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453B1 -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453B1
KR102026453B1 KR1020190048216A KR20190048216A KR102026453B1 KR 102026453 B1 KR102026453 B1 KR 102026453B1 KR 1020190048216 A KR1020190048216 A KR 1020190048216A KR 20190048216 A KR20190048216 A KR 20190048216A KR 102026453 B1 KR102026453 B1 KR 102026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blade
molding
conveyor member
twi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엘테크
Priority to KR102019004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8Machines for twisting strips of dough, e.g. for making pretze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형 식품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생산 가능하며, 특히, 나선형 식품의 제조시 인력에 의한 작업을 최소화하여 위생적 생산 환경을 제공하고, 높은 상품성과 생산성을 보장하는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twist food}
본 발명은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선형 식품 제조를 위한 반죽을 가닥으로 형성하는 과정부터 이를 유탕처리하기까지 일련의 과정이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한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떡, 빵 등은 어린아이부터 성인까지 모두에게 사랑받는 간식의 대표적인 예로, 특히, 이러한 간식 중 떡이나 밀가루 반죽 등을 나선형으로 꼬아 만든 식품이 있으며, 이러한 나선형 식품의 간식은 맛 뿐만 아니라 보여지는 부분에 있어서도 흥미를 유발하기 때문에 특히 어린아이들이 좋아하는 간식으로 손꼽힌다.
나선형 식품 중 특히 꽈배기는 반죽한 밀가루를 길게 늘여 두, 세 가닥으로 꺾어 새끼 꼬듯이 꼬아 식용유에 튀겨 낸 과자류의 일종으로서, 주재료인 밀가루에 설탕과 술 또는 효모 등의 발효제를 소량 섞고 반죽하여, 엿가락을 늘이듯이 길게 늘여 여러 가닥으로 꼬아 식용유 속에 넣고 튀겨내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꽈배기는 밀가루가 주재료이므로 한창 자라나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간식용으로 인기가 높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할 것 없이 기호도가 높은 식품이다.
꽈배기는 제조 시 반죽, 발효, 성형, 가열 및 후가공 등 여러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판매를 위한 대량 제조시 전 공정을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작업하면 가공된 꽈배기의 형상과 중량이 균일하지 못하며, 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성 및 효율성이 저하되며,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계적인 메커니즘으로 꽈배기의 제조가 가능한 여러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그 중 하나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꽈배기 자동제조기는 일측의 프레임(2)에 소재(S)를 공급하는 공급부(10)로 부터 소재(S)를 공급받아 성형헤드부(20)에서 압출시키는 과정에서 압출헤드(30)가 회전하면서 꽈배기가 꼬아지는 성형헤드부(20)가 설치되고, 성형헤드부(20)와 압출되는 소재(S) 또는 성형중인 소재(S)를 냉각시키도록 냉각부(40)가 설치되며, 타측의 프레임(2')에 성형된 소재(S)를 이송시키는 콘베어부(50)와 콘베어부(50) 상에 이송중인 소재(S)를 절단시키는 절단부 (60)를 설치하여 본체(1)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는 다량의 꽈배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꽈배기를 공급할 수 있으나 꽈배기의 형태가 한정되어 있고, 반죽이 회전하며 압출되는 과정에서 압력에 의해 균일한 반죽 성형물을 형성할 수 없었다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852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나선형 식품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생산 가능하며, 특히, 나선형 식품의 제조시 인력에 의한 작업을 최소화하여 위생적 생산 환경을 제공하고, 높은 상품성과 생산성을 보장하는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반죽이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반죽이 배출되도록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하며 서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호퍼 및 상기 호퍼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호퍼로 투입된 반죽을 가닥으로 성형하여 배출구 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공급부; 각각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닥의 반죽이 서로 꼬이도록 공급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메인모터;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며 꼬여진 반죽을 파지하는 제1 파지부; 상기 제1 파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꼬여진 반죽을 파지하는 제2 파지부; 상기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꼬여진 반죽의 경로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제2 파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반죽 성형물을 유탕처리하는 유탕부; 상기 제2 파지부와 유탕부 사이에 배치되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반죽 성형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압착롤러 및 반죽 성형물을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로 안내하도록 소정 곡률로 절곡된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 각각은, 꼬여진 반죽의 주변으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한 쌍의 이송부재;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 각각에 설치되며 꼬여진 반죽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송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 개의 파지구; 및 상기 파지구의 선단에 마련되는 연질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꼬여진 반죽의 주변으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1 칼날부재;와 제2 칼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칼날부재는, 선단에 상부를 향해 돌출된 제1 마감돌기가 형성된 제1 