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220B1 - 순대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순대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220B1
KR101658220B1 KR1020140078445A KR20140078445A KR101658220B1 KR 101658220 B1 KR101658220 B1 KR 101658220B1 KR 1020140078445 A KR1020140078445 A KR 1020140078445A KR 20140078445 A KR20140078445 A KR 20140078445A KR 101658220 B1 KR101658220 B1 KR 101658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irring
small
inj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726A (ko
Inventor
신중철
Original Assignee
(주)퓨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어시스템 filed Critical (주)퓨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78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2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순대 제조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순대 제조 장치는: 투입된 순대 재료를 교반하여 순대소를 제조하는 교반장치; 교반장치에서 순대소가 공급되고, 순대소를 이송하는 순대소 이송장치; 순대소 이송장치에서 이송된 순대소가 공급되고, 내장이 끼워진 주입 튜브가 결합되도록 순대소 주입부가 형성되고, 주입 튜브가 순대소 주입부에 결합되어 순대소가 내장에 주입되게 하는 순대소 주입장치; 및 순대소 주입장치에서 제조된 순대를 이송시키면서 가열하는 순대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순대 제조 장치{KOREAN SAUSAGE M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순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순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순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대는 내장에 순대소를 주입함에 의해 제조된다. 각종 채소나 고기 등을 분쇄하여 순대소를 제조한다. 채소나 고기 등 혼합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순대소가 제조될 수 있다. 내장을 세척한 후 순대소를 내장의 내부에 주입한다. 순대소가 주입된 순대를 삶거나 쪄서 순대 제품을 생산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내장을 손수 세척하고, 순대소를 직접 만들어, 순대를 수작업으로 제조하므로, 순대를 제조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내장 세척과 순대소 제조를 같은 공간에서 수행하므로, 순대에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3272호(2004. 10. 07 등록, 발명의 명칭: 야채순대의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순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순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는: 투입된 순대 재료를 교반하여 순대소를 제조하는 교반장치; 상기 교반장치에서 순대소가 공급되고, 순대소를 이송하는 순대소 이송장치; 상기 순대소 이송장치에서 이송된 순대소가 공급되고, 내장이 끼워진 주입 튜브가 결합되도록 순대소 주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 튜브가 상기 순대소 주입부에 결합되어 순대소가 내장에 주입되게 하는 순대소 주입장치; 및 상기 순대소 주입장치에서 제조된 순대를 이송시키면서 가열하는 순대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장치는,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순대 재료가 수용되는 공급 컨테이너; 상기 공급 컨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 컨테이너를 회전시켜 상기 공급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순대 재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용 구동부; 상기 공급 컨테이너에서 배출되는 순대 재료가 유입되는 교반 컨테이너; 상기 교반 컨테이너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기; 및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교반기에 연결되는 교반용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는 상기 교반 컨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교반 컨테이너를 회전시켜 상기 교반 컨테이너에서 제조된 순대소를 상기 순대소 이송장치에 공급하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교반 컨테이너에 고정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기어부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제2 기어부; 상기 제2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로드; 및 상기 회전 로드에 연결되는 회전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용 구동부는,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급 컨테이너가 구속되는 포크부; 및 상기 포크부와 상기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고, 신장됨에 따라 상기 포크부를 회전시켜 상기 공급 컨테이너를 뒤집어주는 실린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대소 이송장치는. 상기 교반 컨테이너에서 배출되는 순대소가 유입되도록 상기 교반 컨테이너의 하측에 배치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연결되는 이송 통로부; 상기 이송 통로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순대소 주입장치로 순대소를 이동시키는 이송 오거; 및 상기 이송 오거를 회전시키는 이송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대소 주입장치는, 상기 순대소 이송장치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주입 컨테이너; 상기 주입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주입기; 및 상기 주입기에 연결되고, 상기 주입기에 의해 이송되는 순대소가 배출되고, 상기 주입 튜브가 결합되는 순대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대 주입부는 상기 주입 튜브의 내부에 끼워지는 주입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대 가열장치는, 가열 분위기를 형성하는 가열 챔버부; 상기 가열 챔버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순대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및 상기 가열 챔버부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가열 챔버부에 무한궤도로 운행되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메쉬가 형성되는 메쉬 벨트부; 및 상기 메쉬 벨트부를 무한궤도로 운행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 챔버부에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는 내장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내장을 세척하는 내장 세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장 세척장치는, 세척수가 공급되고, 내장이 끼워지는 세척 노즐부; 및 상기 세척 노즐부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회수하는 회수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노즐부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배관; 상기 세척수 배관의 단부에 결합되고, 내장이 끼워지고, 반경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외측면에 복수의 분사공이 형성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분사 노즐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순대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순대를 제조하므로, 순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순대가 일련의 공정을 통해 순차적으로 제조되므로, 순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내장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내장 세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교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교반장치의 포크부에 공급 컨테이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교반장치의 포크부가 회전되어 공급 컨테이너를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교반장치의 교반 컨테이가 순대소 이송장치의 호퍼에 순대소를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교반장치의 교반 컨테이가 순대소 이송장치의 호퍼에 순대소를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의 교반장치에서 교반용 구동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순대소 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순대소 주입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순대소 주입장치의 순대소 주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순대 가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순대 스태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순대 제조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내장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내장 세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는 교반장치(130), 순대소 이송장치(160), 순대소 주입장치(170) 및 순대 가열장치(180)를 포함한다. 순대 제조 장치는 재료를 준비하는 장치(111,113,115)와 내장 세척장치(120)를 더 포함한다.
