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322B1 - 튀김옷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튀김옷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322B1
KR100796322B1 KR1020060123229A KR20060123229A KR100796322B1 KR 100796322 B1 KR100796322 B1 KR 100796322B1 KR 1020060123229 A KR1020060123229 A KR 1020060123229A KR 20060123229 A KR20060123229 A KR 20060123229A KR 100796322 B1 KR100796322 B1 KR 100796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ed
dough
nozzles
fry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관
안재욱
Original Assignee
이은관
안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관, 안재욱 filed Critical 이은관
Priority to KR1020060123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2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 A21C1/1425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for feeding in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4Discharg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옷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튀김재료를 맛있게 튀기기 위해 도포하는 튀김옷을 튀김재료에 균일하게 그리고 편리하게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한 튀김옷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튀김옷 도포장치는 일측에는 튀김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튀김재료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 원통 망이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튀김재료를 회전시킨 후 상기 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튀김재료에 튀김옷을 입힐 반죽물 및 튀김분말을 분사하는 노즐들과, 상기 노즐들로 상기 반죽물과 튀김분말이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튀김, 튀김재료, 튀김옷, 교반기, 계량부, 본체, 회전 원통 망

Description

튀김옷 도포장치{Automatic Batte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튀김옷 도포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튀김옷 도포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계량부와 이송부 및 교반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튀김옷 도포장치 101 : 튀김재료
110 : 계량부 111 : 튀김분말
120 : 교반기 121 : 반죽물
130 : 본체 140 : 원통 망
150 : 모터 160 : 이송부
161, 162, 163 : 배관
161s, 162s, 163s : 솔레노이드 밸브
165 : 노즐 167 : 압축기
본 발명은 튀김옷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죽물의 적정 배합비율로 편리하게 교반하며, 또한 튀김재료에 반죽물을 얇고 균일하게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튀김재료를 준비하고 준비된 튀김재료에 튀김옷을 입힌 후에 기름에 튀긴다.
이와 같이 튀김재료에 튀김옷을 입히는 이유는, 가열된 기름이 튀김옷과 직접적으로 접하여 튀겨짐으로써, 지방을 많이 함유하게 되어 맛을 증가시키며 더 바삭바삭하게 튀겨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완성된 튀김을 한 입 베었을 때에 혀와 먼저 접하는 튀김옷의 맛 때문에 튀김의 맛을 더욱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튀김옷을 입히기 위해서는, 우선 밀가루나 튀김가루와 물을 반죽한 반죽물을 만들고, 반죽물을 튀김재료에 균일하게 도포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반죽 통에 밀가루나 튀김가루를 넣고 물을 부어 반죽을 하고 여기에 집게로 튀김재료를 넣고 뒤척거려 튀김옷을 입힌 후 마른 밀가루나 마른 튀김가루를 덧입혀 튀김옷 입히는 것을 마무리하였다.
이와 같이 튀김옷 반죽 및 튀김옷 입히는 작업을 모두 사람의 힘과 감각에 의존하는 종래 기술은, 반죽의 점도 및 튀김옷 도포의 정도가 균일하지 않아 튀김의 맛이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튀김옷이 얇고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고 두껍거나 불균일하게 도포되어 튀김의 맛도 떨어지고 재료도 낭비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하고 반복적인 힘든 작업으로 인하여 오십견 및 만성근육통과 같은 직업병의 우려를 낳고 있으며, 통닭집과 같은 튀김을 주로 하는 업종은 인력을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튀김의 최상의 균일한 맛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죽물의 최적의 점도를 유지하기 위한 적정 배합비율을 결정한 후 편리하게 교반을 기계적으로 하며, 또한 튀김재료에 반죽물을 얇고 균일하게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한 튀김옷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튀김옷 도포장치는 일측에는 