칼날; 및 상기 제1 칼날을 꼬여진 반죽을 향해 왕복 이동시키는 제1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칼날부재는, 선단에 하부를 향해 돌출된 제2 마감돌기가 형성된 제2 칼날 및; 상기 제2 칼날을 꼬여진 반죽을 향해 왕복 이동시키는 제2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칼날과 제2 칼날은 꼬여진 반죽을 향해 서로 교차 이동되며, 원위치로 복귀시 상기 제1 마감돌기와 제2 마감돌기가 반죽 성형물의 끝단에 접촉되면서 끝단을 수렴하며, 상기 유탕부는, 튀김유가 충전된 유탕조; 및 상기 유탕조로 투입된 반죽 성형물을 유탕조의 내부에서 이동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유탕조의 바닥면에서 수평으로 주행하는 수평컨베이어부재; 상기 수평컨베이어부재의 일측에서 유탕조의 상부를 향해 경사 배치되는 경사컨베이어부재; 상기 경사컨베이어부재의 일측에서 수평으로 주행하되 유탕처리된 식품에 진동을 가해 기름을 털어내는 진동컨베이어부재; 상기 경사컨베이어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경사컨베이어부재를 타고 이동되는 반죽 성형물을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부재; 및 상기 수평컨베이어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착롤러를 통과한 반죽 성형물이 만곡진 형태로 안착되는 복수 개의 원형의 안착대가 마련되는 성형컨베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나선형 식품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생산 가능하며, 특히, 나선형 식품의 제조시 인력에 의한 작업을 최소화하여 위생적 생산 환경을 제공하고, 높은 상품성과 생산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에서 유탕부와 하우징이 생략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배기 제조장치에서 유탕부가 생략된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유탕부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공급부의 회전구동에 따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2 파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절단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안착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공급부(100), 메인모터(200), 제1 파지부(300), 제2 파지부(400), 절단부(500) 및 유탕부(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는 전술한 부재들을 지지하는 하우징(7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때, 공급부(100)는 하우징(700)의 상부에, 메인모터(200), 제1 파지부(300), 제2 파지부(400), 절단부(500) 등은 하우징(700)에 내장된 형태로 예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전술한 부재들은 하우징(700)의 적소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치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먼저, 공급부(100)는 덩어리진 반죽을 다발 형태의 가닥 반죽으로 성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공급부(100)는 반죽이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반죽이 배출되도록 하부에 배출구(120)를 형성하며 서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호퍼(110) 및 상기 호퍼(110)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호퍼(110)로 투입된 반죽을 가닥으로 성형하여 배출구(120) 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스크류(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덩어리진 반죽을 호퍼(110)의 상부로 투입하면 호퍼(110)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스크류(130)에 의해 가압되면서 얇은 가닥의 반죽으로 가압, 이동되면서 배출구(120)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호퍼(110)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공급부(100)를 예시하며, 각각의 호퍼(110)에 서로 다른 맛, 색깔로 이루어진 반죽을 투입하면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여러 종류의 나선형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호퍼(110)에 파프리가 분말이 교반된 반죽, 당근 분말이 교반된 반죽, 쑥 분말이 교반된 반죽 등을 투입시키게 되면 각각의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다발의 가닥이 서로 다른 색상과 맛을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가닥이 꼬여 나선형 식품을 형성하면 식품의 맛, 식감, 미관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스크류(130)는 호퍼(110)의 내부에서 반죽을 얇은 가닥으로 가압하고, 이를 배출구(120)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한 공지의 이송용 스크류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스크류(130)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보조모터(14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크류(130)와 연동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다음으로, 메인모터(200)는 각각의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가닥의 반죽이 서로 꼬이도록 공급부(100)를 회전 구동시킨다. 즉, 메인모터(200)는 공급부(100) 전체를 하우징(700)에 대해 상대회전시킴으로써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다발의 가닥 반죽을 꼬이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일례로, 메인모터(200)는 호퍼(110)의 배출구(120) 하단과 타이밍벨트(210)를 매개로 연동될 수 있으며 이때 메인모터(200)의 출력단에 타이밍풀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모터(200)는 하우징(700)의 내부 상벽에 설치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파지부(300)와 제2 파지부(400)는 호퍼(110)로부터 배출된 가닥의 반죽을 파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10)의 배출구(120)에서 가닥의 반죽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급부(100)가 메인모터(200)의 구동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하게 되면 배출구(120)로 배출된 가닥의 반죽이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파지부(300)와 제2 파지부(400)가 가닥의 반죽을 제자리에서 파지하게 되면 구동부는 회전하고 가닥의 반죽은 정지하게 되어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가닥의 반죽이 배출구(120) 측에서부터 꼬여지게 되는 것이다.
