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615B1 - 식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615B1
KR101818615B1 KR1020150134219A KR20150134219A KR101818615B1 KR 101818615 B1 KR101818615 B1 KR 101818615B1 KR 1020150134219 A KR1020150134219 A KR 1020150134219A KR 20150134219 A KR20150134219 A KR 20150134219A KR 101818615 B1 KR101818615 B1 KR 101818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veyor
unit
return
b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427A (ko
Inventor
정풍균
Original Assignee
(주)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15013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6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3Coating with a layer; Stuffing, laminating, binding, or compressing of original meat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7Farinaceous granules for dressing meat, fish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Grain Derivatives (AREA)

Abstract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식품 제조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구비되어 식품을 이송하는 식품이송부와, 식품이송부의 식품에 빵가루를 공급하는 빵가루공급부와, 빵가루공급부에 의해 식품에 공급된 빵가루를 식품에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가압부 및 가압부에 의해 식품에 부착되고 남은 잔여 빵가루를 식품이송부로 재공급하는 빵가루리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FOOD PRODUCTS}
본 발명은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빵가루식품을 제조함에 있어 빵가루의 재사용이 용이하고, 빵가루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돈까스는 돈육을 소정 크기로 절단한 절편을 넓게 펼치면서 부드럽게 연육하여 준비하고, 준비된 돈육을 밀가루반족, 빵가루 및 양념류를 입힌 후 기름에 튀겨 각종 소스와 함께 취식하도록 하는 요리이다.
이러한 돈까스는 일정한 두께로 고기를 얇게 처리한 다음, 빵가루가 잘 입혀지도록 수액 코팅을 먼저 실시하고, 그 위에 빵가루 코팅을 하게 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86482호(2000.04.10., 고안의 명치 : 빵가루코팅식품 제조용 타공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을 뒤집지 않고도 양면에 빵가루를 용이하게 부착시키고, 빵가루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제조장치를 제공하 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에 부착하고 남은 잔여 빵가루를 다시 식품이송부로 공급할 수 있어 빵가루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식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식품을 이송하는 식품이송부와, 상기 식품이송부의 식품에 빵가루를 공급하는 빵가루공급부와, 상기 빵가루공급부에 의해 식품에 공급된 빵가루를 식품에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의해 식품에 부착되고 남은 잔여 빵가루를 상기 식품이송부로 재공급하는 빵가루리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빵가루공급부는 공급컨베이어 및 상기 공급컨베이어로부터 빵가루를 공급받아 상기 식품이송부로 균일하게 공급하는 균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균일공급부는 상기 공급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된 빵가루를 수용하는 저장챔버와, 상기 저장챔버의 빵가루를 상기 식품이송부로 이송하는 챔버컨베이어와, 상기 챔버컨베이어의 상부에 이격배치되고, 빵가루가 고루 펼쳐지도록 접촉되는 균일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균일접촉부재는 상기 챔버컨베이어의 상부에 기립되어 구비되는 접촉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식품이송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는 위치조절부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가압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빵가루리턴부는 상기 식품이송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식품이송부로부터 낙하하는 빵가루를 수거하여 이송하는 리턴컨베이어 및 상기 리턴컨베이어에 구비되어 빵가루를 식품이송부로 올려주는 리턴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턴안내부는 상기 리턴컨베이어의 선단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브라켓 및 상기 회동브라켓에 구비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리턴컨베이어와 상기 리턴안내부는 하나의 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식품이송부의 후단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는 식품을 뒤집지 않고도 양면에 빵가루를 자동으로 부착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가압부에 의해 빵가루가 식품에 가압하여 부착시킬 수 있어 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에 부착하고 남은 잔여 빵가루를 빵가루리턴부에 의해 식품이송부로 재공급할 수 있어 빵가루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빵가루리턴부가 리턴컨베이어와 리턴컨베이어로부터 상부로 굴절되는 리턴안내부로 이루어져 간단한 구조로 빵가루를 재공급할 수 있고, 리턴안내부가 펼쳐질 수 있어 빵가루의 교체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빵가루공급부에 구비되는 균일공급부에 의해 빵가루를 식품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어 빵가루의 뭉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빵가루공급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가압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가압부 위치조절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빵가루리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리턴안내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빵가루공급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가압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가압부 위치조절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빵가루리턴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리턴안내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100)는 프레임(110), 식품이송부(120), 빵가루공급부(130), 가압부(140) 및 빵가루리턴부(15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상기한 각 구성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동 및 위치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부에는 구름바퀴와 선택적으로 펼쳐질 수 있는 지지대가 구비된다.
