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518A - 식품용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식품용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518A
KR20220106518A KR1020210009506A KR20210009506A KR20220106518A KR 20220106518 A KR20220106518 A KR 20220106518A KR 1020210009506 A KR1020210009506 A KR 1020210009506A KR 20210009506 A KR20210009506 A KR 20210009506A KR 20220106518 A KR20220106518 A KR 20220106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lding
food
eleva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600B1 (ko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210009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6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용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부와, 지지부에 장착되고 식품을 이동시키는 하부성형부와, 하부성형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부성형부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식품을 가압하는 상부성형부와, 하부성형부와 상부성형부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두께를 갖는 식품 성형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용 성형장치{MOLDING DEVICE FOR FOOD}
본 발명은 식품용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기와 같은 육류를 이동시키면서 가압을 하여 두께를 일정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식품용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돈가스는 돈육 중의 등심이나 전지 및 후지를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부드럽게 연육하고, 밀가루반죽, 빵가루 및 양념류를 입힌 다음 기름에 튀겨 먹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돈가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돈육을 소정 크기로 절단한 후, 이를 연육용 망치로 두드려 고기의 표면에 흠집을 형성한 다음, 밀가루 반죽이나 빵가루, 양념 등이 고르게 침투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외식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그 소비량이 점차 증가됨에 따라 대량으로 돈가스를 제조하는 돈가스 제조장치가 제시되었다.
돈가스 제조장치는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원형육을 성형기를 통해 가압하여 성형육을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돈가스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성형기는 고압의 프레스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작동하는 과정에서 성형기의 표면에 고기가 부착되고, 고기가 정지된 후 가압에 의해 성형되므로 시간당 고기 성형 물량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754957호(2017.06.30. 등록, 발명의 명칭 : 돈가스용 고기 성형장치 및 돈가스용 고기 성형방법)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기와 같은 육류를 이동시키면서 가압을 하여 두께를 일정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식품용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성형장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식품을 이동시키는 하부성형부; 상기 하부성형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성형부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식품을 가압하는 상부성형부; 및 상기 하부성형부와 상기 상부성형부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 가능한 지지바퀴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지면과 접촉되어 상기 지지바퀴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지지스토퍼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성형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낙하되는 식품을 수거하는 지지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성형부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부; 상기 하부프레임부에 장착되고, 무한궤도 방식으로 식품을 이동시키는 하부이송부; 및 상기 하부이송부에 형성되고, 장력을 조절하는 하부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조절부는 상기 하부프레임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하부조절이동부; 상기 하부조절이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하부조절롤러부; 상기 하부조절이동부에 연결되는 하부조절연결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하부조절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하부조절연결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하부조절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성형부는 상기 하부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부이송부와 연동되어 식품을 안내하는 하부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하부성형부에 장착되는 간격조작부; 상기 하부성형부에 장착되고, 상기 간격조작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간격회전부; 및 상기 상부성형부에 장착되고, 상기 간격회전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간격회전부에 형성되는 회전홀부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면서 상하 이동 가능한 간격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하부성형부와 상기 상부성형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성형부와 상기 상부성형부의 간격을 식별 가능도록 표시하는 간격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삽입부는 식품의 두께에 따라 상기 상부성형부에 장착되는 높이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성형장치는: 상기 상부성형부를 들어 올리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하부성형부에 장착되는 승강하판부; 상기 승강하판부에 결합되는 승강축부; 상기 상부성형부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하판부와 겹쳐지는 승강상판부; 상기 승강상판부에 형성되고, 관통된 상기 승강축부를 안내하는 승강가이드부; 상기 승강축부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부에 상기 승강축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승강구속부; 및 상기 승강상판부에 연결되어 외력을 제공하는 승강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성형장치는 하부성형부와 상부성형부 사이로 식품이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설정된 두께로 성형된다. 특히, 간격조절부에 의해 하부성형부와 상부성형부 사이 간격이 조절되므로, 식품을 원하는 두께로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조절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연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연동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성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성형장치(1)는 지지부(10)와, 하부성형부(20)와, 상부성형부(30)와, 간격조절부(40)를 포함한다.
