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387B1 -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0387B1 KR101420387B1 KR1020120081136A KR20120081136A KR101420387B1 KR 101420387 B1 KR101420387 B1 KR 101420387B1 KR 1020120081136 A KR1020120081136 A KR 1020120081136A KR 20120081136 A KR20120081136 A KR 20120081136A KR 101420387 B1 KR101420387 B1 KR 1014203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t
- processed food
- seasoning sauce
- sauce
- tteokgalbi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20995 raw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41000270708 Testudin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20098 plum w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457 ice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4101 w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9434 Actinidia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1101 Actinidia delicios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9436 Actinidia delicios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2930 Alternanthera sessi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579 Alternanthera sessil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1191 Lemna aequinoctia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6439 Lemna min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1987 Pyrus commun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64 duck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594 poultry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9687 Lamb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108010083364 chungkookjang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YBHQCJILTOVLHD-YVMONPNESA-N (5Z)-2-amino-5-[(4-hydroxyphenyl)methylidene]-1,3-thiazol-4-one Chemical compound S1C(N)=NC(=O)\C1=C\C1=CC=C(O)C=C1 YBHQCJILTOVLHD-YVMONPNE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138 T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JLPULHDHAOZNQI-ZTIMHPMXSA-N 1-hexadecanoyl-2-(9Z,12Z-octadecadie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 JLPULHDHAOZNQI-ZTIMHPMX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371 Bacillus subti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469 Bacillus subti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75615 Bacillus subtilis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2
- AIHDCSAXVMAMJH-GFBKWZILSA-N Levan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C@@H]1[C@@H](O)[C@H](O)[C@](CO)(CO[C@@H]2[C@H]([C@H](O)[C@@](O)(CO)O2)O)O1 AIHDCSAXVMAMJH-GFBKWZIL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70 Vitamin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IKHGUXGNUITLKF-UHFFFAOY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CC=O IKHGUXGNUITL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21 digesti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TOSIQBPPRVQHS-PDBXOOCHSA-N α-linole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DTOSIQBPPRVQHS-PDBXOOCH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496 Acn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1897 Alzheimer'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58 Brain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69 Calc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646 Chrysanthemum x mor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6 Chrysanthemum x morifol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4137 Cicad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95 Co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644 Cola acumi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24 Cola pachycar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311 Commiphora myrrh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965 Commiphora myrrh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718 Duodenal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3147 ERVK-25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32 Ente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970 Ephelid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0 Fruct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876 Haliotis corrug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284 Iron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1676635 Lepidorhombus whiffiago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488 Linol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65 Myrrhis odor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29 Ow co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771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270 Peptidyl-Dipeptidase 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882 Peptidyl-Dipeptidase 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966 Senile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771 Soybean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107 Stomach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98 Sus scrof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36 Thromb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529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584 Ziziphus juju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61 alpha-linol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0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286 dia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5 fat cont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70 frozen doug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70 gamma-poly(glutamat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917 gastric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238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8 materia med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0 nutr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16 parmes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5 pregnanc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7 proteolyth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152 sens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10 soybean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167 toxic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5 visc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wh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23L13/67—Reformed meat products other than saus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6—Addition of proteins, carbohydrates or fibrous material from vegetable origin other than sugars or sugar alcoho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2—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from fruit, e.g. essential oi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원료육을 세절하는 단계; (b) 가공식품을 세절하는 단계; (c) 양념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a)단계에서 세절된 육 및 (b)단계에서 세절된 가공식품을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양념 소스와 혼합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 (f) 상기 (e)단게에서 성형된 육을 포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는 대량생산에도 불구하고 세절된 가공식품을 첨가하므로 인해 퍽퍽한 느낌이 제거되고, 씹히는 맛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식감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양념 소스에 청국장 분말 또는 함초 분말을 가미하여 소화흡수를 도와 건강증진에 도움이 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는 대량생산에도 불구하고 세절된 가공식품을 첨가하므로 인해 퍽퍽한 느낌이 제거되고, 씹히는 맛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식감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양념 소스에 청국장 분말 또는 함초 분말을 가미하여 소화흡수를 도와 건강증진에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시지, 햄, 어묵, 두부, 스위트 콘 또는 빙수 떡을 첨가하여 제조된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떡갈비는 고기를 다져 떡의 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떡갈비라 불리며, 궁중 음식으로 임금이 체통 없이 갈비를 손에 들고 뜯을 수 없다는 뜻도 숨어있다. 이러한 떡갈비는 한국의 전통요리 중 하나로서 불고기나 갈비 등과 함께 내 외국인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인기 식품이며, 최근에는 가공업체에서 생산된 포장식품 또는 즉석 조리식품으로 그 소비층을 더욱 넓혀가고 있다. 이와 같이 궁중에서 유래한 떡갈비는 전라도 담양, 화순과 경기도 광주, 양주, 일원에서 시작된 요리로서, 갈빗살을 곱게 갈아서 방망이로 두들긴 후 양념과 반죽하여 갈비뼈에 붙이거나 또는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양념장을 발라 프라이팬이나 석쇠에 구워낸 식품이다.