먼저, 제1 파지부(300)는 상기 배출구(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꼬여진 반죽을 파지하게 되며 제2 파지부(400)는 상기 제1 파지부(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꼬여진 반죽을 파지하게 된다.
제1 파지부(300)와 제2 파지부(400)가 상, 하 방향으로 이격된 채 가닥의 반죽을 개별적으로 파지하는 이유는 꼬여진 반죽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해내기 위한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제1 파지부(300)와 제2 파지부(400)는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 제1 파지부(300)의 구성의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제1 파지부(300)는 꼬여진 반죽의 주변으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한 쌍의 이송부재(310),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310) 각각에 설치되며 꼬여진 반죽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송부재(3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 개의 파지구(320) 및 상기 파지구(320)의 선단에 마련되는 연질의 패드(3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송부재(310)는 컨베이어와 같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부재로 예시될 수 있으며, 파지구(320)는 이러한 이송부재(310)에 장착되어 반죽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송부재(3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스크류(130)에 의해 호퍼(110)에서 가닥의 반죽이 배출구(120)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는데 이렇게 배출되는 가닥의 반죽을 파지구(320)가 파지한 뒤 하강하는 반죽의 이동방향에 맞게 이송부재(3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공급부(100)가 회전하게 되면 가닥의 반죽이 꼬이게 되면서 꼬여진 반죽을 형성하게 된다.
즉, 파지구(320)가 이송부재(310)의 회전방향을 따라 반죽의 주변에서 하강하게 될 때 서로 마주보는 파지구(320)가 반죽을 파지하게 되며 이 순간 반죽이 꼬아지게 되는 것이다.
파지구(320)가 이송부재(310)의 회전방향을 따라 반죽을 파지하여 이동하더라도 배출구(120)에서 지속적으로 가닥의 반죽이 배출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반죽이 늘어지거나 끊기지 않게 되는 것이고 이송부재(310)의 하사점에서 서로 마주보는 파지구(320)가 이송부재(3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벌어지게 되므로 파지하고 있던 반죽의 파지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상기 패드(330)는 파지구(320)가 반죽을 파지하게 될 때 반죽에 상처를 내거나 반죽의 형태를 무너트리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와 같이 꼬여진 반죽은 절단부(500)에 의해 절단되어 적당한 길이를 갖게 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하게 된다.
이때, 절단부(500)는 상기 제1 파지부(300)와 제2 파지부(400) 사이에 배치되며 꼬여진 반죽의 경로를 절단하게 되는데, 특히, 절단부(500)는 꼬여진 반죽의 주변으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1 칼날부재(510)와 제2 칼날부재(5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제1 칼날부재(510)와 제2 칼날부재(520)가 꼬여진 반죽을 향해 교차되면서 반죽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제1 칼날부재(510)는 선단에 상부를 향해 돌출된 제1 마감돌기(511)가 형성된 제1 칼날(512) 및 상기 제1 칼날(512)을 꼬여진 반죽을 향해 왕복 이동시키는 제1 엑츄에이터(51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고, 상기 제2 칼날부재(520)는 선단에 하부를 향해 돌출된 제2 마감돌기(521)가 형성된 제2 칼날(522) 및 상기 제2 칼날(522)을 꼬여진 반죽을 향해 왕복 이동시키는 제2 엑츄에이터(52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엑츄에이터(513)와 제2 엑츄에이터(523)가 꼬여진 반죽을 향해 각각 제1 칼날(512)과 제2 칼날(522)을 왕복 이동시켜 꼬여진 반죽을 절단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제1 칼날(512)과 제2 칼날(522)은 서로 선단이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꼬여진 반죽을 향해 서로 교차 이동된다. 이를 위해, 제1 칼날(512)과와 제2 칼날(522)은 소정의 상, 하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무리 없이 서로 교차되는 구조를 갖춘다. 제1 엑츄에이터(513)와 제2 엑츄에이터(523)는 공지의 유,공압 실린더를 채용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의 절단을 위해 제1 칼날(512)과 제2 칼날(522)이 서로 교차된 뒤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마감돌기(511)와 제2 마감돌기(521)가 반죽 성형물의 끝단에 접촉되면서 끝단을 수렴하게 된다.
