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461B1 - 순대소 배합장치 - Google Patents
순대소 배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5461B1 KR102495461B1 KR1020220084808A KR20220084808A KR102495461B1 KR 102495461 B1 KR102495461 B1 KR 102495461B1 KR 1020220084808 A KR1020220084808 A KR 1020220084808A KR 20220084808 A KR20220084808 A KR 20220084808A KR 102495461 B1 KR102495461 B1 KR 1024954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ndaeso
- unit
- mixing
- blending
- protru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39 cover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9 floc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6615 floc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91564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47437 Ger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2—Agglomeration or granulation with pulverisation of solid particles, e.g. in a free-falling curta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5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elements, materials or mechanical properties
- B01F27/053—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elements, materials or mechan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4—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having two or more mixing elements being concentrically mounted on the same sh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7—Stirrers with additional elements mounted on the stirrer, for purposes other than mixing
- B01F27/172—Stirrers with additional elements mounted on the stirrer, for purposes other than mixing for cutting, e.g. with kn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6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about an inclined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순대소를 분쇄하는 부분과 사용자의 손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순대소 배합장치를 개시한다.
순대소 배합장치는 순대소들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주기 위한 순대소 배합장치로서, 순대소들이 유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부, 응집 매개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주입부, 회전 가능하게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하우징부의 양단부로 연장 중심축과 중심축의 외주면에 돌출되고 복수개로 마련되며 중심축의 연장방향으로 이격되는 돌출바를 구비하는 구동부, 순대소들을 서로 섞어주고 순대소들과 응집 매개체를 혼합시킬 수 있도록 순대소들에 접촉 가능한 면적을 가지고 중심축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복수의 돌출바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배합부 및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배합부를 통해 배합된 순대소들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배합부는 돌출바에 교차하도록 연장되며 중심축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배합부재를 포함한다. 배합부재는 그 외각측부에 돌출되고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그 단부가 라운드진 보호패드를 포함한다.
순대소 배합장치는 순대소들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주기 위한 순대소 배합장치로서, 순대소들이 유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부, 응집 매개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주입부, 회전 가능하게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하우징부의 양단부로 연장 중심축과 중심축의 외주면에 돌출되고 복수개로 마련되며 중심축의 연장방향으로 이격되는 돌출바를 구비하는 구동부, 순대소들을 서로 섞어주고 순대소들과 응집 매개체를 혼합시킬 수 있도록 순대소들에 접촉 가능한 면적을 가지고 중심축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복수의 돌출바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배합부 및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배합부를 통해 배합된 순대소들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배합부는 돌출바에 교차하도록 연장되며 중심축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배합부재를 포함한다. 배합부재는 그 외각측부에 돌출되고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그 단부가 라운드진 보호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순대소 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대소 배합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순대소 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대는 소나 돼지의 창자 속에 여러 가지 재료를 넣은 후 삶거나 쪄서 익힌 음식으로 돼지 창자를 이용하여 만드는 것이 보편적인데, 어류를 이용한 순대도 있다.이러한, 순대는 먼저, 창자를 뒤집어 깨끗이 씻어낸 후 소금으로 주물러 씻어 하룻밤 정도 물에 담가 놓는다. 이후, 찹쌀을 충분히 불려서 삶고, 숙주도 데쳐서 다지고 물기를 꼭 짠 후 찹쌀밥을 식혀서 준비한 채소를 섞고 갖은 양념을 한다. 이후, 돼지 창자를 건져 물기를 닦고 깔때기를 대고 준비한 순대소를 밀어 넣어 채우고 양쪽 끝을 실로 묶는다. 그리고, 끓는 물에 된장을 풀고 순대를 삶는데 30분 정도 지나면 대침으로 순대 곳곳에 침을 주고 계속 삶아 1시간 정도 지나면 꺼내 식혀서 둥글게 썰어서 양념 소금 또는 새우젓에 찍어 먹을 수 있다.