이러한 떡갈비는 고기가 부드러워 먹기에 편리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즐길 수 있는 식품이며, 특히 일정한 규격성을 갖기 때문에 대량생산 및 즉석식품으로 적합하여 소비층이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소비자의 입맛을 맞추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첨가물을 첨가한 떡갈비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등에 개시되어 있다.
즉, 하기 문헌 1에는 해산물을 이용한 떡갈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해산물 떡갈비에 관한 것으로서, 돼지고기를 준비하여 세절하는 단계; 해산물을 준비하여 세절하는 단계; 간장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여기에 닭뼈 6~10중량부, 돼지뼈 6~10중량부, 양파 2~3중량부, 배 2~3중량부, 고추 2~3중량부 마늘 2~3중량부 및 생강 2~3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의 혼합물이 100중량부가 될 때까지 70~90℃에서 가열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제 2단계에서 가열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액상의 앙념소스를 얻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양념소스 제조단계; 상기 세절된 돼지고기 10중량부를 기준으로 조기, 동태, 광어, 우럭, 전복, 미역, 굴, 파래 및 홍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해산물 1~10중량부, 미리 다져놓은 각각의 양파 1~3중량부, 대파 0.1~0.3중량부, 배 0.3~0.8중량부, 마늘 0.1~0.3중량부, 생강 0.1~0.3중량부 및 상기 앙념소스 1.0~2.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재료혼합단계; 및 상기 재료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떡갈비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해산물을 이용한 떡갈비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있다.
또 하기 문헌 2에는 쑥떡 떡갈비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쑥떡 떡갈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냉동육을 3℃~5℃에서 12시간 내지 20시간 동안 해동 및 숙성시키고 0.5㎝~1㎝ 두께로 절단하여 냉동육을 처리하는 원육 처리단계와, 부재료인 야채 및 과일을 믹싱한 후 4℃~5℃에서 자연숙성시키는 부재료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된 부재료에 설탕, 미원, 물엿, 후추, 소금, 조선간장, 통깨, 참기름, 커피, 스테이크소스를 혼합하여 만든 양념을 3℃~5℃에서 숙성시키는 양념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된 양념을 상기 원육 처리단계에서 절단된 원육과 혼합한 후, 양념이 원육에 고르게 흡수되도록 20분 내지 30분 정도 주물러주는 떡갈비 제조단계와, 상기 떡갈비를 3℃∼5℃에서 20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떡갈비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된 떡갈비를 1인분의 분량에 맞게 적당히 낱개로 분리하여 가압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떡갈비의 외부를 쑥떡으로 감싸도록 하여 떡갈비를 제조하는 쑥떡 떡갈비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떡떡갈비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진 쑥떡 떡갈비에 대해 개시되어있다.
