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864B1 - 양념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양념혼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3864B1 KR101813864B1 KR1020170082772A KR20170082772A KR101813864B1 KR 101813864 B1 KR101813864 B1 KR 101813864B1 KR 1020170082772 A KR1020170082772 A KR 1020170082772A KR 20170082772 A KR20170082772 A KR 20170082772A KR 101813864 B1 KR101813864 B1 KR 1018138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xing
- unit
- seasoning
- pair
- vess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 B01F9/00—
-
- B01F15/00253—
-
- B01F15/0254—
-
- B01F15/026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01—Control or regul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technique used
- B01F35/2209—Controlling the mixing process as a whole, i.e. involving a comple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the mixing process during the whole mixing cy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 B01F2215/001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념혼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혼합장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12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 사이에 위치되며, 내부에 각종 양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측면 양측에 상기 지지부(1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32)가 돌출되게 형성된 혼합용기(130)와, 상기 혼합용기(130) 내측에 설치되어 수용되는 양념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한 혼합부(140)와, 상기 혼합부(140)를 통해 액상의 양념을 공급하여 분말 형태의 양념과 혼합될 수 있도록 한 액상양념공급부(15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부(1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제1구동부(16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용기(1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제2구동부(170)와, 상기 혼합용기(130)의 측면 양측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16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혼합부(140) 내의 양념 배출을 도울 수 있도록 한 배출유닛(180) 및 상기 혼합부(140)와, 액상양념공급부(150), 제1,제2구동부(160,170) 및 배출유닛(18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컨트롤부(190)를 포함하는 양념혼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념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양념을 혼합하고 혼합된 양념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양념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와 다양한 조림 및 무침 종류의 식품을 대량 제조하는 공장 의 경우 이를 제조하기 위해 고추가루, 젓갈, 무채, 간장 등의 다양한 양념을 혼합한 후 메인이 되는 재료와 혼합된 양념을 버무리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각종 양념을 혼합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직접 수행할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등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각종 양념을 수 작업이 아닌 기계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양념혼합장치가 다수 형태로 개발되었다. 즉, 혼합 용기에 각종 양념을 공급한 후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축을 설치하여 교반축이 회전되면서 혼합 용기 내의 양념이 혼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양념혼합장치는 양념이 제대로 혼합되지 않아 일부 양념이 덩어리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혼합된 양념을 타 용기로 옮길 경우 별도의 바켓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퍼담아서 옮겨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즉, 양념의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부분별로 제조되는 식품의 맛이 달라지는 단점과 함께, 혼합된 용기를 타 용기로 옮기는 작업시 작업자가 바켓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옮겨야 함으로 작업이 불편하고 힘이 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양념혼합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념이 골고루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혼합용기에서 혼합된 양념을 타 용기로 옮길 경우 쉽고 간편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양념을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도록 한 양념혼합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념혼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혼합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며, 내부에 각종 양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측면 양측에 상기 지지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혼합용기와, 상기 혼합용기 내측에 설치되어 수용되는 양념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한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를 통해 액상의 양념을 공급하여 분말 형태의 양념과 혼합될 수 있도록 한 액상양념공급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제1구동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용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제2구동부와, 상기 혼합용기의 측면 양측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혼합부 내의 양념 배출을 도울 수 있도록 한 배출유닛 및 상기 혼합부와, 액상양념공급부, 제1,제2구동부 및 배출유닛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양념혼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회전을 통해 양념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한 혼합날개에 간장 액젓 등과 같은 액체류의 양념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말 상태의 양념과 골고루 혼합될 수 있으며, 또한, 양념을 혼합한 혼합용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혼합된 양념을 타 용기로 배출시킬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옮길 수 있 등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혼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혼합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혼합장치의 측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혼합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혼합장치의 측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양념혼합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김치나, 조림 및 무침 등의 식품을 대량으로 제조할 경우 필요한 양념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12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 사이에 위치되며, 내부에 각종 양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측면 양측에 상기 지지부(1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32)가 돌출되게 형성된 혼합용기(130)와, 상기 혼합용기(130) 내측에 설치되어 수용되는 양념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한 혼합부(140)와, 상기 혼합부(140)를 통해 액상의 양념을 공급하여 분말 형태의 양념과 혼합될 수 있도록 한 액상양념공급부(15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부(1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제1구동부(16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용기(1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제2구동부(170)와, 상기 혼합용기(130)의 측면 양측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16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혼합부(140) 내의 양념 배출을 도울 수 있도록 한 배출유닛(180) 및 상기 혼합부(140)와, 액상양념공급부(150), 제1,제2구동부(160,170) 및 배출유닛(18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컨트롤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지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지지부(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하부가 고정설치되되,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게 위치되는 되는 것으로, 제1지지부(122)와 제2지지부(124)로 구분되며, 상기 제1지지부(122)와 제2지지부(124) 사이에는 혼합용기(130)를 거치시키고 상기 혼합용기(130)가 지지부(120)에 거치된 채로 회전되는 바, 충분한 강도를 갖는 합금, 강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혼합용기(130)는 내부에 각종 양념이 투입되는 것으로, 혼합용기(130) 내부에서 각종 양념들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종 양념이란, 고추가루, 설탕, 간장 액젓, 고추장, 된장 등과 같은 음식에 필요한 성분들을 의미하며, 형태는 분말형, 파우더형, 과립형, 액상형 일 수 있다.