식품이송부(120)는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식품을 이송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10)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진다. 즉, 구동부에 의해 무한궤적운동을 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식품을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식품이송부(120)의 선단은 하부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는 후술되는 빵가루리턴부(150)에 의한 빵가루 재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빵가루공급부(130)는 식품이송부(120)의 식품에 빵가루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공급컨베이어(131) 및 공급컨베이어(131)로부터 빵가루를 공급받아 식품이송부(120)로 균일하게 공급하는 균일공급부(135)를 포함한다. 공급컨베이어(131)는 프레임(110)의 측면에 구비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공급컨베이어(132)와, 제1공급컨베이어(132)로부터 공급된 빵가루를 균일공급부(135)로 전달하는 제2공급컨베이어(133)로 이루어진다. 이는 빵가루가 식품의 상부에 뿌려지기 위한 구성으로, 빵가루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균일공급부(135)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컨베이어(131)로부터 공급된 빵가루를 수용하는 저장챔버(136)와, 저장챔버(136)의 빵가루를 식품이송부(120)로 이송하는 챔버컨베이어(137)와, 챔버컨베이어(137)의 상부에 이격배치되고, 빵가루가 고루 펼쳐지도록 접촉되는 균일접촉부재(138)를 포함한다. 균일접촉부재(138)는 챔버컨베이어(137)의 상부에 기립되어 구비되는 접촉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균일접촉부재(138)를 접촉컨베이어로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한곳에 뭉친 빵가루를 고루 펼쳐줄 수 있는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균일접촉부재(138)는 챔버컨베이어(137)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뭉쳐진 빵가루와 접촉되고, 접촉된 빵가루를 저장챔버(136) 내측으로 밀어 넣어 펼쳐준다. 이는 챔버컨베이어(137)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빵가루가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140)는 빵가루공급부(130)에 의해 식품에 공급된 빵가루를 식품에 가압하여 부착시킨다. 이러한 가압부(140)는 식품이송부(1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롤러(142)로 이루어진다. 가압롤러(142)는 식품이송부(120)의 진행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롤러(142)는 위치조절부(145)에 의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145)는 도 6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프레임(110)에 힌지 연결되고, 가압롤러(14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46) 및 고정브라켓(146)의 타측에 구비되어 고정브라켓(146)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부(147)를 포함한다. 즉, 조절나사부(147)의 회전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면, 프레임(110)과 힌지 연결되는 일측을 기준으로 고정브라켓(146)이 회동되므로 가압롤러(14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빵가루의 가압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식품이송부(120)에는 가압롤러(142)와 대응되도록 식품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25)가 구비된다.
빵가루리턴부(150)는 가압부(140)에 의해 식품에 부착되고 남은 잔여 빵가루를 식품이송부(120)로 재공급한다. 즉, 빵가루리턴부(150)에 의해 식품이송부(120)에는 빵가루가 깔려있으며, 그 상부로 식품이 놓이고, 빵가루공급부(130)에 의해 빵가루가 뿌려지므로 식품의 상부와 하부에 빵가루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빵가루리턴부(150)는 식품이송부(1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식품이송부(120)로부터 낙하하는 빵가루를 수거하여 이송하는 리턴컨베이어(152) 및 리턴컨베이어(152)에 구비되어 빵가루를 식품이송부(120)로 올려주는 리턴안내부(155)를 포함한다. 리턴컨베이어(152)는 식품이송부(120)의 후단보다 후측으로 더 연장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식품이송부(120)의 후단으로 낙하하는 빵가루를 받아 식품이송부(120)의 선단방향으로 이송한다.
이때, 프레임(110)에는 식품이송부(120)의 후단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170)가 구비된다. 공기분사부(170)는 식품 또는 식품이송부(120)에 부착된 빵가루를 털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분사된 공기에 의해 빵가루가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리턴안내부(155)는 리턴컨베이어(152)의 선단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브라켓(156) 및 회동브라켓(156)에 구비되는 회전롤러(157)를 포함한다. 이때, 리턴컨베이어(152)와 리턴안내부(155)는 하나의 벨트(B)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9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브라켓(156)은 선택적으로 기립되거나, 펼쳐질 수 있으며, 기립된 상태에서는 리턴컨베이어(152)에 의해 이송되는 빵가루를 식품이송부(120)의 선단으로 올려줄 수 있다.
회동브라켓(156)은 고정부(160)에 의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부(160)는 회동브라켓(15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레버(162) 및 고정레버(162)가 결합되도록 리턴컨베이어(152)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64)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빵가루공급부(130)에 의해 빵가루가 공급된다. 빵가루는 제1공급컨베이어(132)에 의해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고, 제2공급컨베이어(133)로 전달되어 식품이송부(120)의 상부로 이송된다. 제1공급컨베이어(132)는 프레임(110)의 측면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빵가루를 들어올릴 필요없이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공급컨베이어(133)에 의해 이송되는 빵가루는 균일공급부(135)에 식품의 상부 모든 구간에 고르게 뿌려질 수 있다.