이때, 종래에는 순대소를 제작하기 위해, 각종 재료를 배합장치에 넣고 서로 섞어 주었다. 종래의 배합장치는 여러개의 날개들이 회전하며 순대소를 분쇄하고 섞어주었다. 하지만, 종래의 배합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즉, 배합장치가 순대소를 섞는 중에 사용자가 주변으로 비산된 순대소를 뒤적이기 위해 배합장치 내부로 손을 집어 넣는 경우 날개들에 사용자의 손이 베이는 문제가 있다.순대소 배합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순대 제작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순대소 배합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합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종 채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는 양파, 당근, 양배추 등과 같은 야채들을 섞어 순대 창자 속에 넣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채소를 준비하는 과정은 대부분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순대소를 분쇄하는 부분과 사용자의 손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순대소 배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순대소를 배합할 때, 분쇄되지 못한 순대소를 추가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순대소 배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순대소 배합장치는 순대소들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주기 위한 순대소 배합장치로서, 순대소들이 유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부; 응집 매개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주입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양단부로 연장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에 돌출되고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중심축의 연장방향으로 이격되는 돌출바를 구비하는 구동부; 순대소들을 서로 섞어주고, 순대소들과 응집 매개체를 혼합시킬 수 있도록, 순대소들에 접촉 가능한 면적을 가지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복수의 돌출바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배합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합부를 통해 배합된 순대소들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부는, 상기 돌출바에 교차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중심축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부재는, 그 외각측부에 돌출되고,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그 단부가 라운드진 보호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배합부는, 상기 배합부재와 상기 돌출바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그 양측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그 외각측 단부에 상기 보호패드가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그 돌출되는 길이가 상기 보호패드의 돌출되는 길이보다 짧으며 그 단부에 순대소를 절삭 가능한 절삭팁을 구비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돌출되는 길이가 점차 짧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배합부재는, 일 구동부에 결합된 배합부재가 타 구동부에 결합된 배합부재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배합부는, 상기 중심축의 연장방향으로 순대소들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심축의 연장방향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되고 일부가 상기 돌출바에 설치되는 위치변경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변경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되고, 기어 이를 구비하는 제1 위치변경체; 및 상기 제1 위치변경체와 치합되도록 기어 이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바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 위치변경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축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중심축에 연결되는 동력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순대소들의 양에 따라 상기 중심축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순대소들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기;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측정값을 비교하는 판단기; 및 상기 중심축를 가속시키거나 혹은 감속시킬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하로 관통되며 그 내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합부에서 배합된 순대소들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을 향하여 관통된 내부의 폭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부재는,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한 동력전달축; 및 상기 동력전달축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하측을 향하여 그 폭이 감소하며, 그 단부에 절단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분쇄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순대소를 섞어주는 배합부재가 회전할 때, 보호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손과 배합부재의 블레이드가 접촉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블레이드에 접촉하며 베이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순대소 배합시 순대소가 서로 잘 섞일 수 있도록 순대소를 분쇄시켜 섞어 줄 수 있다. 이에, 순대 배출시 배출구에서 순대소가 막히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며 순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순대소 배합시, 미처 분쇄되며 섞이지 못한 순대소들을 추가적으로 분쇄하여 섞어줄 수 있다. 