혼합용기(130)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양측에는 한 쌍의 지지부(120) 사이에 거치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3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혼합부(140)는 상기 혼합용기(130)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혼합용기(130)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기(132)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120) 내측에 양단이 각각 위치되는 혼합축(142)과, 상기 혼합축(142)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혼합날개(144)와, 상기 혼합축(142) 및 혼합날개(144)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상 양념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 분사노즐(14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축(142)은 혼합용기(13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혼합용기(130)에 형성된 결합돌기(13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일단은 제1지지부(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지지부(1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혼합축(142)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중공에는 액상의 양념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중공과 연통되게 복수개의 분사노즐(146)을 설치하여 상기 중공을 통해 공급되는 액상의 양념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사노즐(146)은 상기 혼합용기(130) 내에 수용되는 분말형, 파우더형, 과립형 등의 양념에 간장이나 액젓 등과 같은 액상의 양념을 첨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액상양념공급부(150)에서 공급되는 액상 양념을 분사하여 상기 혼합축(142)의 회전시 분말형태의 양념과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146)은 상기 혼합축(142) 외에 상기 혼합날개(144)에도 형성될 수 있다.
혼합날개(14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축(142)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혼합축(142)의 회전시 분말형태의 양념과 액체 형태의 양념을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혼합축(142)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3개의 혼합날개(14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혼합날개(144)는 상기 혼합축(142)의 중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혼합축(142)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 형태의 양념이 분사될 수 있게 상기 혼합축(142)과 마찬가지로 분사노즐(146)이 설치된다.
여기서, 혼합축(142)에 설치되는 3개의 혼합날개(144)는 혼합축(142)의 원주방향을 따라 120˚각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혼합축(142)의 회전시 혼합되는 양념을 혼합용기(130)의 좌우측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면상 혼합용기(130)의 우측방향으로 양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제1혼합날개(144a)와, 혼합용기(130)의 좌측방향으로 양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제2혼합날개(144b) 및 양념을 혼합용기(130)의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제3혼합날개(144c)로 이루어진다.
즉, 제1혼합날개(144a)는 도면상 혼합축(142)의 좌측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혼합날개(144b)는 도면상 혼합축(142)의 우측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3혼합날개(144c)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혼합되는 양념이 좌우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액상양념공급부(150)는 혼합부(140)의 혼합축(142)과 혼합날개(144)에 액상의 양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제2지지부(124) 내에 양념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보관용기(152)가 설치되고 상기 보관용기(152)의 일측에 액상의 양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호퍼(154)가 마련된다.
상기 보관용기(152) 내에는 각종 액상의 양념이 보관될 수 있다.
제1구동부(160)는 제1지지부(122) 내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부(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전원이 인가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162)와, 상기 구동모터(162)의 구동에 따라 혼합부(140)의 혼합축(14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벨트(16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지지부(122)의 내측에 구동모터(162)를 설치하고, 상기 혼합축(142)의 일단에 벨트풀리를 설치한 후 벨트(163)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62)와 혼합축(142)의 벨트풀리를 연결함으로써 구동모터(162)의 구동에 따라 상기 혼합축(142)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모터(162)와 혼합축(142)을 벨트(164)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체인이나 니들기어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62)와 혼합축(142)을 연결할 수도 있다.