튀김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튀김재료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 원통 망이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튀김재료를 회전시킨 후 상기 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튀김재료에 튀김옷을 입힐 반죽물 및 튀김분말을 분사하는 노즐들과, 상기 노즐들로 상기 반죽물과 튀김분말이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튀김옷 도포장치에는 상기 반죽물의 재료를 계량하는 계량부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튀김옷 도포장치에는 상기 계량부에서 계량된 재료들을 교반하여 상기 반죽물을 제조하는 교반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계량부에서 상기 노즐들 중 일부의 노즐로 연장된 제1 배관과, 상기 교반기에서 상기 노즐들 중 일부의 노즐로 연장된 제2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과 제2 배관에 연결되어 압축기에서 발생한 압축공기를 제1, 제2 배관을 송풍하는 제3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각 배관에는 밸브가 장착되어 각 배관의 개도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원통 망은 상기 튀김재료보다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에는 날개가 나사현의 형태로 장착되며, 상기 회전 원통망의 중심에 위치한 회전축에는 모터가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튀김옷 도포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튀김옷 도포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튀김옷 도포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계량부와 이송부 및 교반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튀김옷 도포장치(100)는, 크게 반죽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튀김분말과 물을 계량하는 계량부(110)와, 계량부(110)에서 계량된 튀김분말과 물을 교반하여 반죽물(121)을 만드는 교반기(120)와, 투입된 튀김재료에 반죽물(121)을 도포하고 회전시켜 도포량을 조절하며 반죽물(121)이 도포된 튀김재료에 튀김분말을 뿌린 후에 토출하는 본체(130) 및 교반기(120)에서 반죽된 반죽물(121) 또는 튀김분말(111)을 상기 본체(130) 내부로 이송하는 이송부(16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튀김옷 도포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30)는 일측에 튀김재료(101)를 투입하는 투입구(1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튀김재료(101)를 토출하는 토출구(133)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3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원통 망(140)이 위치하여 투입구(131)를 통해 투입된 튀김재료(101)를 수용하며, 원통 망(140)의 상부에는 반죽물(121)과 튀김분말(111)을 분사하는 노즐(165)들이 원통 망(14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튀김분말(111)이란, 밀가루 또는 튀김가루로서, 반죽물(121)이 도포된 튀김재료(101)에 튀김분말(111)을 뿌려 줌으로써, 도포된 반죽물(121)의 표면이 내부보다 점성이 높아져 반죽물(121)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튀김재료(101)를 튀기는 중에 그 모양이 변형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본체(130)의 투입구(131)에는 투입슈트(131s)가 장착되어 투입된 튀김재료(101)가 투입구(131)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토출구(133)에는 토출슈트(133s)가 장착되어 토출구(133)를 통해 배출된 튀김재료(101)가 토출슈트(133s)를 통해 배출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토출슈트(133s)는 기름통으로 연장된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으로 연장되어 토출된 튀김재료(101)를 기름통으로 이송한다.
한편, 원통 망(140)은 튀김재료(101)보다 작은 구멍(141)이 형성되며 원통 망(140)의 내부에는 날개(143)가 나사현 형태로 투입구(131) 쪽에 위치한 원통 망(140)의 일측에서 토출구(133) 쪽에 위치한 원통 망(140)의 타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원통 망(140)의 중심선을 따라 회전축(145)이 장착되며, 회전축(145)의 일단은 볼베어링(14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회전축(145)의 타단에는 체인기어(148)가 고정되며, 상기 체인기어(148)와 모터(150)의 회전축에 고정된 체인기어(151)를 체인(153)이 연결한다. 따라서 모터(150)가 구동하게 되면 원통 망(140)은 회전하게 되고, 원통 망(140) 내에 수용된 튀김재료(101)는 날개(143)를 따라 원통 망(1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부에서 회전한다. 이때 모터(150)의 구동방향 즉 모터(150)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튀김재료(101)는 원통 망(140)의 일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타측으로 이동한다. 튀김재료(101)가 계속해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결국 토출구(133)를 통해 본체(130) 밖으로 토출된다.