지지부(10)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일예로, 지지부(10)는 목적지로 이동 가능하고, 목적지에 도달된 후 고정될 수 있다.
하부성형부(20)는 지지부(10)에 장착되고, 식품을 이동시킨다. 일예로, 하부성형부(20)는 지지부(10)에 지지되고, 투입된 식품을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성형부(30)는 하부성형부(20)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부성형부(20)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식품을 가압한다. 일예로, 하부성형부(20)의 높이는 고정되고, 상부성형부(30)의 높이는 조절 가능하다. 이로 인해, 하부성형부(20)와 상부성형부(30) 사이 간격이 조절되므로, 하부성형부(20)와 상부성형부(30)를 통과한 식품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40)는 하부성형부(20)와 상부성형부(30) 사이 간격을 조절한다. 일예로, 간격조절부(40)는 하부성형부(20)에 장착되고 상부성형부(30)를 구속하여 상하 이동시켜 줌으로써, 하부성형부(20)와 상부성형부(30)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는 지지프레임부(11)와, 지지바퀴부(12)와, 지지스토퍼부(13)와, 지지수거부(14)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부(11)는 하부성형부(20)를 지지하고, 지지바퀴부(12)는 지지프레임부(11)에 장착된다. 지지바퀴부(12)는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다. 지지스토퍼부(13)는 지지프레임부(11)에 장착되고, 지면과 접촉되어 지지바퀴부(12)의 회전을 제한한다. 일예로, 지지스토퍼부(13)는 자체 길이가 가변되어 지면과 밀착되거나 지면과 이격될 수 있다.
지지수거부(14)는 지지프레임부(11)에 장착되고, 하부성형부(20)의 하방에 배치되어 낙하되는 식품을 수거한다. 일예로, 지지수거부(14)는 지지프레임부(11)에서 분리된 후 세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성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성형부(20)는 하부프레임부(21)와, 하부이송부(22)와, 하부조절부(23)를 포함한다.
하부프레임부(21)는 지지부(10)에 지지된다. 일예로, 하부프레임부(21)는 지지프레임부(11)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이송부(22)는 하부프레임부(21)에 장착되고, 무한궤도 방식으로 식품을 이동시킨다. 일예로, 하부이송부(22)는 한 쌍의 하부이송롤러부(221)가 하부프레임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하부이송롤러부(221)를 감싸는 하부이송벨트부(222)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식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이송롤러부(221) 중 어느 하나는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하부이송롤러부(221) 사이에는 이송벨트부(222)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풀리가 하부프레임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하부조절부(23)는 하부이송부(22)에 형성되고, 장력을 조절한다. 일예로, 하부조절부(23)는 하부프레임부(21)에 장착되어 이송벨트부(22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조절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조절부(23)는 하부조절이동부(231)와, 하부조절롤러부(232)와, 하부조절연결부(233)와, 하부조절회전부(234)를 포함한다.
하부조절이동부(231)는 하부프레임부(2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일예로, 하부조절이동부(231)는 하부프레임부(2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홀부(211)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1하부조절이동부(2311)와, 제1하부조절이동부(2311)에 결합되는 제2하부조절이동부(2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하부조절이동부(2312)가 제1하부조절이동부(2311)에 나사 결합되면, 제2하부조절이동부(2312)가 회전됨에 따라 제1하부조절이동부(2311)가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하부조절이동부(23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하부조절롤러부(232)가 미세하게 이동되어 장력을 조절하거나 비틀림을 해소할 수 있다.
하부조절롤러부(232)는 하부조절이동부(2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일예로, 하부조절롤러부(232)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하부조절이동부(23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조절롤러부(232)는 도 3의 하부이송롤러부(221)가 될 수 있다.
