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521B1 - 면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면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521B1
KR102665521B1 KR1020210063378A KR20210063378A KR102665521B1 KR 102665521 B1 KR102665521 B1 KR 102665521B1 KR 1020210063378 A KR1020210063378 A KR 1020210063378A KR 20210063378 A KR20210063378 A KR 20210063378A KR 102665521 B1 KR102665521 B1 KR 102665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hopper
extrusion
noodle
transf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5751A (ko
Inventor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이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덕 filed Critical 이재덕
Priority to KR102021006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5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2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vertically-mounted tools; Machines for whipping or b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21C1/065Worm or screw mixers, e.g. with consecutive mix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2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5Controlling; Testing;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5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 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 원료를 배합하여 만든 반죽을 호퍼에 투입한 수 특정 구조의 이송수단 및 압출수단을 이용하여 냉면 면발을 비롯한 각종 면류를 위생적이면서 안정적으로 뽑아낼 수 있도록 한 면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는, 일정 높이를 갖는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타이밍밸트를 매개로 연계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일정 직경 및 길이를 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 전방으로 수평 배치되는 이송관과,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과 연계된 상태로 상기 이송관 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진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관에 설치되는 히터 및 냉각기로 이루어진 온도조절수단과; 상기 이송관의 상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정 반죽장치에서 각종 재료의 배합을 통해 생성된 반죽이 투입되는 호퍼와; 일면에 분창이 형성되고 타면은 개방된 넓적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의 선단에 장착되는 압출수단과; 장치의 온.오프 및 상기 구동수단과 이송수단, 상기 온도조절수단을 비롯한 장치 전반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여, 소정 반죽장치로부터 상기 호퍼로 투입된 반죽이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압출수단의 분창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면발이 제조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면류 제조장치{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면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원료를 배합하여 만든 반죽을 매개로 냉면 면발을 비롯한 다양한 면류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면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메밀은 세계 각 지역에서 재배되는 1년생 직립 작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메밀국수, 냉면, 묵 등의 요리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메밀에는 12 내지 15%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고, 리신(lysine) 함량도 5 내지 7%로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또한 다른 식물에 비해 루틴이 풍부하고, 그 이외에 비타민 B1, 비타민 E 등이 풍부하여 건강식으로도 매우 우수한 작물이다.
한편, 냉면은 메밀가루를 주원료로 하는 면으로서, 냉면이라 함은 메밀가루에 녹말을 약간 섞어 반죽한 후 면발을 제조하여 쫄깃쫄깃한 상태로 육수를 부어 먹거나 비벼먹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으로서, 지방에 따라 그 재료 및 조리방식에 차이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냉면의 전통적인 원재료에 영양성분의 가미와 맛의 다양화를 위해 일정 량의 칡가루나 곡물, 그 이외에 다양한 야채나 과일 등을 혼합한 면발이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냉면의 면발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메밀가루에 소정 원료를 배함하여 반죽한 후 반죽된 재료를 특정 구조를 갖는 면류 제조장치에 구비된 분창으로 압출시킴에 따라, 일정 직경을 갖는 냉면 면발이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면류 제조장치의 분창을 통해 압출되어 나오는 냉면은 뜨꺼운 물로 바로 투입되어 즉석에서 취식 가능한 음식물로 제조되거나, 일련의 건조과정을 거쳐 건면 형태로 포장되어 유통되면서 가정이나 식당에서 냉면 재료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면류 제조장치의 구성에 있어서는 냉면의 압출을 위한 구조물이 실린더를 매개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송스크류 형태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체인 및 고무링 등을 포함하는 구동수단이 적용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짐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 시에는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또한 구동수단으로 체인이 적용됨에 따른 윤활제의 사용으로 위생성이 떨어지거나 고무링의 마모에 따라 제품의 안정적인 생산이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281457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083567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3325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정 