이에, 순대소들이 모두 분쇄되어 섞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대소 배합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대소 배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대소 배합장치의 정면도, 상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합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출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대소 배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대소 배합장치의 정면도, 상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합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출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순대소를 배합할 수 있는 순대소 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순대소 배합장치는 순대소들을 분쇄하여 서로 섞이게 하고, 응집 매개체와 분쇄된 순대소들을 섞이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응집 매개체는 예컨대, 동물의 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 중, '전단'과 '후단'은 순대소 배합장치로 순대소가 유입되거나 혹은 배출되는 위치를 지칭하며, 순대소 배합장치에서 순대소가 유입되는 위치가 '전단'일 수 있고, 그 반대 위치가 '후단'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대소 배합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대소 배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대소 배합장치의 정면도, 상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합부의 분해사시도이고,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합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출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대소 배합장치의 개략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순대소 배합장치(100)로 순대소(d)를 공급하기 전에, 순대소(d)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기(10) 및 순대소 배합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순대소를 순대 외피(예컨대, 돼지 창자)에 주입하는 주입기(2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저장기(10)는 순대소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순대소(d)를 순대소 배합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저장기(10)는 저장기몸체(11), 공급라인(12) 및 로터리밸브(13)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기몸체(11)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순대소(d)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기몸체(11)는 호퍼(H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라인(12)은 저장기몸체(11)에서 상하로 연장되고, 내부가 관통되며, 저장기몸체(11)와 순대소 배합장치(1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공급라인(12)은 저장기몸체(11)에서 순대소 배합장치(100)로 순대소(d)를 이동시킬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로터리밸브(13)는 순대소 배합장치(100)로 유입되는 순대소(d)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로터리밸브(13)는 공급라인(12)에 설치되며, 공급라인(12)을 개방시키거나 혹은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로터리밸브(13)에 의해 순대소 배합장치(100)로 순대소(d)의 유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주입기(20)는 순대소 배합장치(100)에서 배출된 순대소를 순대 외피에 주입할 수 있다. 주입기(20)는 이동레일(21)과 주입체(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레일(21)은 순대소 배합장치(100)의 배출부(150)의 하부에 배치되며, 배출부(150)에서 배출된 순대소들을 주입체(2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주입체(22)는 순대 외피를 구비하며, 주입 노즐(미도시)를 통해 이동레일(21)을 통해 운반된 순대소를 순대 외피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이에, 순대가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대소 배합장치(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대소 배합장치(100)는 순대소(D)들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주기 위한 장치로서, 순대소(d)들이 유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111)을 갖는 하우징부(110), 응집 매개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주입부(120), 회전 가능하게 수용공간(111)에 배치되고 하우징부(110)의 양단부로 연장 중심축(131)과 중심축(131)의 외주면에 돌출되고 복수개로 마련되며 중심축(131)의 연장방향으로 이격되는 돌출바(132)를 구비하는 구동부(130), 순대소(d)들을 서로 섞어주고 순대소(d)들과 응집 매개체를 혼합시킬 수 있도록 순대소(d)들에 접촉 가능한 면적을 가지고 중심축(131)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복수의 돌출바(132)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배합부(140) 및 하우징부(110)에 설치되고 배합부(140)를 통해 배합된 순대소(d)들이 배출되는 배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순대소 배합장치(100)는 중심축(131)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중심축(131)에 연결되는 구동부(130) 및 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되는 순대소(d)들의 양에 따라 중심축(13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부(130)에 연결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순대소(d)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전단에서 후단을 향하는 방향(이하, 배출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그 내부에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는 수용공간(111)을 갖으며, 수용공간(111)으로 순대소(d)를 유입시킬 수 있다. 순대소(d)가 하우징부(110)의 전단측 개방된 상부를 통해 하우징부(110)의 상부에서 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될 수 있고, 수용공간(111)에서 응집 매개체와 혼합된 후 후술되는 배출부(150)를 통해 하우징부(110)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10)는 개방된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커버막(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막은 하우징부(110)의 일측벽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커버막이 하우징부(110)의 일측벽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수용공간(111)을 개방시키거나 혹은 폐쇄시킬 수 있다.
주입부(120)는 응집 매개체(예컨대, 동물의 피)를 하우징부(110)의 수용공간(111)으로 분사할 수 있다. 주입부(120)는 하우징부(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순대소(d)가 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된 후에, 주입부(120)가 응집 매개체를 순대소(d)에 직접 분사하므로, 응집 매개체를 순대소(d)와 효과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주입부(120)는 분사 노즐(121), 공급관(122) 및 밸브(123)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노즐(121)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순대소(d)의 배출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 노즐(121)은 단부에 복수의 홀들이 마련된 다공형 노즐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응집 매개체를 미립화시켜, 미립화된 응집 매개체를 순대소(d)에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다.
