |
JP2006262798A (ja) * | 2005-03-24 | 2006-10-05 | Iseki & Co Ltd | 粉粒体吐出機 |
JP2008005800A (ja) * | 2006-06-30 | 2008-01-17 | Iseki & Co Ltd | 種籾消毒乾燥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8637A (ko) | 2016-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8247B1 (ko) |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 |
US765803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ation of genetically transformable plant tissue | |
KR102005776B1 (ko) | 인라인 농산물 가공 시스템 | |
JP6255684B2 (ja) | 粗選別装置 | |
US8047129B2 (en) | Apparatus for disinfecting seeds using hot water | |
KR101616525B1 (ko) | 분진흡입장치가 구성된 씨앗 탈망 및 알곡선별기 | |
CN108451404B (zh) | 洗米装置 | |
KR101249957B1 (ko) | 쌀눈 선별장치 | |
KR101648829B1 (ko) |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 |
KR20130019163A (ko) | 쌀눈 선별방법 | |
KR101658220B1 (ko) | 순대 제조 장치 | |
KR101676167B1 (ko) | 다중 정선수단을 구비한 콩 선별장치 | |
KR101570850B1 (ko) | 씨앗 탈망 및 알곡선별기 | |
CN105594879A (zh) | 带自动上料装置和水豆分离输送装置的泡豆系统 | |
KR101057043B1 (ko) | 농작물 세척 선별기 | |
KR20150085729A (ko) | 씨앗 선별 및 소독장치 | |
KR20160126198A (ko) | 농산물 세척기 | |
JP2009159867A (ja) | 茶の葉用振動コンベア | |
JP2007222059A (ja) | 種籾選別装置 | |
CN220879186U (zh) | 一种谷物加工用去石机 | |
KR101548665B1 (ko) | 수하식 양식굴의 가공장치 | |
US20240032506A1 (en) | Cleaning system, conveying device and separating device for insects or worms and corresponding methods | |
KR200387161Y1 (ko) | 벼껍질제거 및 현미 선별장치 | |
KR200344118Y1 (ko) | 착탈식 마늘쪽 분리 및 선별장치 | |
KR20160123532A (ko) | 산소 공급 및 물순환이 용이한 곡물 발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