재료를 준비하는 장치(111,113,115)는 야채세척장치(111), 고기분쇄장치(113) 및 선지공급장치(115) 등을 포함한다. 각종 야채는 야채세척장치(111)에서 세척되고 탈수된 후 교반장치(130)에 공급된다. 고기분쇄장치(113)에서 고기가 분쇄된 후 교반장치(130)에 공급된다. 선지는 선지공급장치(115)에 의해 교반장치(130)에 공급된다. 순대소에 들어갈 재료에 따라 야채세척장치(111), 고기분쇄장치(113) 및 선지공급장치(115) 중 일부만이 설치되거나 추가로 더 많은 장치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교반장치(130)에 투입되는 각종 야채, 분쇄된 고기 및 선지 등을 순대 재료라고 칭하기로 한다.
내장 세척장치(120)는 내장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내장을 세척한다. 내장 세척장치(120)는 세척수가 공급되고, 내장이 끼워지는 세척 노즐부(122)와, 세척 노즐부(122)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회수하는 브러시(124)를 포함한다. 세척 노즐부(122)에 내장이 끼워진 상태에서 내장을 세척하므로, 내장의 내부에 세척수가 충돌됨에 따라 내장이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다.
세척 노즐부(122)는 세척수 배관(121), 분사 노즐(123) 및 브러시(124)를 포함한다.
세척수 배관(121)은 세척수 호스(미도시)에 연결된다. 분사 노즐(123)은 세척수 배관(121)의 단부에 결합된다. 분사 노즐(123)에는 내장이 주름진 상태로 끼워진다. 분사 노즐(123)에는 분사 노즐(123)의 반경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복수의 분사공(123a)이 형성된다. 따라서, 분사 노즐(123)에서 내장을 조금씩 빼내면서 세척할 때에, 세척수가 분사 노즐(123)의 반경방향으로 분사되면서 내장의 내부와 충돌되므로, 내장이 보다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다. 브러시(124)는 분사 노즐(123)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브러시(124)는 내장의 내측과 접촉되어 내장을 긁어주므로, 내장이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교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교반장치의 포크부에 공급 컨테이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교반장치의 포크부가 회전되어 공급 컨테이너를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교반장치의 교반 컨테이가 순대소 이송장치의 호퍼에 순대소를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교반장치의 교반 컨테이가 순대소 이송장치의 호퍼에 순대소를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의 교반장치에서 교반용 구동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교반장치(130)는 투입된 순대 재료를 교반하여 순대소를 제조한다. 교반장치(130)는 공급 컨테이너(133), 배출용 구동부(135), 교반 컨테이너(141), 교반기(143) 및 교반용 구동부(146)를 포함한다.
공급 컨테이너(133)는 지지대(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공급 컨테이너(133)에는 공급 컨테이너(133)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133a)를 포함한다. 공급 컨테이너(133)가 회전됨 따라 뒤집어지면, 공급 컨테이너(133)에 수용된 순대 재료가 가이드부(133a)를 따라 배출된다. 가이드부(133a)는 대략 "∪" 형태로 절곡되어 순대 재료가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공급 컨테이너(133)의 양측에는 결합 홀더(13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배출용 구동부(135)는 공급 컨테이너(133)에 연결되고, 공급 컨테이너(133)를 회전시켜 공급 컨테이너(133)에 수용되는 순대 재료를 배출시킨다. 배출용 구동부(135)가 공급 컨테이너(133)를 회전시킴에 따라 공급 컨테이너(133)가 뒤집어지므로, 공급 컨테이너(133)에서 순대 재료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배출용 구동부(135)는 포크부(136)와 실린더 장치(137)를 포함한다.