제2구동부(170)는 상기 제2지지부(124) 내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용기(1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172)와, 상기 구동모터(172)의 구동에 따라 혼합용기(1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벨트(17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지지부(124)의 내측에 구동모터(172)를 설치하고, 상기 혼합용기(130)의 측면에 마련된 결합돌기(132)에 벨트풀리를 설치한 후 벨트(174)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72)와 혼합용기(130)의 벨트풀리를 연결함으로써, 구동모터(172)의 구동에 따라 상기 혼합용기(130)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부(160)는 상기 혼합축(142)을 회전시켜 분말양념과 액상의 양념을 혼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구동부(170)는 제1구동부(160)에 의해 혼합된 양념을 혼합용기(130)에서 배출하고자 할 경우, 혼합용기(130)를 회전시켜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혼합된 양념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쉽고 간편하게 혼합용기(130) 내의 양념을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혼합용기(130) 내의 혼합양념을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유닛(180)이 설치된다.
배출유닛(180)은 제2구동부(170)의 구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혼합용기(130) 내에서 양념의 배출을 도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혼합용기(130)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181)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어느 하나는 상기 모터(18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혼합용기(13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엑츄에이터(182)와, 상기 한 쌍의 엑츄에이터(182) 중 어느 하나에 고정결합되는 배출모터(183)와, 일단은 상기 배출모터(183)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엑츄에이터(18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84)과, 상기 회전축(184)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배출브러쉬(186)가 마련된 배출부재(185) 및 상기 혼합용기(130)의 전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재(185)를 하부에서 받쳐줄 수 있도록 한 브러쉬받침부재(18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혼합부(140)에 의해 양념이 혼합되면 상기 제2구동부(170)에 의해 혼합용기(130)가 전면측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후 배출유닛(180)이 구동되게 되는데, 우선, 모터(181)가 구동되면서 한 쌍의 엑츄에이터(182)를 회전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재(185)를 혼합용기(130)의 측면에서 혼합용기(130)의 상면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후, 배출부재(185)가 혼합용기(130)의 상측에 위치되면 엑츄에이터(182)를 구동시켜 배출부재(185)가 혼합용기(130)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한 다음, 배출모터(183)를 구동시켜 회전축(184)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배출부재(185)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배출브러쉬(186)가 회전되면서 상기 혼합용기(130) 내의 양념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양념의 배출이 완료되면 배출모터(183)의 구동을 멈추고, 엑츄에이터(182)를 신장시켜 혼합용기(130) 외부로 배출부재(185)가 위치되도록 한 다음 모터(181)를 회전시켜 배출부재(185)가 상기 브러쉬받침부재(187)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컨트롤부(190)는 상술한 혼합부(140)와, 액상양념공급부(150), 제1제2구동부(160,170) 및 배출유닛(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액상양념공급부(150)에서 공급되는 액상양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상기 컨트롤부(190)를 이용하여 혼합부(140)가 구동되는 시간 및 회전되는 속도 그리고, 액상양념이 공급되는 양 등을 셋팅할 수 있으며, 제2구동부(170)를 구동시켜 혼합용기(1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배출유닛(180)을 구동시켜 혼합용기(130) 내의 혼합된 양념을 보다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유닛(180)을 통해 혼합용기(130) 내의 혼합양념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수 있다. 또한, 혼합축(142)과 혼합날개(144)에 복수개의 분사노즐(146)을 설치한 후 상기 분사노즐(146)을 통해 액상의 양념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혼합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혼합양념장치 110 : 베이스
120 : 지지부 122 : 제1지지부
124 : 제2지지부 130 : 혼합용기
132 : 결합돌기 140 : 혼합부
142 : 혼합축 144 : 혼합날개
144a : 제1혼합날개 144b : 제2혼합날개
144c : 제3혼합날개 146 : 분사노즐
150 : 액상양념공급부 160 : 제1구동부
162 : 구동모터 164 : 벨트
170 : 제2구동부 172 : 구동모터
174 : 벨트 180 : 배출유닛
181 : 모터 182 : 엑츄에이터
183 : 배출모터 184 : 회전축
185 : 배출부재 186 : 배출브러쉬
187 : 브러쉬받침부재
190 : 컨트롤부
120 : 지지부 122 : 제1지지부
124 : 제2지지부 130 : 혼합용기
132 : 결합돌기 140 : 혼합부
142 : 혼합축 144 : 혼합날개
144a : 제1혼합날개 144b : 제2혼합날개
144c : 제3혼합날개 146 : 분사노즐
150 : 액상양념공급부 160 : 제1구동부
162 : 구동모터 164 : 벨트
170 : 제2구동부 172 : 구동모터
174 : 벨트 180 : 배출유닛
181 : 모터 182 : 엑츄에이터
183 : 배출모터 184 : 회전축
185 : 배출부재 186 : 배출브러쉬