원료를 배합하여 만든 반죽을 호퍼에 투입한 수 특정 구조의 이송수단 및 압출수단을 이용하여 냉면 면발을 비롯한 각종 면류를 위생적이면서 안정적으로 뽑아낼 수 있도록 한 면류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구조의 장치를 매개로 두 번의 압출과정을 거쳐 냉면 면발을 비롯한 각종 면류가 제조되도록 하여 보다 탄력있고 쫄깃한 식감을 갖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면류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는, 일정 높이를 갖는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모터와 타이밍밸트를 매개로 연계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일정 직경 및 길이를 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 전방으로 수평 배치되는 이송관과,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과 연계된 상태로 상기 이송관 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진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관에 설치되는 히터 및 냉각기로 이루어진 온도조절수단과; 상기 이송관의 상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정 반죽장치에서 각종 재료의 배합을 통해 생성된 반죽이 투입되는 호퍼와; 일면에 분창이 형성되고 타면은 개방된 넓적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의 선단에 장착되는 압출수단과; 장치의 온.오프 및 상기 구동수단과 이송수단, 상기 온도조절수단을 비롯한 장치 전반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여, 소정 반죽장치로부터 상기 호퍼로 투입된 반죽이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압출수단의 분창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면발이 제조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메인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장치의 전방에는 상기 압출수단의 분창을 통해 방출되는 면발을 재압출시키기 위한 재압출장치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재압출장치는, 일정 높이를 갖는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타이밍밸트를 매개로 연계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일정 직경 및 길이를 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 전방으로 수평 배치되는 이송관과,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과 연계된 상태로 상기 이송관 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진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관의 상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장치의 분창을 통해 방출되는 면발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메인장치의 분창을 통해 방출되는 면발이 상기 호퍼 상측으로 이송되도록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이송 컨베이어와; 일면에 분창이 형성되고 타면은 개방된 넓적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의 선단에 장착되는 압출수단과; 장치의 온.오프 및 상기 구동수단과 이송수단,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비롯한 장치 전반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여, 상기 메인장치의 분창으로부터 방출된 후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호퍼로 투입된 면발이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압출수단의 분창을 통해 외부로 재방출되면서 면발이 제조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상측에는 상기 호퍼를 향해 상측으로 이송되는 면발의 냉각을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팬이 설치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하단에는 상기 메인장치의 분창을 통해 방출되는 면발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탑재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그 평면이 "┗┛" 형상을 갖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압출장치의 호퍼 내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면발이 뭉쳐지면서 이송스크류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로울러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의 일측에는 상기 로울러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보조 구동모터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로울러의 외주면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장치의 압출수단 또는 상기 재압출장치의 압출수단에 구비되는 분창의 후방에는 이송물의 분출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분창이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장치의 압출수단 또는 상기 재압출장치의 압출수단에 구비된 분창에 천공되는 다수 개의 홀은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열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원료를 배합하여 만든 반죽을 호퍼에 투입한 수 특정 구조의 이송수단 및 압출수단을 이용하여 반죽을 이송 및 압출시키면서, 보다 위생적이면서 안정적으로 냉면 면발을 비롯한 각종 면류, 또는 떡이나 과자 등을 뽑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특히, 냉면 면발의 제조 시 메인장치 및 재압출장치를 통한 두 번의 압출과정을 거쳐 냉면 면발이 제조되도록 함에 따라, 보다 탄력있고 쫄깃한 식감을 갖는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메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메인장치 및 재압출장치에 구비된 이송수단 및 압출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재압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재압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분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를 통해 냉면 면발이 제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메인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메인장치 및 재압출장치에 