이를 살펴보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급컨베이어(133)에 의해 공급된 빵가루는 저장챔버(136)에 수용되고, 챔버컨베이어(137)에 의해 식품 상부로 뿌려지게 된다. 이때, 챔버컨베이어(137)의 상부에는 접촉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균일접촉부재(138)가 기립 형성되어 뭉친 빵가루를 후퇴시켜 넓은 범위를 펼쳐지게 한다. 이처럼 빵가루는 충분히 펼쳐져 식품이송부(120)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빵가루는 식품이송부(120)를 따라 이송되고, 식품이송부(120)의 후단에서 낙하되어 리턴컨베이어(152)에 전달되어 이송되고, 리턴컨베이어(152)의 전측에 구비된 리턴안내부(155)에 의해 빵가루는 식품이송부(120)에 재공급된다. 이러한 과정을 최초에 수행하게 되면, 식품이송부(120)에는 빵가루가 깔려진 상태로 식품에 빵가루를 입힐 준비가 완료된다.
식품은 별도의 컨베이어벨트 등의 이송장치로부터 식품이송부(120)로 공급된다.
식품이송부(12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빵가루가 깔려져 있고, 그 위에 식품이 안착되어 이송된다. 그리고, 식품이송부(120)의 상부에 구비되는 균일공급부(135)에 의해 빵가루가 식품의 상부에 균일하게 뿌려진다.
이후, 식품이송부(120)에 의해 식품은 이송되고, 가압부(140)에 의해 빵가루를 가압하여 식품에 부착시킨다. 이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의 하면은 지지롤러(125)에 의해 지지되고, 상면은 가압롤러(142)에 가압되어 식품의 양면에 빵가루를 부착시키는 것으로서, 복수개로 구비되는 가압롤러(142)에 의해 빵가루 부착력을 향상시켜 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롤러(142)는 조절나사부(147)의 조작에 의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나사부(147)를 회전시키면, 고정브라켓(146)이 회동되어 가압롤러(14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식품에 따라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가압부(140)에 의해 빵가루가 부착된 식품은 식품이송부(120)의 후단에서 다른 이송장치로 인계된다. 그리고, 식품에 부착되고, 남은 잔여 빵가루는 식품이송부(120)의 후단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리턴컨베이어(152)로 전달된다. 이때, 프레임(110)에는 식품과 식품이송부(120)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170)가 구비된다. 공기분사부(17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식품에 불완전하게 부착된 빵가루와 식품이송부(120)에 눌러붙은 빵가루를 리턴컨베이어(152)로 털어낼 수 있다. 따라서, 빵가루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장치의 외부로 빵가루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주변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리턴컨베이어(152)로 전달된 잔여 빵가루는 도 9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컨베이어(152)에 의해 식품이송부(120)의 선단방향으로 이송되고, 리턴컨베이어(152)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리턴안내부(155)에 의해 식품이송부(120)의 선단으로 다시 올려져 재사용된다. 즉, 리턴안내부(155)는 리턴컨베이어(152)의 선단에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빵가루가 식품이송부(120)에 올려질 수 있다.
빵가루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버(162)를 파지하여 고정돌기(164)로부터 해체시킨 후 회동브라켓(156)을 펼쳐주면, 잔여 빵가루를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제조장치에 의하면, 식품을 뒤집지 않고도 양면에 빵가루를 자동으로 부착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가압부에 의해 빵가루가 식품에 가압하여 부착시킬 수 있어 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에 부착하고 남은 잔여 빵가루를 빵가루리턴부에 의해 식품이송부로 재공급할 수 있어 빵가루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식품 제조장치 110 : 프레임
120 : 식품이송부 125 : 지지롤러
130 : 빵가루공급부 131 : 공급컨베이어
132 : 제1공급컨베이어 133 : 제2공급컨베이어
135 : 균일공급부 136 : 저장챔버
137 : 챔버컨베이어 138 : 균일접촉부재
140 : 가압부 142 : 가압롤러
145 : 위치조절부 146 : 고정브라켓
147 : 조절나사부 150 : 빵가루리턴부
152 : 리턴컨베이어 155 : 리턴안내부
156 : 회동브라켓 157 : 회전롤러
160 : 고정부 162 : 고정레버
164 : 고정돌기 170 : 공기분사부

Claims (9)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식품을 이송하는 식품이송부와, 상기 식품이송부의 식품에 빵가루를 공급하는 빵가루공급부와, 상기 빵가루공급부에 의해 식품에 공급된 빵가루를 식품에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의해 식품에 부착되고 남은 잔여 빵가루를 상기 식품이송부로 재공급하는 빵가루리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빵가루리턴부는 상기 식품이송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식품이송부로부터 낙하하는 빵가루를 수거하여 이송하는 리턴컨베이어; 및
    상기 리턴컨베이어에 구비되어 빵가루를 식품이송부로 올려주는 리턴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턴안내부는 상기 리턴컨베이어의 선단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브라켓; 및
    상기 회동브라켓에 구비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브라켓은 상기 리턴컨베이어의 선단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기립되거나, 펼쳐질 수 있으며;
    상기 리턴컨베이어와 상기 리턴안내부는 하나의 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브라켓의 기립 시, 상기 회동브라켓의 기립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동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레버; 및 상기 고정레버가 결합되도록 상기 리턴컨베이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빵가루공급부는 공급컨베이어; 및
    상기 공급컨베이어로부터 빵가루를 공급받아 상기 식품이송부로 균일하게 공급하는 균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균일공급부는 상기 공급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된 빵가루를 수용하는 저장챔버;
    상기 저장챔버의 빵가루를 상기 식품이송부로 이송하는 챔버컨베이어; 및
    상기 챔버컨베이어의 상부에 이격배치되고, 빵가루가 고루 펼쳐지도록 접촉되는 균일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균일접촉부재는 상기 챔버컨베이어의 상부에 기립되어 구비되는 접촉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식품이송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는 위치조절부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가압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식품이송부의 후단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제조장치.