공급관(122)은 복수의 분사 노즐(121)과 응집 매개체가 저장되는 저장조(미도시)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공급관(122)은 응집 매개체를 분사 노즐(121)로 이동시킬 수 있는 통로일 수 있다. 이에, 저장조에 저장된 응집 매개체가 공급관(122)을 통과하여 분사 노즐(121)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공급관(122)은 분사 노즐(121)과 인접한 부분에 밸브(123)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123)는 공급관(122)의 개방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밸브(123)는 공급관(122)에서 분사 노즐(121)로 공급되는 응집 매개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밸브(123)를 조절하여, 복수의 분사 노즐(121) 중 하우징부(110)의 전단에 인접한 위치의 분사 노즐(121)들로 공급되는 응집 매개체의 양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12)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응집 매개체를 순대소(d)로 분사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배합부(140)를 지지하며, 배합부(14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구동부(130)는 배합부(140)가 하우징부(110)에 수용된 순대소(d)를 교반시킬 수 있도록, 배합부(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30)는 후술하는 동력부(160)에 연결되며, 후술하는 동력부(16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30)는 단수개로 마련되거나 혹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130)가 한쌍으로 마련되며, 교차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교차방향은 배출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0)는 중심축(131) 및 돌출바(13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축(131)은 회전 가능하게 수용공간(111)에 배치될 수 있다. 중심축(131)은 수용공간(111)을 따라 하우징부(110)의 양단부로 연장되며, 하우징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축(131)은 배출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돌출바(132)는 중심축(131)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바(132)는 중심축(131)의 외주면에서 수직하게 직교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바(132)는 중심축(131)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경방향은 배출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들일 수 있다.
한편, 하기에서는 돌출바(132) 및 배합부(140)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돌출바(132) 및 배합부(140)가 반경방향 중 하나인 상하방향(배출방향 및 교차방향에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바(132)이 세워져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돌출바(132) 및 배합부(140)는 중심축(131)에 의해 회전되며, 그 배치 방향은 바뀔 수 있다.
또한, 돌출바(132)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132a)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바(132)는 삽입홀(132a)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홀(132a)에는 후술하는 배합부(140)의 고정볼트(142c)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돌출바(132)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중심축(131)의 연장방향(상술한 배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돌출바(132)는 중심축(131)의 둘레를 따라 두쌍(즉, 총 4개)이 배치되고, 두쌍의 돌출바(132)들이 배출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며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합부(140)는 중심축(131)과 함께 회전하며, 순대소(d)와 응집 매개체를 혼합시킬 수 있다. 배합부(140)는 중심축(131)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돌출바(132)에 설치될 수 있다. 배합부(140)는 배합부재(141), 지지부재(142) 및 위치변경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배합부재(141)는 순대소(d)와 응집 매개체를 혼합시킬 수 있다. 배합부재(141)는 돌출바(132)에 교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배합부재(141)는 중심축(131)과 함께 회전하며 순대소(d)를 휘저어줄 수 있고, 순대소(d)들을 서로 혼합시킬 수 있다. 또한, 배합부재(141)는 중심축(131)과 함께 회전하며 순대소(d)를 휘저어줄 수 있고, 순대소(d)들을 주입부(120)에서 분산되는 응집 매개체와 혼합시킬 수 있다. 즉, 하우징부(110)에 수용된 순대소(d)들을 뒤적여주어 순대소(d)와 응집 매개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순대소(d)와 응집 매개체를 더 원활하게 접촉시켜, 순대소(d)들을 서로 섞어주고 순대소(d)들을 응집 매개체와 더 효과적으로 섞어줄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배합부재(141)는 베이스플레이트(141a), 블레이드(141b), 보호패드(141c) 및 복수의 홀(141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41a)는 순대소(d)들을 뒤적여 줄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41a)는 양측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플레이트(141a)는 패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배합부재(141)가 하우징부(110)에 수용된 순대소(d)들을 섞어줌에 있어서, 순대소(d)와의 마찰저항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며, 적재된 순대소(d)들을 휘저어줄 수 있다. 