하부조절연결부(233)는 하부조절이동부(231)에 연결된다. 일예로, 하부조절연결부(233)는 이송벨트부(222) 사이에 배치되는 제1하부조절연결부(2331)와, 제1하부조절연결부(2331)의 일단부를 관통하고, 제2하부조절이동부(2312)와 연결되는 제2하부조절연결부(2332)와, 제1하부조절연결부(2331)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3하부조절연결부(233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조절회전부(234)는 하부프레임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하부조절연결부(233)와 결합되어 하부조절연결부(233)를 이동시킨다. 일예로, 하부조절회전부(234)는 제3하부조절연결부(2333)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하부조절회전부(2341)와, 제1하부조절회전부(2341)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하부프레임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하부조절회전부(2342)와, 제2하부조절회전부(2342)에서 연장되고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하부조절회전부(23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연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연동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성형부(20)는 하부연동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연동부(25)는 하부프레임부(21)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하부이송부(22)와 연동되어 식품을 안내할 수 있다. 그 외, 하부연동부(25)는 지지프레임부(11)에 장착될 수 있다. 하부연동부(25)는 하부이송벨트부(222)와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하부이송벨트부(222)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이 하부이송벨트부(222)에 부착되더라도 하부연동부(25)에 걸려 하부연동부(25)로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예로, 하부연동부(25)는 하부프레임부(2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하부연동프레임부(251)와, 하부연동프레임부(2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벨트를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하부연동이송부(252)와, 하부이송부(22)의 동력부(29)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하부연동이송부(252)에 제공하는 하부연동체인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연동부(25)는 장방형 홀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부(21)에 선택적으로 고정 설치되면서 이동 가능하다. 이로 인해 식품의 두께에 따라 이웃한 하부이송벨트부(222)와의 간격을 조절하더라도 하부이송부(22)로부터 동력을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부성형부(30)는 하부성형부(20)와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되, 하부성형부(20)의 상방에 배치되고, 길이나 형상의 차이가 있을 뿐 작동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부(40)는 간격조작부(41)와, 간격회전부(42)와, 간격삽입부(43)를 포함한다.
간격조작부(41)는 하부성형부(20)에 장착되고, 작업자는 간격조작부(41)를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간격조작부(41)는 간격조작핸들부(411)와, 간격조작전달부(412)와, 간격조작이동부(413)와, 간격조작지지부(414)와, 간격조작돌기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작핸들부(411)는 하부프레임부(21) 또는 지지프레임부(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일단부에는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형상을 할 수 있다. 간격조작전달부(412)는 간격조작핸들부(411)와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간격조작핸들부(411)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맞물리며, 하부프레임부(21) 또는 지지프레임부(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간격조작전달부(41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간격조작이동부(413)는 하부프레임부(21) 또는 지지프레임부(11)의 외측에 배치되고, 간격조작전달부(412)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간격조작지지부(414)는 하부프레임부(21) 또는 지지프레임부(11)의 외측에 결합되고 간격조작이동부(413)의 상하측을 지지하여 간격조작이동부(413)의 직선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간격조작돌기부(415)는 간격조작이동부(413)에 형성되고 간격회전부(42)와 연결되어 간격회전부(42)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간격회전부(42)는 하부성형부(20)에 장착되고, 간격조작부(41)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일예로, 간격회전부(42)는 간격회전축부(421)와, 간격회전몸체부(422)와, 간격회전전달부(423)와, 간격회전구속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회전축부(421)는 하부프레임부(21)에 장착되고, 간격회전몸체부(422)는 간격회전축부(4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간격회전전달부(423)는 간격회전몸체부(42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장방형 홀이 형성되어 간격조작돌기부(415)가 삽입될 수 있다. 간격회전구속부(424)는 간격회전몸체부(42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간격삽입부(43)를 구속하기 위한 회전홀부(425)가 형성될 수 있다.