KR1020150134219A 2015-09-22 2015-09-22 식품 제조장치 KR10181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219A KR101818615B1 (ko) 2015-09-22 2015-09-22 식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219A KR101818615B1 (ko) 2015-09-22 2015-09-22 식품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27A KR20170035427A (ko) 2017-03-31
KR101818615B1 true KR101818615B1 (ko) 2018-01-17

Family

ID=5850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219A KR101818615B1 (ko) 2015-09-22 2015-09-22 식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518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용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91B1 (ko) * 2018-08-09 2019-04-16 진수봉 이물질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돈까스 제조 장치
KR101969590B1 (ko) * 2018-08-09 2019-04-16 진수봉 금속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돈까스 제조 장치
KR102516426B1 (ko) * 2020-10-12 2023-04-03 주식회사대한기계 핫도그 제조장치
KR102625124B1 (ko) * 2021-04-30 2024-01-12 이근영 식품 입체 빵가루 코팅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0508B2 (ja) * 2000-01-14 2003-02-24 サン・プラント工業株式会社 食品用粉付け装置
JP2012130284A (ja) * 2010-12-22 2012-07-12 San Plant Kogyo Kk 食品の粉付け方法及び食品の粉付け装置
KR101437294B1 (ko) 2013-10-24 2014-09-02 오은수 식품용 가루코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0508B2 (ja) * 2000-01-14 2003-02-24 サン・プラント工業株式会社 食品用粉付け装置
JP2012130284A (ja) * 2010-12-22 2012-07-12 San Plant Kogyo Kk 食品の粉付け方法及び食品の粉付け装置
KR101437294B1 (ko) 2013-10-24 2014-09-02 오은수 식품용 가루코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518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용 성형장치
KR102563600B1 (ko) * 2021-01-22 2023-08-07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용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27A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615B1 (ko) 식품 제조장치
US84437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arranging a sprinkling material on a dough piece
US5195454A (en) Apparatus for distributing particulate material
JP4698352B2 (ja) 米飯食品成形装置
KR20160100676A (ko) 식품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제조 방법
US7906163B2 (en) Method for applying particulate coating to food products
KR20120051306A (ko) 육류 수평 절단장치
JP2007074978A (ja) 粉振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米飯食品成形装置
US10231462B2 (en) Comestible product sheeter and sheeter roll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437294B1 (ko) 식품용 가루코팅장치
KR101875110B1 (ko) 소시지 롤빵 제조장치
US20160192696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niformly applying various breading and coating materials on food products
KR101924633B1 (ko) 김 양념공급장치
JP2009261310A (ja) 粉末食材付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米飯食品成形装置
JP2009278869A (ja) シャリ玉成形装置
JP2012240190A (ja) 食肉スライサー
KR102625124B1 (ko) 식품 입체 빵가루 코팅기
CN220343420U (zh) 一种包馅机的摆料装置
KR102484449B1 (ko) 현미펠릿 및 현미칩 제조 시스템
JP3239221U (ja) バターリング装置
JPH0347515Y2 (ko)
JP2005058194A (ja) 根菜類の切断装置
JP2915738B2 (ja) 付着性を有し変形可能な物品の供給装置
JP2016013096A (ja) 食品用粒状衣材付着装置、および食品用粒状衣材付着装置における粒状衣材の循環供給方法
US9044048B2 (en) System and process for applying seasoning to a food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