이에, 배합부재(141) 및 중심축(131)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160)의 작동 부하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41a)는 배출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플레이트(141a)의 연장방향이 배출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틀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141a)의 연장방향은 반경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베이스플레이트(141a)가 순대소(d)들을 섞어주면서, 동시에 섞인 순대소(d)들을 밀어내며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41a)가 순대소(d)들을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관하여 하기 위치변경부재(143)를 설명하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블레이드(141b)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그 단부에 순대소를 절삭 가능한 절삭팁을 구비할 수 있다. 블레이드(141b)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41b)의 단부가 상술한 절삭팁일 수 있다. 이에, 배합부재(141) 회전시, 블레이드(141b)가 순대소(d)들과 접촉하며 순대소(d)을 분쇄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41b)는 베이스플레이트(141a)에서 돌출되는 길이가 후술되는 보호패드(141c)의 돌출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손이 블레이드(141b)에 접촉하기 전 더 긴 보호패드(141c)에 먼저 접촉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블레이드(141b)에 접촉하며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보호패드(141c)를 설명하면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블레이드(141b)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41b)는 베이스플레이트(141a)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베이스플레이트(141a)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돌출되는 길이가 점차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41a)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을 다라, 후술되는 보호패드(141c) 및 복수의 블레이드(141b)가 사선으로 그 돌출되는 길이가 점점 짧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손이 회전하는 배합부재(141)에 접촉되더라고, 그 돌출되는 길이가 가장 긴 보호패드(141c)에 제일 먼저 접촉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블레이드(141b)에 접촉하며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패드(141c)는 그 외각측부에 돌출되고, 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할 경우, 소정 각도 틸팅되며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호패드(141c)는 그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할 경우, 피부에 상처를 가하지 못할 수 있다.
복수의 홀(141d)은 베이스플레이트(141a)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41a)의 전체 면적에 골고루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배합부재(141)와 순대소(d)들이 접촉할 때, 관통된 복수의 홀(141d)로 소정의 순대소(d)들이 통과하며, 배합부재(141)가 순대소(d)들로부터 받는 마찰저항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홀(141d)을 통해 블레이드(141b)를 통해 절삭된 순대소(d)들을 분쇄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홀(141d)은 베이스플레이트(141a)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블레이드(141b)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130)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쌍의 구동부(130) 중 일 구동부(130)에 결합된 배합부재(141)가 타 구동부(130)에 결합된 배합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일 구동부(130)에 결합된 배합부재(141)와 타 구동부(130)에 결합된 배합부재(141)가 서로 겹치지 않으며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순대소(d)들을 연속적으로 교반시켜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재(142)는 배합부재(141)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42)는 배합부재(141)와 돌출바(13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142)는 지지부재몸체(142a)와 고정볼트(142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몸체(142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팔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재몸체(142a)의 측면에 배합부재(141)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몸체(142a)는 배합부재(141)와 용접결합 혹은 볼팅체결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몸체(142a)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142b)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재몸체(142a)는 관통홀(142b)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관통홀(142b)에는 고정볼트(142c)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고정볼트(142c)는 지지부재몸체(142a)를 돌출바(132)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볼트(142c)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고정볼트(142c)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볼트(142c)가 지지부재몸체(142a)의 관통홀(142b) 및 돌출바(132)의 삽입홀(132a)에 차례로 나사 결합되며, 지지부재몸체(142a) 및 배합부재(141)를 돌출바(13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치변경부재(143)는 배출방향에 대한 배합부재(141)의 연장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위치변경부재(143)는 제1 위치변경체(143a) 및 제2 위치변경체(14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변경체(143a)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링형상으로 