또 하기문헌 3에는 낙지 떡갈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돼지고기를 분쇄하는 돼지고기 분쇄과정과, 낙지를 잘게 절단하는 낙지 절단과정과, 상기 돼지고기 분쇄과정과 낙지 절단과정을 통하여 가공된 돼지고기와 낙지를 점결제 및 양념과 함께 반죽 배합하는 배합과정과, 상기 배합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떡갈비 반죽물을 저온 숙성하는 숙성과정과, 상기 숙성과정을 통하여 저온 숙성된 떡갈비 반죽물을 일정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하고 굽는 구이과정으로 이루어진 낙지 떡갈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진 낙지 떡갈비에 대해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모든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대량생산할 경우 분쇄 및 세절 공정으로 인해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대량생산에도 불구하고 퍽퍽한 느낌이 없고, 씹히는 맛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은 (a) 원료육을 세절하는 단계; (b) 가공식품을 세절하는 단계; (c) 양념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a)단계에서 세절된 육 및 (b)단계에서 세절된 가공식품을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양념 소스와 혼합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성형된 육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념 소스는 양파 40~48중량%, 간장 10~20중량%, 파 4~8중량%, 매실 액기스 3~7중량%, 녹말 가루 3~7중량%, 마늘 2~6중량%, 굴소스 2~6중량%, 키위 2~6중량%, 통깨 2~6중량%, 참기름 1~5중량%, 생강 1~3중량%, 설탕 1~3중량%, 와인 0.5~1.5중량%, 미림 0.5~1.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원료육은 우육, 돈육, 닭고기, 양고기, 말고기, 오리고기 또는 토끼고기 중 적어도 1종의 식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가공식품은 소시지, 햄, 어묵, 두부, 스위트 콘 또는 빙수 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양념 소스 제조시 청국장 분말 또는 함초 분말을 더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소시지, 햄, 어묵, 두부, 스위트 콘 또는 빙수 떡 등의 가공식품을 첨가하여 퍽퍽한 느낌이 제거되고, 씹히는 맛이 향상되고 식감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청국장 또는 함초 분말을 첨가하여 소화흡수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의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청국장은 대두를 원료로 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청국장은 대두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발효시켜 제조한 것으로서, 발효과정 중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서 그 특유의 맛과 향기가 생성되며 원료 콩의 당질과 단백질에서 유래된 레반형 프룩탄(levan form fructan)과 폴리글루타메이트(polyglutamate)의 혼합물질인 점질물이 다량 생성되어 단백질과 지방함량이 높은 양질의 발효식품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청국장은 원료 대두가 갖는 영양기능, 감각기능 이외에도 여러가지 생체조절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발효과정에서 강력한 소화효소인 아밀라제, 프로테아제 등이 생성되어 삶은 콩의 소화율이 50%~70% 정도인데 반하여 청국장은 90%~92%에 이르며, 된장보다도 콩 단백질과 지방질 함량이 많고 소화흡수율이 높다. 또한, 청국장에는 칼슘과 비타민의 함유량이 많으며, 청국장 속의 철분과 비타민 B는 임신부,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등으로 인한 빈혈의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청국장 속의 레시틴, 리놀렌산 및 레시틴 등은 성장기 어린이 두뇌세포의 발달, 노인성 치매의 예방 및 치료, 변비나 숙변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여 여드름, 주근깨를 예방하고, 부드러운 피부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청국장 균인 고쵸균에는 알코올대사를 촉진하는 성분이 있어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가 혈중에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고, 발효과정 중의 비타민B군은 삶은 콩보다 3~4배 증대되어 간을 보호한다고 알려진 바 있다. 이와 더불어, 청국장은 혈전을 용해시켜 뇌졸중이나 심장병을 예방하며, 청국장의 섭취는 안지오텐신 전화효소의 활성을 강하게 억제하여 혈압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고 보고된다.
함초(鹹草)는 해안에서 자생하면서 바닷물을 흡수하고 자라는 1년생 초본으로 알려져 있다. 학명이 salicorinia herbacea인 이 식물은 짙은 녹색의 줄기와 가지가 가을에 적색으로 변하고, 줄기는 마디가 많고 두드러지며, 가지는 2~3번 갈라져서 마주난다. 가지는 다육질로 비대하고 진한 녹색이며 잎과 가지의 구분이 거의 없고, 키는 10~40cm 자라고 꽃은 7~8월, 가지 사이에 흰녹색으로 보일 듯 말 듯 핀다. 열매는 9월 말에서 10월 중순경에 둥글고 납작하게 익으며, 봄부터 여름까지는 줄기와 가지가 진한 녹색이다가 가을이 되면 빨강색으로 물든다고 알려져 있다.
함초는 그 이름대로 맛이 몹시 짜며 거의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소금을 흡수하면서 자라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의서 『신농본초경』에는 함초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일본 가이바라의 『대화본초』에는 함초 이외에도 염초(鹽草), 신초(神草), 복초(福草)라고 기록되어 있다.