187 : 브러쉬받침부재
190 : 컨트롤부
Claims (3)
-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12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 사이에 위치되며, 내부에 각종 양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측면 양측에 상기 지지부(1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32)가 돌출되게 형성된 혼합용기(130)와,
상기 혼합용기(130) 내측에 설치되어 수용되는 양념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한 혼합부(140)와,
상기 혼합부(140)를 통해 액상의 양념을 공급하여 분말 형태의 양념과 혼합될 수 있도록 한 액상양념공급부(15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부(1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제1구동부(16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용기(1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제2구동부(170)와,
상기 혼합용기(130)의 측면 양측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16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혼합부(140) 내의 양념 배출을 도울 수 있도록 한 배출유닛(180) 및
상기 혼합부(140)와, 액상양념공급부(150), 제1,제2구동부(160,170) 및 배출유닛(18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컨트롤부(190)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부(140)는
상기 혼합용기(130)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기(132)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120) 내측에 양단이 각각 위치되는 혼합축(142)과,
상기 혼합축(142)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혼합날개(144)와,
상기 혼합축(142) 및 혼합날개(144)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상 양념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 분사노즐(146)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혼합날개(144)는
혼합용기(130)의 우측방향으로 양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제1혼합날개(144a)와, 혼합용기(130)의 좌측방향으로 양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제2혼합날개(144b) 및 양념을 혼합용기(130)의 좌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제3혼합날개(144c)로 이루어진 양념혼합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2772A KR101813864B1 (ko) | 2017-06-29 | 2017-06-29 | 양념혼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2772A KR101813864B1 (ko) | 2017-06-29 | 2017-06-29 | 양념혼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3864B1 true KR101813864B1 (ko) | 2018-01-02 |
Family
ID=6100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2772A KR101813864B1 (ko) | 2017-06-29 | 2017-06-29 | 양념혼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386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4859B1 (ko) | 2019-06-07 | 2019-10-21 | 이군신 | 브리또 내용물 제조장치 |
KR200492267Y1 (ko) * | 2019-09-20 | 2020-09-08 | 박찬오 | 육류 염지 장치 |
-
2017
- 2017-06-29 KR KR1020170082772A patent/KR10181386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4859B1 (ko) | 2019-06-07 | 2019-10-21 | 이군신 | 브리또 내용물 제조장치 |
KR200492267Y1 (ko) * | 2019-09-20 | 2020-09-08 | 박찬오 | 육류 염지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3864B1 (ko) | 양념혼합장치 | |
WO2021129442A1 (zh) | 原料混合装置 | |
CN114938843B (zh) | 水煮面搅拌装置 | |
CN207837400U (zh) | 一种炒菜机调味料添加装置 | |
GB1459202A (en) | Apparatus for producing a homogenous mixture of two or more dry mixture ingredients and a liquid ingredient | |
CN105212789A (zh) | 用于手持式电动搅拌机的杆状附件 | |
CN110314604B (zh) | 一种用于酱卤食品生产的即时调配、分拣系统 | |
CN214317786U (zh) | 一种现调饮料机 | |
US20230083718A1 (en) | Stirring apparatus for foods | |
CN211299477U (zh) | 智能高效自动烹饪设备 | |
CN210675035U (zh) | 一种用于酱卤食品生产的即时调配、分拣系统 | |
KR102046595B1 (ko) | 접착제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충진장치 | |
JP4568909B2 (ja) | 菓子製造システム | |
EP2554051B1 (en) | Dough kneader machine and related method of making an alimentary dough | |
KR102300089B1 (ko) | 액상 물질 토출 장치 | |
US9854813B2 (en) | Rotor for alimentary dough kneader machines | |
KR100796322B1 (ko) | 튀김옷 도포장치 | |
CN207546342U (zh) | 一种农药助剂制备装置 | |
JP4012659B2 (ja) | 攪拌装置および攪拌方法 | |
CN208032357U (zh) | 一种制备高吸水性高韧性固化剂的搅拌釜 | |
JP6282177B2 (ja) | 調味料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味付け装置 | |
KR20140001513A (ko) | 교반장치 | |
US3944119A (en) | Feeding and mixing apparatus | |
CN207887084U (zh) | 一种食品生产混合装置 | |
CN215353263U (zh) | 辣椒搅拌装置及辣椒半成品加工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