마련되며,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된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위치변경체(143a)의 홀로 지지부재몸체(142a)의 하부가 삽입되며, 제1 위치변경체(143a)가 지지부재몸체(142a)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변경체(143a)는 하면에 기어 이(143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위치변경체(143a)의 기어 이(143b)는 후술하는 제2 위치변경체(143c)의 기어 이(143d)에 치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변경체(143a)에서 기어 이(143b)들이 형성되는 각도는 예컨대,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제1 위치변경체(143a)의 둘레를 따라 10°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위치변경체(143c)는 제1 위치변경체(143a)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돌출바(13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위치변경체(143c)는 상면에 기어 이(143d)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위치변경체(143c)의 기어 이(143d)는 제1 위치변경체(143a)의 기어 이(143b)와 치합될 수 있도록, 제1 위치변경체(143a)의 기어 이(143b)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위치변경체(143c)의 기어 이(143d)들은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제2 위치변경체(143c)의 둘레를 따라 10°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위치변경체(143c)와 치합된 제1 위치변경체(143a)를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2 위치변경체(143c)의 기어 이(143d)와 제1 위치변경체(143a)의 기어 이(143b)가 서로 맞물리도록, 제1 위치변경체(143a)를 예컨대 10°씩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위치변경체(143a), 지지부재(142) 및 배합부재(141)가 함께 회전하며, 배출방향에 대한 배합부재(141)의 연장방향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배출방향에 대한 배합부재(141)의 연장방향의 각도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경우, 배합부재(141)를 1회 회전시켰을 때, 배합부재(141)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순대소(d)를 배출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즉, 순대소(d)의 이동속도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속도는 배출방향으로 순대소(d)가 이동하는 속도일 수 있다. 이에, 순대소(d)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즉 이동속도를 가속시켜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순대소(d)와 응집 매개체의 혼합 시간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순대소(d)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반면, 배출방향에 대한 배합부재(141)의 연장방향의 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경우, 배합부재(141)를 1회 회전시켰을 때, 배합부재(141)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순대소(d)를 배출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즉, 순대소(d)의 이동속도를 상대적으로 느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순대소(d)들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즉 이동속도를 감속시켜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순대소(d)들과 응집 매개체의 혼합 시간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장기(10)에는 다양한 종류의 순대소들이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순대소들은 응집 매개체와의 혼합되기까지의 시간이 서로 상이하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순대소들은 그 종류에 따라 서로 섞이는데까지 시간이 서로 상이하다. 이에, 저장기(10)에서 하우징부(110)로 유입되는 순대소(d)의 종류, 즉 응집률이 상이한 순대소들의 종류에 따라 이동속도를 달리하여, 순대소(d)들끼리 잘 섞이게 하고, 순대소(d)와 응집 매개체가 잘 혼합되게 할 수 있다.
배출부(150)는 하우징부(110)의 수용공간(111)에서 서로 섞인 순대소(d)들 및 응집 매개체와 혼합된 순대소(d)들을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150)는 배합부(140)를 통해 분쇄되지 못한 순대소(d)들을 추가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부(150)는 배출관(151) 및 분쇄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151)는 하우징부(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고, 하우징부(110)의 수용공간(111)과 연통될 수 있다. 배출관(151)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관통된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쇄부재(152)는 배출관(15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배출관(151)에서 순대소(d)들이 배출되기 전 순대소(d)들을 파쇄할 수 있다. 또한, 분쇄부재(152)는 모터(152a), 동력전달축(152b) 및 분쇄돌기(152c)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52a)는 하우징부(110)의 내벽체에 결합되며, 동력전달축(152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동력전달축(152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부가 모터(152a)에 결합되며 모터(152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분쇄돌기(152c)는 동력전달축(152b)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하측을 향하여 그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쇄돌기(152c)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나선형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배출관(151)으로 유입된 순대소(d)들이 분쇄돌기(152c)와 접촉하며 순차적으로 분쇄될 수 있다.
