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512B1 -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512B1
KR102066512B1 KR1020190092027A KR20190092027A KR102066512B1 KR 102066512 B1 KR102066512 B1 KR 102066512B1 KR 1020190092027 A KR1020190092027 A KR 1020190092027A KR 20190092027 A KR20190092027 A KR 20190092027A KR 102066512 B1 KR102066512 B1 KR 10206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onveying
shaft
conveying conveyor
o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구
한희영
Original Assignee
(주)미소담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소담은 filed Critical (주)미소담은
Priority to KR1020190092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23L13/67Reformed meat products other than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1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6Articles and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갈비 육가공품을 네모난 형태에 근접하는 수제 떡갈비 형태로 재료를 성형할 수 있으며, 성형공정에서 연속적으로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떡갈비 재료를 정량 및 균일한 두께로 성형하기 위해 부위별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Grilled short rib patties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moulding the same}
본 발명은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떡갈비 육가공품을 네모난 형태에 근접하는 수제 떡갈비 형태로 재료를 성형할 수 있으며, 성형공정에서 연속적으로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떡갈비 재료를 정량 및 균일한 두께로 성형하기 위해 부위별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갈비와 같은 분쇄돈육 제품은 질감이 부드럽고 관능적인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육제품으로, 가정에서 접하기 쉽도록 냉동 육가공제품으로도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접근성이 높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육가공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근래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식습관이 서구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육가공품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첨가물들을 첨가하여 관능적 특성을 변화시켜 소비자들의 육가공제품 선택 폭을 넓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첨가물들의 무분별한 남용에 의해 소비자들은 육가공품을 소비하는데 있어 합성감미료, 보존료 등 다양한 첨가물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육가공업계 및 연구자들은 건강한 먹거리를 소비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특정 첨가물을 육가공제품에 첨가하여 해당 육가공품을 섭취하였을 때, 이로운 효과를 주는 “기능성 육가공품”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첨가물들은 제품의 영양적 측면에 있어 긍정적인 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관능적인 특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기능성 소재를 활용한 연구사례로, 솔잎과 녹차를 떡갈비에 첨가하였을 때 지방산패도와 휘발성 염기태질소 함량이 낮아졌으며, 총균수 측정결과 항균력이 있으며, 관능적 특성 또한 증진되었다고 보고되었다.
기존 떡갈비의 제조방법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0387호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등록일자 : 2014.07.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a) 원료육을 무즙에 1시간 담가두고, 2mm 내지 8mm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b) 가공식품을 0.4mm 내지 2.0mm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c) 양념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a)단계에서 세절된 육 및 (b)단계에서 세절된 가공식품을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양념 소스와 혼합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성형된 육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으로서, 상기 성형하는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성형방법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의 여러 모양으로 성형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형틀 내에 재료를 채우는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떡갈비의 제조방법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94203호 "떡갈비의 제조방법"(공개일자 : 2018.08.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돈육과 등지방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돈육, 등지방 및 빙수를 포함하는 주재료에, 아질산 피클염, 설탕, 마늘분말, 양파분말 및 흑미가루를 포함하는 부재료를 첨가 및 혼합하여 떡갈비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떡갈비 유화물을 가열한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 함량이 증가되고 지방 함량이 감소된 떡갈비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 성형방법에서는 분쇄된 떡갈비용 재료를 가열하기 전에 형태로 성형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성형공정은 호퍼로부터 낙하시키고 낙하된 재료를 균일한 두께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가공된 육가공품마다 균일한 중량과 두께를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떡갈비 성형기는 호퍼를 통해 낙하 공급되고 가압력에 의해 펴지도록 성형됨에 따라 원형 테두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존 네모 형태의 수제 떡갈비의 형태와는 외관상 차이가 있게 되어 소비자의 기호를 이끌어내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 기존 떡갈비 성형과정에서 연속적인 성형공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데, 네모난 형태의 떡갈비로 연속적으로 성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0387호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등록일자 : 2014.07.10)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94203호 "떡갈비의 제조방법"(공개일자 : 2018.08.23)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떡갈비 육가공품을 네모난 형태에 근접하는 수제 떡갈비 형태로 재료를 성형할 수 있으며, 성형공정에서 연속적으로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떡갈비 재료를 정량 및 균일한 두께로 성형하기 위해 부위별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쇄된 떡갈비용 재료가 채워지는 투입기와; 상기 투입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떡갈비용 재료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내부에 이송스크류축이 구비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단부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떡갈비용 