포크부(136)는 대략 "ㄴ" 형태로 형성된다. 포크부(136)의 일측은 힌지부(136b)에 의해 지지대(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포크부(136)의 타측에는 공급 컨테이너(133)의 결합 홀더(134)가 결합되도록 길게 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구속 클램프(136a)가 형성된다. 포크부(136)는 공급 컨테이너(133)가 뒤집히더라도 구속 클램프(136a)에 결합 홀더(134)를 구속하여 공급 컨테이너(133)가 포크부(136)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급 컨테이너(133)는 포크부(13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린더 장치(137)는 포크부(136)와 지지대(131)에 힌지 결합된다. 실린더 장치(137)가 포크부(136)와 지지대(131)에 힌지 결합되므로, 포크부(136)가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실린더 장치(137)의 기울기가 변경될 수 있다. 실린더 장치(137)는 신장됨에 따라 포크부(136)를 회전시켜 공급 컨테이너(133)를 뒤집어준다. 실린더 장치(137)가 공급 컨테이너(133)를 뒤집어 주므로, 순대 재료가 공급 컨테이너(133)에서 원활하게 배출된다.
교반 컨테이너(141)에는 공급 컨테이너(133)에서 배출되는 순대 재료가 유입된다. 교반 컨테이너(141)의 상면부는 순대 재료가 유입되도록 개방된다. 이때, 지지대(131)에는 컨트롤 박스부(132)가 상측으로 세워지고, 컨트롤 박스부(132)에는 교반축(144)에 의해 교반 컨테이너(14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교반기(143)는 교반 컨테이너(14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교반기(143)는 교반 컨테이너(141)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교반축(144)과, 교반축(144)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교반 블레이드(145)를 포함한다. 교반 블레이드(145)는 교반축(144)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교반 블레이드(145)가 교반축(144)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교반 컨테이너(141)에 수용된 순대 재료를 교반하여 순대소를 제조한다. 순대소는 순대 재료가 교반 컨테이너(141)에서 고르게 혼합된 상태의 재료를 의미한다.
교반용 구동부(146)는 교반기(143)를 회전시키도록 교반기(143)에 연결된다. 교반용 구동부(146)는 지지대(131)에 결합되는 교반용 모터(146a)와, 교반축(144)에 연결되는 풀리(미도시)와, 풀리와 교반용 모터(146a)에 연결되는 벨트(146c)를 포함한다. 교반용 구동부(146)로는 교반기(143)를 회전시키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교반장치(130)는 교반 컨테이너(141)에 연결되고, 교반 컨테이너(141)를 회전시켜 교반 컨테이너(141)에서 제조된 순대소를 순대소 이송장치(160)에 공급하는 회전 구동부(150)를 더 포함한다. 회전 구동부(150)는 교반 컨테이너(141)를 뒤집어 주므로, 교반 컨테이너(141)에 수용된 순대소가 순대소 이송장치(160)에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회전 구동부(150)는 교반 컨테이너(141)에 고정되는 제1 기어부(151)와, 제1 기어부(151)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제2 기어부(152)와, 제2 기어부(152)에 연결되어 제2 기어부(152)를 회전시키는 회전 로드(153)와, 회전 로드(153)에 연결되는 회전휠(154)을 포함한다. 회전휠(154)이 회전되면, 회전 로드(153)와 제2 기어부(152)가 회전된다. 이때, 제2 기어부(152)가 제1 기어부(151)를 회전시키므로, 교반 컨테이너(141)가 회전되어 뒤집어진다. 회전 구동부(150)는 수동으로 구동되거나 모터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순대소 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순대소 이송장치(160)에는 교반장치(130)의 교반 컨테이너(141)에서 순대소가 공급된다. 순대소 이송장치(160)는 순대소를 이송한다.
순대소 이송장치(160)는 호퍼(161), 이송 통로부(163), 이송 오거(165) 및 이송 구동부(167)를 포함한다.