제1 마감돌기(511)와 제2 마감돌기(521)는 각각 제1 칼날(512)과 제2 칼날(522)의 선단에서 상부와 하부로 돌출된 형태를 갖추기 때문에 제1 칼날(512)과 제2 칼날(522)이 교차되는 방향으로 빠르게 왕복 이동되면 반죽 성형물의 절단면을 스치고 지나가게 된다.
즉, 제1 칼날(512)과 제2 칼날(522)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반죽 성형물의 절단면을 제1 마감돌기(511)와 제2 마감돌기(521)로 스치고 지나가기 때문에 절단된 반죽 성형물의 끝단이 수렴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2점쇄선은 반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이다.
절단부(500)에 의해 가닥의 반죽이 꼬여진 상태에서 절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끝단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았을 경우, 유탕 공정에서 가닥 반죽이 낱개로 풀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나선형 식품이 제조되면 상품성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반죽의 절단과 동시에 절단면이 충분히 수렴되도록 해 반죽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절단부(500)에 의해 반죽이 절단되어 반죽 성형물이 마련되면 제2 파지부(400)가 파지하고 있던 반죽 성형물의 파지를 해제하여 자중에 의해 낙하시킨다.
다음으로, 유탕부(600)는 상기 제2 파지부(4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절단부(500)에 의해 절단된 반죽 성형물을 유탕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유탕부(600)는 하우징(700)의 외측 하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죽 성형물을 전달받아 가열된 튀김유로 반죽 성형물을 소정시간동안 유탕처리한 뒤 이를 다시 배출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는 제2 파지부(400)와 유탕부(600) 사이에 배치되며 절단부(500)에 의해 절단된 반죽 성형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압착롤러(720) 및 반죽 성형물을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720)로 안내하도록 소정 곡률로 절곡된 가이드판(7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파지부(400)의 하방으로 낙하되는 반죽 성형물은 가이드판(730)을 타고 한 쌍의 압착롤러(720)로 사이로 안내된 뒤 압착롤러(720)에 의해 소정 압력으로 압착되어 형태를 갖추게 된다. 반죽 성형물이 압착롤러(720)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꼬여진 가닥이 서로 밀착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반죽의 형태 안정성이 확보된다. 즉, 유탕 공정에서 반죽 성형물이 쉽게 풀어지지 않게 되므로 높은 상품성을 보장할 수 있다.
압착롤러(720)를 통과한 반죽 성형물은 하우징(700) 하부에 마련된 출구단(710)으로 배출되어 유탕부(600)로 낙하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탕부(600)는 튀김유가 충전된 유탕조(610) 및 상기 유탕조(610)로 투입된 반죽 성형물을 유탕조(610)의 내부에서 이동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컨베이어(6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유탕조(610)에는 튀김유를 일정 온도까지 승온시킬 수 있는 히터가 내장될 수 있으며 편의를 위해 도시 생략하였다.
이송컨베이어(620)는 반죽 성형물을 유탕조(610)의 내부에서 이동시키며 유탕처리가 완료된 식품을 튀김유에서 건저 올리게 된다.
이를 위해, 이송컨베이어(6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탕조(610)의 바닥면에서 수평으로 주행하는 수평컨베이어부재(621), 상기 수평컨베이어부재(621)의 일측에서 유탕조(610)의 상부를 향해 경사 배치되는 경사컨베이어부재(622), 상기 경사컨베이어부재(622)의 일측에서 수평으로 주행하되 유탕처리된 식품에 진동을 가해 기름을 털어내는 진동컨베이어부재(623), 상기 경사컨베이어부재(622)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경사컨베이어부재(622)를 타고 이동되는 반죽 성형물을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부재(624) 및 상기 수평컨베이어부재(621)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착롤러(720)를 통과한 반죽 성형물이 만곡진 형태로 안착되는 복수 개의 원형의 안착대(625a)가 마련되는 성형컨베이어부재(6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유탕조(610)로 반죽 성형물이 낙하되면 먼저 성형컨베이어부재(625)에 안착되고 성형컨베이어부재(625)에 안착된 반죽 성형물은 성형컨베이어의 일측에 배치된 수평컨베이어부재(621)로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반죽 성형물은 수평컨베이어부재(621)에 의해 이송되면서 튀김유에 의해 충분히 익혀져 식품으로 제조되고, 제조된 식품은 경사컨베이어부재(622)로 전달되어 경사컨베이어부재(622)를 타고 유탕조(6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식품은 경사컨베이어부재(622)와 가압컨베이어부재(624)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 부분을 통과하게 되면서 식품이 머금은 튀김유가 착유되어 다시 유탕조(610)로 흘러들어가는 구조가 된다.