구비된 이송수단 및 압출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재압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재압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분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는, 소정 원료를 배합하여 만든 반죽을 호퍼에 투입한 수 특정 구조의 이송수단 및 압출수단을 이용한 이송 및 압출 과정을 거쳐 냉면 면발을 비롯한 각종 면류를 제조하되, 두 번의 압출과정을 거치면서 보다 우수한 품질의 면발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는, 특정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 메인장치(100) 및 상기 메인장치(100)와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는 재압출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메인장치(100)는 일정 높이를 갖는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110)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통해 구동수단(120)과 이송수단(130)과 온도조절수단(150)과 호퍼(140)와 압출수단(160) 및 제어수단(170) 등이 일체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메인장치(100)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대략 직육면틀 형태를 갖는 한 쌍의 프레임이 전.후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120)은 구동모터(122)와 구동기어(124)와 종동기어(126) 및 타이밍밸트(12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구동모터(122)는 후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126)는 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22)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124)와 상기 타이밍밸트(128)를 매개로 연계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130)은 이송관(132) 및 이송스크류(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관(130)은 일정 직경 및 길이를 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 소정 브라켓트를 매개로 일정 높이를 갖는 위치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종동기어(126)의 회전축 전방으로 수평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134)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부재에 반죽의 이송을 위한 스크류가 형성되어 구성된 상태로 상기 종동기어(126)의 회전축과 연계되어 소정 회전력을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132)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송스크류(134)는 상기 호퍼(140)로부터 반죽이 공급되는 스크류의 일측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의 피치는 비교적 큰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압출수단(160)과 인접한 스크류의 타측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의 피치는 스크류 일측 부분에 비해 작은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호퍼(140)를 통해 투입된 반죽이 상기 압출수단(160) 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스크류(134)의 큰 치수의 피치를 갖는 나사산으로부터 작은 치수의 피치를 갖는 나사산 측으로 이동되되, 작은 치수를 갖는 나사산 측을 통과하면서 다져짐과 동시에 상기 온도조절수단(150)의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익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130)의 이송관(132) 외주면에는 일정 온도의 열을 공급하는 히터 및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냉각기를 포함하는 온도조절수단(150)이 설치되어 제공된다.
즉, 상기 이송수단(130)을 통해 이송되는 반죽은 일정 온도로 제어되는 히터를 통해 익혀질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히터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 상기 냉각기의 작용을 통해 적정 온도로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호퍼(140)는 상기 이송관(132)의 대략 중간지점의 상부에 이송관(132)과 연통된 상태로 수직 설치되어, 그 상측에 설치되는 소정 반죽장치(도시안됨)로부터 각종 재료의 배합을 통해 생성된 반죽이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호퍼(140) 내부에는 투입된 반죽이 원활하게 상기 이송관(132) 내부로 유도될 수 있도록 수직스크류(14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호퍼(140) 내부의 수직스크류(142)는 별도의 구동모터(144)와 연계되어 소정 구동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호퍼(140)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관(132)의 양측은 각각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하우징(180)이 덧씌워져 마감된다.
상기 압출수단(60)은 그 일면에 냉면 면발이 압출되어 방출되는 분창(162)이 형성되고 타면은 개방된 넓적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132)의 선단에 나사산 구조를 통해 장착되며, 그 외주면에는 핸들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파지부(166)가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출수단(160)에 구비되는 분창(162)과 수 밀리미터[mm] 정도 이격된 후방에는 상기 이송스크류(134)를 통해 이송된 반죽이 상기 분창(162)을 통해 방출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보조분창(164)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조분창(164)에 천공된 홀의 직경은 상기 분창(162)에 천공된 홀의 직경에 비해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분창(162) 또는 보조분창(164)에 천공된 각 홀은 후면에서 전면을 향해 그 직경이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압출수단(160)의 분창(162)에 천공되는 다수 개의 홀은 대략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170)은 상기 구동수단(120)과 이송수단(130) 및 온도조절수단(160) 등과 연계되고, 다수 개의 조작버튼 및 표시수단이 구비된 컨트롤 박스로 구성되어, 해당 장치에 소정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각 