호퍼(161)는 교반 컨테이너(141)에서 배출되는 순대소가 유입되도록 교반 컨테이너(141)의 하측에 배치된다. 호퍼(161)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교반 컨테이너(141)가 순대소를 호퍼(161)에 배출할 때에 순대소가 교반 컨테이너(141)의 양측으로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송 통로부(163)는 호퍼(161)에 연결된다. 이송 통로부(163)에는 호스에 의해 또는 직접적으로 순대소 주입장치(170)가 연결된다. 이송 통로부(163)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송 오거(165)는 이송 통로부(16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순대소 주입장치(170)로 순대소를 이동시킨다. 이송 오거(165)의 외측면에는 나선형의 블레이드(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송 구동부(167)는 이송 오거(165)를 회전시킨다. 이송 오거(165)가 회전됨에 따라 순대소가 이송 통로부(163)를 따라 이송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순대소 주입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순대소 주입장치의 순대소 주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순대소 주입장치(170)에는 순대소 이송장치(160)에서 이송된 순대소가 공급된다. 순대소 주입장치(170)에는 내장이 끼워진 주입 튜브(178)가 결합되도록 순대소 주입부(175)가 형성된다. 순대소 주입장치(170)는 주입 튜브(178)가 순대소 주입부(175)에 결합된 후에 순대소가 내장에 주입되게 한다. 이때, 내장의 단부는 그립부(미도시)에 의해 잡혀 막힌 상태에서 순대소 주입장치(170)가 내장에 순대소를 주입한다. 내장에 순대소가 주입됨에 따라 내장이 팽창하면서 길게 늘어난다. 또한, 주입 튜브(178)에 끼워진 내장은 주입 튜브(178)로부터 점차적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주입 튜브(178)에서 내장이 거의 빠져나가면, 순대소 주입장치(170)는 순대 주입부(175)에 순대소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순대 주입부(175)는 주입 튜브(178)의 내부에 끼워지는 주입 노즐(176)을 포함한다. 주입 노즐(176)에 주입 튜브(178)가 끼워지므로, 내장이 끼워진 주입 튜브(178)를 주입 노즐(176)에 끼운 후 순대소를 주입시키면 순대소가 내장에 자동으로 채워지게 된다. 주입 튜브(178)에서 내장이 완전히 빠져나가면, 내장이 끼우진 다른 주입 튜브(178)를 주입 노즐(176)에 끼운 후 내장에 순대소를 주입한다. 내장이 끼우진 주입 튜브(178)는 픽업 로봇(미도시)에 의해 주입 노즐(176)에 정확하게 끼우질 수 있다.
순대 주입부(175)는 주입 튜브(178)가 주입 노즐(176)에 끼워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에서 주입 튜브(178)가 끼어진 것을 감지하면, 순대소 주입장치(170)가 순대 주입부(175)에 순대를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작업자가 순대소 주입장치(17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순대 가열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에서 순대 스태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순대 가열장치(180)는 순대소 주입장치(170)에서 제조된 순대를 이송시키면서 가열하여 순대를 익힌다. 순대 가열장치(180)의 일 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순대 가열장치(180)는 가열 챔버부(181), 컨베이어(185) 및 가열부(189)를 포함한다.
가열 챔버부(181)는 순대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가열 챔버부(181)는 가열 분위기를 형성하도록 외부와 밀폐된다. 가열 챔버부(181)는 가열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82)와, 본체(182)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183)를 포함한다.
컨베이어(185)는 가열 챔버부(181)의 내부에 설치되어 순대를 이송시킨다. 컨베이어(185)의 이송 속도는 순대가 충분히 익을 시간, 가열 챔버부(181)의 내부 온도 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컨베이어(185)는 가열 챔버부(181)에 무한궤도로 운행되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메쉬가 형성되는 메쉬 벨트부(186)와, 메쉬 벨트부(186)를 무한궤도로 운행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부(187)를 포함한다. 메쉬 벨트부(186)에는 공기와 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메쉬가 형성되므로, 메쉬 벨트부(186)의 상측과 하측에서 순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순대에서 흘러 내린 물기가 메쉬 벨트부(186)의 하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순대가 고르게 가열되고, 순대에 적절한 양의 물기가 함유될 수 있다.