경사컨베이어부재(622)를 통과한 식품은 진동컨베이어부재(623)에 안착되어 튀김유에서 완전히 이격되는데, 경사컨베이어부재(622) 자체가 진동하여 안착된 식품의 기름을 털어내기 위해 공지의 진동발생기가 경사컨베이어부재(622) 주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컨베이어부재(622)는 망사 형태의 벨트를 채용하거나 식품으로부터 탈락된 기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벨트에 복수의 기름배출구(120)멍이 타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성형컨베이어부재(625)는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부재로서, 성형컨베이어가 적용되었을 경우 일정 곡률 만곡진 형태의 나선형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는, 반죽 성형물이 유탕조(610)에 낙하하는 즉시 안착대(625a)에 안착되는데 기인한다.
상대적으로 유연하여 쉽게 변형이 가능한 반죽 상태의 성형물이 원형의 안착대(625a)에 안착되면 도 7과 같은 상태로 변형되는데 이 상태에서 튀김유에 의해 유탕처리가 될 경우 만곡진 형태의 나선형 식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곡진 형태의 반죽 성형물이 수평컨베어어부재에 전달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튀김유에 의해 조리되었기 때문에 일부가 익혀져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수평컨베이어부재(621)를 타고 이동되어 완전하게 유탕처리가 완료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본 작용에서는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가 구동되는 과정과 이러한 과정으로 나선형 식품이 제조되는 일련의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먼저, 덩어리 채의 반죽을 호퍼(110)의 상부로 투입시킨다. 이때, 호퍼(110)에서는 스크류(130)가 회전 구동되고 있는 상태가 되며 호퍼(110)의 상부로 투입된 반죽이 스크류(130)에 의해 압축되면서 가닥의 반죽으로써 배출구(120)로 배출된다.
가닥의 반죽이 일정 길이 배출되면 제1 파지부(300)와 제2 파지부(400)가 가닥의 반죽 경로를 파지한다. 이때, 공급부(100) 자체가 제자리 회전하면서 가닥의 반죽을 꼬아주게 된다.
꼬여진 반죽이 형성되면 절단부(500)의 제1 칼날부재(510)와 제2 칼날부재(520)가 상호 작동되어 꼬여진 반죽의 경로를 절단시킨다. 그 다음, 제2 파지부(400)가 절단된 상태의 반죽 성형물를 하방으로 자유낙하시키게 되고 낙하되는 반죽 성형물는 가이드판(730)에 의해 한 쌍의 압착롤러(720) 사이로 안내되어 소정 압력으로 압축된 뒤 하우징(700)의 출구단(710)으로 배출된다.