또한, 분쇄돌기(152c)는 그 단부에 절단 스크래퍼(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절단 스크래퍼는 분쇄돌기(152c)의 단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톱니가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절단 스크래퍼의 끝단은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절단 스크래퍼가 분쇄돌기(152c)와 함께 회전하며, 순대소(d)들을 더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동력부(160)는 중심축(131)에 연결되며, 중심축(131)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동력부(160)는 구동 모터(161) 및 동력전달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61)는 한쌍의 구동부(130)의 중심축(131) 중 어느 하나의 중심축(131)과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모터(161)는 토크를 조절하여 회전 구동력을 가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터(161)는 인버터 형식의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62)는 구동 모터(161)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중심축(131)에 전달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62)는 중심축(131)과 구동 모터(16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62)는 제1 전달기어(162a) 및 제2 전달기어(162b)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달기어(162a)와 제2 전달기어(162b)는 서로 치합되며, 각각 한쌍의 중심축(131)에 동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전달기어(162a)가 구동 모터(161)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하나의 중심축(131)을 회전시키고, 동시에 제2 전달기어(162b)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다른 하나의 중심축(1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동력부(160)와 연결되며, 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되는 순대소들의 양에 따라 중심축(13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공간(111)에 순대소(d)들이 과도하게 유입되면, 배합되며 배출부(150)로 이동하는 순대소(d)들의 흐름이 막힐 수 있다. 이 경우, 중심축(131)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제어부가 자전하는 중심축(131)의 회전 속도 또는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배합부재(14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순대소(d)들이 배출되기 전, 순대소(d)들끼리 서로 섞이게 하고 분사되는 응집 매개체와 원활하게 혼합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측정기, 판단기 및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기는 수용공간(111)을 형성하는 하우징부(110)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고, 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되는 순대소(d)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는 레이저 센서 혹은 유량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판단기는 측정기와 연결되며, 설정된 설정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순대소(d)의 유입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중심축(131)를 가속시키거나 감속시킬 수 있다. 즉, 제어기는 판단기 및 구동 모터(161)와 각각 연결되며, 판단기의 판단에 따라, 구동 모터(161)의 토크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순대소(d)가 수용공간(111)으로 과도하게 유입될 경우, 구동 모터(161)의 토크 값을 높여, 자전하는 중심축(131)의 회전 속도 또는 공전하는 배합부재(141)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순대소(d)들이 배합되며 배출부(150)로 이동하는 흐름이 끊기지 않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순대소 배합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순대소를 섞어주는 배합부재가 회전할 때, 보호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손과 배합부재의 블레이드가 접촉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블레이드에 접촉하며 베이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순대소 배합시 순대소가 서로 잘 섞일 수 있도록 순대소를 분쇄시켜 섞어 줄 수 있다. 이에, 순대 배출시 배출구에서 순대소가 막히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며 순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순대소 배합시, 미처 분쇄되며 섞이지 못한 순대소들을 추가적으로 분쇄하여 섞어줄 수 있다. 이에, 순대소들이 모두 분쇄되어 섞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순대소 배합장치 110: 하우징부
120: 주입부 130: 구동부
140: 배합부 150: 배출부
160: 동력부 d: 순대소
120: 주입부 130: 구동부
140: 배합부 150: 배출부
160: 동력부 d: 순대소
Claims (3)
- 순대소들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주기 위한 순대소 배합장치로서,
순대소들이 유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부;
응집 매개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주입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양단부로 연장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에 돌출되고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중심축의 연장방향으로 이격되는 돌출바를 구비하는 구동부;
순대소들을 서로 섞어주고, 순대소들과 응집 매개체를 혼합시킬 수 있도록, 순대소들에 접촉 가능한 면적을 가지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복수의 돌출바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배합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합부를 통해 배합된 순대소들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부는, 상기 돌출바에 교차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중심축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부재는, 그 외각측부에 돌출되고,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그 단부가 라운드진 보호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부는,