가열부(189)는 가열 챔버부(181)에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기일 수 있다. 가열부(189)는 컨베이어(185)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거나 컨베이어(185)의 상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189)는 순대에 스팀을 고르게 분사하는 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순대가 열전도율이 높은 스팀에 의해 가열되므로, 순대가 익는 속도를 상대적으로 빨라지게 할 수 있다.
가열부(189)의 순대는 트레이(191)에 배출된다. 트레이(191)는 픽업 로봇(미도시)에 의해 순대 스태커(190)(stacker)에 적층된다. 순대 스태커(190)의 양측 벽면에는 트레이(191)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브라켓(193)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 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야채세척장치(111)에서 각종 야채를 깨끗하게 세척한 후 탈수하여 공급 컨테이너(133)에 투입한다. 고기분쇄장치(113)에서는 고기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공급 컨테이너(133)에 투입한다. 선지공급장치(115)는 선지를 공급 컨테이너(133)에 투입한다.
배출용 구동부(135)가 구동된다. 이때, 실린더 장치(137)가 신장되면, 포크부(136)가 힌지부(136b)를 중심으로 지지대(131)의 상측으로 회전된다. 이때, 포크부(136)의 결합 홀더(134)가 힌지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므로, 포크부(136)에 탑재된 공급 컨테이너(133)가 교반 컨테이너(141)의 상측에서 뒤집어진다. 공급 컨테이너(133)가 뒤집어짐에 따라 공급 컨테이너(133)의 순대 재료는 가이드부(133a)를 따라 흘러내리면서 교반 컨테이너(141)에 유입된다. 공급 컨테이너(133)에서 순대 재료가 모두 배출되면, 실린더 장치(137)가 축소됨에 따라 포크부(136)가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포크부(136)가 아래로 내려오면, 공급 컨테이너(133)가 바닥면에 지지된다.
교반 컨테이너(141)에 순대 재료가 충분히 공급되면, 교반용 구동부(146)가 구동됨에 따라 교반기(143)가 회전된다. 이때, 교반 블레이드(145)가 교반축(144)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교반 컨테이너(141)에 수용된 순대 재료가 혼합되어 순대소가 제조된다.
교반장치(130)에서 순대소가 제조되면, 회전 구동부(150)가 구동됨에 따라 교반 컨테이너(141)가 교반축(14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전 구동부(150)가 회전됨에 따라 제2 기어부(152)가 제1 기어부(151)를 회전시키므로, 교반 컨테이너(141)가 교반축(14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교반 컨테이너(141)가 뒤집어지면, 회전 구동부(15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교반 컨테이너(141)에 수용된 순대소는 순대소 이송장치(160)의 호퍼(161)에 유입된다.
호퍼(161)에 유입된 순대소는 이송 통로부(163)로 유입된다. 이송 구동부(167)가 구동됨에 따라 이송 오거(165)가 회전되어 순대소를 이송 통로부(163)를 따라 이송시킨다.
이송 통로부(163)의 순대소는 순대소 주입장치(170)로 이송된다. 내장이 끼워진 주입 튜브(178)가 픽업 로봇에 의해 주입 노즐(176)에 끼워진다. 주입 노즐(176)을 통해 순대소가 내장에 주입된다. 이때, 내장의 단부는 그립부에 의해 잡혀 막힌 상태에서 내장에 순대소가 주입된다. 내장에 순대소가 주입됨에 따라 내장이 팽창하면서 길게 늘어난다. 또한, 주입 튜브(178)에 끼워진 내장은 주입 튜브(178)로부터 점차적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주입 튜브(178)에서 내장이 거의 빠져나가면, 순대소 주입장치(170)는 순대 주입부(175)에 순대소 공급을 정지시킨다. 그립부에서 주입 튜브(178)에서 내장을 완전히 분리시킨 후 내장의 단부를 밀폐시킨다. 주입 튜브(178)에서 내장이 완전히 빠져나가면, 내장이 끼우진 다른 주입 튜브(178)가 픽업 로봇에 의해 주입 노즐(176)에 끼워진다. 주입 튜브(178)를 계속적으로 교체하면서 내장에 순대소를 주입한다.
순대가 순대 가열장치(180)로 유입된다. 이때, 순대는 컨베이어(185)에 올려진다. 컨베이어 구동부(187)가 구동됨에 따라 순대가 메쉬 벨트부(186)에 의해 이송된다. 가열부(189)는 순대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함에 의해 메쉬 벨트부(186)를 따라 이송되는 순대를 가열한다. 순대가 메쉬 벨트(146c)를 따라서 이송되면서 충분히 익게 된다. 순대에서 흘러내리는 물기가 메쉬 벨트부(186)의 하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순대가 고르게 가열되고, 순대에 적절한 양의 물기가 함유될 수 있다.