하우징(700)의 출구단(710)으로 배출된 반죽 성형물은 유탕조(610)에 낙하되고, 이송컨베이어(620)를 타고 유탕조(610)의 내부를 이동하며 충분히 익혀진 뒤 유탕조(6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으로 나선형 식품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공급부 200: 메인모터
300: 제1 파지부 400: 제2 파지부
500: 절단부 600: 유탕부

Claims (2)

  1. 반죽이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반죽이 배출되도록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하며 서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호퍼 및 상기 호퍼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호퍼로 투입된 반죽을 가닥으로 성형하여 배출구 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공급부;
    각각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가닥의 반죽이 서로 꼬이도록 공급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메인모터;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며 꼬여진 반죽을 파지하는 제1 파지부;
    상기 제1 파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꼬여진 반죽을 파지하는 제2 파지부;
    상기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꼬여진 반죽의 경로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제2 파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반죽 성형물을 유탕처리하는 유탕부;
    상기 제2 파지부와 유탕부 사이에 배치되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반죽 성형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압착롤러 및 반죽 성형물을 상기 한 쌍의 압착롤러로 안내하도록 소정 곡률로 절곡된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 각각은,
    꼬여진 반죽의 주변으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한 쌍의 이송부재;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 각각에 설치되며 꼬여진 반죽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송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 개의 파지구; 및
    상기 파지구의 선단에 마련되는 연질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꼬여진 반죽의 주변으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1 칼날부재;와 제2 칼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칼날부재는,
    선단에 상부를 향해 돌출된 제1 마감돌기가 형성된 제1 칼날; 및
    상기 제1 칼날을 꼬여진 반죽을 향해 왕복 이동시키는 제1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칼날부재는,
    선단에 하부를 향해 돌출된 제2 마감돌기가 형성된 제2 칼날 및;
    상기 제2 칼날을 꼬여진 반죽을 향해 왕복 이동시키는 제2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칼날과 제2 칼날은 꼬여진 반죽을 향해 서로 교차 이동되며, 원위치로 복귀시 상기 제1 마감돌기와 제2 마감돌기가 반죽 성형물의 끝단에 접촉되면서 끝단을 수렴하며,
    상기 유탕부는,
    튀김유가 충전된 유탕조; 및
    상기 유탕조로 투입된 반죽 성형물을 유탕조의 내부에서 이동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유탕조의 바닥면에서 수평으로 주행하는 수평컨베이어부재;
    상기 수평컨베이어부재의 일측에서 유탕조의 상부를 향해 경사 배치되는 경사컨베이어부재;
    상기 경사컨베이어부재의 일측에서 수평으로 주행하되 유탕처리된 식품에 진동을 가해 기름을 털어내는 진동컨베이어부재;
    상기 경사컨베이어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경사컨베이어부재를 타고 이동되는 반죽 성형물을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부재; 및
    상기 수평컨베이어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착롤러를 통과한 반죽 성형물이 만곡진 형태로 안착되는 복수 개의 원형의 안착대가 마련되는 성형컨베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
KR1020190048216A 2019-04-25 2019-04-25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 KR102026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216A KR102026453B1 (ko) 2019-04-25 2019-04-25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216A KR102026453B1 (ko) 2019-04-25 2019-04-25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453B1 true KR102026453B1 (ko) 2019-09-27

Family

ID=6809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216A KR102026453B1 (ko) 2019-04-25 2019-04-25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4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529Y1 (ko) 1999-12-20 2000-07-15 김점모 꽈배기 자동제조기
KR20020094166A (ko) * 2001-06-11 2002-12-18 오세일 꽈배기 자동 제조장치
KR20090064648A (ko) * 2007-12-17 2009-06-22 장인락 꽈배기 떡 성형용 노즐기구 및 그 꽈배기 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529Y1 (ko) 1999-12-20 2000-07-15 김점모 꽈배기 자동제조기
KR20020094166A (ko) * 2001-06-11 2002-12-18 오세일 꽈배기 자동 제조장치
KR20090064648A (ko) * 2007-12-17 2009-06-22 장인락 꽈배기 떡 성형용 노즐기구 및 그 꽈배기 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04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ormation of a shaped food product
WO19930240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lastic foods
JP4274569B2 (ja) 食品素材の押し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CN204015067U (zh) 云腿月饼全自动生产线
CN104172452B (zh) 云腿月饼全自动生产线
CN106942772A (zh) 一种双皮包馅食品生产设备
TWI700039B (zh) 芝麻薄餅機
KR102026453B1 (ko) 나선형 식품 자동 제조장치
CN205547144U (zh) 全自动油条成型机
CN108782914B (zh) 一种拐杖糖全自动生产线
CN112869060B (zh) 一种鱼豆腐熟化生产线
CN108378087B (zh) 一种鸡蛋仔制作设备
KR102665521B1 (ko) 면류 제조장치
CA2558292C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shredded cheese
JP4045320B2 (ja) 食品成形装置
JP4319674B2 (ja) 絞り成形食品の成形装置及び方法
CN2161073Y (zh) 粉皮加工机
JP7193279B2 (ja) おにぎり成形装置
JPH01277443A (ja) 練り物分出し装置
CN207201960U (zh) 一种鱼丸机
CN108497014B (zh) 一种多成型口的面包成型机
CN207604440U (zh) 一种包子机的供馅调节装置
JP4009673B2 (ja) 可食性容器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543448B1 (ko) 꽈배기 이중 성형기
CN211430821U (zh) 一种面点分切及托举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