상기 배합부재와 상기 돌출바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그 양측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그 외각측 단부에 상기 보호패드가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그 돌출되는 길이가 상기 보호패드의 돌출되는 길이보다 짧으며 그 단부에 순대소를 절삭 가능한 절삭팁을 구비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각측에서 내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돌출되는 길이가 점차 짧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배합부재는, 일 구동부에 결합된 배합부재가 타 구동부에 결합된 배합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순대소 배합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합부는,
상기 중심축의 연장방향으로 순대소들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심축의 연장방향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되고 일부가 상기 돌출바에 설치되는 위치변경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변경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삽입되고, 기어 이를 구비하는 제1 위치변경체; 및
상기 제1 위치변경체와 치합되도록 기어 이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바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 위치변경체;를 포함하는 순대소 배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4808A KR102495461B1 (ko) | 2022-07-11 | 2022-07-11 | 순대소 배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4808A KR102495461B1 (ko) | 2022-07-11 | 2022-07-11 | 순대소 배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5461B1 true KR102495461B1 (ko) | 2023-02-06 |
Family
ID=8522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4808A KR102495461B1 (ko) | 2022-07-11 | 2022-07-11 | 순대소 배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546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850885A (zh) * | 2023-09-01 | 2023-10-10 | 山东东宇鸿翔装饰材料有限公司 | 一种油墨混合搅拌装置及其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5264A (ko) | 2004-10-22 | 2006-04-26 | (주)한국공간정보통신 | 노래방용 영상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업방법 |
KR20160007726A (ko) * | 2014-06-25 | 2016-01-21 | (주)퓨어시스템 | 순대 제조 장치 |
KR102066512B1 (ko) * | 2019-07-29 | 2020-01-15 | (주)미소담은 |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
KR20210039571A (ko) * | 2019-10-02 | 2021-04-12 | 신영환 | 오징어 순대 성형장치 |
-
2022
- 2022-07-11 KR KR1020220084808A patent/KR1024954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5264A (ko) | 2004-10-22 | 2006-04-26 | (주)한국공간정보통신 | 노래방용 영상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업방법 |
KR20160007726A (ko) * | 2014-06-25 | 2016-01-21 | (주)퓨어시스템 | 순대 제조 장치 |
KR102066512B1 (ko) * | 2019-07-29 | 2020-01-15 | (주)미소담은 |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
KR20210039571A (ko) * | 2019-10-02 | 2021-04-12 | 신영환 | 오징어 순대 성형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850885A (zh) * | 2023-09-01 | 2023-10-10 | 山东东宇鸿翔装饰材料有限公司 | 一种油墨混合搅拌装置及其方法 |
CN116850885B (zh) * | 2023-09-01 | 2023-10-31 | 山东东宇鸿翔装饰材料有限公司 | 一种油墨混合搅拌装置及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5461B1 (ko) | 순대소 배합장치 | |
EP1859715B1 (de) | Einrichtung zum selbsttätigen Auflösen von Instantpulver, insbesondere Milchpulver, in heissem Wasser und insbesondere zum Aufschäumen | |
EP2158138B1 (de) | Getränkezubereitungsgerät mit einer brüheinheit und einem mehrportionbehälter für pulverförmige getränkebasisstoffe | |
US3548903A (en) | Subdivided meat mixer and method | |
EP1492437B1 (en) | Mixing device for reconstituting dehydrated food particles | |
DE202007008814U1 (de) | Brüheinheit eines Getränkezubereitungsgerätes | |
ES2215910T3 (es) | Amasadora con dispositivo dosificador. | |
KR20120104144A (ko) | 음식물처리기용의 범용 커팅날과 액세서리 | |
PT2441362E (pt) | Peça de inserção misturadora para uma taça batedoramisturadora | |
CN207630320U (zh) | 一种功能色母生产线 | |
CN117679995A (zh) | 一种乳油混合工艺及混合装置 | |
CN112191178A (zh) | 一种口服液加工用混合装置 | |
KR101813864B1 (ko) | 양념혼합장치 | |
CN206825920U (zh) | 一种混合打印头式3d打印机 | |
CN206103786U (zh) | 一种姜茶物料搅拌釜 | |
CN207327455U (zh) | 一种注塑机用混炼器 | |
CN211865278U (zh) | 一种农产品农残检测辅助破碎存储装置 | |
CN206101436U (zh) | 一种揉面机 | |
CN108482722B (zh) | 一种基于罐体包装食品的加工包装设备及其方法 | |
CN113087361A (zh) | 一种抗膨胀污泥处理设备及工艺 | |
JPH07213214A (ja) | 麺生地用ミキサー及び麺生地のミキシング方法 | |
CN216538250U (zh) | 调味料自动配料装置 | |
CN107048973B (zh) | 一种榨汁杯装置 | |
RU227340U1 (ru) | Смеситель-измельчитель влажных кормов | |
CN108236340A (zh) | 一种改进型榨汁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