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호퍼(140)로 투입된 반죽이 상기 이송수단(130)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압출수단(160)의 분창(16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냉면 면발이 제조되도록 장치 전반에 걸친 일련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장치(100)에 구비된 분창(162)의 전방에는 상기 분창(162)을 통해 방출되는 냉면 면발(300)을 냉각시키도록 송풍기로 이루어진 냉각장치(40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장치(100)의 압출수단(160)과 인접한 전방에 설치되는 상기 재압출장치(200)는 상기 메인장치(100)의 분창(162)을 통해 방출되는 냉면 면발(300)을 재압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재압출장치(2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테이블 형태의 베이스 프레임(210)을 매개로 구동수단(250)과 보조 구동수단(246)과 이송수단(260)과 호퍼(240)와 이송 컨베이어(220)와 팬(230)과 압출수단(270) 및 제어수단(280) 등을 일체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250)은 구동모터(252)와 구동기어(254)와 종동기어(256) 및 밸트(25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 내에 상기 구동모터(252)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52)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254)는 밸트(258)를 매개로 상기 이송수단(260)의 후단에 설치되는 종동기어(256)와 연계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260)은 일정 직경 및 길이를 관으로 이루어진 이송관(262)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 상부에 소정 브라켓트를 매개로 수평 배치되며, 상기 이송관(262)의 내부에는 상기 종동기어(256)의 회전축과 연계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이송스크류(264)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송관(262)의 외주면에는 냉각기로 이루어진 온도조절수단(266)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2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송수단(260) 측에 일정 온도로 냉각기능이 부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관(262)의 상부 일정 지점에는 상기 호퍼(240)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장치(100)의 분창(162)을 통해 방출되는 냉면 면발(300)이 이송되어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재압출장치(200)의 호퍼(240) 내에는 이송 컨베이어(220)를 통해 이송된 냉면 면발(300)을 다시 뭉쳐지면서 상기 이송관(262)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대략 원통형상의 로울러(242)가 구비되고, 상기 로울러(242)는 상기 호퍼(240)의 일측에 구비된 보조 구동모터(246)와 벨트 또는 체인(248)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조 구동모터(246)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울러(242)의 외주면에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돌기(244)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호퍼(240)로 투입되는 냉면 면발(300)이 원활하게 상기 이송관(26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는 상기 메인장치(100)의 분창(162)과 상기 재압출장치(200)의 호퍼(240) 상호 간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장치(100)의 분창(162)을 통해 방출되는 냉면 면발(300)이 상기 재압출장치(200)의 호퍼(240) 상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의 경사면을 따라 그 상측으로는 그 정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는 팬설치 브라켓트(232)를 매개로 다수 개의 팬(230)이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를 매개로 이송되는 냉면 면발(300)에 냉각작용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의 하단에는 상기 메인장치(100)의 분창(162)을 통해 방출되는 냉면 면발(300)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 상에 원활하게 탑재되도록 대략 "┗┛" 형상을 갖는 가이드부재(222)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22)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간격조절롤(224)이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 측으로 공급되는 냉면 면발(300)이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재압출장치(200)에 구비되는 이송관(262)의 선단에는 일면에 분창(272)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압출수단(270)이 장착되되, 상기 압출수단(270)에는 분창(272) 및 보조분창(274)이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이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상술한 메인장치(100)에 구비된 압출수단(160)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170)은 다수 개의 조작버튼 및 표시수단이 구비된 컨트롤 박스로 구성되어, 상기 재압출장치(200)에 소정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각 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메인장치(100)의 압출수단(160)으로부터 압출되어 공급되는 냉면 면발(300)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에 의해 재압출장치의 호퍼(240)로 투입된 후, 상기 재압출장치(200)의 이송수단(260)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압출수단(270)의 분창(272)을 매개로 외부로 방출되어 반복적으로 냉면 면발(300)의 제조가 완료되도록 재압출장치(200)의 동작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재압출장치(200)에 구비된 분창(272)의 전방에는 상기 분창(272)을 통해 방출되는 냉면 면발(300)을 냉각시키도록 송풍기로 이루어진 냉각장치(400)가 설치되어 제공된다.
참조부호 290은 하우징을 나타낸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제조장치를 매개로 소정 원료가 배합된 반죽이 두 번의 압출과정을 거쳐 냉면 면발로 제조되는데 있어서는, 먼저 소정 반죽장치(도시안됨)을 통해 냉면 면발의 제조를 위한 각종 재료의 배합 및 반죽이 이루어진 후, 해당 반죽은 상기 메인장치(100)에 호퍼(140)로 투입되게 된다.