한편 계량부(110)는 전자저울(113)과, 상기 전자저울(113)에 올려진 계량 컵(115)과, 상기 계량 컵(115)을 향해 게이트가 형성된 호퍼(117) 및, 상기 호퍼(117)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1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계량부(110)는 반죽물(121)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 종류별로 형성될 수 있다. 재료마다의 적정 질량을 전자저울(113)에 입력하고, 솔레노이드 밸브(119)를 개방하여 호퍼(117)의 게이트를 개방하면 호퍼(117)에 저장된 재료가 계량 컵(115)에 쏟아지고, 쏟아진 재료의 무게는 전자저울(113)에 의해 계량된다. 전자저울(113)은 사용자가 입력한 적정 질량만큼 재료의 무게가 측정되면 솔레노이드 밸브(119)로 전기적신호를 입력하여 호퍼(117)의 게이트를 폐쇄한다. 이 와 같이 적정 질량만큼 계량 컵(115)에 담겨진 재료를 교반기(120)에 넣고 교반한다.
한편 반죽물(121)의 재료는 튀김재료(10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구체적은 재료의 종류 및 무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반죽물의 재료들 중에 튀김분말이 포함된다.
한편 교반기(120)에 쏟아진 반죽물(121)의 재료들은 교반되어 반죽물(121)로 제조된다. 여기에서 반죽물(121)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재료에 물을 첨가하여야 하는데, 호퍼(117)를 대신하여 물을 공급하는 호스(118)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면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기(120)에서 반죽된 반죽물(121)은 이송부(160)에 의해 본체(130) 내부에 설치된 노즐(165)로 이송된다.
이송부(160)는 교반기(120)에서 노즐(165)로 연장된 제1 배관(161)과, 튀김분말(111)이 담겨진 호퍼(117)에서 노즐(165)로 연장된 제2 배관(162)과, 압축기(167)에서 연장되어 제1 배관(161)과 제2 배관(162)이 합류된 지점에 연결된 제3 배관(163)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기(120)에서 연장된 제1 배관(161) 및 상기 호퍼(117)에서 연장된 제2 배관(162)에는 각각 솔레노이드밸브(161s, 162s)가 장착되어 각 배관(161, 162)의 개도를 조절한다.
여기에서 제1 배관(161)에 연결된 노즐(165)들과 제2 배관(162)에 연결된 노즐(165)들은 교번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송부(16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압축기(167)에서 압 축된 공기를 제3 배관(163)을 통해 송풍한다. 그러면 제3 배관(163)을 따라 이송된 공기는 제1 배관(161)과 제2 배관(162)을 따라 분할되어 이송된 후 결국 노즐(165)을 통해 본체(130) 내부로 배기된다. 이때 제1 배관(161)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161s)가 개방되면, 제1 배관(161)을 통해 이송된 공기에 의해 교반기(120)의 반죽물(121)이 배출되고, 제1 배관(161)을 통해 이송된 후, 노즐(165)을 통해 본체(130) 내부로 배출된다.
이에 반해, 제2 배관(162)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162s)가 개방되면, 제2 배관(162)을 통해 이송된 공기에 의해 호퍼(117)의 튀김분말(111)이 배출되고, 제2 배관(162)을 통해 이송된 후, 노즐(165)을 통해 본체(130) 내부로 배출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튀김옷 도포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반죽물(121) 제조에 필요한 재료의 질량을 전자저울(113)에 입력한다. 그러면 호퍼(117) 및 호스(118)에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119)가 개방되면서 계량 컵(115)들에 재료 및 물이 각각 저장되고, 재료 및 물이 입력된 질량과 같은 무게일 경우에 전자저울(113)에서는 각 솔레노이드 밸브(119)로 전기적신호를 보내 호퍼(117)의 게이트 및 호스(118)를 폐쇄한다.
적정량으로 계량 컵(115)에 담겨진 재료 및 물은 사용자가 교반기(120)에 넣고 교반기(120)를 작동시켜 교반하여 반죽물(121)을 만든다.
한편, 튀김재료(101)를 투입슈트(131s)에 넣으면, 튀김재료(101)는 투입슈트(131s)를 따라 투입구(131)를 통해 원통 망(140) 내부로 투입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모터(150)를 가동시켜 원통 망(14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송부(160)의 압축 기(167)를 작동한다. 그리고 제2 배관(162)의 솔레노이드 밸브(162s)를 폐쇄하고 제1 배관(161)의 솔레노이드 밸브(161s)를 개방하여 교반기(120)의 반죽물(121)을 노즐(165)을 통해 원통 망(140)으로 분사한다.