재료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외측에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연결판과의 간극을 갖도록 연결되고, 상기 이송관 내의 떡갈비용 재료를 이송컨베이어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성형틀과;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칼날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칼날부재가 상기 간극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간극 내의 떡갈비용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기와; 상기 절단기의 칼날부재에 의해 절단된 떡갈비용 재료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궤도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인 일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이송컨베이어와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일측부위가 타측부위보다 높게 경사진 경사각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의 떡갈비용 재료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컨베이어의 경사각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대해 8~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성형틀의 전면 테두리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칼날부재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는 상기 성형틀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연결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성형틀을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돌부와, 상기 성형틀에 관통되고 상기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성형틀을 상기 연결판에 이격되게 결합시키는 연결볼트를 구비한다.
상기 절단기는 상기 칼날부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성형틀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보호커버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압컨베이어는 가압프레임의 일측부위에 마련된 피동축과, 상기 가압프레임의 타측부위에 마련된 구동축과, 상기 피동축과 구동축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 구동시 궤도회전되는 가압벨트와, 상기 피동축과 근접된 부위에 상기 가압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제1승강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프레임의 일측 부위 높이를 조절하는 제1지지축과, 상기 구동축과 근접된 부위에 상기 가압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제2승강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프레임의 타측부위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제1지지축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지지축과, 상기 제2지지축이 관통되는 가압프레임의 타측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각의 가변에 따른 상기 제2지지축의 횡방향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을 구비한다.
상기 투입기는 상측에 분쇄된 떡갈비용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호퍼가 마련되고, 하측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대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칼날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연동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회전방향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굴곡진 곡률로 연장되고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커팅부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하측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벨트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청소수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하측에 승강브라켓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청소작업시 상승동작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벨트가 접촉되는 브러쉬부재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프레임 전,후 양측에 결합되고, 브러쉬부재의 브러쉬축이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공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공의 상,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공의 단부 측에 상기 브러쉬부재의 브러쉬축이 안착되도록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된 승강브라켓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인 떡갈비 성형방법은 투입기 내부에 분쇄된 떡갈비용 재료를 투입하여 채우는 재료공급단계와; 상기 투입기의 내부와 연통된 이송관의 내부에 구비된 이송스크류축을 회전 구동시켜 상기 떡갈비용 재료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재료이송단계와; 상기 떡갈비용 재료가 이송관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관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판과 일정 간극 이격된 성형틀 사이의 간극 내에 칼날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떡갈비용 재료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절단된 떡갈비 재료를 이송컨베이어측으로 낙하시키는 절단단계;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측으로 공급된 떡갈비용 재료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 경사진 각도로 배치된 가압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 사이로 통과시키는 과정중에 상기 떡갈비용 재료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납작한 형태의 떡갈비 형태로 성형시킨 후에 떡갈비 제조를 위한 후속공정측으로 공급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컨베이어의 경사각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대해 8~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 원형 형태로 성형되는 떡갈비가 아닌 직사각형 형태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가압컨베이어의 경사각 조절로 떡갈비의 성형 두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절단기를 이용하여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떡갈비 성형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절단기와 연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가압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청소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청소수단의 청소전 상태와 청소상태일 때의 브러쉬부재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청소수단의 청소상태일 때를 나타낸 브러쉬부재와 이송벨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떡갈비 성형기에 의해 성형된 떡갈비용 재료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떡갈비 성형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떡갈비 