함초는 육초(陸草)이면서도 해수 속의 모든 성분을 간직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바닷물 속의 쓴맛을 제외한 각종 미네랄 및 효소 등을 잎과 줄기에 농축된 상태로 지니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우선, 주재료인 우육, 돈육, 닭고기, 양고기, 말고기, 오리고기 또는 토끼고기 중 적어도 1종의 식육을 세절한다(S10).
생육 또는 냉동육을 구입하여 이물질 및 핏물은 흐르는 물 또는 키친타올로 깨끗하게 제거하고 누린내는 콜라 또는 우유에 담궈 없앤다. 그 후, 필요에 따라 고기를 소금으로 문질러 기름기를 제거한다.
육이 질긴 경우, 무즙에 1시간 이상 담가두었다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무즙은 단백질 분해 효소 작용을 하여 육에 탄력을 주고 육질을 부드럽게 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준비가 완료되면, 세절기를 이용하여 육을 2mm 내지 8mm 크기로 세절한다. 육을 2mm미만으로 세절하게 되면, 육 특유의 식감을 느낄 수 없고, 8mm를 초과하게 되면, 세절된 육이 결착력이 약화되어 성형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념 소스가 육에 골고루 배기 어렵다.
다음에, 주재료에 첨가할 소시지, 햄, 어묵, 두부, 스위트 콘 및 빙수 떡 등 가공식품을 세절한다(S20).
상기 소시지, 햄, 어묵, 스위트 콘 및 빙수 떡은 씹히는 맛이 좋은 가공식품으로 선택된 것이고, 두부는 부드러운 식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상기 가공식품을 세절기를 이용하여 0.4mm 내지 2.0mm 크기로 세절한다. 가공식품 크기가 0.4mm미만이 되면, 떡갈비의 퍽퍽한 느낌이 제거가 되지 않으며, 2.0mm 를 초과하게 되면 떡갈비의 결착력이 약화되어 성형할 수 없게 된다.
그 후, 양파, 간장, 파, 매실 액기스, 밀가루 및 찹쌀가루, 마늘, 굴소스, 키위, 통깨, 참기름, 생강, 설탕, 와인, 미림 등을 배합하여 양념 소스를 제조한다(S30).
상기 S30의 배합에 있어서, 양파 40~48중량%, 간장 10~20중량%, 파 4~8중량%, 매실 액기스 3~7중량%, 녹말 가루 3~7중량%, 마늘 2~6중량%, 굴소스 2~6중량%, 키위 2~6중량%, 통깨 2~6중량%, 참기름 1~5중량%, 생강 1~3중량%, 설탕 1~3중량%, 와인 0.5~1.5중량%, 미림 0.5~1.5중량%, 바람직하게는 양파 44중량%, 간장 15중량%, 파 6중량%, 매실 액기스 5중량%, 녹말 가루 5중량%, 마늘 4중량%, 굴소스 4중량%, 키위 4중량%, 통깨 4중량%, 참기름 3중량%, 생강 2중량%, 설탕 2중량%, 와인 1중량%, 미림 1중량%를 함유하도록 배합한다.
상기 매실 액기스의 유기산 및 구연산이 항균, 살균력이 있어 떡갈비의 부패율을 낮추고, 식중독, 복통, 설사, 장염을 방지하고, 육의 감칠맛을 부각시켜준다.
상기 양념 소스에 청국장 분말, 함초 분말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물은 주재료인 고기의 소화 및 흡수를 돕는다.
상술한 양념 소스의 배합은 고기의 감칠맛은 부각시키고, 각 재료가 조화를 이뤄 최상의 맛을 낼 수 있도록 각 재료의 비율을 조절한 것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양념 소스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세절된 식육 및 상기 세절된 가공식품을 상기 양념 소스와 혼합한다(S40).
용기에 세절된 육 및 가공식품을 넣은 후, 양념 소스를 골고루 뿌려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과 육에 양념이 골고루 배도록 냉장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재운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다(S50).
일반적으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으로 성형하나, 반드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 등 어떠한 모양으로 성형하여도 무관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성형된 육을 포장한다(S60).