한편, 원통 망(140) 안에서 회전하는 튀김재료(101)를 상부에서 뿌려진 반죽물(121)에 의해 도포된다. 이때 원통 망(140)이 회전하기 때문에 튀김재료(101)에 뿌려진 반죽물(121)은 튀김재료(101)의 둘레에 균일하게 도포되기도 하며 회전에 의해 튀김재료(101)들끼리 부딪히면서 도포 두께는 얇게 균일하게 된다. 한편, 원심력에 의해 두텁게 도포된 반죽물(121)은 원통 망(140) 아래로 배출되고 배출된 반죽물(121)은 배출구(135)를 통해 배출된다.
원통 망(140)의 회전에 의해 튀김재료(101)가 반죽물(121)로 도포됨에 있어서 튀김재료(101)는 날개(143)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145)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일측으로 회전할 때 반죽물(121)이 튀김재료에 도포되도록 한다.
적당 두께로 반죽물(121)이 도포되면, 이번에는 제1 배관(161)의 솔레노이드 밸브(161s)를 폐쇄하고, 제2 배관(162)의 솔레노이드 밸브(162s)를 개방하여 튀김분말(111)이 노즐(165)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여 튀김분말(111)을 튀김재료(101)에 도포한다. 이때에서 모터(150)를 정회전하여 튀김재료(101)가 타측으로 이송되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적당량의 튀김분말(111)이 튀김재료(101)에 도포되면, 모터(150)를 역회전시켜 튀김재료(101)를 토출구(133)로 배출한다. 토출구(133)를 통해 배출 된 튀김재료(101)는 토출슈트(133s)를 통해 컨베이어밸트로 토출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튀김옷 도포장치는 튀김재료에 반죽물을 도포한 후에 원통 망 안에서 회전시켜 원심력으로 반죽물을 얇게 골고루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튀김의 맛을 좋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튀김재료의 량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튀김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튀김의 표준화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튀김옷 도포장치는 기계적인 힘으로 반죽물을 제조하고 튀김재료에 도포함으로써,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튀김옷 도포장치는 반복되는 동작으로 올 수 있는 직업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땀으로 인한 식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튀김옷 도포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삭제
  2. 일측에는 튀김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튀김재료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전 원통 망이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튀김재료를 상기 회전 원통 망 내에서 회전시킨 후 상기 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튀김재료에 튀김옷을 입힐 반죽물 및 튀김분말을 분사하는 노즐들과,
    상기 노즐들로 상기 반죽물과 튀김분말이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반죽물의 재료를 계량하는 계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옷 도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옷 도포장치에는 상기 계량부에서 계량된 재료들을 교반하여 상기 반죽물을 제조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옷 도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계량부에서 상기 노즐들 중 일부의 노즐로 연장된 제1 배관과,
    상기 교반기에서 상기 노즐들 중 일부의 노즐로 연장된 제2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과 제2 배관에 연결되어 압축기에서 발생한 압축공기를 제1, 제2 배관을 송풍하는 제3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들에는 밸브가 장착되어 각 배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옷 도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원통 망은 상기 튀김재료보다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에는 날개가 나사현의 형태로 장착되며, 상기 회전 원통망의 중심에 위치한 회전축에는 모터가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옷 도포장치.