성형기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분쇄된 떡갈비용 재료(10)가 채워지는 투입기(100)와; 상기 투입기(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떡갈비용 재료(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내부에 이송스크류축(250)이 구비된 이송관(200)과; 상기 이송관(200)의 단부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떡갈비용 재료(10)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연결판(300)과; 상기 연결판(300)의 외측에 연결수단(700)에 의해 상기 연결판(300)과의 간극(g)을 갖도록 연결되고, 상기 이송관(200) 내의 떡갈비용 재료(10)를 이송컨베이어(500)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355)이 형성된 성형틀(350)과; 구동모터(45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칼날부재(410)가 구비되며, 상기 칼날부재(410)가 상기 간극(g)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간극(g) 내의 떡갈비용 재료(10)를 절단하는 절단기(400)와; 상기 절단기(400)의 칼날부재(410)에 의해 절단된 떡갈비용 재료(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500);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궤도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방향인 일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와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일측부위가 타측부위보다 높게 경사진 경사각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500) 상의 떡갈비용 재료(10)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컨베이어(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투입기(100)는 상측에 분쇄된 떡갈비용 재료(10)가 투입되도록 투입호퍼(110)가 마련되고, 하측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대(120)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기(100)의 일측에는 내부가 측방향으로 연통되는 이송관(200)이 연결된다.
상기 이송관(200)의 내부에는 상기 투입기(100) 내부로부터 이송관(200)의 내부까지 수용되고, 이송모터(미도시)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투입기(100) 내에 채워진 떡갈비용 재료(10)를 이송관(200)의 내부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축(25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관(200)은 원통형 배관 형태로 구성되고, 일측 단부에 연결판(300)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판(300)의 중앙에는 상기 이송관(200)을 통해 이송된 떡갈비용 재료(10)를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중공(305)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판(300)의 외측에는 성형틀(350)이 연결수단(700)에 의해 일정 간격 이격된 간극(g)을 갖도록 배치된다.
상기 연결수단(700)은 상기 성형틀(350)의 전면 테두리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710)과, 상기 칼날부재(410)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는 상기 성형틀(350)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연결판(30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성형틀(350)을 상기 연결판(30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돌부(720)와, 상기 성형틀(350)에 관통되고 상기 체결공(710)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성형틀(350)을 상기 연결판(300)에 이격되게 결합시키는 연결볼트(730)로 구성된다.
상기 이격돌부(720)는 상기 칼날부재(410)의 회전시 칼날부재(410)와 간섭되지 않는 상기 성형틀(350)의 일측 테두리부위에 타측(연결판(300)측)을 향해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절단기(400)는 구동모터(450)와, 상기 구동모터(450)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연동회전되는 칼날부재(410), 및 보호커버(420)로 구성된다.
상기 칼날부재(410)는 상기 구동모터(450)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45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연동되는 몸체부(412)와, 상기 몸체부(412)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412)의 회전방향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굴곡진 곡률로 연장되고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커팅부(414)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하측에는 상기 칼날부재(410)의 회전으로 인한 떡갈비용 재료(10)의 컷팅 압력에 의해 상기 간극(g)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떡갈비용 재료(10)를 수집하도록 상부 내측면의 폭이 하부 내측면의 폭보다 더 큰 수집호퍼(9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호커버(420)는 상기 칼날부재(410)의 외측 및 상기 성형틀(35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칼날부재(410)의 회전시 작업자를 보호함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상기 간극(g)을 통해 떡갈비용 재료(10)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호커버(420)는 칼날부재(410)의 상측으로부터 성형틀(350)의 상측까지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압컨베이어(600)는 가압프레임(605)의 일측부위에 마련된 피동축(620)과, 상기 가압프레임(605)의 타측부위에 마련된 구동축(610)과, 상기 피동축(620)과 구동축(610)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610)의 회전 구동시 궤도회전되는 가압벨트(630)와, 상기 피동축(620)과 근접된 부위에 상기 가압프레임(605)을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제1승강핸들(6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프레임(605)의 일측 부위 높이를 조절하는 제1지지축(640)과, 상기 구동축(610)과 근접된 부위에 상기 가압프레임(605)을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제2승강핸들(6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프레임(605)의 타측부위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제1지지축(64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지지축(645)과, 상기 제2지지축(645)이 관통되는 가압프레임(605)의 타측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각의 가변에 따른 상기 제2지지축(645)의 횡방향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605a)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승강핸들(650)은 하측의 제1승강스크류(652)를 정,역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지지축(640)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2승강핸들(660)은 하측의 제2승강스크류(662)를 정,역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지지축(645)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가압컨베이어(600)는 상기 피동축(620)의 높이가 상기 구동축(61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각을 갖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압컨베이어(600)의 경사각은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에 대해 8~30˚인 것이다.