가열 챔버부(181)에서 배출되는 순대는 트레이(191)에 담겨진다. 트레이(191)는 픽업 로봇에 의해 순대 스태커(190)에 적층된다. 순대 스태커(190)에 순대가 모두 적층되면, 순대 스태커(190)를 이동시켜 순대를 저장고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순대가 일련의 장치들에 의해 제조되므로, 순대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순대소를 만드는 공정과, 순대소를 내장에 채우는 공정, 순대소를 가열하는 공정 등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므로, 순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순대가 제조되는 공정이 자동화됨에 따라 순대의 품질이 안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1: 야채세척장치 113: 고기분쇄장치
115: 선지공급장치 120: 내장 세척장치
121: 세척수 배관 122: 세척 노즐부
123: 분사 노즐 123a: 분사공
124: 브러시 125: 회수 컨테이너
130: 교반장치 131: 지지대
132: 컨트롤 박스 133: 공급 컨테이너
133a: 가이드부 134: 결합 홀더
135: 배출용 구동부 136: 포크부
136a: 구속 클램프 136b: 힌지부
137: 실린더 장치 141: 교반 컨테이너
143: 교반기 144: 교반축
145: 교반 블레이드 146: 교반용 구동부
146a: 교반용 모터 146c: 벨트
150: 회전 구동부 151: 제1 기어부
152: 제2 기어부 153: 회전 로드
154: 회전휠 160: 순대소 이송장치
161: 호퍼 163: 이송 통로부
165: 이송 오거 167: 이송 구동부
170: 순대소 주입장치 171: 주입기
175: 순대 주입부 176: 주입 노즐
178: 주입 튜브 180: 순대 가열장치
181: 가열 챔버부 182: 본체
183: 도어부 185: 컨베이어
186: 메쉬 벨트부 187: 컨베이어 구동부
189: 가열부 190: 순대 스태커
191: 트레이 193: 브라켓

Claims (13)

  1. 투입된 순대 재료를 교반하여 순대소를 제조하는 교반장치;
    상기 교반장치에서 순대소가 공급되고, 순대소를 이송하는 순대소 이송장치;
    상기 순대소 이송장치에서 이송된 순대소가 공급되고, 내장이 끼워진 주입 튜브가 결합되도록 순대소 주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 튜브가 상기 순대소 주입부에 결합되어 순대소가 내장에 주입되게 하는 순대소 주입장치; 및
    상기 순대소 주입장치에서 제조된 순대를 이송시키면서 가열하는 순대 가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순대 가열장치는,
    가열 분위기를 형성하는 가열 챔버부;
    상기 가열 챔버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순대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및
    상기 가열 챔버부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가열 챔버부에 무한궤도로 운행되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메쉬가 형성되어 상기 메쉬의 상측과 하측을 통해 공기와 습기가 통과하고, 순대에서 흘러 내린 물기를 배출되게 하는 메쉬 벨트부; 및
    상기 메쉬 벨트부를 무한궤도로 운행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장치는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순대 재료가 수용되는 공급 컨테이너; 및
    상기 공급 컨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 컨테이너를 회전시켜 상기 공급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순대 재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용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용 구동부는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급 컨테이너가 구속되는 포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부에는 상기 공급 컨테이너의 결합 홀더에 결합되도록 구속 클램프가 형성되고,
    상기 구속 클램프는 상기 결합 홀더를 구속하여 상기 공급 컨테이너가 상기 포크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순대소 주입장치는,
    상기 순대소 이송장치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주입 컨테이너;
    상기 주입 컨테이너에 연결되는 주입기; 및
    상기 주입기에 연결되고, 상기 주입기에 의해 이송되는 순대소가 배출되고, 상기 주입 튜브가 결합되는 순대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대 주입부는 상기 주입 튜브가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주입 튜브가 끼워지는 주입 노즐을 포함하고,
    내장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내장을 세척하는 내장 세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장 세척장치는,
    세척수가 공급되고, 내장이 끼워지는 세척 노즐부; 및
    상기 세척 노즐부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회수하는 회수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 노즐부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배관;
    상기 세척수 배관의 단부에 결합되고, 내장이 끼워지고, 반경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외측면에 복수의 분사공이 형성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분사 노즐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제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는,
    상기 공급 컨테이너에서 배출되는 순대 재료가 유입되는 교반 컨테이너;
    상기 교반 컨테이너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기; 및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교반기에 연결되는 교반용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제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컨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교반 컨테이너를 회전시켜 상기 교반 컨테이너에서 제조된 순대소를 상기 순대소 이송장치에 공급하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제조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교반 컨테이너에 고정되는 제1 기어부;
    상기 제1 기어부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제2 기어부;
    상기 제2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로드; 및
    상기 회전 로드에 연결되는 회전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제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용 구동부는,
    상기 포크부와 상기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고, 신장됨에 따라 상기 포크부를 회전시켜 상기 공급 컨테이너를 뒤집어주는 실린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제조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순대소 이송장치는.