상기 메인장치(100)의 호퍼(140) 내의 반죽은 그 내부에 구비된 수직 스크류(142)를 매개로 상기 이송관(132) 내부로 투입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120)을 매개로 동작되는 이송스크류(134)에 의해 상기 압출수단(160)이 구비된 이송관(162)의 전단 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관(132) 내부는 상기 제어수단(170)의 제어에 따른 히터 및 냉각기로 이루어진 온도조절수단(150)의 동작에 따라 냉면 면발을 익히기 위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132) 내에 투입된 반죽이 이송관(132)의 전단을 향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압축되어 다져지고 익혀진 상태에서, 상기 압출수단(160)에 구비된 분창(162)을 통해 해당 반죽이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냉면 면발(300)이 제조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압출수단(160)을 구성하는 보조분창(164)을 통해 압출되는 반죽의 압력이 일차적으로 조정된 후 그 전면의 분창(162)을 통해 안정적으로 다량의 냉면 면발(300)이 연속 방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창(162)은 다수 개의 홀이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구성됨에 따라, 다수 가닥의 냉면 면발(300)이 일측으로 쏠리지 않은 상태로 균일하게 방출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장치(100)를 통해 1차로 제조된 냉면 면발(300)은 다시 재압출장치(200)로 투입되어 반복적인 압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즉 상기 메인장치(100)의 분창(162)을 통해 방출된 냉면 면발(300)은 상기 가이드부재(222)가 구비된 이송 컨베이어(2220)를 통해 재압출장치(200)의 호퍼(240) 상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호퍼(240) 내부로 투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를 통한 상기 메인장치(100)에서 제조된 냉면 면발(300)의 이동 시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 상측에 구비된 팬(230)이 동작되면서 냉면 면발(300)의 온도를 일정 온도만큼 떨어뜨림과 아울러, 이송 컨베이어(220)를 타고 이동되는 냉면 면발(300)의 공기 접촉이 증대되도록 하므로서, 보다 우수한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 재압출장치(200)의 호퍼(240) 내부로 투입된 냉면 면발(300)은 상기 호퍼(240) 내부의 로울러(242)를 경유하여 상기 재압출장치의 이송관(262) 내부로 투입된 후 어느 정도 뭉쳐진 상태로 상기 구동수단(250)을 통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264)를 매개로 이송관(262) 전방의 압출수단(270)을 향해 연속적으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재압출장치(200)의 제어수단(280)은 상기 이송관(262)에 구비된 냉각기로 이루어진 온도조절수단(266)을 통해 이송관(262) 내부가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를 행함과 아울러,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의 이동속도, 구동모터(252) 및 보조 구동모터(246), 팬(230) 등의 구동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냉면 면발(300)이 어느 정도 뭉쳐진 상태로 상기 재압출장치(200)의 이송스크류(264)를 매개로 상기 이송관(262)의 전단 측으로 연속 이동된 후에는 상기 메인장치(100)의 압출수단(16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재압출장치(200)의 압출수단(270)을 통해 상기 분창(272) 외부로 냉면 면발(300)이 연속 방출되면서, 우수한 품질을 갖는 냉면 면발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면류 제조장치를 통한 면류 제조의 실시예로 냉면 면발의 제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해당 장치를 통해서는 냉면 이외의 다양한 면류의 제조를 비롯하여 떡이나 과자 등과 같은 다양한 식품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100: 메인장치,
110: 베이스 프레임, 120: 구동수단, 122: 구동모터,
124: 구동기어, 126: 종동기어, 128: 타이밍밸트,
130: 이송수단, 132: 이송관, 134: 이송스크류,
140: 호퍼, 142: 수직 스크류, 144: 구동모터,
150: 온도조절수단, 160: 압출수단, 162: 분창,
164: 보조분창, 166: 파지부, 170: 제어수단,
180: 하우징,
200: 재압출장치,
210: 베이스 프레임, 220: 이송 컨베이어, 222: 가이드부재,
224: 간격조절롤, 230: 팬, 232: 팬설치 브라켓트,
240: 호퍼, 242: 로울러, 244: 돌기,
246: 보조 구동모터, 248: 체인, 250: 구동수단,
252: 구동모터, 254: 구동기어, 256: 종동기어,
258: 밸트, 260: 이송수단, 262: 이송관,
264: 이송스크류, 266: 온도조절수단, 270: 압출수단,
272: 분창, 274: 보조분창, 276: 파지부,
280: 제어수단, 290: 하우징,
300: 냉면 면발,
400: 냉각장치.