상기 경사각이 8˚미만일 경우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상측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떡갈비용 재료(10)에 과도한 가압력이 전달되고 이송속도가 저하되어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 경사각이 30˚초과시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상측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떡갈비용 재료(10)에 가압력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상기 가압컨베이어(600)의 설치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하측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벨트(510)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청소수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하측에 승강브라켓(85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청소작업시 상승동작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벨트(510)가 접촉되는 브러쉬부재(80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프레임(505) 전,후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브러쉬부재(800)의 브러쉬축(810)이 지지되는 승강브라켓(8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브라켓(850)은 상기 브러쉬부재(800)의 브러쉬축(810)이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공(85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공(852)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공(854)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공(852)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공(856)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공(854)의 단부 측에 상기 브러쉬부재(800)의 브러쉬축(810)이 안착되도록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85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청소수단은 평상시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부재(800)의 브러쉬축(810)이 제2연장공(856) 위치에 지지되어 상기 브러쉬부재(800)가 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벨트(510)와 접촉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청소수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500)과 가압컨베이어(6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떡갈비용 재료(10)측에 가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이송벨트(510)의 표면에 떡갈비용 재료(10)의 일부가 달라붙을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표면 청소를 수행할 경우에만 적용한다.
상기 청소수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청소를 위해 상기 제2연장공(856) 위치에 있던 브러쉬축(810)을 승강공(852)을 통해 상측으로 상승시키고, 도 5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축(810)을 상기 승강공(852)에서 제1연장공(854)의 내부로 수평이동시킨 후에 상기 안착홈(855) 내에 위치하도록 안착시킴에 따라 상기 브러쉬부재(800)의 브러쉬가 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벨트(510) 하측에 접촉되어 브러싱작업을 통해 이송벨트(510)를 청소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한 본 발명 떡갈비 성형방법은 투입기(100) 내에 분쇄된 떡갈비용 재료(10)를 투입하여 채우는 재료공급단계(S1)와; 상기 투입기(100)의 내부와 연통된 이송관(200)의 내부에 구비된 이송스크류축(250)을 회전 구동시켜 상기 떡갈비용 재료(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재료이송단계(S2)와; 상기 떡갈비용 재료(10)가 이송관(200)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관(200)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판(300)과 일정 간극(g) 이격된 성형틀(350) 사이의 간극(g) 내에 칼날부재(410)를 회전시켜 상기 떡갈비용 재료(1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절단된 떡갈비 재료를 이송컨베이어(500)측으로 낙하시키는 절단단계(S3);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측으로 공급된 떡갈비용 재료(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상측에 경사진 각도로 배치된 가압컨베이어(600)와 이송컨베이어(500) 사이로 통과시키는 과정중에 상기 떡갈비용 재료(10)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납작한 형태의 떡갈비 형태로 성형시킨 후에 떡갈비 제조를 위한 후속공정측으로 공급하는 성형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재료공급단계(S1)는 분쇄된 떡갈비용 재료(10)를 상측의 투입호퍼(110)를 통해 투입기(100)의 내부로 낙하시켜 투입기(100)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재료이송단계(S2)는 투입기(100)와 이송관(200)의 내부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스크류축(250)을 회전 구동시킴에 따라 투입기(100)의 내부에 충전된 떡갈비용 재료(10)를 이송관(200)을 통해 이송컨베이어(500)측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이송하게 된다.