각각의 성형된 육을 폴리프로필렌, 플라스틱 필름, 종이 또는 금속박 등 포장 가능한 소재로 포장기를 이용하여 무균포장한 후, 급속동결하여 포장된 육을 보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완성된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는 매실 액기스를 첨가하여 식육의 감칠맛이 부각되고, 대량생산에도 불구하고 가공식품을 이용함으로 인해 텁텁한 식감이 감소되며, 씹히는 식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청국장 분말 또는 함초 분말을 첨가하여, 고기의 소화 흡수를 도와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준다.
시험 예 1. 떡갈비에 대한 관능 검사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된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를 하기와 같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1 참조)
관능검사는 떡갈비의 냄새, 맛, 색, 조직감에 잘 훈련된 30인의 panel을 구성하여 맛, 냄새, 조직감, 색 및 기호도에 대해 5단계 평점법(매우 나쁘다, 1점; 매우 좋다, 5점)으로 평가하였다.
맛 | 냄새 | 조직감 | 색 | 전체적인 기호도 | |
본 발명의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 4.2±0.9 | 3.6±0.98 | 3.9±1.4 | 3.3±0.98 | 3.8 ±0.9 |
해물 떡갈비 | 3.8±0.71 | 3.5±0.83 | 3.7±0.45 | 3.3±1.15 | 3.4±0.91 |
닭고기 떡갈비 | 2.6±1.30 | 2.3±0.88 | 2.7±1.21 | 3.3±1.07 | 2.6±1.26 |
돼지고기 떡갈비 | 2.0±1.08 | 2.1±0.71 | 3.2±0.96 | 3.4±0.90 | 2.5±0.89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와 해물 떡갈비, 닭고기 떡갈비, 돼지고기 떡갈비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 제품이 맛, 냄새, 조직감, 색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묘사인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본 발명의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가 3.8으로 해물 떡갈비 3.4, 닭고기 떡갈비 2.6 및 돼지고기 떡갈비 2.5 보다 좋은 점수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가 관능적인 면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관능적 특성은 떡갈비의 품질지표 중 중요한 것으로 떡갈비의 관능적 특성을 주는 요소는 냄새, 맛, 색 및 조직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그 제조방법은 요식업체 및 일반 가정에서 조리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 (a) 원료육을 무즙에 1시간 담가두고, 2mm 내지 8mm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b) 가공식품을 0.4mm 내지 2.0mm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c) 양념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a)단계에서 세절된 육 및 (b)단계에서 세절된 가공식품을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양념 소스와 혼합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성형된 육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념 소스는 양파 40~48중량%, 간장 10~20중량%, 파 4~8중량%, 매실 액기스 3~7중량%, 녹말 가루 3~7중량%, 마늘 2~6중량%, 굴소스 2~6중량%, 키위 2~6중량%, 통깨 2~6중량%, 참기름 1~5중량%, 생강 1~3중량%, 설탕 1~3중량%, 와인 0.5~1.5중량%, 미림 0.5~1.5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b) 단계에서 가공식품은 두부 또는 빙수 떡을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의 양념 소스 제조시 함초 분말을 더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원료육은 우육, 돈육, 닭고기, 양고기, 말고기, 오리고기 또는 토끼고기 중 적어도 1종의 식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1136A KR101420387B1 (ko) | 2012-07-25 | 2012-07-25 |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
CN201310309116.9A CN103564530B (zh) | 2012-07-25 | 2013-07-22 | 利用加工食品的排骨年糕及其的制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1136A KR101420387B1 (ko) | 2012-07-25 | 2012-07-25 |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3569A KR20140013569A (ko) | 2014-02-05 |
KR101420387B1 true KR101420387B1 (ko) | 2014-07-16 |
Family
ID=5003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1136A KR101420387B1 (ko) | 2012-07-25 | 2012-07-25 |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0387B1 (ko) |
CN (1) | CN103564530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6610B1 (ko) * | 2016-11-09 | 2017-04-14 | 함께하면돼지식품(주) | 돼지 뒷다리살과 곶감을 이용한 떡갈비 양념육의 제조 방법 |
KR102066512B1 (ko) | 2019-07-29 | 2020-01-15 | (주)미소담은 |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
KR102091120B1 (ko) * | 2019-10-14 | 2020-03-19 | 박성보 | 육류 가공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3535B1 (ko) * | 2019-02-15 | 2019-07-24 | (주)빅앤트피아이에스 | 돈육 염지방법 및 이로 제조된 염지돈육 |