간격삽입부(43)는 상부성형부(30)에 장착되고, 간격회전부(42)가 회전됨에 따라 간격회전부(42)에 형성되는 회전홀부(425)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면서 상하 이동 가능하다. 일예로, 간격삽입부(43)는 간격삽입몸체부(431)와, 간격삽입고정부(432)와, 간격삽입걸림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삽입몸체부(431)는 상부성형부(30)와 하부성형부(20)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간격삽입고정부(432)는 간격삽입몸체부(431)를 상부금형부(30)에 고정시켜 상부금형부(30)와 간격삽입몸체부(431)를 연동시킬 수 있다. 간격삽입걸림부(433)는 간격삽입몸체부(431)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회전되는 간격회전구속부(424)에 형성되는 회전홀부(425)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회전홀부(425)의 형상에 따라 이동되는 간격삽입걸림부(433)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부(40)는 간격표시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표시부(44)는 하부성형부(20)와 상부성형부(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하부성형부(20)와 상부성형부(30)의 간격을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간격표시부(44)는 간격조작이동부(413)의 이동거리를 표시할 수 있는 제1간격표시부(441)와, 간격회전부(42)의 회전각을 표시할 수 있는 제2간격표시부(442)와, 간격삽입부(43)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제3간격표시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간격삽입부(43)는 식품의 두께에 따라 상부성형부(30)에 장착되는 높이가 조절 가능하다. 일예로, 간격삽입몸체부(431)에는 간격삽입몸체부(431)의 길이를 따라 장방형 홀이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홀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간격고정삽입부(432)는 식품의 성형 두께에 대응되도록 홀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부성형부(3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성형장치(1)는 승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50)는 작업자가 상부성형부(30)를 들어 올리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예로, 간격조절부(40)에 의해 상부성형부(30)를 상방 이동되면, 작업자는 승강부(50)를 조작하여 상부성형부(30)를 상방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승강부(50)는 승강하판부(51)와, 승강축부(52)와, 승강상판부(53)와, 승강가이드부(54)와, 승강구속부(55)와, 승강조작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하판부(51)는 하부성형부(20)에 장착된다. 일예로, 승강하판부(51)는 하부프레임부(21)에 결합되고,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승강하판부(51)는 한 쌍이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승강축부(52)는 승강하판부(51)에 결합된다. 일예로, 승강축부(52)는 승강하판부(51)를 관통하되, 승강하판부(51)에 용접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승강상판부(53)는 상부성형부(30)에 장착되고, 승강하판부(51)와 겹쳐진다. 일예로, 승강상판부(53)는 상단부가 상부성형부(30)의 외부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승강상판부(53)는 각각의 승강하판부(51)와 겹쳐질 수 있다.
승강가이드부(54)는 승강상판부(53)에 형성되고, 관통된 승강축부(52)를 안내한다. 일예로, 승강가이드부(54)는 승강상판부(53)에 형성되어 승강축부(52)가 관통되는 승강가이드홀부(541)와, 승강상판부(53)에서 돌출되고 승강가이드홀부(541)를 감싸는 승강가이드돌기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홀부(541)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장방형 홀이 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돌기부(542)는 승강가이드홀부(541)의 하부를 감싸도록 상단부가 개구된 원띠 형상을 하되, 승강가이드홀부(541)의 주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승강가이드홀부(541)의 가장자리와, 승강가이드돌기부(542)의 내측은 서로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구속부(55)는 승강축부(52)에 형성되고, 승강가이드부(54)에 승강축부(52)를 선택적으로 구속한다. 일예로, 승강구속부(55)는 승강축부(52)에 관통되어 승강축부(5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속링부(551)와, 복수개의 구속링부(551)를 연결하는 구속연결부(552)와, 구속연결부(552)를 조작하기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구속핸들부(5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속링부(551)가 승강축부(52)와 승강가이드돌기부(542) 사이로 삽입되면 승강축부(52)가 구속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승강조작부(56)는 승강상판부(53)에 연결되어 외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승강조작부(56)는 하나 이상의 승강상판부(53)를 연결하는 조작연결부(561)와, 조작연결부(561)에 결합되는 조작결합부(562)와, 조작결합부(562)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파지하여 외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작제공부(5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성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부(10)에 하부성형부(20)가 장착되고, 하부성형부(20)의 상방에 상부성형부(30)가 배치되며, 간격조절부(40)에 의해 상부성형부(30)는 하부성형부(20)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하부성형부(20)로 식품이 투입되면, 하부성형부(20)를 통해 식품이 이동되되, 하부성형부(20)와 상부성형부(30)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두께가 변경될 수 있다.