상기 재료이송단계(S2)는 상기 이송관(200)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판(300)과 성형틀(350)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떡갈비용 재료(10)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 절단단계(S3)는 상기 연결판(300)과 성형틀(350) 사이의 간극(g)을 칼날부재(410)의 회전동작시 칼날부재(410)의 커팅부(414)가 통과하게 되면서 성형틀(350)의 배출공(355)을 통과하는 중인 떡갈비용 재료(1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 절단되는 떡갈비용 재료(10)의 길이 조절은 상기 구동모터(450)와 이송스크류축(25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연동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절단기(400)는 구동모터(450)에 의한 칼날부재(410)의 회전 속도에 따라 떡갈비용 재료(10)의 공급 정량이 조절되므로, 연속적인 공급과정에서 정량 공급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상기 성형단계(S4)는 상기 가압컨베이어(600)의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500)의 상측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떡갈비용 재료(10)측에 적정 가압력을 제공하여 납작한 형태의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떡갈비용 재료(10)의 두께 조절은 상기 가압컨베이어(600)의 일측과 타측 부위의 경사각을 조절함에 따라 가능해진다.
이후에, 상기 납작한 형태로 성형된 떡갈비용 재료(10)는 이송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된 후에, 후속 공정인 조리공정측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원형 형태로 성형되는 떡갈비가 아닌 직사각형 형태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가압컨베이어(600)의 경사각 조절로 떡갈비의 성형 두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절단기(400)를 이용하여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떡갈비용 재료 100 : 투입기
110 : 투입호퍼 120 : 받침대
200 : 이송관 250 : 이송스크류축
300 : 연결판 305 : 중공
350 : 성형틀 355 : 배출공
400 : 절단기 410 : 칼날부재
412 : 몸체부 414 : 커팅부
420 : 보호커버 450 : 구동모터
500 : 이송컨베이어 505 : 이송프레임
510 : 이송벨트 600 : 가압컨베이어
605 : 가압프레임 605a : 가이드공
610 : 구동축 620 : 피동축
630 : 가압벨트 640 : 제1지지축
645 : 제2지지축 650 : 제1승강핸들
652 : 제1승강스크류 660 : 제2승강핸들
662 : 제2승강스크류 700 : 연결수단
710 : 체결공 720 : 이격돌부
730 : 연결볼트 800 : 브러쉬부재
810 : 브러쉬축 850 : 승강브라켓
852 : 승강공 854 : 제1연장공
855 : 안착홈 856 : 제2연장공
910 : 수집호퍼

Claims (8)

  1. 분쇄된 떡갈비용 재료(10)가 채워지는 투입기(100)와;
    상기 투입기(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떡갈비용 재료(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내부에 이송스크류축(250)이 구비된 이송관(200)과;
    상기 이송관(200)의 단부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떡갈비용 재료(10)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연결판(300)과;
    상기 연결판(300)의 외측에 연결수단(700)에 의해 상기 연결판(300)과의 간극(g)을 갖도록 연결되고, 상기 이송관(200) 내의 떡갈비용 재료(10)를 이송컨베이어(500)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355)이 형성된 성형틀(350)과;
    구동모터(45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칼날부재(410)가 구비되며, 상기 칼날부재(410)가 상기 간극(g)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간극(g) 내의 떡갈비용 재료(10)를 절단하는 절단기(400)와;
    상기 절단기(400)의 칼날부재(410)에 의해 절단된 떡갈비용 재료(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500);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궤도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방향인 일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와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일측부위가 타측부위보다 높게 경사진 경사각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500) 상의 떡갈비용 재료(10)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컨베이어(600);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컨베이어(600)의 경사각은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에 대해 8~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갈비 성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700)은 상기 성형틀(350)의 전면 테두리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710)과,
    상기 칼날부재(410)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는 상기 성형틀(350)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연결판(30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성형틀(350)을 상기 연결판(30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돌부(720)와,