    상기 교반 컨테이너에서 배출되는 순대소가 유입되도록 상기 교반 컨테이너의 하측에 배치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연결되는 이송 통로부;
    상기 이송 통로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순대소 주입장치로 순대소를 이동시키는 이송 오거; 및
    상기 이송 오거를 회전시키는 이송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제조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 챔버부에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제조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078445A 2014-06-25 2014-06-25 순대 제조 장치 KR101658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445A KR101658220B1 (ko) 2014-06-25 2014-06-25 순대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445A KR101658220B1 (ko) 2014-06-25 2014-06-25 순대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726A KR20160007726A (ko) 2016-01-21
KR101658220B1 true KR101658220B1 (ko) 2016-09-22

Family

ID=5530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445A KR101658220B1 (ko) 2014-06-25 2014-06-25 순대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2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922B1 (ko) 2019-09-17 2019-11-14 김현수 조리용기의 세척이 가능한 포장용 순대국 제조장치
KR20210041289A (ko) 2019-10-07 2021-04-15 김현수 퓨전 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998B1 (ko) * 2019-10-02 2022-05-26 신영환 오징어 순대 성형장치
KR102495461B1 (ko) * 2022-07-11 2023-02-06 임재란 순대소 배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340B1 (ko) * 2004-01-06 2005-01-03 (주)병천아우내식품 야채순대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817Y1 (ko) * 1983-04-08 1984-09-25 정상택 순대속 주입기
KR20100009922U (ko) * 2009-04-01 2010-10-11 이시정 식재료 혼합기의 ‘모터·감속장치 일체형 혼합 통’
KR101063055B1 (ko) * 2009-10-01 2011-09-07 유은호 내장 자동세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340B1 (ko) * 2004-01-06 2005-01-03 (주)병천아우내식품 야채순대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922B1 (ko) 2019-09-17 2019-11-14 김현수 조리용기의 세척이 가능한 포장용 순대국 제조장치
KR20210041289A (ko) 2019-10-07 2021-04-15 김현수 퓨전 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726A (ko)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220B1 (ko) 순대 제조 장치
CN206150132U (zh) 一种喂料器
KR101545165B1 (ko)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KR101904650B1 (ko) 패각류 자동 세척장치
KR101557047B1 (ko)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CN107432250A (zh) 一种多功能牛食槽
CN210854049U (zh) 一种豆沙生产用的上料传送带
JP2013236591A (ja) 茶葉給葉兼予備洗浄機
JP3191016B2 (ja) 容器入り絹ごし豆腐の製造装置
KR101698247B1 (ko)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KR102209312B1 (ko)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KR20100094698A (ko) 가래떡 성형장치
JP5258730B2 (ja) 原料肉のマッサージ装置及び定量供給装置並びにマッサージ脱泡システム
KR101331102B1 (ko) 자동 사료 찜장치 및 그 수행방법
CN113118105B (zh) 一种可防止堵塞的中药材初加工装置
CN107520899A (zh) 一种紧凑式食品切片机
CN209628573U (zh) 一种牛排注料机
KR20140058822A (ko) 떡 주정장치
CN106489765A (zh) 肉兔饲养集中投料系统
CN112772774A (zh) 一种宠物罐头提取系统及制作方法
JP2005334546A (ja) 分包機における振動フィーダーの掃除装置
KR101589810B1 (ko) 두부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01293447A (ja) 容器の洗浄・水切り・乾燥装置
KR101548665B1 (ko) 수하식 양식굴의 가공장치
JP4359305B2 (ja) 魚類鼻軟骨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