작업자는 간격조절부(40)를 조작하여 하부성형부(20)와 상부성형부(30)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이들을 통과한 식품의 성형 두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하부성형부(20)에 간격회전부(42)가 장착되고, 상부성형부(30)에 간격삽입부(43)가 장착되며, 간격삽입부(43)는 간격회전부(42)에 형성되는 회전홀부(425)에 삽입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간격조작부(41)를 조작하여 동력을 제공하면, 하부성형부(20)에 장착된 간격회전부(42)가 회전되면서 회전홀부(425)에 삽입된 간격삽입부(43) 및 간격삽입부(43)가 결합된 상부성형부(30)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승강부(50)는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상부성형부(3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즉, 작업자가 간격조절부(40)를 조작하여 상부성형부(30)를 상방 이동시키면, 간격삽입부(43)는 회전홀부(425)에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승강상판부(53)가 상승하여 승강하판부(51)에 결합된 승강축부(52)는 승강가이드부(54)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승강구속부(55)를 조작하면 승강구속부(55)가 승강축부(52)와 승강가이드부(54) 사이에 배치되어 승강축부(52)와 승강가이드부(54)가 서로 일체화된다.
승강축부(52)와 승강가이드부(54)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승강조작부(56)에 외력을 제공하면, 승강축부(52)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부성형부(30)가 회전되면서 하부성형부(20)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성형장치(1)는 하부성형부(20)와 상부성형부(30) 사이로 식품이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성형된다. 특히, 간격조절부(40)에 의해 하부성형부(20)와 상부성형부(30) 사이 간격이 조절되므로, 식품을 원하는 두께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지지부 11 : 지지프레임부
12 : 지지바퀴부 13 : 지지스토퍼부
14 : 지지수거부 20 : 하부성형부
21 : 하부프레임부 22 : 하부이송부
23 : 하부조절부 25 : 하부연동부
30 : 상부성형부 40 : 간격조절부
41 : 간격조작부 42 : 간격회전부
43 : 간격삽입부 44 : 간격표시부
50 : 승강부 51 : 승강하판부
52 : 승강축부 53 : 승강상판부
54 : 승강가이드부 55 : 승강구속부
56 : 승강조작부

Claims (10)

  1.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식품을 이동시키는 하부성형부;
    상기 하부성형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성형부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식품을 가압하는 상부성형부; 및
    상기 하부성형부와 상기 상부성형부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 가능한 지지바퀴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지면과 접촉되어 상기 지지바퀴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지지스토퍼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성형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낙하되는 식품을 수거하는 지지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부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부;
    상기 하부프레임부에 장착되고, 무한궤도 방식으로 식품을 이동시키는 하부이송부; 및
    상기 하부이송부에 형성되고, 장력을 조절하는 하부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성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조절부는
    상기 하부프레임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하부조절이동부;
    상기 하부조절이동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하부조절롤러부;
    상기 하부조절이동부에 연결되는 하부조절연결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하부조절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하부조절연결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하부조절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성형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부는
    상기 하부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부이송부와 연동되어 식품을 안내하는 하부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성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하부성형부에 장착되는 간격조작부;
    상기 하부성형부에 장착되고, 상기 간격조작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간격회전부; 및
    상기 상부성형부에 장착되고, 상기 간격회전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간격회전부에 형성되는 회전홀부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면서 상하 이동 가능한 간격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성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하부성형부와 상기 상부성형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성형부와 상기 상부성형부의 간격을 식별 가능도록 표시하는 간격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성형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삽입부는 식품의 두께에 따라 상기 상부성형부에 장착되는 높이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성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성형부를 들어 올리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성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하부성형부에 장착되는 승강하판부;
    상기 승강하판부에 결합되는 승강축부;
    상기 상부성형부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하판부와 겹쳐지는 승강상판부;
    상기 승강상판부에 형성되고, 관통된 상기 승강축부를 안내하는 승강가이드부;
    상기 승강축부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부에 상기 승강축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승강구속부; 및
    상기 승강상판부에 연결되어 외력을 제공하는 승강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성형장치.