    상기 성형틀(350)에 관통되고 상기 체결공(710)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성형틀(350)을 상기 연결판(300)에 이격되게 결합시키는 연결볼트(7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갈비 성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400)는 상기 칼날부재(4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성형틀(350)의 상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보호커버(4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갈비 성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컨베이어(600)는 가압프레임(605)의 일측부위에 마련된 피동축(620)과,
    상기 가압프레임(605)의 타측부위에 마련된 구동축(610)과,
    상기 피동축(620)과 구동축(610)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610)의 회전 구동시 궤도회전되는 가압벨트(630)와,
    상기 피동축(620)과 근접된 부위에 상기 가압프레임(605)을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제1승강핸들(6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프레임(605)의 일측 부위 높이를 조절하는 제1지지축(640)과,
    상기 구동축(610)과 근접된 부위에 상기 가압프레임(605)을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제2승강핸들(6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프레임(605)의 타측부위 높이를 조절하며 상기 제1지지축(64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지지축(645)과,
    상기 제2지지축(645)이 관통되는 가압프레임(605)의 타측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각의 가변에 따른 상기 제2지지축(645)의 횡방향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605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갈비 성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기(100)는 상측에 분쇄된 떡갈비용 재료(10)가 투입되는 투입호퍼(110)가 마련되고, 하측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대(1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갈비 성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재(410)는 상기 구동모터(450)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45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연동되는 몸체부(412)와,
    상기 몸체부(412)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412)의 회전방향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굴곡진 곡률로 연장되고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커팅부(4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갈비 성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하측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벨트(510)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청소수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하측에 승강브라켓(85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청소작업시 상승동작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벨트(510)가 접촉되는 브러쉬부재(80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프레임(505) 전,후 양측에 결합되고, 브러쉬부재(800)의 브러쉬축(810)이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공(852)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공(852)의 상,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공(854)의 단부 측에 상기 브러쉬부재(800)의 브러쉬축(810)이 안착되도록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855)이 형성된 승강브라켓(8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갈비 성형기.
  8. 투입기(100) 내부에 분쇄된 떡갈비용 재료(10)를 투입하여 채우는 재료공급단계(S1)와;
    상기 투입기(100)의 내부와 연통된 이송관(200)의 내부에 구비된 이송스크류축(250)을 회전 구동시켜 상기 떡갈비용 재료(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재료이송단계(S2)와;
    상기 떡갈비용 재료(10)가 이송관(200)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관(200)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판(300)과 일정 간극(g) 이격된 성형틀(350) 사이의 간극(g) 내에 칼날부재(410)를 회전시켜 상기 떡갈비용 재료(1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절단된 떡갈비 재료를 이송컨베이어(500)측으로 낙하시키는 절단단계(S3);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측으로 공급된 떡갈비용 재료(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의 상측에 경사진 각도로 배치된 가압컨베이어(600)와 이송컨베이어(500) 사이로 통과시키는 과정중에 상기 떡갈비용 재료(10)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납작한 형태의 떡갈비 형태로 성형시킨 후에 떡갈비 제조를 위한 후속공정측으로 공급하는 성형단계(S4);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컨베이어(600)의 경사각은 상기 이송컨베이어(500)에 대해 8~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갈비 성형방법.