KR102387696B1 (ko) * | 2019-03-26 | 2022-04-19 | 장윤영 | 떡갈비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갈비빵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5817A (ko) * | 2009-11-20 | 2011-05-26 | 박귀조 | 돼지불고기용 간장소스를 만드는 방법 |
KR20110127510A (ko) * | 2010-05-19 | 2011-11-25 | 이형남 | 냉동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냉동 고기완자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1389B1 (ko) * | 2008-04-17 | 2010-12-14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해산물을 이용한 떡갈비 제조방법 |
KR101059584B1 (ko) * | 2009-04-20 | 2011-08-25 | 안중각 | 매생이 가래떡 및 그 제조 방법 |
KR20110045118A (ko) * | 2009-10-26 | 2011-05-04 | 에프알푸드시스템(주) | 구워 먹는 떡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하여 제조된 떡 |
CN102125154B (zh) * | 2011-03-14 | 2013-04-17 | 丽江得一食品有限责任公司 | 一种青梅果糕 |
CN102488066A (zh) * | 2011-12-29 | 2012-06-13 | 湛江市金钩王食品有限公司 | 一种八宝叉烧年糕及其制作方法 |
-
2012
- 2012-07-25 KR KR1020120081136A patent/KR10142038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7-22 CN CN201310309116.9A patent/CN103564530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5817A (ko) * | 2009-11-20 | 2011-05-26 | 박귀조 | 돼지불고기용 간장소스를 만드는 방법 |
KR20110127510A (ko) * | 2010-05-19 | 2011-11-25 | 이형남 | 냉동 고기완자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냉동 고기완자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6610B1 (ko) * | 2016-11-09 | 2017-04-14 | 함께하면돼지식품(주) | 돼지 뒷다리살과 곶감을 이용한 떡갈비 양념육의 제조 방법 |
KR102066512B1 (ko) | 2019-07-29 | 2020-01-15 | (주)미소담은 | 떡갈비 성형기 및 그 성형방법 |
KR102091120B1 (ko) * | 2019-10-14 | 2020-03-19 | 박성보 | 육류 가공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564530A (zh) | 2014-02-12 |
CN103564530B (zh) | 2015-11-18 |
KR20140013569A (ko) | 2014-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i et al. | Traditional Chinese food technology and cuisine. | |
KR101420387B1 (ko) |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12778B1 (ko) | 돈까스 요리의 제조방법 | |
RU2300267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котлеты московские с капустой и соусом сметанным с томатом" | |
KR100662014B1 (ko) | 전복 장조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복 장조림 | |
CN103919185A (zh) | 一种低油脂、高蛋白质花生米及其原味、山椒花生米制作 | |
KR20150088370A (ko) | 수제 돼지갈비의 제조방법 | |
KR20030062941A (ko) | 뽕잎분말을 함유하는 닭고기 가공식품 | |
RU2302147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фрикадельки с капустой в соусе сметанном с томатом и луком" | |
RU2302159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тефтели с капустой в соусе сметанном с томатом" | |
KR100329416B1 (ko) | 분말상김치혼합양념의제조방법 | |
KR100515973B1 (ko) | 식품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 |
KR102284681B1 (ko) | 미삼을 이용한 부대찌개 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742139B1 (ko) | 현미찹쌀이 포함된 햄버거패티 | |
Göğüş et al. | Function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some turkish traditional foods | |
KR102134517B1 (ko) | 청양고추와 젓갈을 이용한 무채김치의 제조방법 | |
KR100630477B1 (ko) | 부대찌개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40867B1 (ko) | 단호박 및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김치 조성물 | |
KR100554670B1 (ko) | 장아찌의 제조방법 | |
KR101695303B1 (ko) | 숙성된 굴 및 새우를 이용한 매콤한 크림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30052980A (ko) | 유자청을 이용한 보쌈 김치양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49063B1 (ko) | 치킨텐더용 닭고기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치킨텐더용 닭고기 가공식품 | |
KR102170381B1 (ko) | 고기만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기만두 | |
KR101877725B1 (ko) | 현미를 이용한 밥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밥바 | |
KR101866365B1 (ko) | 콩나물 짬뽕 및 이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 |