KR1020210009506A 2021-01-22 2021-01-22 식품용 성형장치 KR102563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506A KR102563600B1 (ko) 2021-01-22 2021-01-22 식품용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506A KR102563600B1 (ko) 2021-01-22 2021-01-22 식품용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518A true KR20220106518A (ko) 2022-07-29
KR102563600B1 KR102563600B1 (ko) 2023-08-07

Family

ID=8260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506A KR102563600B1 (ko) 2021-01-22 2021-01-22 식품용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6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963A (ko) * 2014-10-17 2016-04-28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성형장치
KR20170126195A (ko) * 2016-05-09 2017-11-17 김순옥 만두성형장치의 성형기구
KR101818615B1 (ko) * 2015-09-22 2018-01-17 (주)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101875110B1 (ko) * 2016-07-01 2018-08-02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소시지 롤빵 제조장치
KR102066512B1 (ko) * 2019-07-29 2020-01-15 (주)미소담은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963A (ko) * 2014-10-17 2016-04-28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 성형장치
KR101818615B1 (ko) * 2015-09-22 2018-01-17 (주)대한기계 식품 제조장치
KR20170126195A (ko) * 2016-05-09 2017-11-17 김순옥 만두성형장치의 성형기구
KR101875110B1 (ko) * 2016-07-01 2018-08-02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소시지 롤빵 제조장치
KR102066512B1 (ko) * 2019-07-29 2020-01-15 (주)미소담은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600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432B2 (en) Web packaging system with ergonomic forming plug change
CN203194424U (zh) 一种蛋卷机
KR101415318B1 (ko) 양파 박피기
KR102073611B1 (ko) 만두 제조 장치
KR20220106518A (ko) 식품용 성형장치
CN102336032B (zh) 手挽制造设备
JP5155213B2 (ja) おにぎり製造装置及びおにぎり製造方法
KR100680824B1 (ko) 도로경계석 절삭방법과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US20050132666A1 (en) Universal automated plastic container closing system
KR100339989B1 (ko) 횡와 막대형상의 음식절단방법과 그 장치
KR20120136872A (ko) 캐핑 머신
KR102225589B1 (ko) 손만두 자동성형장치
WO2022161532A3 (zh) 一种自动化筛选装置
KR102159923B1 (ko) 스크랩 이송장치
CN108381148B (zh) 一种cpu风扇轴芯翻转压合设备
KR101188458B1 (ko) 뚜껑 공급장치
CN216315385U (zh) 一种锅巴油炸前米料摊平装置
CN214824468U (zh) 饼干分装输送装置
CN210213748U (zh) 一种烘烤流水线用的引导装置
KR102073614B1 (ko) 만두 제조 장치
KR102073612B1 (ko) 만두 제조 장치
CN220077683U (zh) 一种连杆式定中定位挡袋机械
CN114348360B (zh) 一种纸箱打包机用导向机构
CN221024409U (zh) 一种自动真空包装设备
JP2690176B2 (ja) 包装機における物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