KR1020190092027A 2019-07-29 2019-07-29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KR10206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027A KR102066512B1 (ko) 2019-07-29 2019-07-29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027A KR102066512B1 (ko) 2019-07-29 2019-07-29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512B1 true KR102066512B1 (ko) 2020-01-15

Family

ID=6915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027A KR102066512B1 (ko) 2019-07-29 2019-07-29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5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6680A (zh) * 2020-12-07 2021-04-02 浏阳市甜厨食品有限公司 一种肥肠加工设备及工艺
KR20220106518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용 성형장치
KR102495461B1 (ko) * 2022-07-11 2023-02-06 임재란 순대소 배합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87B1 (ko) 2012-07-25 2014-07-16 박규완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1321A (ko) * 2015-06-26 2017-01-04 성민준 함박 스테이크 압출 성형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조된 함박 스테이크
KR101747886B1 (ko) * 2016-06-14 2017-06-16 방상봉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KR101866669B1 (ko) * 2016-12-21 2018-06-11 전판현 얇게 절단한 돈육 및 우육을 교대로 적층한 돈우육 떡갈비 및 그 제조장치
KR20180094203A (ko) 2017-02-14 2018-08-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떡갈비의 제조방법
KR20180135145A (ko) * 2017-06-09 2018-12-20 (주)건영제과 필름 피막 분리형 식품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87B1 (ko) 2012-07-25 2014-07-16 박규완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1321A (ko) * 2015-06-26 2017-01-04 성민준 함박 스테이크 압출 성형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조된 함박 스테이크
KR101747886B1 (ko) * 2016-06-14 2017-06-16 방상봉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KR101866669B1 (ko) * 2016-12-21 2018-06-11 전판현 얇게 절단한 돈육 및 우육을 교대로 적층한 돈우육 떡갈비 및 그 제조장치
KR20180094203A (ko) 2017-02-14 2018-08-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떡갈비의 제조방법
KR20180135145A (ko) * 2017-06-09 2018-12-20 (주)건영제과 필름 피막 분리형 식품 제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6680A (zh) * 2020-12-07 2021-04-02 浏阳市甜厨食品有限公司 一种肥肠加工设备及工艺
CN112586680B (zh) * 2020-12-07 2024-03-22 湖南顺餐食品有限公司 一种肥肠加工设备及工艺
KR20220106518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용 성형장치
KR102563600B1 (ko) * 2021-01-22 2023-08-07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용 성형장치
KR102495461B1 (ko) * 2022-07-11 2023-02-06 임재란 순대소 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512B1 (ko)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CN109601854B (zh) 一种面条自动生产系统
KR102082841B1 (ko) 떡볶이 핫도그의 제조방법
CN102960391B (zh) 一种酥韧双层饼生产设备及生产工艺
CN104172452B (zh) 云腿月饼全自动生产线
CN105851104A (zh) 一种注芯锥栗蛋糕生产装置及其方法
TW567042B (en) System and method for molding a snack chip
CN202958617U (zh) 一种酥韧双层饼生产设备
CN210538482U (zh) 一种包子饺子面条油条烧饼花卷自动制作售卖设备
CN211056686U (zh) 一种鱼罐头定量灌装装置
KR102093730B1 (ko) 또띠아용 반죽볼 성형기의 롤링 유니트
EP169563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hort pastry bakery products, particularly biscuits, having edible particulates
KR20000009635A (ko) 가래떡에 내부충진물을 주입한 떡볶이 제조방법 및 장치
CN218619285U (zh) 一种肉松加工平铺装置
CN110604143A (zh) 一种包合式仿手工饺子机
KR102665521B1 (ko) 면류 제조장치
KR101774972B1 (ko) 한과 제조용 팽화장치
KR101959984B1 (ko) 빵 반죽 굴림 성형장치
CN206462293U (zh) 一种适用于蛋糕生产的下料装置
CN106616336A (zh) 一种生产红薯锅巴的方法
KR100821632B1 (ko) 산채찐빵 자동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산채찐빵 제조방법
CN207564531U (zh) 豆苗切割机
CN108657774B (zh) 一种玉米调味机的整料装置
CN2647070Y (zh) 炸丸
CN215075063U (zh) 一种面包原料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