Claims (8)

  1. 일정 높이를 갖는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22)와 상기 구동모터(122)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124)와 상기 구동기어(124)와 타이밍밸트(128)를 매개로 연계되는 종동기어(126)를 포함하는 구동수단(120)과, 일정 직경 및 길이를 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종동기어(126)의 회전축 전방으로 수평 배치되는 이송관(132)과 상기 종동기어(126)의 회전축과 연계된 상태로 상기 이송관(132) 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34)로 이루어진 이송수단(130)과, 상기 이송관(132)의 상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정 반죽장치에서 각종 재료의 배합을 통해 생성된 반죽이 투입되는 호퍼(140)와, 일면에 분창(162)이 형성되고 타면은 개방된 넓적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132)의 선단에 장착되는 압출수단(160)과, 장치(100)의 온.오프 및 상기 구동수단(120)과 이송수단(130)을 비롯한 장치 전반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여 소정 반죽장치로부터 상기 호퍼(140)로 투입된 반죽이 상기 이송수단(130)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압출수단(160)의 분창(16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면발(300)이 제조되도록 하는 제어수단(170)을 포함하는 메인장치(100)가 구비된 면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140) 내부에는 소정 반죽장치로부터 투입된 반죽이 원활하게 상기 이송관(132) 내부로 유도될 수 있도록 별도의 구동모터(144)로부터 소정 구동력을 인가받는 수직스크류(142)가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호퍼(140)로부터 반죽이 공급되는 스크류의 일측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의 피치는 상기 압출수단(160)과 인접한 스크류의 타측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의 피치에 비해 큰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호퍼(140)를 통해 투입된 반죽이 상기 압출수단(160) 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은 상기 이송스크류(134)의 큰 치수의 피치를 갖는 나사산으로부터 작은 치수의 피치를 갖는 나사산 측으로 이동되되, 작은 치수의 피치를 갖는 나사산 측을 통과하면서 다져짐과 동시에 상기 이송관(132)에 설치된 히터 및 냉각기로 이루어진 온도조절수단(150)의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익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호퍼(140)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관(132)의 양측은 각각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하우징(180)이 덧씌워져 마감되고;
    상기 압출수단(160)은 일면에 냉면 면발이 압출되어 방출되는 분창(162)이 형성되고 타면은 개방된 넓적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132)의 선단에 나사산 구조를 통해 장착되며, 그 외주면에는 핸들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파지부(166)가 일정 길이의 바(bar)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압출수단(160)에 구비되는 분창(162)과 수 밀리미터[mm] 이격된 후방에는 상기 이송스크류(134)를 통해 이송된 반죽이 상기 분창(162)을 통해 방출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보조분창(164)이 설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보조분창(164)에 천공된 홀의 직경은 상기 분창(162)에 천공된 홀의 직경에 비해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창(162) 또는 보조분창(164)에 천공된 각 홀은 후면에서 전면을 향해 그 직경이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분창(162)에 천공되는 다수 개의 홀은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치(100)의 전방에는 상기 압출수단(160)의 분창(162)을 통해 방출되는 면발(300)을 재압출시키기 위한 재압출장치(20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재압출장치(200)는,
    일정 높이를 갖는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52)와, 상기 구동모터(252)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254)와, 상기 구동기어(254)와 타이밍밸트(258)를 매개로 연계되는 종동기어(256)를 포함하는 구동수단(250)과;
    일정 직경 및 길이를 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종동기어(256)의 회전축 전방으로 수평 배치되는 이송관(262)과, 상기 종동기어(256)의 회전축과 연계된 상태로 상기 이송관(262) 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이송스크류(264)로 이루어진 이송수단(260)과;
    상기 이송관(262)의 상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장치(100)의 분창(162)을 통해 방출되는 면발(300)이 투입되는 호퍼(240)와;
    상기 메인장치(100)의 분창(162)을 통해 방출되는 면발(300)이 상기 호퍼(240) 상측으로 이송되도록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이송 컨베이어(220)와;
    일면에 분창(272)이 형성되고 타면은 개방된 넓적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262)의 선단에 장착되는 압출수단(270)과;