KR1020060123229A 2006-12-06 2006-12-06 튀김옷 도포장치 KR100796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229A KR100796322B1 (ko) 2006-12-06 2006-12-06 튀김옷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229A KR100796322B1 (ko) 2006-12-06 2006-12-06 튀김옷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322B1 true KR100796322B1 (ko) 2008-01-21

Family

ID=3921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229A KR100796322B1 (ko) 2006-12-06 2006-12-06 튀김옷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3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624B1 (ko) 2012-09-19 2014-09-11 윤현준 자동화 반죽 드레싱 기기
KR102199336B1 (ko) * 2020-05-21 2021-01-06 강구철 명태 부각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명태 부각
KR20220036193A (ko) * 2020-09-15 2022-03-22 정우진 치킨 조리장치용 치킨 반죽 도포기
KR102484398B1 (ko) * 2021-07-08 2023-01-03 박태순 전 조리용 반죽 공급 시스템 및 반죽 탱크
KR20230009146A (ko) * 2021-07-08 2023-01-17 박태순 전 조리용 반죽 공급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8372A (ja) 1986-10-15 1988-04-28 Kyowa Hakko Kogyo Co Ltd 顆粒状食品の製法
US4977821A (en) 1989-01-13 1990-12-18 Heat And Control, Inc. Automatic stirring of batch fried food products
US5066505A (en) 1986-04-23 1991-11-19 Vos Fry Systems Australia Ltd. Cooking method and apparatus
KR940008612A (ko) * 1992-10-22 1994-05-16 미노다 가쓰스께 튀김식품에 가루를 입히는 방법 및 장치
JPH06189855A (ja) * 1992-12-28 1994-07-12 Osaka Fukuda Menki Yamada Shoji:Kk 食品連続炒め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6505A (en) 1986-04-23 1991-11-19 Vos Fry Systems Australia Ltd. Cooking method and apparatus
JPS6398372A (ja) 1986-10-15 1988-04-28 Kyowa Hakko Kogyo Co Ltd 顆粒状食品の製法
US4977821A (en) 1989-01-13 1990-12-18 Heat And Control, Inc. Automatic stirring of batch fried food products
KR940008612A (ko) * 1992-10-22 1994-05-16 미노다 가쓰스께 튀김식품에 가루를 입히는 방법 및 장치
JPH06189855A (ja) * 1992-12-28 1994-07-12 Osaka Fukuda Menki Yamada Shoji:Kk 食品連続炒め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624B1 (ko) 2012-09-19 2014-09-11 윤현준 자동화 반죽 드레싱 기기
KR102199336B1 (ko) * 2020-05-21 2021-01-06 강구철 명태 부각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명태 부각
KR20220036193A (ko) * 2020-09-15 2022-03-22 정우진 치킨 조리장치용 치킨 반죽 도포기
KR102481738B1 (ko) * 2020-09-15 2022-12-27 정우진 치킨 조리장치용 치킨 반죽 도포기
KR102484398B1 (ko) * 2021-07-08 2023-01-03 박태순 전 조리용 반죽 공급 시스템 및 반죽 탱크
KR20230009146A (ko) * 2021-07-08 2023-01-17 박태순 전 조리용 반죽 공급 시스템
KR102546215B1 (ko) * 2021-07-08 2023-06-21 박태순 전 조리용 반죽 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322B1 (ko) 튀김옷 도포장치
US8342117B2 (en) Coating apparatus
US3631818A (en) Pizza sauce apparatus
US6511541B2 (en) Powder applicator for particulate material coating
CN111758985B (zh) 一种裹粉机
CN210203287U (zh) 一种单筒的整机裹粉机
US4499561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ducing a dry material and liquid slurry
US5927186A (en) Food breading apparatus
JP2000507905A (ja) 自己移送及び急速移送又は掃除のための手段を有する乾燥固体の計量装置
US20030010217A1 (en) Dough mixer with metering device
WO2014048069A1 (zh) 一种全自动和面、制面条机
US3982033A (en) Process for coating pizza shells with sauce
JP4574698B2 (ja) 粉末食材付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米飯食品成形装置
CN208049878U (zh) 一种固态肥料混料装置
KR101852557B1 (ko) 한과 제조장치
CN110585953A (zh) 一种水产品饲料添加剂搅拌装置
RU2341777C2 (ru) Дозатор улучшителей муки тестомесильной машины
KR101878638B1 (ko) 종자 코팅 장치
CN215302643U (zh) 煎饼果子制作机
US20190082701A1 (en) Rice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CN216931668U (zh) 一种莲藕肉丸挤压成型机
CN109571767A (zh) 一种混凝土上料、配料、搅拌装置
CN211358662U (zh) 一种替米考星预混剂自动配料装置
JP2001258531A (ja) 食品への粉体まぶし装置
JP6352516B1 (ja) 攪拌型混合機と、これを用いた麺生地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