    장치(200)의 온.오프 및 상기 구동수단(250)과 이송수단(260),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를 비롯한 장치 전반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행하여, 상기 메인장치(100)의 분창(162)으로부터 방출된 후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를 통해 호퍼(240)로 투입된 면발(300)이 상기 이송수단(260)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압출수단(270)의 분창(272)을 통해 외부로 재방출되면서 면발(300)이 제조되도록 하는 제어수단(2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의 상측에는 상기 호퍼(240)를 향해 상측으로 이송되는 면발(300)의 냉각을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팬(230)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의 하단에는 상기 메인장치(100)의 분창(162)을 통해 방출되는 면발(300)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에 탑재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그 평면이 "┗┛" 형상을 갖는 가이드부재(222)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제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압출장치(200)의 호퍼(240) 내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220)를 통해 이송된 면발(300)이 뭉쳐지면서 이송스크류(264)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로울러(242)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240)의 일측에는 상기 로울러(242)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보조 구동모터(246)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242)의 외주면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다수 개의 돌기(244)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제조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10063378A 2021-05-17 2021-05-17 면류 제조장치 KR102665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78A KR102665521B1 (ko) 2021-05-17 2021-05-17 면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78A KR102665521B1 (ko) 2021-05-17 2021-05-17 면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751A KR20220155751A (ko) 2022-11-24
KR102665521B1 true KR102665521B1 (ko) 2024-05-10

Family

ID=84235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378A KR102665521B1 (ko) 2021-05-17 2021-05-17 면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7164B (zh) * 2023-10-30 2024-01-19 云南旭众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操作便捷的半干湿米线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758Y1 (ko) * 1999-07-08 2000-02-15 김상태 반죽기용동력전달장치
KR200201867Y1 (ko) * 2000-04-25 2000-11-01 이기봉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KR100655864B1 (ko) * 2005-09-06 2006-12-08 연기석 개선된 메밀면 제조장치 및 방법
US20070092621A1 (en) 2005-09-12 2007-04-26 Cj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oodles for cold noodle dish through extrusion
KR200441547Y1 (ko) * 2008-04-29 2008-08-25 주식회사보림이엔지 제면기
KR101204228B1 (ko) * 2012-06-15 2012-11-26 김장훈 국수 제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885B1 (ko) 1996-07-11 1999-06-15 하복진 냉면 자동 압출장치
KR101281457B1 (ko) 2010-01-19 2013-07-03 주식회사 성림에프앤비 냉면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758Y1 (ko) * 1999-07-08 2000-02-15 김상태 반죽기용동력전달장치
KR200201867Y1 (ko) * 2000-04-25 2000-11-01 이기봉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KR100655864B1 (ko) * 2005-09-06 2006-12-08 연기석 개선된 메밀면 제조장치 및 방법
US20070092621A1 (en) 2005-09-12 2007-04-26 Cj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oodles for cold noodle dish through extrusion
KR200441547Y1 (ko) * 2008-04-29 2008-08-25 주식회사보림이엔지 제면기
KR101204228B1 (ko) * 2012-06-15 2012-11-26 김장훈 국수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751A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7074A (en) Preparation of cookie products involving extrusion heating and wire cutting
CS277062B6 (en) Process for producing raw dough for dough articles and a mixing kneading machine for making the same
JPH0775503B2 (ja) ねり粉製品を造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BRPI0716795B1 (pt) linha de produção e método para produção de wafers comestíveis através de extrusão
CN204015067U (zh) 云腿月饼全自动生产线
KR102665521B1 (ko) 면류 제조장치
CN104172452B (zh) 云腿月饼全自动生产线
KR200384226Y1 (ko)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KR102159438B1 (ko) 이중면을 이용한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CN213939497U (zh) 一种杂粮面条自动生产设备
CN101194686A (zh) 通心粉生产线及其生产工艺
KR100192885B1 (ko) 냉면 자동 압출장치
KR20060091364A (ko)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CN205611753U (zh) 夹心粉机
KR101173086B1 (ko)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US590676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aking dough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KR20050038606A (ko) 고기말이 성형기
KR20160007775A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KR200346481Y1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KR100348213B1 (ko) 꽈배기 자동제조기
CN209597090U (zh) 一种鲜花饼生产用馅料混配装置
KR200188529Y1 (ko) 꽈배기 자동제조기
KR102026453B1 (ko)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
KR20230078165A (ko) 유기농 퍼핑 과자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